주식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존버 주린이 2023. 2. 17. 14:49
반응형

 

 하이브(352820)

 

* 2005년 2월 1일 설립되었으며 2020년 10월 15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음.

* 레이블(Label) 영역, 솔루션(Solution) 영역, 플랫폼(Platform) 영역으로 나눠 음악 콘텐츠를 제작 및 서비스하고 있음.

* 동사는 매출을 앨범, 공연, 광고·출연료 및 매니지먼트, MD 및 라이선싱, 콘텐츠, 팬클럽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음.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이수만 최대주주의 지분 인수 및 공개 매수 제안 코멘트

 

하이브의 2년 내 시가총액 잠재력은 16조원 내외

 

1)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 및 특수관계인이 개인적으로 보유한 핵심 계열사들의 지분 매입을 통한 지배주주순익 확대와

2) 하이브와의 플랫폼/솔루션(2차 판권) 부문의 시너지를 감안할 때 지배주주순익은 올해 1,000억원에서 2024년 1,300억원 이상도 가능해 보입니다. 지분율 약 40%를 가정하면 하이브의 기업가치에 1.5조원 이상이 추가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SM 인수를 가정한 실적이나 목표주가 변동은 주주 총회 이후 다 반영할 계획입니다. 참고로, 10일의 주가 하락 역시

혹시 모를 카카오엔터의 공개 매수 참전 여부에 대한 우려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수 확정시 목표 주가는 250,000원(+19%) 내외로 상향할 계획이며, BTS가 완전체로 활동할 2025년 기준으로는 약 35만원입니다.

 

 

반응형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하이브의 이수만 SM 최대주주 지분 인수 및 공개매수 제안

 

10일 하이브는 이수만 최대주주의 지분 14.8%를 주당 120,000원에 우선 취득하며, 나머지 지분에 대해서는 기업 결합심사를 피하기 위해 풋옵션을 부여해 매수할 예정입니다. 이와 동시에 SM의 주주에 대해 공개 매수 신고서를 제출했는데, 최대 25% 지분으로 최대 주주와 마찬가지인 주당 120,000원을 제시했습니다. 풋옵션을 제외한 공개 매수 후 지분율은 최대 39.8%

입니다. 여기에 더해 최대 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 드림메이커와 SM브랜드마케팅의 지분도 매수할

계획이며, 최근 이슈가 된 라이크기획의 일몰 조항도 대승적 관점에서 로열티를 수령하지 않기로 하면서 지배구조의 문제점을 대부분 해소했습니다.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기대될 시너지는 너무도 뻔하고 크다

 

결국 레이블, 플랫폼, 솔루션입니다. IP의 가치가 플랫폼의 가치이기에 레이블의 연합은 위버스/디어유 모두에게 긍정적일

것이며, SMBM의 지배 구조 개선과 하이브의 역량을 통해 SM의 15%에 불과한 2차 판권 매출을 확대시킬 것입니다.

하이브에게 부족한 메타버스 사업은 스튜디오 광야를 통해 진행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 외 SM이 부족한 아티스트들의

미국 매니지먼트 활동 확대 가능성도 긍정적입니다.

 

 

 시너지에 대해 얘기하기 전 알아야 할 4가지

 

하이브와 SM의 잠재적 시너지에 대해 얘기하기 전 하이브의 이수만 최대주주 지분 인수 및 얼라인과 SM 경영진의 대응에

대한 4가지 이슈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1) 하이브는 과연 SM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시너지 보다 더 중요한 점은 SM을

살 수 있냐 없냐의 문제입니다. 4대 기획사는 최대 주주가 모두 아티스트 출신으로 CEO가 아닌 프로듀서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JYP의 박진영씨는 여전히 음원 발매와 콘서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YG는 양현석 최대주주의 1심 재판이 무혐의로

판결 나자마자 미뤄왔던 베이비몬스터(및 양현석 최대주주의)의 데뷔(복귀) 티저를 공개했다. SM은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의 70대에 접어든 나이와 산업의 특성상 2세 경영이 쉽지 않아 매각 의사가 발생한 것입니다. 최대주주가 매각 의사 없이는 M&A가 쉽지 않기에. 그런 관점에서 4대 기획사 중 유일한 매물을 단순히 숫자적으로 접근해서는 안되는 이유입니다.

 

2) 공개 매수 이후 얼라인과 SM 경영진의 언론 대응에 있어 특이했던 점은 적대적 M&A를 반대한다는 표현입니다.

최대주주의 지분을 인수하는 적대적 M&A라는 말에 어폐가 있음은 차치하자. 그 전에 1월 20일 SM 경영진은 얼라인의

지배 구조 개선 방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하면서 크게 2가지 측면을 강조했는데, A) 에스엠과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관계회사, 그리고 자회사들과의 모든 거래에 관해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B) 본업과 무관한 비핵심 자산들을

매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하이브는 이번 인수를 통해 얼라인과 SM 경영진이 해결하지 못한 이수만 최대 주주의

개인 지분이 있는 자회사들의 지배구조와 라이크기획의 일몰 조항까지 모두 해결했습니다. 얼라인의 주주 행동주의는

결국 회사의 성장을 최대주주와 소액주주가 일치하기를 원했던 것이었고, 하이브는 이슈 해결 뿐만 아니라 이수만

최대주주와 소액주주의 인수 가격을 모두 12만원에 제시함으로써 이상향에 가까운 딜을 제시했습니다. 주당 9만원에

프리미엄 없이 2대주주로 진입한 카카오는 지배구조와 관련한 어떠한 접점이 없었음 에도 환영하고, 하이브의 인수 시도들 적대적 M&A라고 표현한 점은 좀 아쉽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누가 해결하든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아닌가?

그리고, 이런 구조의 1등 공신이 얼라인임을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3) 카카오엔터의 추가적인 공개 매수 가능성은 논리적으로는 희박합니다. 이미 9%의 유증 참여 및 전환 사채 발행에서

경영권 참여 목적이 없다고 명시했다. 이를 뒤집는 것이 명분상 쉽지 않으며, 유증 가격에 프리미엄이 거의 없었기에 기존

주주들의 가치를 희석 시키면서 2대 주주로 참여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개 매수를 공식화한다면 이수만 최대주주의 가처분 신청에 대해 높은 명분을 주게 됩니다. 즉, 카카오의 유증 참여 및 전환 사채 발행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어 보이나,

공개 매수를 제시할 경우 후행적으로 많은 부담과 리스크를 져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카오엔터의 공개 매수 가능성은 1)에 전술했듯이 살 수 있을 때 사야하기 때문에 카카오엔터의 참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습니다.

낮은 확률로 카카오엔터가 공개 매수에 참전한다면 최소 5%의 지분 확보 후 하이브의 공개 매수가 이상 가격에서 추가적인 지분 확보 계획을 발표할 것이다. 3월 6일은 카카오의 유증 납입일인 동시에 하이브의 공개매수 납입일인데, 하이브는

이 시점에서 이미 약 40%의 지분을 확보하기 때문에 이전에 모두 마무리 해야 한다. 4) 가장 중요한 점인데, 얼라인이 언급한 20% 이상의 지분은 작년 주총에서 개인 및 기관투자자로부터 위임을 받은 지분의 합산을 의미하며, 얼라인은 1~2% 지분만 보유하 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런데, 투자자들이 원했던 지배구조 개선을 사실상 하이브가 이미 해결한 상황에서

최대주주와 소액주주의 프리미엄마저 동일하게 제시했습니다. 주주 제안이 양사간의 차이가 크지 않다면 기존 주주들이 굳이 하이브를 반대할 이유가 없어 보이나, 주주 입장에서야 제안을 기다렸다가 더 좋은 쪽을 제시하는 곳에 가면 된다. 주총

표대결의 지분율을 원점에서 생각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하이브가 강조하는 레이블, 솔루션, 그리고 플랫폼

 

하이브는 언론을 통해 이수만과의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는데 1) 이수만 선생님께서 추진해 오신 메타버스 구현, 멀티 레이블 체제 확립, 지구 살리기를 위한 비전 캠페인과 같은 전략적 방향성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하이브의 역량을 투입해 글로벌

시장에서 K 팝의 위상을 더욱 확대해 나갈것입니다. 또한, 2) 3대 사업 축인 레이블과 솔루션, 플랫폼 의 모든 분야에서

SM과 전략적 시너지 창출에 나서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팬 플랫폼을 더욱 확장해 플랫폼을 통한 협업은 물론 SM

산하의 다양한 솔루션 사업들과 하이브의 기존 솔루션 사업들 간에도 시너지를 모색할 방침입니다. 이 중 멀티 레이블 체제는 하이브에서 하고 있는 동시에 SM 3.0의 비전과도 같은 맥락입니다. 그렇기에 하이브로 인수된다고 해도 멀티 레이블 체제

확립 관점에서 보면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SM 임직원들이 기존 업무를 유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이브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지점은 크게 3가지입니다. 하이브가 가장 기대할 수 있는 팬 플랫폼입니다. 팬 플랫폼의 가장 큰 가치는 IP로부터 결정됩니다. 즉, BTS가 있기에 위버스가 있는 것이지, 좋은 플랫폼을 만들어서 BTS가 입점한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하이브-YG에 더해 SM 아티스트마저 더해지면 당연히 서로간의 높은 시너지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다만, 최근 일부 투자자들이 제기하는 위버스와 디어유의 합병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봅니다.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양 플랫폼의 수익화 하는

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위버스의 수익 모델은 아티스트의 메시지나 V LIVE 등을 통해 앱에 입장시키며, 글로벌에서는 대부분이 K팝 팬덤이기에 BTS의 팬이 블랙핑크의 팬이고, 구독 비용이 없기 에 높은 중복 구독(승수 효과)가 발생한합니다. 이후 광고 노출을 통해 아티스트의 앨범/콘서트 구매 및 수익성 높은 2차 판권(다양한 굿즈)를 노출시킵니다.

놀이공원이나 콘서트 장에서는 반드시 트래픽에 연동해 2차 판권 매출이 발생하는 만큼 무료로 최대한 입장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대로 디어유는 인당 매출이 정해져 있습니다. 한정된 인원을 대상 으로 한 월정액 시스템으로 무료 입장이

없으며, 추가적인 수익화가 제한적이나 그만큼 팬들의 가성비도 높습니다. 이런 기능들을 한 플랫폼으로 합치게 되면, 당연히 유기적 결합이 나타나기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위버스는 이미 2,000만명의 BTS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BTS의 소통을 무료로 들을 수 있기 때문인데, 이를 유료화하면 4,500원의 구독료를 벌기 위해 10만원짜리 굿즈를 팔 수 있는 잠재적 구독자를 없애는 셈입니다. 반대로, 디어유는 데뷔 1~2년차 아티스트들은 팬층이 어려 월 4,500원을 구독할 수

있지만 10만원의 굿즈 판매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월 4,500원의 구독 모델을 포기하면 안된다. 그렇기에

팬덤의 수익화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양 플랫폼이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더 이득이며, 현실적으로는 디어유의 2대 주주가 JYP인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스튜디오 광야이다. 스튜디오 광야는 콘텐츠 제작기술 전문회사로 SM이 구축한 콘텐츠, 혹은 SMCU(SM컬쳐 유니버스)를 기반으로 한 시각특수효과(VFX), (나비스와 같은) 가상인간 개발, 가상현실 제작, 뮤직비디오 전문 스튜디오,

그리고 버추얼스 튜디오 등 사업을 영위하거나 할 예정입니다. VR 콘서트 플랫폼 기업인 어메이즈VR과도 JV를 설립했다.

하이브는 메타버스 사업을 직접 하기 보다는 네이버 제페토의 주요 주주로써 참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만약

관련 사업의 확장을 시도한다면 스튜디오 광야를 통해서 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SM 아티스트에 더해 BTS/세븐틴/TXT/뉴 진스/르세라핌 등 하이브의 아티스트들도 추가로 참여한다면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세번째는 2차 판권에 대한 부분입니다. 하이브가 강조하는 레이블, 플랫폼, 솔루션이라는 3대 요소는, IP의 가치가 플랫폼의 가치이기에 레이블 확대가

곧 플랫폼의 성장 잠재력이며, 솔루션을 고도화해 2차 판권 매출 잠재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이브는 레이블 인수에 적극적이며, Plug and Play 전략을 통해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플레디스인수를 통해 이미 확인된 전략이기도 합니다. SM은 SMBM(SM 브랜드 마케팅)에 대한 상당한 잠재력을 발휘하게 될 것입니다. 온라인 플랫폼과 메타버스, 그리고

IP를 활용한 MD상품의 기획/제작 등 매우 중요한 성장 모멘텀 사업들을 담당하고 있지만, 최대주주가 2021년 기준으로

개인 지분 약 42%를 보유하고 있어 성장할 때마다 비판이 제기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적극적인 사업을 전개해나가기 어려웠는데, 하이브가 이수만 최대 주주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SMBM과 드림메이커의 개인 지분을 매입하면서 이를

해결하게 된 것입니다. 하이브의 MD/라이선스/콘텐츠 매출 비중은 2020~2021년 각각 49%/55%인 반면, SM의 MD/라이선스 매출 비중은 각각 15%/16%에 불과합니다. 지배 구조 이슈 해결 이후 하이브의 역량이 들어간다면 2차 판권 매출 상승에 따른 가파른 수익화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파이팅 해야지, 파이팅

 

글로벌 K-POP NO.1 레이블 + NO.1 엔터 플랫폼 독보적 지위

 

에스엠 지분 매입을 통한 K-POP 아티스트 라인업 확대와 해외레이블 인수를 통해 엔터 원천 IP(Artist)를 갖추고, 동사의

강점인 플랫폼 비즈니스를 활용, 이익 레버리지가 높은 간접 매출 비중 확대를 통해 외형성장과 마진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에스엠 지분 인수 후 예상되는 시너지 효과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

1)Global Top-tier K-POP Artist 라인업 확장, 2)HYBE Solution&Platform 시너지 확 대, 3)K-POP Artist 글로벌 진출 가속화, 4)Value Chain 내재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창출, 5)IP&사업 공동개발 효과

 

 

 HYBE, 에스엠 공개매수 통해 지분 39.8% 확보 가능성 높아

 

카카오-에스엠 이사 경영진의 에스엠 지분 매입 과정과 달리 하이브는 1)최대주주 지분 프리미엄 인정, 2)소액주주들의 시장 참여를 위해 공정한 절차를 통한 지분 매입 진행. 최대주주 지분 매입 과정에서 가격 정당성과 소액주주 역시 존중하는

모습으로 현 에스엠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하는 방향으로 딜을 진행. 현 에스엠 인수 딜 규모 레인지는 3조원 ~4조원으로 이는

주당 120,000원~168,000원 수준. 에스엠 지분 20% 인수에 필요한 자금은 6,189억원~7,999억원 추정.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글로벌 K-POP No.1 기업가치 15조원

 

글로벌 K-POP NO.1 레이블 + NO.1 엔터 플랫폼 독보적 지위

 

금번 에스엠 지분 취득을 통해 1)독보적인 K-POP 아티스트 확보에 따른 엔터 레이블 기업가치 상승, 2)글로벌 팬 플랫폼(위버스) First-tier이자 독점적 지위 확보에 기인합니다. 과거 Ithaca Holdings LLC 인수시 동사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하며 내세운 두 가지 예상 시나리오를 정확히 일년만에 시장에 확인시켜주었다. 1)Ithaca Holdings 인수가 글로벌

레퍼런스가 되어 해외 레이블 교섭력 역시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였고, 2)이익의 순증도 중요하나, 코로나가 지속되는 동안

코로나 이후 월드투어에 파급력 있는 국내·외 아티스트 라인업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전체 음악시장에서 K-POP M/S

확대와 동시에 HYBE 글로벌 음악시장 점유율을 가파르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습니다.

지난 2월 9일 동사는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이하 에스엠) 지분 인수뿐만 아니라 미국 힙합 전문 레이블 QC Media Holdings 인수 건도 함께 공시하였습니다. 미국 자회사 HYBE America가 QC 미디어 홀딩스 지분 100%를 3,140억원에 인수

예정입니다. 금번 딜을 통해 에스엠 지분 40% 확보시 국내 K-POP 1~4세대 아티스트 라인업을 골고루 갖추게 됩니다.

또한 Ithaca Holdings외 미국 힙합 레이블을 인수함으로써 해외 아티스트 라인업 확대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어 BTS 그룹 활동 중단으로 인한 이익 성장 둔화 우려를 불식, 글로벌 팬덤을 지닌 국내·외 아티스트 확충과 함께 이익 모멘텀 역시

유효하다는 판단입니다.

 

 

 K-POP 무적함대로 가는 길

 

에스엠 인수전 참전

 

2/10 이수만의 에스엠 지분 3,523,420주를 주당 12만원에 인수하고, 3/1까지 동일 가격으로 에스엠 발행 주식의 최대 25%

공개 매수를 공시했습니다. 인수관련 자금으로 1.1조원 수준이 필요한 만큼 투자에 대한 결과도 확실해야 합니다.

2023년 에스엠 실적을 매출액 9,736억원, 영업이익 1,188억원으로 추정하고, 하이브는 인수 성공시 영업이익 50%, 지배주주순이익 15%의 레벨업이 발생 할 것입니다. 또한 보이그룹으로 BTS, 세븐틴, TXT, 엔하이픈, NCT127, NCT드림,

걸그룹으로 르세라핌, 뉴진스, 레드벨벳, 에스파 등을 보유함으로써 명실공히 K-POP 무적함대가 됩니다.

여기에 위버스와 K-POP 팬덤 플랫폼을 양분하고 있는 디어유 버블의 가세로 확장과 보완이, 일본, 미국에서 현지 그룹데뷔 까지 이어져 실적 성장에 대한 의구심은 없습니다. 하이브가 이미 멀티 레이블 체제를 구축하고 BTS 성공 노하우와 포맷

활용의 효율을 높여가고 있기에 에스엠과의 결합 시너지는 보다 장미빛으로 전개될 것입니다.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하이브 아티스트의 자체 성장도 탁월

 

2022년의 앨범 판매는 BTS 805만장(솔로 포함), 세븐틴 558만장 등 합산 2,150만장입다. 2023년에는 BTS 솔로 4팀,

월드투어 효과의 보이그룹 3팀, 폭 발적 신인 걸그룹 2팀의 성장이 BTS 완전체 감소분보다 클 것으로 판단합니다.

또한 월드투어 그룹 3팀을 보유하여 회차 및 콘서트당 모객 증가 모멘텀을, 위버스를 통한 팬덤 커뮤니티 확장으로 수익화

모델 다양화를 얻을 것입니다. 여기에 하이브 아메리카를 통해 QC미디어 홀딩스를 인수함으로써 힙합 레이블 보강과

미국 내 하이브 입지 강화를 얻을 것입니다. BTS 부재에 대한 우려는 빌보드 랭커 세븐틴, TXT, 뉴진스의 성장으로 희석될 것입니다. 또한 BTS 솔로 팬덤의 견고함과 월드 그룹의 레버리지를 발휘할 위버스의 혁신 등으로 2022년 40% 수준의 BTS 제외 부문 실적의 급성장을 예상합니다. 이에 2023년 매출액 1조6,713억원(yoy +0.7%), 영업이익 2,422억원 (yoy +0.1%, OPM 14.5%)을 전망합니다. BTS 부재에 따른 앨범 및 콘서트 실적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성장 체력은 누구보다 탁월합니다.

 

 

2022.12.24 - [주식] - 케이티앤지 KT&G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3 - [주식] - 아시아나항공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3 - [주식] -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1 - [주식] - 포스코 POSCO 홀딩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1 - [주식] - 삼성물산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1 - [주식] - 셀트리온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0 - [주식] - SK텔레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0 - [주식] - 모두투어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0 - [주식] - 삼성증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19 - [주식] -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19 - [주식] - 현대제철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19 - [주식] - 기업은행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19 - [주식] - 한국전력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18 - [주식] - 삼성생명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7 - [주식] - 현대건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월 9일 공시 관련 코멘트

 

2개의 큰 공시가 나왔습니다. 1) 3,140억원 규모의 미국 힙합 레이블 QCM 인수 소식과2) SM 지분에 대한 공개매수 등

지분 인수와 관련된 사항을 지속적으로 검토 중이나 미확정이라는 소식입니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 포트폴리오

다각화라는 측면에서 QCM 인수도 긍정적이지만, 12MF P/E 배수가 40 배를 넘어선 상황에서 현금 여력이 풍부한 하이브의 SM 지분 인수 미확정 공시가 투자자들의 상상력을 더 자극할만한 요소로 보입니다. 중장기적 기업가치는 3-4 월로 예정된

1)위버스 구독 모델 도입에 따른 IP의 수익 창출 확대 규모와 2) 2분기 제작 발표회가 예정된 게펜JV 북미 걸그룹의 성과에 연동될 것입니다.

 

 

 QC Media Holdings 인수(3,140억원, 지분율 100%)

 

하이브 아메리카(100% 자회사)를 통해 미국 애틀랜타 소재의 QC Media Holdings(이하 QCM)를 인수합니다. QCM의

핵심 자산은 힙합 레이블 QC Music으로 ‘Migos’, ‘Lil Baby’, ‘Lil Yachty’ 등이 소속되어 있습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가장 큰 장르인) 힙합까지 추가하면서 하이브는 미국 3대 장르를 모두 갖추게 되었습니다. 인수 자금은 하이브의 하이브

아메리카에 대한 유상증자(3,390 억원 규모)로 마련했으며, (과거 이타카 인수 당시와 유사하게) 지분 인수 후에도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QCM의 피에르 토마스 대표와 케빈 리 COO는 3월 17일 하이브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

(36.4 만주, 628 억원 규모)에 참여합니다.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QCM은 이타카와는 다른 성격의 자산

 

공시된 QCM의 재무 실적은 2021년 매출액 798억원, 당기순이익 6억원으로 약소(?)해 보이는데, 2021년이 첫 재무연도였던 만큼 연간 실적이 모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2년 실적과 가격 산출 로직은 향후 하이브의 실적 공시를

통해 확인해야겠지만, 미국내 다른 레이블 인수 사례(2021년 WMG은 ‘MeganThee Stallion’, ‘Young Thug’ 소속 300 Ent.를 $4억에 인수)와 비교했을 때 아주 비싼 가격을 지불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또한, 저스틴 비버/아리아나 그란데

소속의 SB project는 매니지먼트 회사다 보니 아티스트 수입의 일부를 배분받는 구조인 것과 달리, QC Music은

레이블이기 때문에 (향후 매각할 수도 있는) 레이블 몫의 저작권(무형자산)까지 보유하고 있어 이타카만큼 인수 대금 대비

영업권 비중이 높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몇 년 새 음악 저작권에 대체 투자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는 글로벌 기관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2022.12.27 - [주식] - 엘지 LG디스플레이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6 - [주식] - 한국가스공사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6 - [주식] - 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6 - [주식] -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6 - [주식] - LG화학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엘지화학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6 - [주식] - 삼성SDI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6 - [주식] - 네이버 NAVER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5 - [주식] -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4 - [주식] - 대한항공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9 - [주식] - 카카오뱅크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9 - [주식] - SK바이오사이언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8 - [주식]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8 - [주식] - 포스코케미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7 - [주식] - CJ제일제당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7 - [주식] - KAI 한국항공우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08 - [주식] - 국민은행 KB금융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09 - [주식] - IBK 기업은행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06 - [주식] - 하나은행 하나금융지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05 - [주식] - 신한은행 신한지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04 - [주식] - 한국조선해양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03 - [주식] - GS건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뉴진스 Hot100 차트인의 의미

 

K-POP 그룹 중 Hot100에 차트인한 적 있는 그룹은 BTS, 블랙핑크, TWICE 세 그룹뿐이었습니다. 그런데, 2023년 1월

데뷔 5개월 차인 뉴진스가 ‘Ditto’로 Hot100 에 차트인(96위)했습니다. 뉴진스의 Hot100 차트인 배경은 높은 스트리밍

성적에 기인합니다. 국내에서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주요 음악시장에서 K-POP 기준 최소 3위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포티파이 청취자 수 성장 그래프는 과거 블랙핑크의 성장 패턴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실적 측면에서도

블랙핑크의 성장을 압축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전망합니다. 활동 빈도가 잦고 간접매출 수익화에서 압도적인 역량을 가진

하이브 산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블랙핑크 이상의 성장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뉴진스의 성공이 보여준

K-POP 걸그룹의 글로벌 히트 가능성은 2분기 제작발표회를 가질 예정인 미국 걸그룹 프로젝트의 흥행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기도 합니다.

 

미국 레코딩 음악 시장은 실물 음반의 비중이 10%에 불과하고 그 마저도 CD보다는 Vinyl이 70%의 매출을 발생할 정도로 CD의 영향력이 낮습니다. 이런 시장 특성 덕분에 BTS 낙수 효과를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한 4세대 K-POP 그룹들은

높은 CD 판매량을 바탕으로 빌보드 200에서 곧잘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연간 미국 CD 판매량 TOP10 앨범 중 7개가 K-POP인 것도 이런 시장 구조에 기인합니다. 반면, 음원 스트리밍/다운로드 혹은 라디오 플레이 강도가 강조되는

빌보드 메인 차트 Hot100에서는 K-POP 그룹 중에서 3대장으로 꼽히는 BTS, 블랙핑크, TWICE 를 제외하고는 차트인하는 예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아직 실물 음반 기준으로는 빌보드 200에 진입한 적도 없는 뉴진스(데뷔 5 개월차)가 Hot100에 엄청난 스트리밍 성적을 바탕으로 차트인(96위)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국내에서는 이미 ‘뉴진스의 하입보이요~’가 밈이 될 지경이기에 투자자들이 충분히 체감하고 있지만, K-POP이 대중음악이 아니라 일종의 장르로 소비되는

해외에서는 개별 아티스트의 성과 강도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당사는 개별 아티스트의 해외 성적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이 글로벌 1위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인 스포티파이라고 판단합니다. 뉴진스의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성적은

역대급입니다. 2021년 빌보드 Hot100에 83위로 차트인한 바 있으며, 2022년 북미에서만 15만명 규모의 콘서트를 진행한

트와이스를 뛰어넘는 월간 청취자 수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북미 지역에서 가장 K-POP을 많이 소비하는 지역 중 하나인

LA에서는 이미 월간 청취자 수가 블랙핑크에 근접하는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KPOP 소비가 늘어난 것을

감안하더라도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걸그룹들과 차별화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어 음악의 대중적 흥행에 기반한 성공이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뉴진스의 스포티파이 청취자 수 성장 추세가 과거 블랙핑크의 성장 패턴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주요 시장인 미국 등에서 특히 반응이 좋아 블랙핑크보다 빠른 시간 안에 블랙핑크 이상의 입지를 구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군다나 소속사인 하이브가 높은 가동률과 간접 매출을 통한 수익화 강도가 높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블랙핑크보다 수익화 강도는 훨씬 강한 아티스트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뉴진스의 성공이 보여준 K-POP 걸그룹의 글로벌 히트

가능성은 2분기 제작발표회를 가질 예정인 미국 걸그룹 프로젝트의 흥행 기대감을 높이는 요소기도 합니다.

 

 

 

 

 4Q22 Preview: OPM 12.2%(YoY-4%)

 

4Q22 매출액/영업이익은 각각 4,233억원/513억원(YoY -8/-30%)으로 컨센(529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분기에는 BTS 솔로 앨범 2개, 르세라핌, 세븐틴(일본), 엔팀(일본)의 신보 실적과 세븐틴, 엔하이픈, TXT의 투어 및 BTS

부산콘이 반영될 예정입니다. 1) 엔팀 데뷔 관련 비용 대규모 집행, 2) 공연 수익성 하향 조정, 3) 성과급 지급 등을 반영해

기존 추정 영업이익(568억원)을 대폭 하향합니다.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년 아티스트 성장의 원년 - BTS이외 아티스트 성장 순항 중

 

하이브 4Q22 매출액 4,126억원(-9.9% YoY), 영업이익 441억원(-40.4% YoY)기록 예상. 1)BTS 솔로 활동, 2)걸그룹(뉴진스, 르세라핌) 활약, 3)보이그룹 월드투어(세븐틴, TXT, 엔하이픈)에 매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 기록할 것으로 추정하나,

신규 아티스트 데뷔(&Team, 글로벌 걸그룹)와 콘서트 등에 따른 원가 상승, 성과급 지급에 따른 일회성 비용, 원/달러

환율 정상화로 인한 환차손에 마진 개선은 제한적인 모습.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9 - [주식] - 엘지 LG전자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9 - [주식] - SK이노베이션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9 - [주식] - 현대중공업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2.12.29 - [주식] - 카카오페이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13 - [주식] - 우리은행 우리금융지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17 - [주식] - 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20 - [주식] - 미래에셋증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23 - [주식] - 호텔신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25 - [주식] - 메리츠화재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26 - [주식] - 롯데케미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28 - [주식] - 현대자동차 현대차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30 - [주식] - HMM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1.31 - [주식] - 현대글로비스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2.02 - [주식] - S-Oil 에스오일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엔터 + IP 활용 비즈니스 본격적 이익 가시화는 2024년

 

신규 아티스트 발굴 및 데뷔, 아티스트 IP를 활용한 사업 다각화 등 투자 지속에 따른 매출원가 상승에 2023년 순이익

성장률은 2022년 대비 낮아질 것. 다만, BTS 이외 아티스트의 골고루 빠른 성장이 확인되고 있어 본격적인 이익 레벨업은 2024년 가시화 될 것. 1)2023년 세븐틴 돔/Stadium 투어 확대, 2)첫 월드투어를 시작한 TXT, 엔하이픈 글로벌 팬덤 확대

가시화, 3)K-POP 통틀어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이며 수익화 시점을 갱신하는 신인 걸그룹 등 BTS이외 아티스트 성장이 2023년 두드러질 것.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2.10 - [주식] - 아모레퍼시픽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2.12 - [주식] - SK바이오팜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2023.02.16 - [주식] - SM 에스엠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가 수익률

 

 

HYBE 하이브 주가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주식 수익률

 

 

 

 

 

 

하이브 코인 소속 연예인 엔터테인먼트 주가 전망 주식 주주 걸그룹  SM 인수 공모가 보호예수물량 소속 가수 

의무보유 여자 아이돌 하이브레인넷 지분 구조 지배 전시회 주가 하락 자회사 주 전 이름 주소 총액 전망 매각 

인수 카카오 정보 웹툰 줄거리 목표 영화 대표 르세라핌 방탄 BTS 빅히트 사옥 뉴진스 뜻 에스엠 차량 뜻 

인수 매출 실적 발표 인수 채용 연봉 초봉 공개 매수 중국 제안 증권사 리포트 환불 재팬 가격 주주 주가 주식 

더쿠 차트 추이 그래프 하락 이유 한국 중국 미국 상승 총액 논란 홈페이지 논란 폭락 차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