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존버 주린이 2023. 3. 1. 20:04
반응형

 

 한국콜마(161890)

 

* 동사는 2012년 10월 한국콜마로부터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화장품 ODM사업과, 제약 CMO사업, HB&B사업을 영위함.

 

* 화장품업계 최초로 국내에 ODM 방식을 정착시키고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과감하고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로 업계 선두 지위를 유지하고 있음.

 

* 사업부문별로는 한국콜마 및 해외 자회사(중국, 미국, 캐나다)는 화장품 ODM사업을, 자회사 HK이노엔은 전문의약품과 HB&B사업을 영위함.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반응형

 

 4Q22 Re: 연결 영업이익 86억원(YoY-67%) 기록

 

4Q22 Re: 연결 영업이익 86억원(YoY-67%) 기록

 

한국콜마의 4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4,791억원(YoY+19%), 영업이익 86억원(YoY-67%)으로 컨센서스(271억원)를 68% 하회했다. 국내 ODM(별도)는 매출과 이익 모두 시장 눈높이 를 상회했으나, HK이노엔/연우 및 해외 ODM의 부진이 연 결 이익 체력을 눌렀다. 지배주주순손실 477억원 기록했는 데 해외법인(무석/북경/북미)관련 손상차손 424억원(169억 원/173억원/82억원) 반영된 영향이다.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코로나에 가려진 국내 호실적

 

4분기 국내 ODM, 해외 ODM, HK이노엔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비 10%, 4%, 3% 성장했다. 용기는 519억원(QoQ-4%) 기록했다. ▶국내 ODM(별도)은 매출 1.6천억원(YoY +11%), 영업이익 214억원(YoY+9%) 호실적 기록했다. 상위 Top 2 고객사의 안정적 매출과 H&B스토어/홈쇼핑 브랜드향 수주 증가가 지속되었다. 또한 선제품 중심으로 경쟁 우위 지속됨에 따라 영업이익률이 13% 달성했다. ▶해외 ODM이 다소 아쉬웠는데, 지난해 4분기 리오프닝에 따른 확진자 급 증으로 코로나 영향 이어졌다. 북경/무석 매출은 전년동기비 각각 35%, 3% 감소 기록했다. 북미의 경우 전년동기비 34% 성장했으나, 영업손실은 이어졌다. 중국과 북미 모두 고객사 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다. ▶HK이노엔은 매출 2.2천억원(YoY+3%), 영업이익 84억원(YoY-51%) 기 록했다. 케이켑 처방 확대/MSD 백신 매출 정상화/컨디션 매출 강세 나타났으나, 케이켑 관련 일회성 비용(118억원: 판매수수료 부채 인식 77억원/ 사용량 약가 연동 환급금 인 식 회계기준 변경 41억원) 영향으로 손익이 아쉬웠다. ▶연 우의 경우 주요 고객사 부진 및 미주 고객사의 재고조정 이 어지며 매출 519억원(YoY-27%), 영업손실 6억원(적전) 기 록했다.

 

 

 

 

 2023년 상저하고 전망

 

2023년 실적은 연결 매출 2.1조원(YoY +14%), 영업이익 1.4천억원(YoY+92%) 전망한다. 국내는 호실적 이어지는 가 운데, 중국이 1분기까지는 코로나 영향권으로 2023년 상저 하고 실적 흐름 기대된다. 더 이상 나빠지기 어려워 보인다.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일회성 비용이 컸다

 

한국콜마의 4분기 매출액은 4,791억원 (+19% YoY), 영업이익 86억 (-67% YoY, OPM 2%), 당기순손실 -474억원 (적자전환)을 기록, 시장예상치를 하회 했다. 국내 화장품 사업 매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1) HK이노엔의 케 이캡 수수료 관련 일회성 비용 발생, 2) 비정기 인건비 (44억) 지급 영향으로 판 매관리비가 증가하면서 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한편 해외 법인에 대한 보수적인 회계 기준 적용으로 자산손상차손 관련 영업외 비용 약 587억원 (해외법인 주식 424억, 북미 법인 대여금 148억)이 발생하면 서 순적자를 기록했다.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4Q: 비용, 다 털었다

 

- 국내 화장품: 한국콜마의 별도 기준 매출액은 1,639억원 (+10% YoY), 영업 이익은 214억원 (+9% YoY, OPM 13%)을 기록했다. 성과급 지급으로 비용이 증가했지만, 국내 방문판매/H&B/홈쇼핑 채널향 브랜드사들의 주문 증가와 제 품 믹스 개선 효과로 영업이익은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 해외 화장품: 북미 지역 매출액은 186억 (+42% YoY)을 기록했다. 인디브랜 드의 색조 제품 주문 증가와 환 영향으로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한편 중국 법 인의 매출액은 313억원 (-8% YoY)을 기록했다. 4분기 중국 매출은 현지 소비 시장 침체 영향으로 감소가 불가피했으나, 11월 광군제 행사 수요 덕분에 소폭 하락에 그쳤다. - 연우: 연우의 매출액은 258억 (-27% YoY), 영업손실 6억원 (적자전환)을 기 록했다. 국내 주요 대형 고객사향 주문이 감소하면서 매출이 부진했고, 일회성 비용 (재고조정 비용 10억, 마스크 사업 청산 손상 13억)이 발생하면서 적자를 기록했다. - HK이노엔: HK이노엔의 매출액은 2,163억 (+3% YoY), 영업이익은 84억원 (-51% YoY, OPM 4%)을 기록했다. 케이켑의 매출 인식 기준 변동으로 매출이 기존 예상보다 부진했고, 관련 유통 수수료 비용을 선반영하면서 이익이 예상 에 못 미쳤다. (일회성 효과 제거 시 이익 202억, +17% YoY)

 

 

 23년에는 훈풍이 분다

 

4Q: 한번 쯤은 쉬어가는 시기

 

작년 국내 화장품 사업 내 일회 성 이익으로 인한 기저효과, 해외 법인 및 자회사의 실적 감소 때문이다. - 국내 화장품: 한국콜마의 별도 기준 매출액은 1,603억원 (+12% YoY), 영업 이익은 153억 (-22% YoY, OPM 10%)을 기록할 전망이다. 스킨케어 제품군 중심 매출 성장세가 기대되지만, 영업이익은 작년 4분기 PS충당금에서 환입된 일회성 이익이 사라지면서 감소할 전망이다. - 해외 화장품: 북미 지역 매출액은 205억원 (+56% YoY)을 기록할 전망이다. 인디 브랜드의 색조 제품 주문 증가와 환 영향으로 매출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중국 지역 매출액은 261억원 (-23% YoY), 연우의 매출액은 530억 (-25% YoY)로 전망한다. 중국 소비 시장이 침체되면서, 중국 시장 내 화장품 수요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 제약/음료: HK이노엔의 매출은 1,947억원 (-7% YoY), 영업이익은 159억원 (-8% YoY, OPM 8%)를 기록할 전망이다. 백신 및 라이선스 수익이 감소할 것 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도약을 위해

 

한국콜마의 K-IFRS 연결 기준 2022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8.8% 증가한 4,781억원,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5.6% 증가한 274억원을 예상해, 컨센서스 및 당사 기존 추정치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추정한다. 국내 사업 영업이익은 YoY 23.5% 감소한 150억원을 예상하는데, 전년동기 일회성 환입 효과를 제외 시 소폭 성장하는 수준이다. 동사의 강점인 선제품은 2~3분기 수주 호조, 크림 및 더마류 4분기 호조 트렌드가 지속 되는 것으로 추정해, 4Q22 국내 법인 영업이익률은 2022년 연간 흐름과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은 10~11월 중국 전체적으로 소비 둔화 영향을 벗어나지 못 한 부분과, 12월 위드 코로나로 인한 감염자 급증으로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이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지만, 무석 법인은 광군제 물량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 흐름을 예상하며 이 에 따른 YoY 및 QoQ 적자 축소를 추정한다. HK이노엔 부문은 견고한 실적을 이어갈 것 으로 전망하며, 국내 리오프닝 본격화로 컨디션 매출 회복 또한 긍정적이다. 다만 연우는 인수 이후 재고 폐기 영향이 다소 작용할 전망이다. 이에 4Q22 연우 영업이익은 4억원 수준으로 일시적 부진을 예상한다.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2023년 전부문 호실적 예상

 

국내 ODM은 매출 호조세에 기인 기존 전망치 대 비 상회할 것으로 판단하나, 비우호적인 영업 상황으로 해외 법인(무석/북경/북미)은 손익 분기점 이하 실적이 이어질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HK이노엔은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호 실적 예상되나 자회사 연우의 재고 폐기 비용 등이 반영됨에 따라 다소 아쉬운 실적 예상한다.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한국콜마 주가 주식 전망 및 기업 분석 목표 배당금 수익률

 

화장품 수익성 부진, HK이노엔이 견고

 

4분기 국내 ODM, 해외 ODM, HK이노엔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비 +9%, +30%, +5% 성장 전망한다. 용기는 전년동기
비 -14% (인수 전 매출), 전분기비 flat 예상한다. ▶국내 ODM의 경우 선제품 중심으로 호조세 이어졌으나, 전년동기
비 원부자재 부담 등으로 수익성은 10%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 ▶해외 ODM의 경우 북경/무석/북미 매출은 각각
-23%, +29%, +53% 예상한다. 북경의 경우 간헐적 봉쇄 영향으로 부진 불가피 했으며, 무석의 경우 광군절 물량 확보
되며 매출이 증대 파악된다. 특히 손실이 10억원 수준으로 이익체력 개선 추정된다. 북미는 글로벌 고객사 수주 증가로
고성장 전망한다. ▶HK이노엔은 케이켑 매출 정상화, 컨디션을 필두로한 HB&B 매출이 고성장함에 따라 견고한 실적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연우의 경우 주요 고객사 및 미주 고객사의 수요 약세 이어지며 매출 540억원 예상되며, 재고
폐기 등으로 영업이익은 6억원 전망한다. 원부자재 부담 및 중국의 수요 약세의 상황에도 화장품 ODM은 수익성을 잘
방어한 것으로 보이며, 제약부문은 여전히 견고했다. 

 

 

 

 

 

 

 

 

 

 

한국콜마홀딩스 주가 화장품 록소프로펜나트륨정 세파드록실캡슐 탈니플루메이트정 (주) 채용 연봉 초봉 배당금 

세종기초화장품 공장 라인 생산 화재 최현규 여주아카데미 오플록사신정 배당금 지급일 배당 대표이사 회장 사장

말레인산트리메부틴정 치약 윤동한 제약 자회사 일본 중국 미국 의약품 본사 연우 코스맥스 hk 이노엔 

종합기술원 제품리스트 전동 기초화장품 목표 한국콜마비앤에이치 지분 주식 주주 총회 지배구조 지분 애터미 불매 

매출 실적 발표 종류 제품 재무제표 주식 제약 잡플래닛 주요 차트 분할 추이 그래프 상승 하락 이유 주임 시세 분석 

하반기 블라인드 기업 소개 공시 연혁 바이오 최초 공장 브랜드 지사 본사 고객센터 전화번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