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클래시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존버 주린이 2024. 5. 22. 08:18
반응형

 

클래시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미용목적을 위한 의료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클래시스 브랜드와 미용기기 사업을 영위하는 클루덤 브랜드, 그리고 개인용 뷰티 디바이스 및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스케덤/슈링크RX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제품의 누적 판매대수와 사용 횟수가 증가되면서 기계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필수 소모품이 하나의 카테고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클래시스 브랜드와 소모품의 매출비중은 각각 50%와 45%입니다.

 

반응형



매출처는 전세계 70여 개국 대리점 및 국내 병의원, 일반 소비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속적인 제품의 업그레이드와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통해 브랜드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미용의료기기 시장의 대중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 기반의 신제품 개발 및 지속적인 제품 업그레이드, 그리고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통해 브랜드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인력 채용 증가를 통한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동 공시서류의 'II.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1. 주요 제품
브랜드 제품 기술
클래시스
(CLASSYS) 슈링크(ULTRAFORMER III) 집속초음파(HIFU)
슈링크 유니버스(ULTRAFORMER MPT) 집속초음파(HIFU)
볼뉴머(VOLNEWMER) 고주파(RF)
알파(CLATUU ALPHA) 냉각제어(Cooling)
사이저(SCIZER) 집속초음파(HIFU)
클루덤
(Cluederm) 울핏(Ulfit) 집속초음파(HIFU)
아쿠아퓨어(AQUAPURE I)
아쿠아퓨어2(AQUAPURE II) 유공압제어
리핏(Refit) 고주파(RF)
쿨포디(Cool4D) 냉각제어(Cooling)
스케덤/
슈링크RX
시봉(cibon) 갈바닉이온진동
리프팅 패치 화장품
(주1) 당사는 2024년 1월 스케덤/슈링크RX 브랜드의 고주파(RF) 기술을 적용한 홈뷰티 디바이스 볼리움(VOLIUM)을 출시하였습니다. 제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케덤 공식 홈페이지(skederhttp://m.co.kr)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매출액 분포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 (단위 : 천원)
연결기준
품 목

매출액

비율

의료기기 클래시스(CLASSYS) 89,979,562  50.0%
클루덤(Cluederm)

5,095,290  2.8%
소모품 81,042,877  45.0%
화장품 및 개인용 미용기기

스케덤/슈링크RX 등
2,430,331  1.3%
기타 임대수익 1,574,737  0.9%
합 계

합 계

180,122,798  100.0%
제품의 가격은 브랜드별, 제품별, 지역별, 구매자의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합니다.
또한, 판매가에 대한 상세 내역 및 추이는 영업비밀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1. 주요 원재료
당사가 생산하는 의료기기 원재료는 전원공급장치, 온도조절장치, 기구물 등이 있습니다. 이들을 구매하는 주요 매입처는 당사와 특수관계에 있지 않으며, 품질, 가격,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가능 여부 등을 고려하여 기술연구소에서 업체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매입처를 관리하고, 안정적인 부품 조달을 위해서 충분한 기간을 두고 미리 주문하거나 일정 수량 이상의 재고를 확보하는 등 원재료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원재료에 대한 상세 내역 및 추이는 영업비밀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및 가동률


(단위: 대, 천원)
구 분

2023년 2022년 2021년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생산능력

116,297 35,914,366 129,662 39,107,781 90,903 32,859,971
생산실적

128,587 39,709,799 109,011 32,879,073 65,073 24,891,254
가동율

110.6% 84.1% 75.7%
(주1) 생산실적은 장비와 소모품 각각의 수량을 모두 합한 값입니다.
(주2) 생산능력의 수량와 금액은, 생산실적 수량과 금액을 기준으로 가용한 생산인력의 수와 시간을 반영하여 계산되었습니다.


2) 생산시설 현황

(단위: 천원)
구 분 기초 취 득 감가상각비 대체 기말
토지 21,501,111 - - - 21,501,111
건물 21,641,483 - (579,723) - 21,061,760
기계장치 210,971 1,130,860 (206,518) - 1,135,313
차량운반구 39,855 - (12,803) - 27,052
공구와기구 846,396 280,541 (559,482) - 567,455
비품 128,533 142,528 (52,486) - 218,575
시설장치 269,230 455,622 (118,439) - 606,413
합 계 44,637,579 2,009,551 (1,529,451) - 45,117,679
(주1) 회사의 생산시설은 서울시 송파구와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1. 매출
(1) 매출 실적

(단위: 천원)
연결 기준
품 목

2023년 2022년 2021년
제품 의료기기 클래시스
(CLASSYS) 수출 63,157,132 44,283,525 36,563,003
내수 26,822,430 29,902,699 10,327,838
클루덤
(Cluederm)

수출 4,770,108 7,397,232 6,421,530
내수 325,182 519,364 822,545
소모품 등 수출 47,778,112 34,715,339 26,726,328
내수 33,264,766 20,869,090 18,592,620
화장품 및
개인용 미용기기 스케덤/슈링크RX 등
수출 1,357,798 1,072,982 469,240
내수 1,072,534 891,289 673,832
임대 부동산 내수 1,574,737 2,151,722 -
합 계

수출 117,063,149 87,469,078 70,180,101
내수 63,059,649 54,334,164 30,416,835
합계 180,122,798 141,803,242 100,596,936


(2) 제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경로와 방법, 전략, 주요매출처

1) 판매경로
미용 의료기기는 국내와 해외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내영업의 경우 본사와 인접한 수도권 지역(서울/경기/인천)은 본사에서 직접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에서 직접 영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지역은 해당 지역의 대리점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내 소모품의 경우 자사 인터넷쇼핑몰(http://classysmall.com)에서 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외영업은 유럽, 미주/중동, 아시아 등 각각 팀으로 나누어져 현지 사정에 밝은 직원들이 영업을 하고 있으며 대리점을 통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구분 판매경로
매출액(천원)

비율
국내 직판 39,690,730 22.0%
대리점 등 21,794,182 12.1%
임대 1,574,737  0.9%
해외 대리점 등 117,063,149  65.0%
합계 180,122,798  100.0%
 
스케덤/슈링크RX 브랜드는 일반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는 코스메틱 브랜드로, 리프팅 패치와 시봉(개인용 미용기기) 등을 주력으로 온·오프라인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본사 건물(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소재) 내 일부는 임대하고 있어 임대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 판매방법
고객사별 거래 조건은 각 거래 업체의 신용도, 비즈니스 전망 등 제반 요소를 검토, 분석하여 개별 거래 조건이 모두 상이합니다. 또한, 슈링크 및 슈링크 유니버스, 울핏, 알파, 사이저 등의 국내 판매 시 소모품 교환권을 패키지로 판매하고 있으며, 미사용 교환권에 대해서는 선수금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미용 의료기기는 메디컬 시장과 에스테틱 시장으로 세분화하여 서로 다른 모델과 차별화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판매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유통망을 세분화, 확대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4) 주요 매출처
매출처는 전세계 70여 개국 대리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리점에 대한 정보 및 기타 비중은 영업비밀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주요 고객에 대한 정보는 연결 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수주상황
당사는 주로 국내외 대리점과 국내 개인병원 및 종합병원의 주문생산방식이며 매출의 특성상 단기 P/O를 받아 납품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수주상황의 기재는 생략합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서 제시한 시장위험과 위험관리에 대한 기재사항은 동 공시서류의 III.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35. 위험관리 항목에 기재되고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파생거래
해당사항 없음.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결기업은 피부미용 의료기기를 제조하고 있으며,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시장 Unmet Needs를 해결한 제품을 연구개발하기 위해 투자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담당조직
구분 내용
연구지원팀 개발 업무 지원
연구기획팀 기술 및 제품 개발 기획 및 관리
H/W팀

전자회로, 시스템 설계 개발

ME/ID팀

기계, 기구, 광학 설계, 시스템 설계 개발

GUI팀

그래픽기반 사용자인터페이스 개발

홈뷰티디바이스팀 전자회로, 시스템 설계 개발
인허가팀 국내 및 해외 인허가 전반
임상개발팀 임상 관련 기획 및 계획, 승인, 결과 관리 전반
품질경영팀 QMS(품질경영시스템) 기획 및 구축 및 운영 관리 전반

(3) 연구개발 비용

(단위: 천원)
연결 기준 제9기 제8기 제7기
자산처리 원재료비 - - -
인건비 - - -
감가상각비 - - -
임상인증비 952,896 - -
기타경비 - - -
비용처리 제조원가 495,973 512,929         431,644 
판관비 8,851,711 4,429,777       4,700,593 
연구개발비용 계 10,300,580 4,942,706       5,132,237 
(정부보조금) - - -
매출액 대비 비율 (주1) 5.72% 3.5% 5.1%




7. 기타 참고사항

1.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당사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세 내용은 영업비밀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구분

특허

실용

디자인

상표

합계

등록

국내

100  0  81  186  367 
해외

22  2  167  344  535 
전체

122  2  248  530  902 
출원

국내

147  0  85  275  507 
해외

89  2  188  498  777 
전체

236  2  273  773  1,284 

2. 영업의 개황
1) 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1) 산업의 특성

뷰티산업은 얼굴 위주로 화장품을 바르고 흡수시키는 방법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테크닉을 이용하고 전신을 토탈 관리하는 형태로 세분화 및 확장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치료 목적에서 시작되었던 메디컬 스킨케어가 주름 제거, 탄력 강화, 모공 축소 등 피부노화증상을 젊은 상태로 되돌리는 토털 안티에이징 컨셉으로 진화하게 되면서 피부 클리닉을 운영하는 병·의원의 비즈니스 모델도 특화되게 됩니다. 치료 목적의 피부과 진료의 경우 질병이 생기면 치료를 받으며 그때마다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었으나, 관리 목적의 진료는 일정 기간 동안의 꾸준한 시술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10회 코스, 3개월 코스 등 패키지 지불방식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대형 브랜드 병원 및 프랜차이즈 병원이 형성되면서 피부미용의 유행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피부과에서 스킨케어를 위주로 한 진료가 급증하게 되면서 피부관리를 위한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피부미용 의료기기는 기술진화 및 트렌드 변화에 따라 변천을 거듭하여 왔습니다. 1990년대 레이저기기부터 시작하여 광조사기 IPL (Intense Pulse Light), 고주파 (RF, RadioFrequency), 프랙셔널 레이저 (Fractional laser), 니들고주파 (Needle RF) 를 거쳐 최근 집속초음파 (HIFU, 하이푸,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장비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2) 성장성

Mordor Intelligence에 의하면 전세계 미용 의료기기 시장은 2021년 189억 달러에서 2027년 376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당사의 장비가 속한 에너지 기반 미용기기(Energy-Based Aesthetic Device) 시장의 규모에 대해서는 2021년 42억 달러 규모에서 2027년에는 7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그 중에서도 피부재생치료가 다른 치료(색소질환, 문신 제거, 여드름 치료, 혈관 치료, 제모 등)를 합친 것보다 많은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회복기간이 짧고 즉각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시술에 대한 요구 및 비침습적 치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에너지 기반 미용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효과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의료기기산업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의료기기제조업은 경기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노령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웰빙 열풍이 불면서 외모도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경제적 여유가 있는 중산층 이상에서 관리 목적의 피부 진료 및 시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전문 의료시설을 통해 피부를 관리하고자 하는 수요가 2, 30대 젊은 연령층으로 확대되면서 고객군도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피부 미용 시술은 자연스러운 효과와 적은 부작용을 강점으로 내세운 비침습적인 방식(Non-Invasive)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인 피부미용 의료기기는 각국의 경기상황이 서로 다르고 트렌드에 따라 시술 및 장비 구성의 변동이 있고 제품의 출시 시기, 제품의 품질과 내구성, 각국의 인허가 시기, 영업대리점의 역량 등에 따라 영업성과가 좌우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경기 변화에 따른 수요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4) 계절성
피부미용 의료기기는 세계정세와 각국의 인허가 상황, 영업대리점의 역량 등에 따라 각국의 판매량이 시기마다 다르며 특히 국내시장은 트렌드에 따라 시술 및 장비 구성의 변동이 있기 때문에 시기적, 지역적 수요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국내는 통상적으로 개인 클리닉의 개원 시기, 미용성형 시술 시즌에 따라 2분기와 4분기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직장인은 7~8월 휴가철, 학생은 여름, 겨울방학 기간에 시술 받는 것을 선호하는 만큼 그 직전 분기인 2분기와 4분기에 장비구매 비율이 높을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의료기기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병원 시술용 및 에스테틱용 미용의료기기 제조업입니다.

향후 피부미용 의료기기 시장은 하기와 같은 인구사회적, 기술산업적, 정부의 정책지원 요인에 의하여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 번째, 인구사회적 요인으로 젊고 아름다운 외모를 중시하는 트렌드, 웰빙 추구 바람, 고령화 및 액티브 시니어가 부상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여성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뷰티 헬스케어 소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굳이 여성에 국한하지 않더라도 남성 역시 외모가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미용과 외모에 대한 관심과 미용에 대한 투자/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기술산업적 요인으로 의료기기산업, 바이오산업이 IT 기술 등과 접목하여 융복합화 하면서 혁신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뷰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공급의 질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정부에서도 경제 분야 및 정책적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질병과 노화 예방에 관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의료기기산업에 대한 지원도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2) 경쟁상황



피부미용 의료기기는 주로 피부과 및 성형외과 등에서 피부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장비입니다. 또한, 피부미용 의료기기의 경우 제품설계 및 제조단계에서 임상의학, 전기, 전자, 기계, 재료, 광학 등 학제간 기술이 융합, 응용되는 특성이 있고 단순 소모품에서 최첨단 전자의료기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구성되며 기술발전에 따라 점차 복잡화 및 다양화되는 추세입니다.


피부미용 의료기기 이외에 피부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기능성 화장품과 에스테틱샵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피부미용 관리 시술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의료법에 따라 피부미용 의료기기는 병·의원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화장품 및 에스테틱샵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피부미용 관리 시술은 대체재라기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습니다.



피부미용 관리 시술에는 대표적으로 수술적 요법과 비수술적 요법인 존재합니다. 성형외과 수술적 요법이나 보툴리눔 톡신, 필러 주사요법과 당사의 피부미용 의료기기를 이용한 미용 시술은 상호 보완적으로 성장하면서 전체 미용시장의 규모를 키워나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3) 시장점유율 추이
당사는 피부미용 의료기기 시장에 속해 있으며, 공신력 있는 기관이 발표한 시장점유율 자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당사는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피부미용 의료기기 관련 해외 전시회와 학회에 참석하여 경쟁업체 연구개발 동향과 최근 시장의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대리점과 병원에서 수요로 하는 피부미용 의료기기를 수시로 파악하여 기존제품에 대한 업그레이드 사항 및 신규 제품에 대한 개발 방향을 연구개발 인력들과 함께 토의하여 결정해나가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동종 업계에 속해있는 경쟁업체들의 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 해외 피부미용 의료기기 관련 임상시험을 수시로 체크하여 기술 트렌드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각 기술에 따른 제품을 직접 기획/설계/개발하여 자재를 발주하고, 조립, 생산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회사명과 같은 클래시스(CLASSYS) 브랜드를 통하여 슈링크(ULTRAFORMER III) 및 슈링크 유니버스(ULTRAFORMER MPT), 볼뉴머(VOLNEWMER), 알파(CLATUU ALPHA), 사이저(SCIZER) 제품을 각국의 의료기기 허가를 받아 병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6년부터는 병원만이 아닌 해외 에스테틱샵 시장 공략을 위한 클루덤(Cluederm)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런칭하여 병원은 클래시스(CLASSYS) 브랜드로, 에스테틱샵은 클루덤(Cluederm) 브랜드로 양분화하여 해외 시장의 매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주력 장비 판매가 늘어나고 신규 장비로 다변화되면서 관련된 소모품(카트리지, 젤패드 등)의 매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사업부는 스케덤/슈링크RX 브랜드를 통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품목으로는 리프팅 패치와 시봉(개인용 미용기기)이 있습니다. 클루덤(Cluederm) 브랜드는 에스테틱샵용 장비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화장품에 이용되며, 클래시스 브랜드와 상호 시너지 판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R&D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여 우수한 제품을 만들어 버즈 마케팅을 최고의 전략으로 세우고 있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다양한 SNS 활동, Key Doctor를 활용한 임상 및 학회 참여 등을 통하여 타 경쟁업체 대비 기술력이나 인지도, 영업 네트워크를 빠르게 쌓아나가고 있습니다.

3.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당사는 단일 부문으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부문별로 수익 및 비용, 자산, 부채를 관리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단일 사업부문에 대한 요약재무정보는 본 공시서류의 'III. 재무에 관한 사항' 중 '1. 요약재무정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