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보우로보틱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1. 사업의 개요
가. 협동로봇
당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개발을 통해 확보한 핵심 부품 및 요소 기술을 활용하여 협동로봇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협동로봇은 산업용 로봇의 한 부류이지만, 기존의 산업용 로봇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안전기능이 내장되어있고 작업자와 함께 같은 공간에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산업용 로봇 대비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입니다.
특히, 협동로봇은 기존의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있습니다.
인더스트리 4.0 또는 4차 산업 혁명 등으로 표현되는 제조 분야에서 협동로봇은 그 주축이 될 것이며, 생산 인구의 감소, 근무시간의 단축,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 등의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서비스분야의 협동로봇 점유율은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습니다.
당사 협동로봇의 가장 큰 경쟁력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핵심 부품, 소프트웨어, 그리고 제어 알고리즘 입니다. 자체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력으로 원가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사 제품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공급하면서도 더 높은 이익률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장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함으로써 더 많은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나. 이족보행로봇 및 사족보행로봇
당사는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으로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은 일본 'H사'의 아시모, 미국 'B사'의 아틀라스 플랫폼 및 당사의 'HUBO'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F1 머신이 자동차 기술의 정점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처럼 인간형 이족보행로봇은 로봇 공학의 정점에 있는 로봇 플랫폼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핵심 부품 및 요소 기술을 내재화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설계된 이족보행 로봇은 주로 선진국에서 연구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순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사족보행로봇은 험지와 야지를 모두 보행 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으로써, 이족보행로봇 제작에서 비롯된 노하우와 경험을토대로 감속기를 포함한 모든 부품을 100% 내재화 하였으며, 복잡한 지형을 보행 할 수 있는 보행기술과, 보행제어 알고리즘을 기본 탑재하고 백플립, 점프 등과 같은 다이나믹한 모션까지 수행 합니다.
감시,정찰,수색과 같은 임부 수행에 최적화된 족형로봇으로 라이다,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 주로 방범 순찰이나 군용 등 사업 분야에 활용가능합니다.
다. 초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에 적용되는 핵심 기술을 활용한 또 다른 사업은 초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입니다.
초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은 어떠한 지점을 정밀하게 지향하거나 추적하는 장치로 국내에서 이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는 당사가 유일합니다.
초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은 1초각(3,600분의 1도) 수준의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 주로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찰 위성 탐색 등 군사 목적으로 활용된 바 있습니다.
당사는 전통적인 웜기어 방식의 정밀지향 마운트 시스템에서 벗어나 로봇 분야에서 주로 활용하는 파동 감속기를 사용하여 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로인해 기존 방식의 마운트보다 획기적으로 높은 자중 대비 가반하중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보다 큰 천문 관측 시장이 형성된 미국, 일본 및 유럽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현재 파동 감속기를 활용한 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의 라인업을 확대하는 등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라. 기타사업군
당사는 서비스 분야에 협동로봇을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군을 발굴하고 있으며, 그 중 첫번째로 다양한 식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로봇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커피,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치킨 등 다양한 프랜차이즈 업체와 협업이 진행되고 있고,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설치 및 운영 되어 수익성을 내고 있습니다.
해당 시스템은 일반 소매점뿐만 아니라 휴게소, 대학 등의 특수 상권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미국 소재의 주립대학 구내식당 내의 납품 등 해외 수주 실적은 물론 국내 다양한 거점 휴게소 내에도 설치되는 등 납품 실적을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도심에 설치 가능한 마이크로 풀필먼트 형태의 무인 점포 시스템에 대한 사업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도심 접근성이 용이하여 제품 구매력을 높일 수 있고,매장 운영에 최소한의 인력과 공간이 활용되어, 소비자와 운영자에게 모두 도움이 되는 시스템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제품개요
1) 제품의 개요 및 라인업
1) 제품의 개요 및 라인업
제품군
제품 개요
협동로봇
협동로봇은 안전장치가 내장된 직렬 로봇팔(manipulator)로 작업자와 같은 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어 기존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당사 협동로봇 제품화의 기준 모델인 가반하중 5kg 제품(RB5-850)이 가장 먼저 출시가 되었으며, 가반하중을 줄이고 대신 작업 반경을늘린 가반하중 3kg의 RB3-1200이 출시되었습니다. 이후 시장의 요구에 따라 공압배선 내장형, 신호배선 내장형 등 다양한 옵션 항목들이 추가되었으며 가반하중 3KG부터 16KG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협동로봇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그리퍼, 3D 비젼 시스템, FT 센서, 통신 시스템 등 다양한 부가 장비를 개발하여 당사 협동로봇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이미지: 협동로봇
협동로봇
초정밀 지향 마운트
(천문 마운트)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은 지상에서 지구 밖의 우주 물체(행성, 항성, 인공위성 등)를 관측하는 데 필요한 2축(혹은 3축) 초정밀 지향 장치입니다. 지상에서 짧게는 수백 킬로미터, 길게는 수만 킬로미터 이상의 거리에 있는 우주물체를 관측하기 위한 수초각(arcsec, 1arcsec=1/3,600°)의 정밀한 지향 정밀도를 가지며, 지구 자전 속도를 보상하여 장시간 지속해서 우주 대상물을 지향할 수 있습니다.
2018년에는 당사의 로봇 기술을 활용한 하모닉드라이브 기반 정밀 마운트 시스템 신제품을 개발하여 관련 시장의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으며, 2019년 본격적으로 국내외 판매망을 구축하여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부터 해당 제품의 라인업을 다양화 하여 하모닉드라이브 감속기를 적용한 초정밀 지향 장치로서 차별화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이미지: 마운트
마운트
인간형 2족보행로봇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은 인간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로봇으로 기본적으로 인간과 유사하게 이족보행을 통해 이동할 수 있고 양팔과 손(말단장치, End-Effector)이 있어 인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의 얼굴 위치에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는환경 인식 센서를 장착하여 작업 대상 및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2족보행로봇
2족보행로봇
4족보행로봇
사족보행로봇 플랫폼은 다양한 임무수행이 가능한 로봇으로 군용분야, 방범순찰, 안전검사, 소방안전, 물류기능 그리고 편의기능(안내 등)을 탑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합니다.
리모컨을 이용해 손쉬운 조작이 가능하며, 최대 3시간 까지 연속보행이 가능합니다. 복잡한 한국지형에 최적화 된 로봇플랫폼으로 외부충격에 강인한 보행제어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4족보행로봇
4족보행로봇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현황
(단위:천원)
유형
품목 수입
여부 2023년
(제 13기) 2022년
(제 12기) 2021년
(제 11기)
원재료 구동부품 국내 1,499,680 2,749,503 1,830,000
수입 - - -
소계 1,499,680 2,749,503 1,830,000
전자부품 국내 2,010,623 1,591,169 1,042,309
수입 329,241 477,906 307,417
소계 2,339,864 2,069,075 1,349,726
기계부품 국내 2,310,170 2,795,448 1,478,056
수입 2,252 18,088 7,112
소계 2,312,422 2,813,536 1,485,168
원재료합계 국내 5,820,473 7,136,120 4,350,365
수입 331,493 495,994 314,529
합계 6,151,966 7,632,114 4,664,894
외주가공 국내 424,253 295,257 189,316
합계 424,253 295,257 189,316
총 합계 국내 6,244,726 7,431,377 4,539,681
수입 331,493 495,994 314,529
합계 6,576,219 7,927,371 4,854,210
주1) 원재료와 부재료로 분류하여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재료만 표기하였습니다.
주2) 원재료의 가격은 각 연도별 품목 유형별 매입금액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주3) 저장품은 원재료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분류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주4) 각 품목군 별 주요 원재료 구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품목 분류
구동부품 모터, 하모닉드라이브
전자부품 PCB, Cable Ass'y, 제어장치, Sensor
기계부품 주물가공품, 샤프트가공품, 조각가공품, 소재
상품 CCD, 카메라, 필터 등
외주가공 도금가공, 기계가공, 조립가공, 도장가공
나. 주요 원재료 공급의 안정성
원재료는 구동부품(감속기, 구동기, 베어링), 기계부품(브레이크 시스템, 엔코더, FT센서), 전자부품(구동제어기, 전원공급기, 인터페이스 보드, 안정화장치)으로 구분됩니다.
당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하모닉드라이브 감속기는 과거 일본 'A사'가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독점 공급을 하였으나, 최근 특허 만료로 인하여 여러 업체에서 하모닉드라이브 감속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과거 일본 'A' 사가 독점 공급할 시기에는 경기에 따라 수급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업체가 감속기를 공급함에 따라 당사는 제품의 품질 유지를위해 일본 'H사', 'N사' 및 중국 'L사'로부터 감속기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처럼 공급처 다양화를 통해 수급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 궁극적인 목표인 주요 원재료 자체 개발을 통한 핵심 원재료 기술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완료된 기술개발에 대한 추가 연구를 포함해 해당 제품의 균질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생산기술을 연구/개발 중에 있습니다.
그 외 구동기 및 엔코더 등 감속기를 제외한 원재료는 자체 개발/생산한 부품을 적용하여 원재료 수급에 영향이 없습니다.
다.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생산 제품의 다양성 및 주문 생산제품을 포함하고 있어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등을 적절하게 산정하여 표시하기가 부적합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만 로봇사업의 주력 모델인 RB5 단품 기준으로 연간 2,500대를 생산 할 수 있으며천문사업의 주력 모델인 RST-135의 경우 연간 600대를 생산 할 수 있습니다.
라. 주요 설비의 증감현황
(단위:천원)
과목 기초금액 당기증감 대체 당기상각 환율변동 기말금액
증가 감소
토지 419,730 119,097 - - - - 538,827
건물 1,602,929 100,714 - - (47,208) - 1,656,435
기계장치 71,020 107,150 (1) - (70,519) - 107,650
차량운반구 23,986 239,268 (1) 1,000 (34,651) - 229,602
공구와기구 691,585 317,200 - - (262,576) - 746,209
비품 191,522 144,137 (33) - (73,300) (35) 262,290
시설장치 624,372 68,201 (7,466) - (102,841) (1) 582,265
사용권자산 236,294 12,663 (17,612) - (159,631) - 71,714
건설중인자산 475,759 2,130,780 - (1,000) - - 2,605,539
합계 4,337,197 3,239,209 (25,113) - (750,726) (36) 6,800,531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1) 제품의 판매실적
(단위:천원)
구분 품목 2023년
(제 13기) 2022년
(제 12기) 2021년
(제 11기)
제품 내수 11,119,103 10,578,095 6,123,518
수출 1,422,513 2,439,824 1,840,040
소계 12,541,616 13,017,919 7,963,558
상품 내수 121,894 89,285 339,235
수출 11,120 22,399 13,216
소계 133,014 111,684 352,451
용역 내수 2,583,295 483,149 653,566
수출 211 2,660 -
소계 2,583,506 485,809 653,566
합계 내수 13,824,291 11,150,530 7,116,319
수출 1,433,844 2,464,882 1,853,256
합계 15,258,135 13,615,412 8,969,575
주) 상기 매출실적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나. 판매경로
1) 협동로봇
협동로봇은 최종 고객이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부품으로 활용이 되며, 제조, 물류, 전문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manipulation)을 구현하는 데 활용이 됩니다. 최종 고객이 다양한 분야에 존재하기 때문에 당사에서 모든 분야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각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 전문 업체를 통하여 최종 고객에게 당사의 협동로봇이 전달이 됩니다. 당사에서는 시스템 통합 전문 업체를 'SI 파트너사' 로 정의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판매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화된 시스템 통합 업체(SI 파트너사)를 발굴하는 것은 당사의 주요한 영업활동이며,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36개의 SI 파트너사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 초정밀 지향 마운트(천문마운트)
초정밀 지향 마운트(천문마운트)는 국내에서 직접 판매와 대리점판매, 해외에는 대리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으며, 개인고객에게 직접 판매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달청을 통해 기관과 직접 계약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각 기관에 영업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업체를 통한 판매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외는 총판과 대리점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시장의 크기가 큰 미국은총판을 통해서 각 지역에 있는 대리점으로 판매가 이루어집니다. 총판에서는 제품에 대한 기술 지원 및 사후 서비스를 제공하고 물류 처리와 미국 내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초정밀 지향 마운트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미국을 포함한 16개국에서 총 39개의 대리점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보행 로봇 플랫폼은 제품의 특성상 프로젝트 형식으로 판매가 이뤄집니다. 주로 연구용 플랫폼으로 활용이 되기 때문에 고객의 연구 프로젝트에 당사가 직접 참여하여 요구 사항 등을 주관 연구기관과 협의하고 요구 사항을 달성하기 위해 별도의 용역을 진행하는 예도 있습니다.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완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필요한 경우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자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플랫폼에 대한 이해도를 자연스럽게높일 수 있는 방법 또한 활용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약 6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검수를 통해 납품이 이뤄지게 됩니다.
다. 판매전략
1) 협동로봇
협동로봇의 판매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SI 파트너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판매를 증대시키기 위해 SI 파트너사를 무리하게 확대하게 된다면 파트너 사 간의 경쟁으로 인해 오히려 평균 매출이 줄어들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감소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SI 파트너사의 수를 적절히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며, 파트너사 간의 과도한 경쟁을 피하기 위해 업종이 과다하게 중복되지 않도록 당사는 지역별, 분야별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36개의 SI 파트너사를 확보하였으며, 매년 업종, 판매량, 고객 응대, 발전성 등을 평가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SI 파트너사를 운영하는 것 이외에도 당사는 협동 로봇을 이용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장에 직접 진출하고자 합니다. 당사의 혼합음료 제작 시스템인 'MIXX'의 경우 단순 제품 판매가 아닌 플랫폼 형태로 제공되어, F&B 서비스 로봇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SI 파트너사에서는 대응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SI 파트너사에서 시장을 개척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므로, 당사가 개발한 시스템과 협동 로봇의 활용성을 직접 홍보하고 선도적으로 시장을 개척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앞으로의 본격적인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해 아래와 같은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첫째, 국내 시장에서의 충분한 경험을 토대로 국내 시장 1위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국내 로봇시장은 세계 5위 규모의 시장이며 로봇 활용도(밀도) 부문에서 1위인 싱가포르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최상위 협동 로봇 제조업체로 인정받고 세계에 진출할 경우 세계시장에서 충분한 저력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국내외 파트너사와 함께 해외에 진출하는 전략입니다. 현지 업체단독 혹은 당사와 협력하여 총판업체를 각 나라에 설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할 예정입니다. 국내 SI 파트너사 중에는 이미 해외에 시스템을 판매하고 있는 업체가 있으며, 현재 일본, 중국, 러시아, 동남아, 미국, 캐나다,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 협력 요청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을 이미 확보한 업체들과 협력하여 해외 시장을 공략할 예정입니다.
2) 초정밀 지향 마운트
천문 제품시장은 제품의 전문성과 기술 지원 및 다른 장비들과의 호환성으로 인해 제조사 직접 판매 방식보다는 전문 판매점을 통한 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가별로 판매점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유통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난 수십 년간 웜기어 구동방식에 전자 장비와 소프트웨어만 개선된 제품만이 신규로 출시 되었을 만큼 천문마운트 시장은 획기적인 신제품이 드문 시장 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방식의 마운트 출현은 시장 내에서 큰 화제가되며 이러한 제품을 판매한다는 것은 판매점으로서 매출을 늘릴 중요한 기회입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 환경을 활용하여 새로운 판매점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3)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당사의 주요 기술제품인 이족보행 로봇의 경우 별도의 영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족보행 로봇을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회사는 전 세계에서 당사가 유일하므로 국내외 연구소, 학교, 기업들이 당사의 이족보행 로봇에 관한 관심을 가지고 견적을 요청하는 상황입니다.
라. 수주 현황에 관한 사항
당사의 수주는 P/O에 의한 단납기로 진행되는 형태로 수주잔고는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어 기재하지 않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시장 위험과 위험관리
1) 재무위험 관리요소
연결회사는 사업 영위 중 시장위험(외환위험 및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관리되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 하는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주로 미국달러와 엔화, 유로화, 싱가폴 달러와 관련된 환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미국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연결회사의 세후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당기말 전기말 당기말 전기말
상승시 405,699 324,362 405,699 324,362
하락시 (405,699) (324,362) (405,699) (324,362)
(2) 이자율 위험
이자율 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변동금리부 조건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자율 변동에 따른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대한 영향은 없습니다.
(3) 신용위험
연결회사는 거래상대방이 지급기일이 된 다음의 금액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신용위험에 노출됩니다.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은 신용위험 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연결회사는 과거 18개월 기간의 채무 불이행 실적이 없어 집합평가에 따른 손실충당금 설정 금액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매출채권에 대한 손상은 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로 순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각된 금액의 후속적인 회수는 동일한 계정과목에 대한 차감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현금및현금성자산, 각종 예금 그리고 파생금융상품 등과 같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결회사는 신용도가 높은 금융기관들을 선정하여 거래하고 있습니다.
(4)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관리는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을 유지하는 한편, 자본조달비용을 최소화하여 주주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회사의 경영진은 자본구조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부채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총 부채 및 총 자본은 연결재무상태표의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한편, 당기 중 자본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주요한 변동사항은 없습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부채 1,955,287 14,652,196
자본 130,656,200 61,507,272
부채비율(%) 1.5 23.8
(5) 유동성 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현금유출예산과 실제현금유출액을 지속적으로 분석ㆍ검토하여 금융부채와 금융자산의 만기구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영업활동현금흐름과 금융자산의 현금유입으로 금융부채를 상환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단위:천원)
계정과목 장부금액 현금흐름 6개월 이내 6~12개월 1 ~ 2년 2년 초과
매입채무및기타채무 721,809 721,809 721,809 - - -
전환사채(*1) - - - - - -
리스부채 54,747 55,869 38,081 8,490 9,298 -
장기미지급금 821,510 821,510 - - - 821,510
합계 1,598,066 1,599,188 759,890 8,490 9,298 821,510
(*1) 투자자의 조기상환권 행사가 가능한 시점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전기말)
(단위:천원)
계정과목 장부금액 현금흐름 6개월 이내 6~12개월 1 ~ 2년 2년 초과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003,473 1,003,473 1,003,473 - - -
전환사채(*1) 7,020,150 12,000,000 - - 12,000,000 -
리스부채 185,875 191,431 74,181 65,881 51,369 -
장기미지급금 742,888 742,888 - - - 742,888
합계 8,952,386 13,937,792 1,077,654 65,881 12,051,369 742,888
(*1) 투자자의 조기상환권 행사가 가능한 시점으로 표시하였습니다.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당기말 현재 회사가 운용하고 있는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 활동의 개요
가) 연구개발 조직 개요
당사의 기업부설연구소는 회사 설립연도인 2011년에 연구소로 인정받아 현재까지 운영중입니다. 당사는 협동로봇 연구개발 1년만에 제품 상용화를 이루었으며,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등기임원을 포함한 총 41명의 연구인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보유하고 있는 제품의 기술 고도화 및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우수 인력확보 등을 통해 세계적인 로봇 제조 회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나) 연구개발 조직 현황
연구개발 조직은 보고서 작성기준일 41명(임원포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벤처에 적합한 기술지향, 특화 지적 자산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조직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원 41명 (박사 12, 석사 15 , 학사 12, 기타 2)
- 조직 구성 : 기업부설연구소 내에 연구부와 개발부로 나누어져 있음.
이미지: 연구소 조직도
연구소 조직도
다) 연구개발비용
(단위:천원)
구 분 제13기 제12기 제11기
경상연구개발비 4,660,656 3,653,906 2,954,043
차감: 정부보조금 (3,153,327) (1,778,780) (1,142,835)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31% 26% 33%
차감계 1,507,329 1,875,126 1,811,208
2) 연구개발 실적
가) 내부과제
(1) 진행과제
연구과제명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고도화 기술 개발
안전한 동적 이족보행을 위한 하드웨어 및 알고리즘 개발
SLAM/Navigation 기술 개발
실내 천장 기반 고속 SLAM/Navigation 시스템 개발
헙동로봇 핵심 부품 및 응용시스템 개발
구동기 및 감속기 핵심 부품 모듈 개발
(가)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고도화 기술개발
현재 이족 보행 로봇 기술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미국의 'B사' 이며, 그다음은 일본의 'H사' 입니다. 당사의 기술력은 세계 3위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16년부터 "고속/고출력 로봇 플랫폼 기반 보행/조작 성능 고도화를 위한 핵심 부품 및 로봇 지능 원천 기술개발" 이라는 연구 주제로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한 바 있으며, 본 연구는 카이스트, 한국전기연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및 국민대학교와 협동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약 150억의 연구비가 투자되었습니다.
2028년을 이족보행플랫폼의 양산화 및 일반인들에게 활용할 수 있는 목표시점으로 두고, 미시적인 관점에서의 개발 계획보다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계획으로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나) SLAM/Navigation 기술 개발
모바일 로봇에 활용되는 요소 기술은 앞서 기술한 협동 로봇의 요소 기술 개발 계획과 동일합니다. 이와는 별도로 사용자 관점에서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약 10여대의 1차 시작품을 개발 완료하였으며, 연구기관/전시회/미술관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기능의 개선 사항을 파악하고 서비스의 방향성을 결정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2020년 하반기에 인터페이스 및 기능 고도화 작업을 거쳐 양산 검증이 가능한 형태의 2차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이후 양산 최적화를 통해양산품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다) 헙동로봇 핵심 부품 및 응용시스템 개발
당사의 협동 로봇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소 기술들이 개발 완료된 상태이며, 미확보된 기술은 지속해서 개발하여 내재화하며, 그 이전에는 전문기관에서 개발된 상용품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현재 당사에서 유일하게 아직 내재화하지 못한 로봇 핵심 부품은 감속기입니다. 당사는 2018년부터 감속기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으며, 개발한 감속기를 자사의 시스템에 최종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매니퓰레이터에 적합한 배터리(DC 전원) 구동 방식의 협동로봇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협동로봇은 AC 전원 기반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입니다. 모바일 로봇은 광범위한 공간 안에서 운용이 되기 때문에 전원선을 장착하여 운용될 수 없으며 따라서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운용이 필요로 됩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하에서 운용 가능한 협동로봇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개발의 일환으로 MIXX 브랜드로 진행하는 "협동로봇 이용 혼합음료 제조 시스템" 을표준화 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해당 시스템은 커피, 탄산음료, 과일 주스, 밀크티, 전통차 등을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각각 모듈화하고 해당 서브-시스템을 사용자가 조합하여 원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표준화 되어있으며, 다양한 활용처를 확보하여 다수의 납품계약을 진행 한 바 있습니다.
(라) 마찰 구동형 감속기 개발
기존의 치형을 마이크로 텍스쳐링으로 대체하여 경량 박형 구조로 높은 역 구동성, 제로 백래쉬, 저진동을 구현하여 인간-로봇 상호작용 시 안전하고, 효율이 높은 감속기의 개발을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함께 수행한 바 있습니다.
이후 자체적인 내부 개발 과제로 감속기 개발을 선정하였으며, 기어 이빨을 사용하지않고 토크한계를 지닌 신개념 자체 감속기를 개발하여 고효율, 고정밀, 저소음, 저진동, 고감속, 소형, 경량의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의 산업용 로봇을 위해 만들어진 강성위주 설계 감속기의 외부환경에 순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 단점을 개선하고 사고발생율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이미지: 마찰 구동형 감속기
마찰 구동형 감속기
(2) 기진행과제
연구과제명
연구 기간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DRC-HUBO v.SEA
2017.01∼2017.12
SEA를 적용한 DRC-HUBO 출시
하모닉드라이브 기반 소형 마운트 시스템 개발
2016.06~2017.05
RST-150H 개발을 통해 제품 출시
직구동 방식 중대형 마운트 시스템 개발
2016.01~2017.12
대한민국 공군 우주물체 감시시스템 4대 납품
휠 기반 인간형 로봇 플랫폼 개발
2013.01~2013.12
DRC-HUBO 개량 버전 개발 및
사업화 성공 후 수출계약 체결
HUBO2 보행 안정화 알고리즘 개발
2011.02∼2012.06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의 운용 가능성 확보
3D 얼굴 재구성 시스템 개발
2018.10∼2020.06
정밀 3차원 얼굴 인식 및 모델 생성 스캐너 시스템 개발
나) 정부과제
연구과제명
연구기간
주관부서
소방용 4족 보행 로봇 기반 인명탐지 화재진압 솔루션 개발 및 소방 로봇 센서 실증 2023.06.~2028.1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비정형 복잡한 환경에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한 다중 임무용 다족형 로봇의 통합운동제어 기술 개발 2022.06.~2027.05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물류창고 내 사람이 작업하는 선반 피킹에 최적화된
엘리베이션 가능한 모바일 오더피킹 로봇기술 개발 2021.04.~2024.1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가반하중 500g급 고정밀 협동로봇 기술 개발 2021.04.~2024.12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가) 소방용 4족 보행 로봇 기반 인명탐지 화재진압 솔루션 개발 및 소방 로봇 센서 실증
소방발전 4.0시대에 맞추어 4족보행로봇을 활용한 인명탐지 및 화재진압 솔루션을 활용한 소방현장 대응 기술의 첨단화를 목표로 하는 연구과제로 재난상황에서 소방관을 대신해 실내 진입과 요구조자 탐색을 가능하게 하고, 화재진압솔루션이 개발된 후 재난 상황에서 소방관을 대신해 화재진압 임무 수행도 가능하게끔 연구 해 나갈 예정입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소방대원 안전확보 및 국민이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함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나) 비정형 복잡한 환경에서 매니퓰레이터를 이용한 다중 임무용 다족형 로봇의 통합운동제어 기술 개발
실내외 험지환경에서 매니퓰레이터(로봇팔)를 활용하여 지뢰와 같은 위험물 탐지, 지하시설 내 감시 및 진단 등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있는 다족 로봇의 통합운동제어 기술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과제로 유연하고 컴플라이언트한 구동이 가능한 다족형 로봇플랫폼을 개발하고, 민군겸용기술로 다양한 산업분야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노동 부담 경감, 산업 생산성 향상 등 국가 기술 경쟁력 확보에 일익을 담당하고 세계 로봇 및 관련 서비스 시장의 핵심 부분을 점유 및 선도해 나갈 예정입니다.
(다) 물류창고 내 사람이 작업하는 선반 피킹에 최적화된 엘리베이션 가능한 모바일 오더피킹 로봇기술 개발
기존 물류창고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하여 시설 투자비를 최소화함으로써 규모가 작은 중소 물류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국형 물류창고 운영 효율화가 가능한 모바일 물류 핸들링 로봇의 상용화와 그 핵심기술을 개발합니다.
본 과제에서는 물류창고 환경에서의 효율화를 위해 수평 작업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고 작업 대상물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기 위한 실용적인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그 중 그리퍼는 대상 물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3개의 dextrous한 손가락과 그 중심부에 흡착장치를 내장한 형태로 제작할 계획이며, 이는 책꽂이에 빽빽하게 채워진 책을 피킹하는 등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작업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제작됩니다.
당사는 공동연구개발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물건이 공존하는 물류창고 환경에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 가반하중 500g 고정밀 협동로봇 기술 개발
소형고정밀 협동로봇은 설치 면적이 작고, 가벼워 공정 변경 시 유연하고 이전 설치가 쉽습니다. 또한,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산업용로봇이나 일반 협동로봇에 비해 사용이 용이하고, 팔 길이가 짧지만 고정밀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로봇시장은 산업용로봇과 일반 협동로봇이 대부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소형 협동로봇 시장은 아직 형성 초기단계에 있습니다.
현재 제조산업 트렌드가 중공업 및 기계부품의 제조와 조립 위주의 산업에서 첨단 IT, 전자, 의약, 바이오 등의 산업으로 전환함에 따라 경량물에 대한 정밀한 로봇 작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소형고정밀 협동로봇의 연구개발을 통해 경량물의 정밀작업이 필요한 제조 분야는 물론 교육 및 연구분야, 검체채취, 검사진단 비대면 서비스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오테크닉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2 |
---|---|
클래시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2 |
HPSP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2 |
셀트리온제약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2 |
리노공업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