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의 개요
코오롱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소재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단일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으며, 5대 엔지니어링플라스틱(EP) 중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아미드(PA6,66)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를 비롯하여 PEL, PPS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코오롱플라스틱의 사업부문은 POM과 Compound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POM은 POM의 Base resin 및 Compound resin 제조와 POM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전 및 자회사 운영과 관련한 서비스 등 POM 관련 부대사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Compound 제품은 PA, PBT를 중심으로 PEL, PET 등 다양한 소재의 각 Base 제품에 특정 첨가제를 혼합하여 물성을 향상시키는 사업입니다.
이와 관련한 당사의 2023년 매출액은 456,198백만원으로 POM은 매출액 247,988백만원(매출비율 54.4%), Compound제품은 매출액 208,210백만원(매출비율 45.6%)를 기록하였습니다.
POM은 자체 중합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Compoound 역시 자체 생산 설비를 보유하여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 및 원가 경쟁력을 가지고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증설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경쟁력을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코오롱플라스틱 주요 고객은 자동차 및 전기전자, 생활용품 등 국내외 관련 기업입니다.
국내 및 해외영업 판매조직과는 별도로 국내외 신규시장 개발 전문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울러 유럽법인과 인도법인, 미국법인, 중국법인 등을 비롯한 해외 사업장을 구축하여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본 사업의 개요에 요약된 내용의 세부사항 및 포함되지 않은 내용 등은 "II. 사업의 내용"의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부터 "7. 기타 참고사항"까지의 항목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2023.12.31 기준)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품목 제품설명 매출액 매출비율
엔지니어링플라스틱 POM
당사의 POM 사업은 POM의 BASE RESIN 및 COMPOUND RESIN 제조와 POM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전 및 자회사 운영과 관련한 서비스 등 POM 관련 부대사업을 포함합니다.
POM(브랜드명 KOCETAL)수지는 우수한 열적, 기계적 특징과 함께 내마모도 및 내화학성이 탁월한 수지로 자동차 부품과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기어류 등에 사용됩니다.
247,988 54.4%
Compound
제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각 BASE 제품에 특정 첨가제를 혼합하여 물성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당사는 PA, PBT를 중심으로PEL, PET 등 다양한 소재의 컴파운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소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A는 우수한 기계적, 열적, 전기적 성질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로써 자동차부품, 전기전자부품, 그리고 각종 산업자재로 사용됩니다.
2) PBT는 전기적 성질이 매우 우수한 수지로 산업 전반 주요 주품으로 사용되며 특히 전기/전자분야 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3) PEL은 탄성회복력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 탄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4) 이외에도 PET(고강성, 투명), PPS(내열성, 치수 안정성 우수), PC(광확산수지, 내열성) 등 다양한 컴파운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8,210 45.6%
합 계
456,198 100.0%
※ 상기 자료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a) 연도별 가격변동 추이
(단위 : $/MT)
사업부문 생산제품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엔지니어링플라스틱 PA6 1,793 2,171 2,227
PA66 2,598 3,677 5,219
PBT 1,506 2,266 2,810
POM 1,984 2,737 2,712
※ 상기 금액은 화학원료시장정보 조사기관인 PCI 및 TECNON(ASIA, CHINA)에 근거한 각소재별 베이스칩의 평균가격입니다.
(b) 주요 가격변동원인
- 주요 원재료 및 부재료 가격 변동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현황
(단위 : 백만원,%)
매입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매입액 비율 주요매입처 매입처와 회사와의 관계
원재료 MA(메탄올) POM원료 25,832 13.8% Methanex 등 -
원재료 Base resin Compound원료 13,888 7.4% 코오롱인더스트리(주) 최대주주
96,509 51.6% 기타 -
기타부원료 기타 부원료 Compound원료 50,662 27.1% 기타 -
나.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 현황
(단위 : $/MT)
사업부문 품 목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출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Base Resin (PA6) 1,793 2,171 2,227 PCI (ASIA)
Base Resin (PA66) 2,598 3,677 5,219
Base Resin (PBT) 1,506 2,266 2,810 TECNON (CHINA)
메탄올 374 459 457 Methanex Asian Posted
Contract Price
다. 생산능력
(a) 생산능력
(단위 : 톤)
사업부문 품 목 사업장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OM
(Base Resin) 김천 67,000 67,000 67,000
합 계 67,000 67,000 67,000
※ Compound는 각 소재별 생산체계 및 생산능력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생산능력을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b) 생산능력 산출근거
- POM(Base Resin) : 설비별 공칭 CAPA 기준 연간 최대 생산능력의 합계
라. 생산실적
(a) 생산실적
(단위 : 톤)
사업부문 품 목 사업장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POM (Base) 김천 58,479 70,978 74,906
Compound 김천 45,927 40,932 38,843
합 계 104,406 111,910 113,750
(b) 생산실적 산출근거
- POM(Base Resin), Compound 설비별 실제 생산량
마. 가동률
(단위 : 톤, %)
회사 품 목 사업장 생산능력 생산실적 평균가동률
코오롱플라스틱 POM(Base) 김천 67,000 58,479 87.3%
※ 상기 가동률은 생산실적에 따른 단순수치로서 제품의 특성 및 생산체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실제 가동률의 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 Compound 제품은 각 제품에 따라 생산체계 및 생산능력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가동률 산정이 불가능하므로 가동률을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바. 생산설비의 현황 등
(a) 생산설비의 현황
(단위 : 백만원)
회사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장부가액 비고
(공시지가,
건물시가)
증가 감소
토지 김천공장 자가등기 경북 김천 13,708 - - - 13,708 9,810
건물 김천공장 자가등기 경북 김천 23,920 - - 1,321 22,598 12,718
구축물 김천공장 자가등기 경북 김천 5,588 12 244 236 5,120 -
상주공장 자가등기 경북 상주 61 - - 6 55 -
구미공장 자가등기 경북 구미 14 - - 0 14 -
기계장치 김천공장 자가등기 경북 김천 63,525 3,437 4,526 10,197 52,239 -
상주공장 자가등기 경북 상주 12 - - 1 11 -
구미공장 자가등기 경북 구미 678 - - 94 585 -
공구와기구등
김천공장 자가등기 경북 김천 2,270 702 75 637 2,260 -
상주공장 자가등기 경북 상주 - - - - - -
구미공장 자가등기 경북 구미 10 9 - 4 15 -
건설중인 자산
김천공장 자가등기 경북 김천 1,784 3,976 3,666 - 2,094 -
소계 111,571 8,136 8,511 12,496 98,699 -
(b) 생산설비의 변동사항
(단위 : 백만원)
자산별 주요 취득내역 금액 취득연월
토지/건물/구축물/기계장치 POM, 컴파운드 제조설비 등
3,449 2023년 1월~12월
차량운반구/공구과기구 등 기타 711 2023년 1월~12월
사. 시설투자현황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a) 연결기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매출유형 품 목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제품 POM 수 출 192,936 227,410 177,180
내 수 55,052 75,784 51,998
소 계 247,988 303,194 229,178
Compound 수 출 49,797 53,007 44,404
내 수 158,413 161,875 131,691
소 계 208,210 214,882 176,094
합 계 수 출 242,732 280,417 221,584
내 수 213,466 237,659 183,688
합 계 456,198 518,076 405,272
※ 상기 자료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리스회계기준서(K-IFRS 제1116호)를 적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b) 별도기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매출유형 품 목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제품 POM 수 출 187,951 221,598 177,137
내 수 55,052 75,784 51,998
소 계 243,004 297,382 229,135
Compound 수 출 45,612 53,007 44,404
내 수 158,413 161,875 131,691
소 계 204,025 214,882 176,094
합 계 수 출 233,563 274,605 221,541
내 수 213,466 237,659 183,688
합 계 447,029 512,263 405,229
※ 상기 자료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리스회계기준서(K-IFRS 제1116호)를 적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a) 판매조직
당사의 판매는 사업본부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업본부는 국내영업 담당부서와 해외영업 담당부서로 나눠지며, 판매조직과는 별도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국내외 신규시장 발굴 및 기존 ITEM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시장개발 전문 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b) 판매경로
당사는 국내의 경우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수요처인 제조업체에 직접 판매하거나, 대리점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수출의 경우에도 직접 판매하거나 또는 수출국의 에이전트를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내수/수출
판매경로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내수
직판
89,706 19.7%
대리점
123,760 27.1%
수출
직판
103,890 22.8%
Agent
138,842 30.4%
합계
456,198 100.0%
(c) 판매방법 및 조건
내수의 경우 대리점 매출의 경우 담보 설정을 전제로 여신 기일 60일 이내의 목표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직판의 경우 신규 고객사는 선입금을 통한 거래를 진행하고, 고객사의 신용도(상장회사)에 따라 결제조건을 별도로 협의하여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원자재 로컬의 경우 30일이내의 조건으로 판매가 진행 중에 있으며, 수출의 경우 고객사에 따라 결제조건이 차이가 있으나 평균 50일 수준의 여신 기일 내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 판매전략
당사는 자체 중합 설비를 보유하여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 및 원가 경쟁력을 가지고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POM 증설 투자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해외 전진 기지 구축에 따른 해외 현지 마케팅이 본격화됨에 따라, 해외에 당사 Brand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글로벌 시장점유율 확대 및 다른 지역으로의 전초 기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당사의 국내 및 해외 판매와 관련된 기본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판매 전략]
자동차 부문은 신차 개발 초기부터 공동으로 개발에 참여하여 고객사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객의 요구 사항에 대한 신속히 대응하여 Solution을 제공해야하는 사업의 특성상 고객 밀착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추진중에 있습니다. 또한, 선진 기술의 동향 및 정보 입수를 통한 고객사에게 개발 방향을 제안할 수 있도록 정보 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부문은 신규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과 더불어, 각종 환경 관련 규제 및 UL 승인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기술 진입 장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해외 판매 전략]
코오롱플라스틱의 POM 사업이 기 확보하고 있는 90여개국의 해외 거래선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더욱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PA, PBT, TPEE 등의 해외 판매 확대를 하는한편 신규 거래선 발굴을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지에 진출한 국내 자동차 업체와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인도, 유럽, 중국 해외법인을 통한 고객 개발 활성화 및 고객 기술 지원 고도화 등을 통해 해외 판매 증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e) 주요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백만원, %)
주요매출처 매출품목 매출비중 비 고
BASF South East Asia Pte. Ltd 엔지니어링플라스틱 10.9% * 2023년 매출액
: 456,198
(주)씨앤케이폴리머 4.1%
(주)부림케미칼 3.2%
(주)태광폴리머 3.1%
(주)정일폴리머 2.7%
※ 매출 비중 상위 5개 매출처 기재
다. 수주상황
(단위 : 원)
품목 수주
일자 납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 - - - - - - - -
합 계 - - - - - -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연결기업의 주요 금융부채는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와 차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현금 및 단기예금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절차를 검토하고 정책에 부합하는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투기 목적의 파생상품거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기본적인 정책입니다.
가.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시장위험은 이자율위험, 환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a)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변동이자부 차입금과 관련된 시장이자율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이자율 현황을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고정이자율차입금과 변동이자율차입금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변동이자율이 적용되는 차입금은 각각 5,426,590천원과 30,756,600천원입니다. 참고로, 변동이자율 차입의 이자율이 1% 변동되었을 경우 당기말과 전기말 법인세차감전 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1% 상승시 1% 하락시 1% 상승시 1% 하락시
법인세차감전 순손익 변동 (54,266) 54,266 (307,566) 307,566
(b) 환위험
환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USD,EUR,JPY,CNY,GBP,INR)
과목 당기말 전기말
외화 원화환산액 외화 원화환산액
현금및
현금성자산 USD 1,615,325 2,082,797 USD 4,899,371 6,208,973
EUR 2,379,494 3,394,562 EUR 2,792,785 3,773,611
JPY 20,645,064 188,418 JPY 33,368,910 318,066
CNY 26,444,515 4,782,225 CNY 7,641,768 1,386,522
GBP 170,304 279,602 GBP 69,965 106,884
INR 95,788,118 1,484,715 INR 11,780,321 180,357
매출채권 USD 16,780,020 21,636,158 USD 17,348,908 21,986,271
EUR 6,160,156 8,788,017 EUR 10,251,855 13,852,306
JPY 55,504,800 506,570 JPY 26,765,000 255,119
CNY 36,274,285 6,559,842 CNY 25,006,399 4,537,161
GBP 15,694 25,766 GBP 0 0
INR 32,490,416 503,601 INR 28,556,000 437,192
미수금 EUR 8,902 12,700 EUR 111,966 151,289
CNY 105,927 19,156 CNY 494,134 89,656
INR 7,246,909 112,327 INR 7,165,509 109,704
외화자산
합계 USD 18,395,345 23,718,955 USD 22,248,279 28,195,244
EUR 8,548,553 12,195,279 EUR 13,156,606 17,777,206
JPY 76,149,864 694,988 JPY 60,133,910 573,185
CNY 62,824,727 11,361,223 CNY 33,142,301 6,013,339
GBP 185,997 305,368 GBP 69,965 106,884
INR 135,525,444 2,100,643 INR 47,501,830 727,253
매입채무 USD 13,575,954 17,504,835 USD 14,683,400 18,608,272
EUR 195,045 278,249 EUR 601,636 812,931
CNY 4,081,073 738,021 CNY 6,630,814 1,203,095
INR 95,161,398 1,475,002 INR 67,771,931 1,037,588
단기차입금 USD - - USD 36,900 46,763
EUR 1,000,000 1,426,590 EUR 6,830,766 9,229,731
CNY 4,787,014 865,684 CNY 4,916,974 892,136
미지급비용 USD - - USD 194 245
EUR 41,095 58,625 EUR 48,334 65,308
CNY 359,688 65,046 CNY 30,973 5,620
INR 1,623,160 25,159 INR 1,500,041 22,966
미지급금 USD 134,328 173,203 USD 184,958 234,397
EUR 54,672 77,994 EUR 174,643 235,977
CNY 20,500 3,707 CNY - -
INR 1,796,174 27,841 INR 1,400,127 21,436
외화부채
합계 USD 13,710,282 17,678,038 USD 14,905,452 18,889,677
EUR 1,290,812 1,841,458 EUR 7,655,379 10,343,947
CNY 9,248,275 1,672,458 CNY 11,578,761 2,100,851
INR 98,580,732 1,528,002 INR 70,672,099 1,081,990
연결실체는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 5% 변동시, 환율변동이 당기와 전기 중 법인세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5% 상승시 5% 하락시 5% 상승시 5% 하락시
USD 348,274 (348,274) 465,278 (465,278)
EUR 517,691 (517,691) 371,663 (371,663)
JPY 34,749 (34,749) 28,659 (28,659)
CNY 484,438 (484,438) 195,624 (195,624)
GBP 15,268 (15,268) 5,344 (5,344)
INR 28,632 (28,632) (17,737) 17,737
합계 1,429,052 (1,429,052) 1,048,831 (1,048,831)
(c) 가격위험
연결기업의 금융상품 공정가치에 영향을 미칠 기타 가격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d)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여 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주요하게 매출채권, 대여금 등 영업활동 및 금융기관 예금, 외환거래, 기타 금융상품 등 재무활동으로 인한 신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를 나타냅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27,828,194 29,066,459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54,616,250 55,771,220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6,106,777 1,918,422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6,840,199 3,580,000
단기금융상품 5,000,000 3,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84,640 84,640
합계 100,476,060 93,420,741
연결실체의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은 다수의 거래처에 분산되어 있어 신용위험의 집중은 없으며, (주)우리은행 등의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에 현금 및 현금성자산 등을 예치하고 있으므로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e)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도록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특유의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통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금융상품 및 금융자산의 만기와 영업현금흐름의 추정치를 고려하여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만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별 상환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제 28(당) 기말
(단위: 천원)
구분 장부금액 잔존계약만기
1년 이하 1년 초과 5년 초과 합계
5년 미만
매입채무및기타채무 59,813,709 59,813,709 - - 59,813,709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1,038,126 - 1,038,126 - 1,038,126
단기차입금및사채 2,292,274 2,331,155 - - 2,331,155
장기차입금및사채 4,000,000 218,553 4,108,095 - 4,326,648
리스부채 3,247,754 1,204,233 2,216,013 49,880 3,470,126
합계 70,391,863 63,567,650 7,362,234 49,880 70,979,764
② 제 27(전) 기말
(단위: 천원)
구분 장부금액 잔존계약만기
1년 이하 1년 초과 5년 초과 합계
5년 미만
매입채무및기타채무 70,047,215 70,047,215 - - 70,047,215
단기차입금및사채 39,315,180 40,301,766 - - 40,301,766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843,974 - 843,974 - 843,974
리스부채 3,852,976 1,330,850 2,645,414 96,857 4,073,121
합계 114,059,345 111,679,831 3,489,388 96,857 115,266,076
나. 위험관리정책
(a) 이자율위험
연결기업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시장가격 관리의 목적은 수익은 최적화하는 반면 수용가능한 한계 이내로 시장위험 노출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입니다.
(b) 환위험
연결기업은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환위험 관리규정을 두어 환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c) 가격위험
연결기업의 금융상품 공정가치에 영향을 미칠 기타 가격위험은 없습니다.
(d) 신용위험
연결기업은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신용보강을 위한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신규 거래처와 계약시 공개된 재무정보와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제공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거래처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신용거래한도를 결정하고 있으며, 담보 또는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주기적으로 거래처의 신용도를 재평가하여 신용거래한도 및 담보수준을 조정하고 있으며, 회수가 지연되는 금융자산에 대하여는 분기 단위로 회수지연 현황 및 회수대책이 보고되고 있으며 지연사유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e) 유동성위험
연결기업은 특유의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통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금융상품 및 금융자산의 만기와 영업현금흐름의 추정치를 고려하여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만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다.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의 현황
(a) 외화표시 파생상품거래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b) 원화간 파생상품거래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c) 통화선도계약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d) 통화옵션계약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파생상품계약으로 발생한 이익 및 손실상황에 관한 내용
(a) 공정가액 및 공정가액 평가주체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b) 파생상품계약에서 발생된 거래손익금액과 재무제표에 반영된 내용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c) 위험회피목적을 위해 파생상품계약을 체결한 경우, 위험회피목적 대상 자산 또는 부채에서 발생된 손익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 기술 이전 계약
계약일
계약기간
계약상대방
계약목적
계약내용
계약금액
대금수수방법
2016.04.27
2018.08.31 ~ 2028.08.31
코오롱바스프이노폼(주)
기술도입ㆍ이전ㆍ제휴
코오롱플라스틱(주)가 보유한
POM 관련 지적재산권 및 기술제공
USD 10,000,000
-
나. 연구개발활동
(a)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2008년 ㈜코오롱으로부터 플라스틱 사업부문을 인수하기 이전, 1980년부터 코오롱그룹 내에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연구개발을 시작했던 코오롱플라스틱의 R&D본부는 약 43년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다양한 Grade의 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각 제품별 소재의 중합 및 컴파운드소재 기술은 물론 공정기술과 사출, 압출, 성형 등 관련 가공기술까지 확보하는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업과 관련한 Total solution provid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b) 연구개발 조직
당사의 R&D 본부는 총 5개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팀은 컴파운드 제품[POM(Polyoxymethylene, Polyacetal), PA(Polyam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EL(Polyelastomer) 등]의 신규제품/용도 개발, OEM Spec-in, 양산제품 안정화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POM(Polyoxymethylene, Polyacetal)]의 중합기술, POM공정개선, 신규 공정 기술 검토와 복합소재인 KompoGTe® 와 LFT의 레시피와 어플리케이션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향후 성장 분야인 EV/수소차 부품용 소재개발 및 선행 개발 과제 발굴과 Medical POM의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R&D본부 외에도 테크센터를 두어 사업 환경 분석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시장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 피드백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c)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과목 2023년도
(제28기) 2022년도
(제27기) 2021년도
(제26기)
연구개발비용 계 3,317 3,416 3,207
(정부보조금) - - -
연구개발비/매출액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X100] 0.7% 0.7% 0.8%
(d) 연구개발 실적
- 2023년 연구개발 실적
어플리케이션 제품 연구내용
자동차 KOPA® 밴드케이블용 교유동 내열 소재 개발
자동차 KOPA® 자동차 부품용 이음 개선 소재 개발
자동차 SPESIN® 레이저투과용 PBT 강화 소재 개발
자동차 SPESIN® 헤드램프 베젤 플레이트용 고강성 내후 소재 개발
자동차 SPESIN® 자동차 부품용 친환경 재활용 소재 기술 개발
자동차 KOCETAL® 저점도 고내마찰 내마모 Co-POM 개발
자동차 KompoGTe® 전동화 부품용 LFT 소재 개발
전기전자 KOCETAL® 전기전자 부품용 내마모 내마찰 소재 개발
일반산업 KOPA® 케이블용 PA 압출 소재 개발
일반산업 KOCETAL® 사출용 고점도 소재 개발
일반산업 KOCETAL® 일반산업용 내화학 소재 개발
일반산업 SPESIN® 광케이블용 고선속 압출 소재 개발
일반산업 KOPEL® 푸드컨택용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소재 개발
일반산업 KompoGTe® 보일러 배기덕트용 난연 소재 개발
- 향후 주요 연구 계획
어플리케이션 연구계획
자동차 친환경, 재활용, 탄소저감 소재개발
자동차 바이오 기반 폴리머 기술 연구
자동차 목적기반 모빌리티 소재 개발
자동차 금속대체, 경량화 소재 개발
자동차 경량화, 항공 소재 기술 개발
자동차 전기차, 전장화, 금속대체 소재 개발
자동차 전기차 배터리, 선박ESS, 중전기 소재 개발
자동차 전기차, 열폭주 방지, 화재 지연 소재개발
자동차 방수, 비방수, 난연, 성형성 소재 개발
자동차 경량화, 탄소저감 소재 개발
자동차 특수용도, 금속대체, 경량화
전기전자 금속대체, 고부가
일반산업 광케이블, 5G, 고부가 소재 개발
일반산업 특수용도, 고부가 소재 개발
의료용 특수용도, 고부가 소재 개발
7. 기타 참고사항
가. 상표 관리 정책
당사는 그룹 브랜드 관리 정책을 준용하여 브랜드를 관리하고 있으며, 생산하는 제품과 관련하여 아래의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브랜드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구분 상표명 취득일 관련제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KOPA® 2008.06.02 Polyamides (PA6, PA66) 수지
SPESIN® 2008.06.02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수지
KOCETAL® 1998.10.21 Polyoxymethylene (POM) 수지
KOPEL® 2008.06.02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TPEE), PEL 수지
KOPET® 2008.06.02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
NOPLA® 2008.06.02 PEN-PET 수지
KOPPS® 2010.08.11 Poly phenylene sulfide (PPS) 수지
KOPHOS® 2012.04.01 LED용 광확산 수지
KompoGTe®
2014.08.05
LFT, Composite 복합소재
VITRET® 2004.11.09 투명 Copolyester 수지
INKRAYON® 2015.12.08 3D Printing 소재
NOVAMOLD® 2022.07.13 MIM(Metal Injection Molding) Feedstock
나.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구분 등록 출원중 비고
특허권 국내 113 33 -
해외 37 65 -
계 150 98 -
상표권 국내 15 0 -
해외 124 8 -
계 139 8 -
다. 환경 관련 규제 준수현황
당사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물질들을 법/규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제조 사업과 관련된 법령은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화학물질질관리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등이 있으며, 제품생산을 위한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등에 의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상기 기술한 장래에 관한 사항은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또한 기재 내용이 당사 리스크의 전부는 아닙니다.
라. 사업 부문별 현황 및 영업개황
당사는 플라스틱 소재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단일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사업내용 주요고객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의
제조 및 가공/판매업 국내외 관련 업체
(자동차 및 전기전자/생활용품 등)
- POM은 2018년 하반기 자회사 코오롱바스프이노폼의 POM JV 플랜트(연산 7만톤)가 완공되면서 대규모 생산설비 운용을 통한 시너지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2022년 POM은 글로벌 수급불균형으로 가격인상과 함께 고객다변화 전략 성공으로 급격한 수익성장세를 보였고, 현재 글로벌 고부가 주요고객을 통한 수익체계를 완성함으로써 성장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 PA와 PBT를 중심으로 한 컴파운드는 전기차와 수소차에 적용되는 부품 영역을 확대해나가며 소재경쟁력을 갖춰가는 동시에, 인도와 중국, 미국과 유럽의 현지법인 등을 통해 인도, 아시아, 미국 및 유럽 시장의 점유율을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자동차와 전기전자 부문 외에도 의료기기, 식음료 등 새로운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진입해 외연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a) 산업의 특성
플라스틱은 양산성, 경량성, 전기절연성, 부식되지 않은 성질 등 타소재보다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나무 및 금속 등 천연소재의 대체용도로 널리 사용되며, 주요 소재산업으로서의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의 응용분야는 일상 생활용품에서부터 자동차, 전기전자분야, 기계부품, 화학장치 및 첨단산업인 항공우주산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최근 산업이 고도화, 전문화됨에 따라 고분자 소재에 있어서도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고기능을 요구하는 분야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부품의 소형화, 경량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내열성, 내화학성, 고강도의 특성을 지닌 소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중 이러한 산업적 요구에 맞추어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금속을 적극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개발된 종류의 수지가 있는데 이러한 소재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칭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구조용 및 기계 부품에 적합한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주로 금속 대체를 목표로 한 것" 또는 "자동차 부품이나 기계부품, 전기, 전자부품과 같은 공업적 용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일반 범용 플라스틱에 비해 내열성과 인장강도, 굴곡탄성률 등에서 매우 우수한 물적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범용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높아 기계, 전기/전자, 자동차 부품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으며, 플라스틱 수지로 성능이 뛰어난 폴리머가 많이 개발되면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부상하였습니다. 플라스틱의 가장 큰 결점인 내열성은 이러한 고기능성 플라스틱의 출현으로 대폭 개선되었으며, 강도와 강성(剛性)은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를 충전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 되었습니다. 최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사용분야가 넓어지면서 수요가 크게 신장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수지들이 개발, 시판되어짐에 따라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시장 상황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5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A, PBT, PC, MPPO, POM)를 중심으로 안정적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코오롱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아미드(PA) 및 폴리옥시메틸렌 (POM)을 비롯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EL, PPS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당해 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베이스칩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생산설비가 필요하며 설비투자에 거액의 자금이 소요되는 자본집약형 장치산업입니다. 또한, 전후방 산업간 높은 연계성 때문에 이를 일괄하는 제조 및 공정기술 개발과 기존제품과 차별화하는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이 필요한 기술집약형 산업입니다.
- 가격은 수급에 의해 결정되고 수요에 대한 공급탄력성이 낮아 가격의 변동성이 큽니다. 또한 산업의 형태가 범세계적인 과점 형태여서 가격도 세계 시장의 수요 및 공급에 의해서 일정 부분 결정되게 됩니다.
- 플라스틱 제품은 철재 및 목재보다 가볍고 물성이 우수하여 생활 필수품에서 필름, 기계부품, 파이프, 건축자재, 가죽에 이르기까지 거의 전 분야에 걸쳐 제품생산에 필수적인 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합성수지는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가 되는 기초소재 산업입니다.
(b) 산업의 성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산업은 소재사업으로 대표적인 수요처인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과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국내시장은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과 함께 평균 5% 정도의 성장을해왔으며, 글로벌 경제 위기에 따라 다소 그 성장세가 주춤 할 때도 있었으나, 2025년까지전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 및 전기전자 산업은 회사가 영위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가장 큰 수요처로, 각 산업의 성장이 곧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시장 확대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실제 자동차 및 전기전자 등 관련 산업의 생산량 증가는 플라스틱 등 소재의 수요 증가를 의미합니다.
먼저 자동차 분야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적용분야 확대가 기대됩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금속소재 자동차부품의 상당수를 대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부품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동차의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앞으로도 지속되어 점점 더 많은 플라스틱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며, 이는 연비 효율 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친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현재 내외장재 중심으로 플라스틱으로의 대체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자동차 내 기존 금속 소재의 대체 소재로 플라스틱 적용이 확대되어 나갈 것이라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2019년 미래차 발전전략 발표에서 2030년까지 친환경차량 판매비중을 33.3%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습니다. 이후 한국판 뉴딜정책에서는 5년간 13조를 투자하여 국내 전기차와 수소차의 보급을 2025년 133만대까지 확대한다고 발표하며 확실한 정책적 지원의지를 재차 표명하기도 하였습니다.
IHS Markit의 시장전망자료에 의하면 향후 10년간 글로벌전기차시장 연평균성장률(CAGR)이 2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 전체 전기차판매량은 1,120만대, 2030년 3,110만대까지 증가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미지: 판매믹스전망
판매믹스전망
(출처: IHS Markit)
이에 따라 주요 자동차OEM들은 독자적인 전기차 플랫폼을 개발하고, 부품을 모듈러화 하여 플랫폼별로 공유하는 생산전략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중 POM은 하이브리드전기차(PHEV, HEV)에서는 연료계에 적용되며, 전기차(BEV)는 전기전자부품의 모터기어류에 적용됩니다. PA는 배터리와 전자부품 용도에, PBT는 전기차의 고전압부품에 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차량 보급 확산으로 인한 자동차 부품소재시장의 재편이 예상되며, 당사는 국내외 자동차OEM들과 전기차 부품용 소재개발부터 양산적용까지 많은 레퍼런스를 확보해가고 있습니다. 커넥터와 전동모터, 배터리모듈, 수소차(FCEV) 및 경량화와 같이 개발의 방향성을 구체화하여 업계에서 요구되는 성능 및 필요기술을 자동차OEM부터 1, 2차 부품업체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공조관계하에 협력 개발 중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급변하고 있는 친환경차량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력과 인프라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분야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사용 확대가 전망됩니다. 특히, 전자제품의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난연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관련 기초 화학 기술에도 많은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Connector 및 Switch 등이 가장 많은 수요를 이루게 되고, 제품의 외판 등에 적용되는 상대적으로 기능성이 떨어지는 범용플라스틱의 수요 역시 증가하게 될 전망입니다.
또한 친환경 소재분야에도 적용제품 확대가 기대됩니다. 플라스틱 제품 중 음식물과 관련된 산업 다음으로 친환경 문제가 가장 대두되는 산업이 전기전자 산업입니다. 특히, 전기전자 제품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부품들은 기본적으로 화재 시 불이 잘 붙지 않도록 하는 난연성을 필요로 하여 난연제를 플라스틱에 첨가하게 됩니다. 이 난연제 성분 중 브롬이라는 물질이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브롬계 난연제 사용을 금하는 규제가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코오롱플라스틱에서는 브롬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개발 완료하여 상용화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신규소재 적용 확대가 기대됩니다. 전기전자 산업은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으로 잠시 성장세가 주춤하였으나,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가격 위주가 아닌 품질을 우선하여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PPS, LCP 와 같은 슈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c) 경기변동의 특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업은 전반적으로 세계 및 국내 경제 전반의 흐름과 큰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동차 및 전기전자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자동차 산업의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산업은 변동비(특히, 원료비)의 비중이 커서 원유가와 메탄올, 카프로락탐 등의 원료가격의 변동에 따른 영향으로 안정적인 원료 수급이 중요합니다.
(d) 계절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산업은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한 큰 변동은 없으나, 하계 휴가 및 각국의 명절 등으로 조업일수가 줄어드는 시기에는 소재 사용이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e)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 산업은 크게 BASE칩 제조와, 제조된 BASE칩을 원료로 첨가제와 함께 가공하는 컴파운드 사업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로, 메탄올 및 카프로락탐, 벤젠 등의 화학제품에서 플라스틱 제조의 원료가 되는 BASE 칩을 생산하는 과정은 대규모 장치산업으로, 이를 운용하는 생산노하우가 뒷받침 되야 하므로, 신규 업체의 진입은 쉽지 않습니다.
둘째로, 생산된 BASE칩을 구매하여, 특정 첨가제를 혼합하여 물성을 향상시키는 컴파운드 산업은 시설투자 비용이 적고 일반적인 제품은 기술진입이 용이한 편이지만, 이 경우에도 자동차산업 등 소재의 승인 획득을 필요로 하는 시장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력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여 신규 진입에는 장벽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f) 국내외 시장여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시장은 경량화 소재로 각광받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적용 범위가확대되는 등 경제성장과 함께 동반 성장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다만 최근 금리인상 기조가지속되면서 전 세계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로 산업수요 일부가 위축되는 듯하지만, 자동차 부문은 반도체수급 정상화 이후 생산량이 회복되며 판매량이 정상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전기차 부품 소재, 친환경 소재를 비롯한 신규 제품의 개발을 지속하여, 국내외 전방시장의 단기적 불확실성을 극복해 나갈 것입니다.
주요 자동차OEM들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연비 및 배출가스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차량(BEV, FCEV, PHEV, HEV) 출시를 확대함으로써 점차 전환율이 상승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지: 정부 전기차 판매목표
정부 전기차 판매목표
(출처: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기획재정부)
이에 통폐합된 친환경차량용 플랫폼의 모듈러 부품용으로 경량화 소재의 적용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경량화 소재인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향후 친환경차량 부품소재 시장의 성장률이 가파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미지: 전기차 소재적용 추이
전기차 소재적용 추이
(출처: 커넥티드 카와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 무기재료 전망 보고서)
(g)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 회사 경쟁상의 강점
당사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생산, 판매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전문 회사입니다. 당사는 POM, PA, PBT, PET, TPEE, 투명소재 및 각종 Alloy 제품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복합소재 Composit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보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신속하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차량 경량화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차량 연비에 대한 각국 정부의 규제와 신차를 선택할 때 연비 효율성을 주요 기준으로 삼고 있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완성차 업체의 가장 큰 숙제 중 하나입니다. 즉, 경량화는 이제 완성차 업체의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이며, 이에 따라 기존 금속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구조적인 수요 증가가 진행 중입니다.
플라스틱 업체의 경쟁력은 (1)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고부가가치 플라스틱을 제조할수 있는가(중합 공정)와 (2) base resin을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는 물성을 컴파운드 과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가 여부에서 판가름납니다.
- 회사 경쟁상의 단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산업의 경우 Dupont, BASF, Poly Plastics, Ticona 등과 같은 글로벌 화학업체들에 의해 성장해왔으며, 전세계 공급량의 대부분이 상기 업체들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동 산업의 경우 대표적인 장치산업이므로 대규모의 자금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Base칩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천기술 및 생산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규업체에 대한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 글로벌 화학업체 및 국내화학업체들과 치열한 경쟁관계에 놓여있으며, 산업 내에서의 점유율 유지/확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2008년 6월 코오롱인더스트리㈜로부터 영업을 양수한 PA, PBT, TPEE, PET등을 생산하는사업군의 경우 Recipe의 개발력, 고객 기술서비스와 마케팅능력이 중시되는 시장으로, 당사를 비롯 해외선진기업(Dupont, BASF, Rhodia, Sabic 등)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나, 설비 투자비용이 낮아 완전경쟁 시장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이 사업부는 생산된 BASE 칩을 구매하여, 특정 첨가제를 혼합하여 물성을 향상시키는 컴파운드 산업으로 시설투자 비용이 적고, 기술 수준이 높지 않아 진입이 용이한 편입니다. 하지만 자동차산업을 포함한, 소재의 승인 획득을 필요로 하는 시장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력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현재 글로벌 화학업체인 Dupont, BASF 및 Rhodia 등이 국내시장에 진입해 있으며 국내 기업 중에는 LG화학㈜, BGF에코머티리얼즈, HDC현대EP 등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설립이후 지속적으로 사업활동을 수행해온 POM 제품의 경우 원천기술을 보유한 Major가 Family군을 형성하여 기술을 독점하고 있고 일반화된 기술이 아니므로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동 업종의 경우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매우 경쟁이 치열한 시장이며, 당사의 경쟁사들 중 일부는 Financial, Marketing 및 Production resources 측면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h)시장점유율 추이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업은 사업 특성상 글로벌 시장에 판매를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정확한 시장점유율의 산정이 어렵습니다. 또한 각각의 수지별 시장파악이 용이하지 않으며, 객관적인 DATA가 없습니다. 당사가 자체적으로 산출하는 자료는 있으나, 글로벌 시장에 대한 추정 자료이므로 객관적인 신뢰도가 입증되지 않아 시장점유율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마. 사업부문별 요약 연결 재무현황
[영업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제28기
(2023년) 제27기
(2022년) 제26기
(2021년)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자산총액 362,980 100% 387,044 100% 369,095 100%
매출액 456,198 100% 518,076 100% 405,272 100%
영업이익 33,814 100% 46,042 100% 27,682 100%
※ 상기의 사업부문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바. 신규사업의 내용과 전망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코오롱ENP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원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
경동인베스트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HLB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로보로보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윙입푸드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