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 ELECTRIC 엘에스일렉트릭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구분 연결대상회사수 주요
종속회사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상장 - - - - -
비상장 28 1 - 29 5
합계 28 1 - 29 5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자회사 사 유
신규
연결 엘티솔라 당분기 중 신규 설립으로 인한 종속기업 편입
- -
연결
제외 - -
- -
가.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당사의 상호는 한글로는 엘에스일렉트릭주식회사, 영문으로는 LS ELECTRIC Co., Ltd. 이며, LS ELECTRIC 으로 표기 합니다.
나. 설립일자
당사는 1974년 7월 24일 설립되어 전기, 전자, 계측, 정보 및 자동화기기의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를 주요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충북 청주시와 충남 천안시 및 부산광역시에 공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4년 7월에 주식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2024년 3월 31일 현재 납입자본금은 150,000백만원입니다.
다.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및 홈페이지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27 LS타워
-전화번호 : 1544-2080
-홈페이지 : http://www.ls-electric.com
라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벤처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중견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당사는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마.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전력기기와 시스템의 제조 및 공급, 자동화기기와 시스템의 제조 및 공급, 그리고 녹색성장과 관련된 그린에너지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LS ELECTRIC]
(1) 전력
당사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에 대해 수용가까지의 전력공급과 계통보호에 사용되는 전력기기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초고압 전력시스템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력산업은 특성상 제품에 대한 안전성과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고도의 기술집약적 산업입니다. 당사는 산업의 특성상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제조 브랜드에 대한 Loyalty가 타산업에 비해 높습니다.
(2) 자동화
당사는 산업용 PLC, 인버터 등의 자동화기기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자동화시스템은 산업자동화 및 에너지절약 기기로 시스템을 공급하는 기간산업입니다. 당사는 제품의 신뢰성 및 기술지원, A/S 지원체제를 우수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3) 기타
당사는 ① Smart Grid ② 신재생에너지(태양광, ESS) ③ HVDC(초고압직류송전) ④친환경 전력기기 등의 그린에너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LS메탈]
(1) 동관
동관 제품은 에어컨 등 공조기기의 열교환기에 주로 사용되는 공업용 동관과 아파트의 음용수관, 소방배관 등 건축배관용 제품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공업용 동관은 공조기 등에 주로 사용되며, 배관용 제품 시장은 일반주택, 공장, 일반산업시설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통신용, 태양광 등의 산업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2) 스테인레스관
스테인레스관 제품은 건축용 배관재 및 조선, 해양 및 가스플랜트 공업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며 강한 내식성을 바탕으로 기존 Carbon 파이프가 주도했던 건축배관, Plant 배관 등의 수요를 대체하고 있으며, 기존 파이프보다 두께가 두껍고 외경이 큰 제관과 특수 강종 중심으로 시장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무석공장은 전력기기 및 자동화기기를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의 내용은
당사의 해당사업과 동일합니다.
[LS 이모빌리티솔루션]
EV Relay는 전기차에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부품으로 전기차의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 장착되어 BMS의 지령을 받아 배터리 전원을 ON/OFF 하는 역할과 배터리와 외부 충전기 사이에 장착되어 충전을 ON/OFF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전기차 부품 중에 고전압 계통(DC 450V 이상)상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부품은 EV Relay가 유일하여 계통상 고전류나 이상전류 발생 시 EV Relay 에 한순간에 에너지가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 내구성 및 품질 관리가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당사는 전기차 시장과 더불어 성장하고 있는 EV Relay 산업에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밖의 자세한 사업내용은 II.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바.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는 현재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 평가를 받고 있으며, 공시제출일 현재 회사채 신용등급은 AA-, 기업어음의 신용등급은 A1입니다. 당사의 최근 3년 간 신용평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평가일 평가대상
유가증권 평가대상 유가증권의
신용등급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비고
2023.10.11 제186-2회 외 회사채 AA- 한국신용평가
(AAA ~-D ) 본평가
2023.10.11 제186-1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04.14 제185-2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04.14 제185-1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04.14 제 180-2회 외 회사채 AA- 정기평가
2022.06.16 제184-2회 외 회사채 AA- 정기평가
2022.01.12 제184-1,2회 회사채 AA- 본평가
2021.03.31 제183-1,2회 회사채 AA- 본평가
2023.10.11 CP A1 한국신용평가
(A1,A2,A3,B,C,D) 정기평가
2023.04.14 CP A1 본평가
2022.11.24 CP A1 정기평가
2022.06.16 CP A1 본평가
2021.11.09 CP A1 정기평가
2021.03.31 CP A1 본평가
2023.10.11 제186-2회 외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AAA ~-D ) 본평가
2023.10.11 제186-1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04.14 제185-2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04.14 제185-1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04.14 제 180-2회 외 회사채 AA- 정기평가
2022.06.27 제184-2회 외 회사채 AA- 정기평가
2022.01.12 제184-1,2회 회사채 AA- 본평가
2021.03.29 제183-1,2회 회사채 AA- 본평가
2023.10.11 CP A1 한국기업평가
(A1,A2,A3,B,C,D) 정기평가
2023.04.14 CP A1 본평가
2022.11.24 CP A1 정기평가
2022.06.27 CP A1 본평가
2021.11.10 CP A1 정기평가
2021.03.29 CP A1 본평가
2023.10.11 제186-2회 외 회사채 AA- NICE신용평가
(AAA ~-D ) 본평가
2023.10.11 제186-1회 외 회사채 AA- 본평가
2023.10.11 단기사채 A1 한국신용평가
(A1,A2,A3,B,C,D) 정기평가
2023.04.14 단기사채 A1 본평가
2022.11.24 단기사채 A1 본평가
2023.10.11 단기사채 A1 한국기업평가
(A1,A2,A3,B,C,D) 정기평가
2023.04.14 단기사채 A1 본평가
2022.11.24 단기사채 A1 본평가
주1) 기업어음 A1 신용등급은 적기상환능력이 최고수준으로 투자위험도가 극히 낮으며, 현 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장래의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안정적이라는 의미입니다. 또한 회사채 AA 신용등급은 원리금 지급 확실성이 매우 높아 투자위험도가 매우 낮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다는의미입니다. (한신평, 한기평, NICE신평 신용등급 정의)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현황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특례상장 유형
유가증권시장 상장 1994년 07월 11일 해당사항 없음
2. 회사의 연혁
가.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본점소재지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127 LS타워이며, 공시대상기간내에 변경사항은 없습니다.
나.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2024년 3월말 현재 회사의 이사회는 4인의 사내이사(구자균, 김동현, 김종우, 오재석), 5인의 사외이사(윤증현, 최종원, 송원자, 김재홍, 장길수), 총 9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4년 3월 21일 정기주주총회에서 김종우, 오재석 사내이사, 윤증현 사외이사가 선임되었고, 임기가 만료된 이원창 사외이사는 사임하였습니다.
2023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구자균, 구동휘 사내이사, 최종원, 김재홍, 장길수 사외이사가 선임되었고, 임기가 만료된 문승일 사외이사는 사임하였습니다. 한편 동일자에 개최된 이사회에서 구자균, 구동휘 사내이사가 대표이사로 선임되어 대표이사가 3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김동현 사내이사가 신규 선임되었고, 박용상 사내이사와 남기원 사내이사가 중도퇴임 하였습니다. 임기가 만료된 오정규 사외이사는 사임하였습니다. 송원자 사외이사는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한편, 동일자에 개최된 이사회에서 김동현 사내이사가 대표이사로 선임되어 대표이사가 2인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1년 3월 29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임기가 만료되는 남기원 사내이사, 이원창 사외이사가 재선임 되었습니다.
2020년 3월 24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임기가 만료되는 이사 중 구자균 사내이사, 박용상 사내이사, 문승일 사외이사는 재선임 되었으며, 김호원 사외이사는 사임하였습니다. 최종원 사외이사는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2019년 3월 26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오정규 사외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주총종류 선임 임기만료
또는 해임
신규 재선임
2024년 03월 21일 정기주총 사내이사 김종우
사내이사 오재석사외이사 윤증현 - 사외이사 이원창
2023년 03월 28일 정기주총 사내이사 구동휘
사외이사 김재홍
사외이사 장길수 사내이사 구자균
사외이사 최종원 사외이사 문승일
2022년 03월 28일 정기주총 사내이사 김동현
사외이사 송원자 - 사외이사 오정규
2021년 03월 29일 정기주총 - 사내이사 남기원,
사외이사 이원창 -
2020년 03월 24일 정기주총 사외이사 최종원 사내이사 구자균,
사내이사 박용상,
사외이사 문승일 -
2019년 03월 26일 정기주총 사외이사 오정규 - -
다. 최대주주의 변동
공시대상기간내에 변동사항은 없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2020. 3. (변경전) LS산전주식회사
(변경후) 엘에스일렉트릭주식회사 (표기 : LS ELECTRIC)
마. 기타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LS ELECTRIC]
2018. 1. 동해안-신가평HVDC(초고압직류송전) 구축사업 약 1,766억원 규모HVDC변환설비 공급자 선정
2018. 1. 모듈형ESS 신제품 출시
2018. 2. LS산전(현 LS ELECTRIC), LS-VINA INDUSTRIAL SYSTEMS CO., LTD. 지분 추가취득 (90.0% → 100.0%)
2018. 4. 부산사업장MW급ESS 연계 태양광 발전소 준공
2018. 5. LS니꼬동제련(36MWh) 삼양그룹(30MWh) ESS 구축 사업 수주
2018. 7. 국내 최대 규모 세아그룹 175MW ESS 구축 사업 수주
2018. 9. 국내 기업 최초로 서울 신림선에 도시철도 신호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2018. 12. 북미 최대 ESS기업 'Parker Hannifin' EGT(Energy Grid Tie) 사업부 인수 LS Energy Solutions(에너지 솔루션스) 출범
2019. 1. 그룹 창립 이래 역대 최대 매출 달성(2조 4,850억원)
2019. 3. 18MW급 일본 하나미즈키 메가솔라 발전소 완공
2019. 6. 1,848억원 규모93MW급 영암태양광발전소 구축 사업 수주
2019. 6. 국내 최초 오픈형 스마트공장 플랫폼 ‘Tech Square(테크스퀘어)’ 런칭
2019. 6. 일본법인 1,130억원 규모50MW급 일본 모리오카태양광발전소 구축 사업 수주
2019. 7. 국내 최초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ESS용PCS 인증Edition 3.0 (2019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요구사항)’을 취득
2019. 8. 세계 최대 규모 전남 서거차도 직류 에너지 자립섬 완공
2019. 10. IoT(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전력시스템 통합 관리 서비스 ‘GridSol Care (그리드솔 케어)’ 런칭
2019. 11.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 설립
2019. 12. 태국 북동선 복선 신호통신제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사업자 선정
2020. 6. LS ELECTRIC INDUSTRY TRADE Co., Ltd. 설립
2020. 7. 국내 최대 규모94MW급 영암태양광발전소 구축
2020. 9. 태국 동부선 철도신호시스템 구축 사업자 선정
2020. 9. ESS 화재 예방 신기술BTS 개발
2021. 1. LS ELECTRIC 비전2030 'DRIVE CHANGE FOR 2030’ 발표
2021. 3. ㈜에이씨앤티시스템 지분 58% 인수, LS ITC㈜ 지분 100% 인수
2021. 3. 클래리베이트 선정 글로벌100대 혁신기업 10년 연속 선정
2021. 9. 세계경제포럼(WEF) '등대공장’선정
2022. 4. 물적분할을 통해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주) 설립
2022. 10. ESG경영 선포
2022. 10. 베트남 박닌 사업장 준공식
2022. 11. 1,746억 규모 미국 삼성 E&C 배전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2023. 3. 인도네시아 법인 설립
2023. 4. 1200억원 규모 영국 ESS 구축 사업 수주
2023. 5. 엘에스영종스카이솔라 설립
2023. 5. 2000MVA 단락발전기 2호기 준공식
2023. 6. Bastrop Tech Center 설립
2023. 11. 제60회 무역의 날 '7억불 수출탑' 수상
2023. 12. 1,100억 규모 대만 카오슝 MRT 전력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2024. 1. 1500억원 규모 영국 Burnley Widow Hill ESS 구축 사업 수주
바. 주요종속회사의 연혁
- 주요 종속회사의 최근 5사업연도에 대한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회사명 회사의 연혁
LS메탈(주) - 2018년 11월 본점이전(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92)
- 2019년 1월 베트남 법인(LS Metal VINA LLC.) 설립
- 2022년 1월 대표이사 선임(문명주 대표)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 2020년 3월 법인명 변경
변경 전 : 락성산전(무석)유한공사
변경 후 :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 2022년 6월 DC-Relay 사업양도
LS 이모빌리티솔루션 - 2022년 4월 엘에스일렉트릭(주)로부터 분할 설립
- 2022년 4월 대표이사 선임(김원일 대표)
- 2022년 6월 중국 무석 법인(LS e-Mobility Solutions(Wuxi) CO.,LTD) 설립
- 2022년 7월 멕시코 법인(LS e-Mobility Solutions MEXICO) 설립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 - 2021년 6월 락성전기 무석 유한공사에 신규출자 및 엘에스일렉트릭㈜ 지분율 감소
- 2021년 6월 락성전기 대련 유한공사에 신규출자 및 엘에스일렉트릭㈜ 지분율 감소
- 2022년 10월 LEO Electric. 합자회사 설립
LS ELECTRIC America -2020년 3월 법인명 변경
변경 전 : LSIS USA Inc.
변경 후 : LS ELECTRIC America Inc.
- 2022년 8월 LS ELECTRIC America Inc.의 지분(100%)을 현물출자하여
LS ELECTRIC Americas Holdings신규 설립
- 2022년 8월 LS ELECTRIC Americas Holdings 에 편입
- 2023년 6월 Bastrop Tech Center 설립
3. 자본금 변동사항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백만원, 천주)
종류 구분 당분기 50기
(2023년말) 49기
(2022년말)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30,000 30,000 30,000
액면금액 5,000원 5,000원 5,000원
자본금 150,000 150,000 150,000
우선주 발행주식총수 - - -
액면금액 - - -
자본금 - - -
기타 발행주식총수 - - -
액면금액 - - -
자본금 - - -
합계 자본금 150,000 150,000 150,000
4. 주식의 총수 등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보통주 우선주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300,000,000 - 300,000,000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30,000,000 - 30,000,000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
1. 감자 - - - -
2. 이익소각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4. 기타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30,000,000 - 30,000,000 -
Ⅴ. 자기주식수 643,954 - 643,954 -
Ⅵ. 유통주식수 (Ⅳ-Ⅴ) 29,356,046 - 29,356,046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 주)
취득방법 주식의 종류 기초수량 변동 수량 기말수량 비고
취득(+) 처분(-) 소각(-)
배당
가능
이익
범위
이내
취득 직접
취득 장내
직접 취득 보통주 627,980 - - - 627,980 주1)
우선주 - - - - - -
장외
직접 취득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공개매수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소계(a) 보통주 627,980 - - - 627,980 -
우선주 - - - - - -
신탁
계약에 의한
취득 수탁자 보유물량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현물보유물량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소계(b)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기타 취득(c) 보통주 15,974 - - - 15,974 주2)
우선주 - - - - - -
총 계(a+b+c) 보통주 643,954 - - - 643,954 -
우선주 - - - - - -
주1) 당사는 자본시장법 제165조2의 규정에 따라 659,000주를 취득하였으며, 이는 모두 신탁계약을 통한 간접취득입니다. 신탁계약이 만기됨(2009.09.08)에 따라 보유형태를 직접취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2022년 3월 30일 종가(44,150원)로 2022년 3월 30일과 31일에 걸쳐 총 31,020주를 임직원에게 처분 하였습니다.
주2) 15,974주는 합병 및 주주의 부분 교체로 발생하였습니다.
5. 정관에 관한 사항
가.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해당주총명 주요변경사항 변경이유
2023년 03월 28일 제49기 정기주주총회 - 연료전지 목적사업추가 - 목적사업 변경
2022년 03월 28일 제48기 정기주주총회 - 전기차 충전/방전 서비스 사업, 전기차 충전/방전 인프라 구축사업 및
전기차 충전기, 충전/방전 설비 제조, 판매 목적사업추가
- 조항 번호 변경 - 목적사업 변경
2021년 03월 29일 제47기 정기주주총회 - 홈페이지 도메인 변경
- 전자등록이 의무화 되지 않은 사채에 대하여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는 근거 신설
- 주식 등의 전자등록으로 명의개서 대행폐지 반영
- 전자증권 도입에 따른 주주명부 폐쇄 관련규정 삭제
- 전자증권 법령내용 반영
- 전자투표 실시에 따른 주주총회 결의요건 완화 반영 - 홈페이지 도메인 변경
- 전자증권 도입에 따른
개정 내용 반영
- 전자투표 실시에 따른
주주총회 결의요건 완화 반영
나. 사업목적 현황
구 분 사업목적 사업영위 여부
1 전기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2 전자기기, 정밀기기, 의료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3 계측, 계량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4 계량기기, 전기기기 및 동 시스템에 대한 시험서비스 및 용역제공 영위
5 전력기기 및 전력설비의 예방, 보전 및 진단 사업 영위
6 전력품질향상 Solution 사업 영위
7 직접부하제어, 부하관리 및 전력부하 참여 운영 사업 영위
8 전력거래 사업 영위
9 정보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0 자동화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1 산업용 로봇과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2 교통통제, 신호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3 각종 제어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4 전기경보 및 신호장치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5 산업처리, 자동측정, 제어장치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16 대기오염방지, 소음진동방지, 수질오염방지, 분뇨처리시설 등의 설계 및 시공,
폐기물 처리 및 재생 등 환경관련시설업 영위
17 건물설비 설치공사, 유지·보수 및 운영관리 대행업 영위
18 사업시설 운영관리, 경영상담, 용역경비업(시설, 기계 경비), 청소·위생관리업 영위
19 인터넷등 전자상거래를 통한 상품, 제품 매매 및 관련 부대 사업 영위
20 상기 관련 제품의 제조에 따른 부산물의 가공 및 판매 영위
21 부동산 임대 및 매매업, 부동산 관련 서비스업, 주택관리업 영위
22 토목건축공사업, 산업설비공사업, 플랜트설계, 제작 시공업 영위
23 무선통신기기, 전자태그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판매 영위
24 무선통신 Solution 사업 영위
25 자동차용 전장 부품 사업 영위
26 전력용반도체 사업 영위
27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소수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연료전지 사업
및 기타 발전사업 영위
28 전동기, 발전기, 전력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29 기계, 장비와 동 부분품 제조, 판매 영위
30 Energy Saving 관련 제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31 빌딩자동화기기 및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32 LED 조명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33 지능형 전력망, 전력선 통신기기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판매 영위
34 창고업, 냉장 및 냉동 창고업, 농산물 창고업, 기타 보관 및 창고업 영위
35 축전지와 동 부분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 영위
36 스마트공장 솔루션 자문, 중개 및 유지보수업 영위
37 전기차 충전 서비스 사업,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 영위
38 전기차 충전기, 충전설비 제조, 판매 영위
39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전기공사업, 전기통신공사업, 소방시설공사업, 건설공사업 영위
40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유지보수업, 설치공사업 및 진단점검사업 영위
41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영위
42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수출입업과 무역중개업 영위
43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산업설비 수출업 및 해외 건설공사업 영위
44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용역업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영위
45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일체의 부대사업 영위
46 상기 사업과 관련되는 사업에 대한 투자 영위
1. 사업목적 변경 내용
구분 변경일 사업목적
변경 전 변경 후
추가 2022.03.28 - 전기차 충전/방전 서비스 사업, 전기차
충전/방전 인프라 구축 사업
추가 2022.03.28 - 전기차 충전기, 충전/방전 설비제조, 판매
추가 2023.03.28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소수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사업 및 기타 발전사업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소수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연료전지 사업 및 기타 발전사업
2. 변경 사유
가. 변경 취지 및 목적, 필요성
-. 전기차 관련 충/방전 사업 참여
-. 수소연료전지 사업 참여
나. 사업목적 변경 제안 주체 : 이사회
다. 해당 사업목적 변경이 회사의 주된 사업에 미치는 영향
-. 전기차 충전,방전 사업 : 기존 영위중인 전력사업분야의 참여시장 확대
-. 연료전지 사업 : 기존 신재생에너지 외 발전자원 포트폴리오 확대
3. 정관상 사업목적 추가 현황표
구 분 사업목적 추가일자
1 전기차 충전/방전 서비스 사업, 전기차
충전/방전 인프라 구축 사업 2022.03.28
2 전기차 충전기, 충전/방전 설비제조, 판매 2022.03.28
3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소수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연료전지 사업 및 기타 발전사업 2023.03.28
(1) 전기차 충전, 방전 사업
가. 사업분야 및 진출 목적
-. 사업내용 : 전기차 충전소에 필요한 충전기, 전력솔루션 등 제조, 공급
-. 목적 : 친환경 차량 증가에 따른 충전시장 성장 전망으로, 기존 당사의
강점 사업인 전력분야의 시장확대 및 기존 영위중인 충전기 사업 확대
나.시장의 주요 특성ㆍ규모 및 성장성
-. 기후 및 환경문제는 점차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고, 전기자동차는 기후
및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전기자동차를 사용함에 있어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다시 충전하는 사업은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시대 급유사업의 자리를
대신할 것으로 예상되며 충전 인프라와 충전소 운영에 대한 솔루션의 수요는 전기
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아파트 등
주거시설과 주거시설 주변의 생활편의 시설에도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국내 전기차 보조금 축소로 전기차 보급은 다소
정체 중이나, 탄소중립에 대한 세계적 노력에 따라 전기차 보급 및 관련 사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
다.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관련 내용
-. 현재, 신사업 관련 대규모 투자는 예상되어있지 않음.
라.사업 추진현황
-. 사업추진현황
(국내) 확대되는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 참여를 위해 해외 ODM 사업
협력을 통해 충전기, 파워모듈, S/W 판매를 진행 중
(해외) 전기차 보급이 활발한 중국을 중심으로 사업 확대.
-. 사업개발 진척도 : 중국 현지 기업과의 사업 협력을 통해 배터리 환전차량
부품 개발 및 판매 진행
-. 관련인력구성 : 영업 및 사업지원 등 인원 2명
-. 매출 발생여부 : '22년 연간 7KW 충전기 등 3,973 백만원,
'23년 반기 7KW 충전기 등 3,982 백만원 매출 발생
마. 기존 사업과의 연관성
-. 기존 당사의 전력변환 및 Digital Relay 제품의 시장 확대
바. 주요 위험
-. 전방산업인 전기차 보급속도에 따라, 시장 개화시기의 변동 가능
-. 새롭게 형성되는 시장으로 다양한 사업형태 및 사업참여자 등장
사. 향후 추진계획
-. 국내/해외 전기차 충전기 및 그룹사 연게한 사업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 전기차 충전기 외 전력기기(DC-Realy, 차단기 등) 연계 매출 확대를 목표로 하고있음
-. 중국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충전/환전사업 및 (그룹사와 연계한 사업확대)를 계획하고 있음.
아. 미추진사유
-. 해당사항 없음
(2) 연료전지 사업
가. 사업분야 및 진출 목적
-. 사업내용 : 신에너지인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발전사업 개발, 구축 및 운영 사업
-. 목적 : 기존 태양광, ESS 등 신재생에너지발전원 외 추가적인 발전원 포트폴리오
확보를 통해 분산에너지 확대 정책 및 미래 수소경제 전환에 대응하고자 함
나.시장의 주요 특성ㆍ규모 및 성장성
-.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은 2018년 0.8GW에서 2030년 27GW의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되며, 국내는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 상 연료전지 목표 계획에 의해 2018년 0.3GW에서 2030년 2.6GW의 연평균 18% 수준의 성장이 예상
-. 국내는 '23년부터 CHPS(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 실시로 KPX 입찰 물량에 따라 '30년까지 연간 160MW씩 발전설비용량이 증가 예정
-. 당사의 주요 Target시장인 발전용 연료전지의 주기기 Type은 PAFC와 SOFC의
2파전 양상이 예상됨
다.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관련 내용
-. 연료전지발전사업 매년 20~30MW 개발시 당사 투자 약 35~55억/년으로 예상
되며, 투자자금은 당사 잉여금, 회사채발행, 간접펀드 등으로 조달후, 개발/EPC/
운영 수익 등으로 회수 예정.
라.사업 추진현황
-. 사업개발 현황 : 당사 주관 개발 30MW(대구달서,부산명지) 및 공동개발 참여
10MW(SL에너지도심형융복합) 등 총 40MW 개발 참여 중
-. 사업개발 진척도 : 발전사업허가 등 인허가 수행 및 CHPS 입찰 준비 중이며,
EPC/O&M 매출은 '25년 부터 발생 예상
-. 관련인력구성 : 영업/엔지니어링/사업지원/PM 등 인원 5명
(향후 프로젝트 진척도에 연계하여 단계적 확대 예정)
마. 기존 사업과의 연관성
-. 태양광, ESS 등 기존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과 사업개발 프로세스가 유사함
-. 당사에서 보유한 신재생에너지관련기술 및 당사에서 제조/공급하는 전력솔루션
응용 적용이 가능함
바. 주요 위험
- 수소연료전지산업은 새롭게 육성되고 있는 수소경제사회를 지향하는 미래에너지산업으로서,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
사. 향후 추진계획
- 현재 수소연료전지 시장은 개질수소 시장 중심으로 사업이 개발되고 있으나,
향후 그린수소 중심의 시장 성장 예상됨
- 단기적으로는 개질수소 솔루션으로 시장에 참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그린수소
솔루션 확대에 주력할 예정임
아. 미추진사유
-. 해당사항 없음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수익을 창출하는 재화와 용역의 성격, 제품 및 제조공정의 특징, 사업부문 구분의 계속성 등을 고려하여 당사의 사업구분을 전력, 자동화, 금속, IT부문으로 세분하고 있습니다.
전력사업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에 대해 수용가까지 전력공급과 계통보호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전력기기/시스템사업과 전력공급계통에 존재하는 각종 전력정보 관리 및 제어를 통해 발전설비 운용/에너지사용 효율화 및 급전 안정화를 구현하는 전력IT사업,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위한 EPC 사업과 ESS 관련 시스템 구축 EPC 사업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 철도분야의 전력 및 신호제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철도 시스템 EPC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재화 및 용역으로는 전력기기, 고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초고압, 배전반, 철도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EV-Relay가 있으며 주요 고객으로는 한국전력, 특약점, 에너지 다소비 기업 등이 있습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918,598백만원으로 전체의 88.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화사업은 PLC, INVERTER 및 자동화시스템 등 산업자동화를 위한 기기, 시스템 제품 생산과 산업용 통신기기 제조/판매/서비스, 통신시스템 구축/서비스, 무선 감시 제어 및 열화상 감시 제어 시스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재화 및 용역으로는 PLC, INVERTER, 자동화시스템, 빌딩자동화, 산업용 통신 장비 및 시스템이 있으며 주요고객으로는 자동차, 전자, 반도체, Display 등 생산설비업체, IT기업 및 Smart Factory 업체, 지자체, 수자원공사, 에너지효율 전문기업 등이 있습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142,570백만원으로 전체의 13.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금속사업은 전기전자 산업분야 및 건설산업, 가스, 석유화학 플랜트 등의 중화학공업, 조선업 등 기초산업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동관 및 스테인레스관의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재화 및 용역으로는 동관, STS관의 제조 및 판매가 있으며 주요고객은 에어컨 ·공조기 등의 제조사, 건설회사, 조선회사 등이 있습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135,880백만원으로 전체의 13.1%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IT사업은 ERP 시스템 설계/구축/유지보수, 데이터 센터 임대, 인터넷 회선 통합구매, 각종 IT 시스템 유지보수, SI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스마트 팩토리, RPA 구축 및 유지보수를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재화 및 용역으로는 ERP 유지보수, 데이터센터, IT 시스템설계 구축, 스마트 팩토리 등이며 주요고객은 LS 그룹사 등입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25,865백만원으로 전체의 2.5%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법인구분은 LS ELECTRIC, LS메탈,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LS이모빌리티솔루션,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 LS ELECTRIC America, LS ELECTRIC Vietnam, 기타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LS ELECTRIC은 전력사업과 자동화사업을 영위하고 관련 품목은 저압, 고압, 시스템, 초고압, INV, PLC, 철도 등 입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750,028백만원으로 수출 310,826백만원, 내수 439,202백만원 입니다.
LS 메탈은 금속 사업을 영위하고 있고 관련 품목은 동관과 STS 입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135,880백만원으로 수출 77,262백만원, 내수 58,618백만원 입니다.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는 전력사업과 자동화사업을 영위하고 관련 품목은 저압, 고압, INV, PLC 등 입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23,361백만원으로 수출 23,361백만원 입니다.
LS 이모빌리티솔루션은 EV Relay사업을 영위하고 관련 품목은 EV Relay 등 입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13,956백만원으로 수출 11,283백만원, 내수 2,673백만원입니다.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는 EV, 전력, 자동화 제품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당분기 매출액은 5,860백만원으로, 수출 5,860백만원입니다.
LS ELECTRIC America는 전력, 자동화 제품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당분기 매출액은 97,300백만원으로, 수출 97,300백만원입니다.
LS ELECTRIC Vietnam 전력사업을 영위하고 관련 품목은 전력기기 및 전력시스템입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29,986백만원으로 수출 29,986백만원입니다.
기타법인은 전력선 통신, Servo, 빌딩자동화 사업, IT사업 등 제품의 제조 판매 및 용역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분기 매출액은 165,637백만원으로 수출 116,964백만원, 내수 48,673백만원 입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의 현황 및 매출액 비율
(단위:백만원)
사업부문 품 목 구체적용도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전력 저압기기,고압기기,계량기,
계전기,초고압,배전반,
철도시스템,EV-Relay
전력 송배전 관련 기기 및 시스템 918,598 88.4 3,661,198 86.5 2,668,292 79.0
자동화 PLC, INVERTER, 자동화시스템,
빌딩자동화 산업자동화 및 에너지 절약 기기 및
시스템 142,570 13.7 628,973 14.9 590,651 17.5
금속 동관, STS, 후육관 전기 전자 산업 분야, 건축용 배관,
LNG관련산업(플랜트, 선박, 저장소) 135,880 13.1 563,437 13.3 558,084 16.5
IT IT설비 및 유지보수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25,865 2.5 101,047 2.4 80,718 2.4
연 결 조 정 (184,274) (17.7) (724,172) (17.1) (520,675) (15.4)
합 계 1,038,639 100.0 4,230,483 100.0 3,377,070 100.0
나. 제품 가격변동 추이
[LS ELECTRIC]
(단위:천원)
사업부문 품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전력부문 차단기 내수 116 115 85
ACB 내수 1,522 1,499 1,380
개폐기 내수 12 12 11
자동화부문 PLC 내수 151 173 153
INVERTER 내수 370 323 331
주1) 산출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력부문
- 전력기기 제품 중 매출비중이 높고 대표성을 가진 Item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Item의 기준가임
- 내수 및 해외 전부 포함하여 산출
(2) 자동화부문
- PLC 및 INVERTER : 대표적 판매기종을 선정하여 평균 판매단가를 산출 함
- PLC: XGK, XGI, XGB
- INVERTER: G100, IG5A, iS7
[LS메탈]
(단위:천원/톤)
사업부문 품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동관 동관(톤) 내수 13,126 12,675 13,048
STS STS(관) 내수 4,969 6,125 6,676
주1) 금속부문 산출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동관, STS관 제품기준
- 산출단위 : 제품매출액/제품판매량 [천원/톤]
- 산출방법 : 총평균
(판가는 원재료비와 롤마진으로 구분 할 수 있으며, 롤마진은 시장 수급상황에 의거 별도로 형성됩니다. 원재료비 중 동관은 런던비철금속시장인 LME에서, 스테인레스관은 원재료 제조사 및 유통사 가격을 각각 반영하며 적용시차는 있으나 판가에 연동되고 있습니다.)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단위 : RMB)
사업부문 품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전력부문 ABS103b 100A WUXI 내수 96 98 96
GMC-9 AC220V 50Hz 1a1b WUXI 내수 24 24 24
자동화부문 HMI,XP50-TTA/DC,EXP 내수 2,238 2,238 2,238
INV,SV1600IS7-4SOD.H,WUXI 내수 15,455 15,729 14,779
[LS 이모빌리티솔루션]
(단위 : 원/EA)
사업부문 품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EV Relay EV Relay 내수 17,966 28,365 16,658
주1) 해당 제품 판가에 대한 산출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산출단위 : 제품 매출액/제품판매수량(내수관련(국내+LOCAL))
- 산출방법 : 총평균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
(단위 : RMB)
사업부문 품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EV부문 LECF007 1M0SIC - - 5,240
LCEB1KW20 - - 755
LECF27-1M0SIC - - 17,337
전력부문 UDA-25E4-00H M2D2D2HC 000U0B UL CN - - 11,414
UAH-20E3-20H MAD2D2HX NG0U0B UL CN - - 10,519
LECF050-3M10S 40,278 40,493 -
LECF 30KW module(Infy) 7,960 7,980 -
자동화부문 Servo,Motor,APM-HC07HCH-DHS9,Mecapion(CHINA) 10,898 10,898 11,174
Servo,Motor,APM-HC06ACH-KS01,Mecapion(CHINA) - 9,836 10,071
Servo,Motor,APM-HC07HCH-DHS7,Mecapion(CHINA) 10,813 10,936 11,071
Servo,Motor,PEGA-B02A-AN-MA,Mecapion 1,710 1,861 2,162
[LS ELECTRIC America]
(단위 : $)
사업부문 품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자동화부문 INV,LSLV4000H100-4COFD(PLUS_HB) 13,366 13,366 12,730
INV,LSLV3550H100-4COFD(PLUS_HB) 12,681 12,681 12,077
전력부문 UTS800H NG0 800A 3P LO UL 1,118 1,086 627
UVM-15P32A12-M3C3T3SA2U0-A8AN EXPS 3,961 3,961 3,605
주)시스템 제외 기기제품 대표 판매기종 평균가입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현황
[LS ELECTRIC]
(단위 :백만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제51기 1분기
매입액 비율(%) 주요 매입처
전력 원재료 은, 동, 철, 알루미늄, 전기강판 등 전기도체, 외함, 커버 등 30,849 8.0 주식회사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주)원일사, 고려금속공업(주) 등
부품 MAIN Ass'y, PCB Ass'y, CT, PT, 초고압변압기 부품 등 차단기, WHM부품 356,285 92.0 (주)태인, (주)성신산전, 산전정밀㈜,
(주)다우산업 등
소 계 387,134 100.0 -
자동화 원재료 동 전기도체 1,072 2.0 (주)원일사
부품 PCB Ass'y 등 원재료 외 PLC, INV 52,398 98.0 (주)엘씨케이전자, (주)동흥엔지니어링 등
소 계 53,470 100.0 -
합 계 440,605 - -
[LS메탈]
(단위 :백만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제51기 1분기
매입액 비율(%) 주요 매입처
동관 원재료 전기동 등 동관 생산 67,947 84.7 엘에스엠앤엠 등
STS 원재료 STS Plate 등 STS관 생산 12,229 15.3 포스코 등
합 계 80,176 100 -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단위 :백만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제51기 1분기
매입액 비율(%) 주요 매입처
전력 원재료 MAIN ASS'Y,TOTAL 4P,UTD250 Processing
contact 9,091 43.4 무석러현전자 유한회사
부품 동 전기도체, 커버 5,290 25.3 상하이캄보공업신소재기술유한공사
자동화 원재료 PCB Ass'y 등 PLC, INV 3,978 19.0 무석시 난시전자 유한회사
기타 INV 등 INV 2,586 12.3 무석시 난시전자 유한회사
합 계 20,945 100 -
[LS 이모빌리티솔루션]
(단위 :백만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제51기 1분기
매입액 비율(%) 주요 매입처
EV-Relay 부품 세라믹Assy Relay생산 2,500 35.8 한국전자재료, 교세라
EV-Relay 부품 CoilAssy Relay생산 3,126 44.8 에스이, 트루윈
EV-Relay 부품 사출외 Relay생산 1,356 19.4 동은정공외
합 계 6,982 100 -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톤,US$)
품목 2024년
1분기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비고
전기동 8,766 8,464 8,364 9,691 7,742 LME
주1) 2024년 1분기 전기동 가격은 '24년 3월말 종가 기준입니다.
※ 출처 http://www.lme.com
다.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LS ELECTRIC]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전력 청주1 저압기기,고압기기 등 261,273 1,012,530 994,637
청주2 배전반, 초고압GIS, 변압기,
철도/SE등 334,866 1,695,167 899,080
부산 초고압변압기, 배전변압기,
HVDC Valve, FACTS 72,949 252,771 179,481
소 계 669,088 2,960,468 2,073,198
자동화 천안 PLC, INV, 자동화시스템 등 103,473 451,561 466,068
소 계 103,473 451,561 466,068
합 계 772,561 3,412,029 2,539,266
주1) 사업장별 생산능력을 기재하였습니다.
주2) 각 사업장별 생산능력의 산출 근거는 하기와 같습니다.
- 양산(청주 1, 천안) : 생산실적/회수율
- 수주(청주 2, 부산, 천안) : 외주생산액 + 자작생산액/회수율
[LS메탈]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동가공 장항 동관 90,300 362,700 365,200
STS 장항/부산 STS관 20,700 96,100 99,300
합 계 111,000 458,800 464,500
주1) 산출근거 : 동관, STS관 공히 표준생산 능력 및 연간 가동율을 감안한 생산 capa.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전력 무석 저압기기 등 13,315 53,743 58,248
자동화 무석 PLC, INV 등 3,559 19,337 26,933
합 계 16,874 73,080 85,181
주1) 산출근거 : 생산실적/회수율, 분기별 평균 환율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LS 이모빌리티솔루션]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EV-Relay 청주 EV-Relay 9,840 50,300 57,300
합 계 9,840 50,300 57,300
주1) 산출근거 : 표준생산 능력 및 연간 가동율을 감안한 생산 capa.
라.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LS ELECTRIC]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전력 청주1 저압기기,고압기기,계량기 등 261,273 915,343 865,949
청주2 배전반, 초고압GIS, 변압기
철도/SE등 285,153 1,180,502 765,516
부산 초고압변압기, HVDC Value 71,227 226,697 150,678
소 계 617,653 2,322,542 1,782,143
자동화 천안 PLC, INV, 자동화시스템 등 84,031 393,420 421,198
소 계 84,031 393,420 421,198
합 계 701,684 2,715,962 2,203,341
[LS메탈]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동가공 장항 동관 77,700 308,100 324,800
STS 장항/부산 STS관 17,000 88,600 59,600
합 계 94,700 396,700 384,400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전력 무석 저압기기 등 9,264 45,827 49,139
자동화 무석 PLC, INV 등 2,941 15,836 23,973
합 계 12,205 61,663 73,112
주) 분기별 평균 환율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LS 이모빌리티솔루션]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EV-Relay 청주 EV-Relay 9,690 41,225 45,400
합 계 9,690 41,225 45,400
(2) 당분기말 가동률
[LS ELECTRIC]
(단위 : hour, %)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가동가능시간 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전력 청주 1 저압기기,고압기기,계량기 등 85,110 84,102 98.8
청주 2 배전반, 초고압GIS, 변압기
철도 SE 등 43,106 31,802 73.8
부산 초고압변압기, HVDC Valve 38,765 37,071 95.6
자동화 천안 PLC, INV, 자동화시스템 등 34,382 27,145 79.0
주1) 사업장별 생산능력을 기재하였으며, 기존에 자동화 부문에 포함되어 있던 철도를 전력부문으로 옮기고 별도 표기 하였습니다.
주2) 수주부문은 주문생산으로 가동률의 정확한 측정이 불가함으로 생산능력대비 생산실적(투입공수 기준)으로 단순계산하였습니다.
[LS메탈]
(단위 : hour, %)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가동가능시간 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동가공 장항 동관 2,160 2,010 93
STS 장항/부산 STS관 2,160 1,750 81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단위 : hour, %)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가동가능시간 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전력 무석 저압기기 등 14,460 10,060 69.6
자동화 무석 PLC, INV 등 2,141 1,769 82.6
[LS 이모빌리티솔루션]
(단위 : hour, %)
사업부문 사업장 주요제품 가동가능시간 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EV-Relay 청주 EV-Relay 4,880 3,180 65
마.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
당사는 안양시 동안구에 위치한 LS타워를 비롯하여 청주, 천안, 부산, 장항, 대구 등 국내사업장 및 미국, 중국, 일본, 두바이, 유럽 등 해외사업장에서 주요 제품에 대한 제조, 개발, 마케팅, 영업 등의 사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및 해외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사업장 소재지
국내 LS타워(본사)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청주사업장 충북 청주시 송정동
천안사업장 충남 천안시 목천읍 삼성리
부산사업장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LS메카피온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림동
엘에스영종스카이솔라 인천광역시 중구 공항동로
LS사우타 / 에이씨앤티시스템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LS메탈 / LS ITC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장항사업장(LS메탈) 충남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
부산사업장(LS ELECTRIC/LS메탈)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엘티솔라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연신로
LS이모빌리티솔루션 충북 청주시 흥덕구 백봉로
중국 무석 Wuxi, Jiangsu, P.R. China
대련 Dalian, P.R. China.
상해 Shanghai, China.
아시아 베트남(LS ELECTRIC/LS메탈) Bac Ninh, Vietnam.
일본 Akasaka, Minato-ku, Tokyo, Japan
튀르키예 Istanbul, Turkiye
인도네시아 Jakarta, Indonesia
중동 두바이 Dubai, United Arab Emirates
유럽 유럽 Hoofddorp, The Netherlands, Spain
북미 미국 County of New Castle, Delaware, USA
중남미 멕시코(LS이모빌리티솔루션) Durango, Mexico
(2) 유형자산 증감현황
당사의 주요 생산설비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공구기구, 비품 및 건설중인 자산 등이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장부가액은 6,879 억으로 전기말 대비 57억 증가하였습니다. 신규취득은 197억원이고, 감가상각비는 182억원 입니다.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160,051 - - - - 160,051 -
중 국 자가보유 - - - - - - -
아시아 자가보유 3,267 48 -1 - - 3,314 -
북 미 자가보유 1,856 83 - - - 1,939 -
기 타 자가보유 - - - - - - -
합 계 165,174 131 -1 0 0 165,304 -
[자산항목 : 건물]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163,652 19,346 - 3,213 - 179,785 -
중 국 자가보유 5,821 186 - 175 - 5,832 -
아시아 자가보유 14,567 671 - 113 - 15,125 -
북 미 자가보유 11,669 782 - 41 - 12,410 -
기 타 자가보유 - - - - - - -
합 계 195,709 20,985 0 3,542 0 213,152 -
[자산항목 : 구축물]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18,455 16 - 231 - 18,240 -
중 국 자가보유 - - - - - - -
아시아 자가보유 - - - - - - -
북 미 자가보유 - - - - - - -
기 타 자가보유 - - - - - - -
합 계 18,455 16 0 231 0 18,240 -
[자산항목 : 기계장치]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145,174 5,221 684 5,222 - 144,489 -
중 국 자가보유 6,869 379 - 281 - 6,968 -
아시아 자가보유 4,664 233 - 140 - 4,757 -
북 미 자가보유 1,010 45 - - - 1,055 -
기 타 자가보유 - - - - - - -
합 계 157,717 5,878 684 5,643 0 157,269 -
[자산항목 : 차량운반구]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2,154 152 15 188 - 2,104 -
중 국 자가보유 15 - - 2 - 13 -
아시아 자가보유 83 37 4 5 - 111 -
북 미 자가보유 408 18 - 25 - 401 -
기 타 자가보유 122 - 6 7 - 110 -
합 계 2,782 207 25 227 0 2,739 -
[자산항목 : 공기구]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35,847 2,930 - 3,250 - 35,527 -
중 국 자가보유 2,420 158 - 110 - 2,468 -
아시아 자가보유 14 4 - 1 - 17 -
북 미 자가보유 65 243 - 17 - 291 -
기 타 자가보유 75 - 4 - - 71 -
합 계 38,421 3,335 4 3,378 0 38,374 -
[자산항목 : 비품]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54,659 9,328 58 5,062 - 58,868 -
중 국 자가보유 395 24 5 28 - 386 -
아시아 자가보유 334 26 13 25 - 321 -
북 미 자가보유 538 309 - 45 - 802 -
기 타 자가보유 63 11 - 5 - 69 -
합 계 55,989 9,698 76 5,165 0 60,446 -
[자산항목 : 건설중인자산]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44,796 11,791 26,943 - - 29,644 -
중 국 자가보유 1,473 38 81 - - 1,431 -
아시아 자가보유 345 34 379 - - - -
북 미 자가보유 - - - - - - -
기 타 자가보유 - - - - - - -
합 계 46,614 11,863 27,403 0 0 31,075 -
[자산항목 : 기타유형자산] (단위 : 백만원)
소재지 소유형태 기초 장부가액 증감 당기상각 연결범위
변동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한 국 자가보유 1,144 1 - 2 - 1,142 -
중 국 자가보유 - - - - - - -
아시아 자가보유 138 3 - 5 - 137 -
북 미 자가보유 - - - - - - -
기 타 자가보유 - - - - - - -
합 계 1,282 4 0 7 0 1,279 -
바.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단위 : 백만원)
투자목적 투자내용 투자기간 2024년 1분기 2024년 향후기대효과
예상투자액 기 지출금액 향후 투자액
신규 건물,기계설비, 금형 등 '24.01~'24.03 15,490 1,457 14,033 신규생산
확장 건물,기계설비, 금형 등 '24.01~'24.03 24,700 191 24,509 생산능력증대
경상 건물,기계설비, 금형 등 '24.01~'24.03 105,063 12,546 92,517 기존설비유지
소 계 145,253 14,194 131,059 -
주1) 상기 예상투자액은 향후 투자환경 및 기업여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구 분 매출유형 품 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LS
ELECTRIC 제품
상품 저압,고압, 시스템. 초고압,
INV, PLC, 철도 등 수출 310,826 1,202,685 783,820
내수 439,202 1,801,622 1,499,653
합계 750,028 3,004,307 2,283,473
메탈 제품
상품 동관, STS 수출 77,262 309,672 267,537
내수 58,618 253,765 290,547
합계 135,880 563,437 558,084
락성전기(무석)
유한공사 제품
상품 저압, 고압, INV, PLC 수출 23,361 107,489 130,551
내수 - - -
합계 23,361 107,489 130,551
LS
이모빌리티솔루션 제품 EV Relay 수출 11,283 44,915 45,972
내수 2,673 13,124 9,962
합계 13,956 58,039 55,934
락성전기투자
(중국)유한공사 제품 저압, 고압, 배전반, 변압기 수출 5,860 203,462 127,855
내수 - - -
합계 5,860 203,462 127,855
LS ELECTRIC
America 제품 저압, 배전반 수출 97,300 320,126 126,512
내수 - - -
합계 97,300 320,126 126,512
기타 제품 전력선 통신, Servo,
빌딩 자동화 ,IT 등 수출 116,964 370,633 330,809
내수 48,673 195,624 178,936
합계 165,637 566,257 509,745
연결조정 수출 (138,591) (538,373) (366,479)
내수 (14,792) (54,261) (48,606)
합계 (153,383) (592,634) (415,085)
합계 수출 504,265 2,020,609 1,446,577
내수 534,374 2,209,874 1,930,492
합계 1,038,639 4,230,483 3,377,069
주1) 수출금액은 연결정산표 계정과목상의 외화매출금액이며, 해외법인의 매출은 수출금액으로 포함되었습니다.
나. 제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경로와 방법, 전략 및 주요매출처
(1) 판매경로 별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 구분 직판
(직매점 포함) 관계회사 특약점
(대리점 포함) 도매상 기타 합계
전력 국내 23.1 - 76.9 - - 100
해외 5.5 67.7 - 26.8 - 100
자동화 국내 29.2 - 70.8 - - 100
해외 16.4 - 83.6 - - 100
주1) '24년 1분기 누계 매출액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주요 판매경로
① 내수
- 수주제품
견적 → 수주(계약) → 설계 → 제작 → 설치 → 시운전 → 검사 → 인도 → A/S
- 양산제품
주문 → 생산 → 대리점 → 소비자
(생산 후 소비자에게 직판도 하고 있습니다.)
② 수출
- 수주제품
견적 → 수주(계약) → 설계 → 제작 → 설치(현지법인,대리점)
→ 시운전(현지법인, 대리점) → A/S(현지법인,대리점)
- 양산제품
주문 → 생산 → 선적 → 대리점
(3) 판매전략
① CRM 정보를 활용한 END-USER 집중공략 및 Solution 영업을 강화함.
② 중국 및 동남아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중동 및 북미시장 적극공략.
③ 생산기종 확대와 더불어 조기 현지화가 이루어지도록 현지 파트너 발굴을
적극추진함.
(4)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문 주요매출처 매출 비중
전력수배전 원광산전(주) 3.8
TSB 3.1
THAI SON NAM 3.0
(주)풍림 3.0
VOLTON ELEKTRIK 2.9
기타 84.2
합 계 100
전력인프라 BOTLEY ENERGY RESERVE LIMITED 7.77
삼성에스디아이 (주) 7.20
HYUNDAI ENG AMERICA 5.89
한국전력공사 5.22
SAMSUNG E&C AMERICA, INC. 3.20
기타 70.72
합 계 100
자동화 대리점 및 특약점 92.5
시설투자(공장) 6.1
기 타 1.4
합 계
100
주1) '24년 1분기 매출액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LS메탈]
(1) 주요 판매경로
- 수주제품
견적 → 수주(계약) → 생산절차서 제출/승인 → 생산 → 검사 → 인도
- 양산제품
주문 → 생산 → 대리점(유통사 등) → 소비자(제조회사/건설사)
※ 양산제품 또한 소비자 직판거래 有
(2) 판매전략
① 국내 대규모 제조회사, 조선사 및 EPC 고객에 대한 시장점유율 유지 및
확대 전략
② 제품경쟁력 강화를 통한 미국, 유럽, 중동, 아시아 등 해외시장 개척 및 확대
(3)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문 주요매출처 매출 비중
금속 제조회사 50
조선회사/EPC 33
대리점 및 특약점 등 17
합 계 100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1) 주요 판매경로
① 내수
- 양산제품
주문 → 생산 → 대리점 → 소비자
(생산 후 소비자에게 직판도 하고 있습니다.)
② 수출
- 양산제품
주문 → 생산 → 선적 → 대리점
(2) 판매전략
① CRM 정보를 활용한 END-USER 집중공략 및 PACKAGE 영업을 강화함
② 생산기종 확대와 더불어 조기 현지화가 이루어지도록 적극추진하며,
전사적으로 컨버전스 가능한 사업모델을 발굴하여 사업화가 이루어지도록 함
③ 중국 및 동남아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중동 및 북미시장 적극공략
(3)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문 주요매출처 매출 비중
무석
(저압기기,
자동화기기) 심천시취미전기유한공사 10.4
강소심성신기술유한공사 9.6
상해덕조무역유한공사 5.7
타이저우시텅후이전기과기유한공사 4.8
상해유화유한공사 4.6
기타 64.9
합 계 100
[LS이모빌리티솔루션]
(1) 주요 판매경로
① 수주제품(Electric Vehicle)
: 고객 RFQ → 견적 → 수주(계약) → 개발 → 품질 & 생산절차서 제출/승인 →
생산 → 검사 → 인도
② 양산제품(산업용)
: 주문 → 생산 → (대리점) → 소비자
(2) 판매전략
① Global(국내 포함) OEM, Tier 1 업체 네트워크 확보 및 수주 활동 전개
② 제품 Solution 확대(BDU, Battery 팩)를 통한 수주율 제고 및 신성장 동력 확보
③ 전략 권역의 현지화를 통한 현지 대응 역량 확보 및 수주율 제고
(3)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문 주요매출처 매출 비중
EV Relay 르노삼성자동차주식회사 44.4
엘에스일렉트릭(주) 14.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8.9
LS INDUSTRIAL SYSTEMS(WUXI) CO., LTD 7.7
NISSAN TRADING BUSAN BRANCH 6.8
기타 17.6
합 계 100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
(1) 주요 판매경로
① 내수
- 수주제품
견적 → 수주(계약) → 업체 선정→ 발주(계약) → 업체 생산 → 직납
- 양산제품
주문 → 구매 → 대리점 → 소비자
② 수출
- 양산제품
주문 → 구매 → 선적 → 관계사(모법인/베트남법인)
(2) 판매전략
① 기존 사업
-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 중국내 기술경쟁력 및 판매시장 보유 회사와 전력기기 합작사 설립
② 신규 사업
- SYNERGY사업부를 운영하여, 중국 전기차 관련사업에 적극 참여
- 중국 신재생에너지 추세에 따라 PV/ESS 사업 전개
(3)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문 주요매출처 매출 비중
EV, 전력,
자동화부문 LS ELECTRIC CO.,LTD. 44.6
합비진월자동화공정유한회사 10.3
선양에스리드기계설비공사 8.7
북경세기항신과기발전유한공사 4.2
기타 32.2
합 계 100
[LS ELECTRIC America]
(1) 주요 판매경로
① 수출
- 수주제품
견적 → 수주(계약) → 설계 → 제작 → 설치(현지법인,대리점)
→ 시운전(현지법인, 대리점) → A/S(미국법인,대리점)
- 양산제품
주문 → 생산 → 선적 → 미국법인
(2) 판매전략
① 미국 시장 중심 유통 사업 안정화 및 경쟁력 강화
② 북미/중남미 시장 적극공략 및 MKT 활동 전개
(3)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단위 : % )
사업부문 주요매출처 매출 비중
저압,
배전반 GRAY CONSTRUCTION INC. 26.3
PARRISH HARE ELECTRICAL SUPPLY 13.5
EDWARDS ELECTRIC SERVICE 12.0
BARTON MALOW COMPANY 6.9
WEG DRIVES & CONTROLS 3.2
LONESTAR ELECTRIC SUPPLY 2.6
STEWART & STEVENSON POWER PRODUCTS 2.6
기타 32.9
합 계 100
[LS ELECTRIC]
(단위 : 억원)
품목 수주
일자 납기 이월 수주잔액 당기 수주금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T&D 24.01~'24.03 '24.01~ - 21,911 - 6,534 - 3,946 - 24,499
철도 24.01~'24.03 '24.01~ - 1,186 - 104 - 122 - 1,168
자동화 24.01~'24.03 '24.01~ - 164 - 89 - 54 - 199
합 계 - 23,261 - 6,727 - 4,122 - 25,866
[LS이모빌리티솔루션]
(단위 : EA, 억원 )
사업본부 품목 수주
일자 납기 이월 수주잔액 당기 수주금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EV Relay GER-200ST 외 '24.01~'24.03 '24.01~ 17,011,450 10,354 1,586,655 259 8,801 2 18,589,304 10,611
합계 17,011,450 10,354 1,586,655 259 8,801 2 18,589,304 10,611
[LS메탈]
(단위 : 톤, 억원 )
사업본부 품목 수주
일자 납기 이월 수주잔액 당기 수주금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금속 STS관 외 '24.01~'24.03 '24.01~ 17,766 1,491 11,223 1,303 11,069 1,129 17,920 1,665
합계 17,766 1,491 11,223 1,303 11,069 1,129 17,920 1,665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5-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주요 시장 위험 내용
당사는 원자재 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원자재 관련 선물계약과 외환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통화선도거래를 체결하고 있으며, 통화옵션(KIKO, Snowball), 통화선물거래, 환변동보험 등은 없습니다.
당사는 환율변동에 의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재무구조의 건전성 및 예측가능 경 영을 통한 경영의 안정성 실현을 목표로 환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나. 위험관리방식
당사는 2002년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외환리스크 관리 규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환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관리활동을 목적으로 합니다. 헤지활동의 관리대상은 계약에 의해 Exposure가 확정되는 Project의 외환 현금흐름과 향후 12개월 또는 차년도에 예상되는 경상거래의 외환 순현금흐름이며 매월 현황을 파악하여 환 Hedge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다. 환관리관련 추진사항
당사는 이미 위의 환위험 관리 현황에서와 같이 규정 및 조직을 완비하여 체계적인 환리스크 관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 금융위험관리
연결실체는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이자율위험, 가격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위험관리는 연결실체의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여 연결실체가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 제거 및 회피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환위험과 같은 특정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파생금융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 다.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금융위험 관리 전략은 전기와 동일합니다.
1) 외환위험
연결실체는 외화로 표시된 거래를 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자산 부채 자산 부채
USD 323,514 60,674 386,872 152,361
EUR 40,371 7,985 43,987 5,316
JPY 13,233 1,463 11,817 559
기타 107,376 20,107 68,525 10,343
합 계 484,494 90,229 511,201 168,579
연결실체는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당분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당분기 전기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USD 20,037 (20,037) 17,903 (17,903)
EUR 2,473 (2,473) 2,933 (2,933)
JPY 892 (892) 849 (849)
기타 6,637 (6,637) 4,410 (4,410)
합 계 30,039 (30,039) 26,095 (26,095)
상기 민감도 분석은 보고기간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외화채무 지급액과 외화채권 회수액의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예상매출과 예상매입거래의 환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미결제 통화선도계약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미결제약정계약금액 평가손익(I/S) 평가손익
(B/S) 공정가치
이익 손실 자산 부채
통화선도 1,415,100 7,951 11,449 (16,257) 4,840 20,230
(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미결제약정계약금액 평가손익(I/S) 평가손익
(B/S) 공정가치
이익 손실 자산 부채
통화선도 1,229,376 19,558 4,922 3,720 19,786 4,303
2) 이자율위험
연결실체는 변동이자율로 발행된 차입금으로 인하여 이자율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이자율위험에 노출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차입금 152,017 130,707
연결실체는 내부적으로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이자율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각 자산 및 부채에 대한 이자율이 1% 변동시 이자율변동이 당분기손익 및 순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백만원)
구 분 1% 상승시 1% 하락시
손익 순자산 손익 순자산
차입금 (1,166) (1,166) 1,166 1,166
(전기) (단위: 백만원)
구 분 1%상승시 1%하락시
손익 순자산 손익 순자산
차입금 (1,021) (1,021) 1,021 1,021
3) 가격위험
연결실체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및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에서 발생하는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시장성 있는 당기손익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상품은 2,265백만원으로,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지분상품의 가격이 10% 변동할 경우 가격변동이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174백만원(법인세효과 차감 후)입니다.
4)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불이행하여 연결실체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분기말 담보나 기타 신용보강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 계약상대방의 의무불이행으로 인해 연결실체가 부담하게 될 재무적 손실의 최대노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결재무제표상 인식된 각 금융자산의 장부금액
- 보증이 행사될 가능성과 무관하게 금융보증이 청구되었을 때 연결실체가 지급해야 하는 최대금액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을 포함한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 뿐 아니라, 지급보증한도액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의 경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일반거래처의 경우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액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신용위험 최대노출액은 장부금액과 유사합니다.
5) 유동성위험
연결실체는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현금유출예산과 실제현금유출액을 지속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금융부채와 금융자산의 만기구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영업활동현금흐름과 금융자산의 현금유입으로 금융부채를 상환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비파생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1년 이내 1년 초과~5년 이내 5년 초과 합 계
무이자 634,824 125 - 634,949
변동이자율상품 154,550 447 - 154,997
고정이자율상품 331,394 466,685 - 798,079
리스부채 24,159 33,349 84 57,592
(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1년 이내 1년 초과~5년 이내 5년 초과 합 계
무이자 572,775 125 - 572,900
변동이자율상품 126,338 562 - 126,900
고정이자율상품 322,201 532,534 - 854,735
리스부채 26,355 34,814 120 61,289
상기 만기분석은 할인하지 않은 현금흐름을 기초로 연결실체가 지급하여야 하는 가장 빠른 만기일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파생상품계약은 파생금융자산(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1년 이내 1년 초과~5년 이내 합계
매매목적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5,868) (75) (5,943)
원자재선물 2,079 208 2,287
소 계 (3,789) 133 (3,656)
위험회피수단지정 파생상품:
원자재선물 278 - 278
통화선도계약 (9,596) - (9,596)
(9,318) - (9,318)
합 계 (13,107) 133 (12,974)
(*) 모든 파생상품 계약이 차액결제 조건이므로, 유출액과 유입액의 순액현금흐름을 기재하였습니다.
(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1년 이내 1년 초과~5년 이내 합계
매매목적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7,236 (1,123) 6,113
원자재선물 (116) 46 (70)
소 계 7,120 (1,077) 6,043
위험회피수단지정 파생상품:
원자재선물 145 - 145
통화선도계약 9,517 - 9,517
소 계 9,662 - 9,662
합 계 16,782 (1,077) 15,705
(*) 모든 파생상품 계약이 차액결제 조건이므로, 유출액과 유입액의 순액현금흐름을 기재하였습니다.
5-2. 파생상품 등 거래현황
[LS ELECTRIC]
가. 통화선도거래
당사는 외화채무 지급액과 외화채권 회수액의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는 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예상매출과 예상매입거래의 환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미결제 통화선도계약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미결제약정
계약금액 평가손익(I/S) 평가손익
(B/S) 공정가치
이익 손실 자산 부채
통화선도 1,392,285 7,949 10,932 (16,257) 4,832 10,490
(전기말) (단위: 백만원)
구 분 미결제약정
계약금액 평가손익(I/S) 평가손익
(B/S) 공정가치
이익 손실 자산 부채
통화선도 1,200,433 13,448 4,150 3,720 19,398 4,188
당사는 외화매출채권 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미결제약정계약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화단위: 백만원, 외화단위: 천)
거래상대방 미청산계약금액
(외화) 가중평균
약정환율 미청산계약금액
(원화) 구분 최장만기일 파생상품
평가이익 파생상품
평가손실
CITI USD 118,011.16 1,305.92 154,113.49 SELL 2025-01-31 4,832 20,007
EUR 4,350.86 1,452.17 6,318.19 SELL 2024-09-30
CAD 17,631.73 971.87 17,135.75 SELL 2024-12-20
GBP 12,494.86 1,669.80 20,863.92 BUY 2025-02-27
GBP 15,909.13 1,644.28 26,159.14 SELL 2024-12-20
SGD 4,516.86 973.70 4,398.06 SELL 2024-07-31
THB 464,013.62 37.47 17,387.05 SELL 2024-11-08
TWD 1,708,645.03 42.34 72,335.62 SELL 2025-09-29
KDB USD 59,863.71 1,317.65 78,879.42 SELL 2024-12-20
EUR 2,570.40 1,452.10 3,732.48 SELL 2024-04-30
KEB HANA USD 46,580.20 1,309.71 61,006.60 SELL 2024-09-30
JPY 34,614.42 8.90 308.10 SELL 2024-04-30
EUR 465.30 1,453.50 676.31 SELL 2024-04-30
CNY 394.17 184.90 72.88 SELL 2024-04-30
CAD 178.69 959.00 171.36 SELL 2024-05-09
SCB USD 206,938.47 1,316.09 272,349.33 SELL 2025-01-31
JPY 430,354.56 10.74 4,623.91 SELL 2024-10-08
CNY 48,181.94 184.60 8,894.39 SELL 2024-04-30
THB 781,185.23 36.68 28,651.64 SELL 2025-02-11
TWD 3,260,499.14 43.33 141,263.63 SELL 2025-05-28
WOORI USD 20,000.00 1,306.30 26,126.00 SELL 2024-06-26
SHINHAN USD 59,893.13 1,324.71 79,340.76 SELL 2025-01-23
EUR 2,566.00 1,451.99 3,725.81 SELL 2024-10-30
CNY 57,456.34 182.20 10,468.54 SELL 2024-04-30
GBP 12,747.40 1,662.89 21,197.54 SELL 2024-10-30
TWD 291,146.20 42.17 12,279.08 SELL 2024-09-30
KB USD 2,941.00 1,312.19 3,859.14 SELL 2024-05-09
GBP 1,283.21 1,668.20 2,140.65 BUY 2025-02-27
NH USD 2,200.00 1,340.20 2,948.44 SELL 2024-04-30
EUR 24,467.36 1,453.70 35,568.21 SELL 2024-04-30
Mizuho USD 148,627.36 1,308.49 194,476.77 SELL 2025-02-28
JPY 1,585,094.00 9.41 14,917.80 SELL 2024-12-20
EUR 438.90 1,454.00 638.16 SELL 2024-04-30
미래에셋 USD 35,064.79 1,327.12 46,535.02 SELL 2024-05-30
CNY 45,632.91 185.55 8,467.19 SELL 2024-11-29
중국공상 USD 7,757.63 1,321.82 10,254.18 SELL 2025-02-28
합 계 1,392,285 - - 4,832 20,007
나. 원자재 관련 선물거래
당사는 원자재 가격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비철선물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 다. 당분기말 현재 미결제약정계약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화단위: 천)
구 분 미결제약정금액
통화 금액
비철선물매입 (CU) : 매매목적 USD 33,734
비철선물매입 (AG) : 매매목적 USD 18,166
당분기에 동 상품선물계약과 관련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파생상품평가이익은 2,131백만원입니다.
[LS메탈]
가. 통화선도거래
회사는 외화자산 및 외화부채의 환율변동의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1개의 금융기관과 통화선도거래를 하고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통화선도거래의 미정산계약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거래상대방 미청산계약금액
(외화) 가중평균
약정환율 미청산계약금액
(원화) 구분 최장만기일 파생상품
평가이익 파생상품
평가손실
SC제일은행 USD 14,579,350 1,324.04 19,304 SELL 2025-01-24 6 511
EUR 2,229,400 1,445.70 3,223 SELL 2024-09-26
합 계 22,527 - - 6 511
나. 원자재 관련 선물거래
회사는 원자재 가격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원자재 관련 선물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거래상대방 미정산계약물량 가중평균
약정가격($) 구분 최장만기일 파생상품
평가이익 파생상품
평가손실
MAREX 매매목적 350 8,806.50 Buy 2024-05-02 0 120
매매목적 375 8,578.88 Sell 2024-05-02
위험회피 50 7,900.00 Buy 2024-05-02 191 38
위험회피 225 8,714.30 Sell 2024-06-14
1) 법인세비용 반영 후 금액입니다.
[락성전기(무석)유한공사]
해당사항 없습니다.
[LS이모빌리티솔루션]
가. 통화선도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원자재 관련 선물거래
회사는 원자재 가격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원자재 관련 선물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거래상대방 미정산계약물량 가중평균
약정가격($) 구분 최장만기일 파생상품
평가이익 파생상품
평가손실
대신증권 매매목적 75 8,869.12 SELL 2024-09-03 18 0
매매목적 75 8,244.00 BUY 2024-09-03
1) 법인세비용 반영 후 금액입니다.
[락성전기투자(중국) 유한공사]
해당사항 없습니다.
[LS ELECTRIC America]
해당사항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 2020. 3월 중 LS메카피온㈜ 지분 추가취득 (81.51%→85.63%)
- 2020.07.13 이집트 카이로 모노레일 구축 프로젝트 사업 수주
- 2020.09.22 태국 동부선 철도신호시스템 구축 사업자 선정
- 2021.03.04 ㈜에이씨앤티시스템 지분 58.0% 인수
- 2021.03.15 LS글로벌인코퍼레이티드㈜가 보유한 LS ITC㈜ 지분 100% 인수
- 2021.08.27 임자권역 태양광발전소 EPC공사 수주
- 2021.12.27 신안 비금주민태양광 발전사업 일괄공사도급계약 수주
- 2022.03.31 신안 비금주민태양광 발전사업 관리운영위탁계약 수주
- 2022.06.02 Blue Oval SK Battery Park 배전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 2022.10.18 2,668억 규모 대만 도시철도 사업 수주
- 2022.11.11 SAMSUNG E&C America,inc 배전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 2022.11.18 경주 왕신 연료전지 발전설비 건설 공사 수주
- 2023. 4. 1200억원 규모 영국 ESS 구축 사업 수주
- 2023. 12. 1,100억 규모 대만 카오슝 MRT 전력시스템 공급 계약 체결
- 2024. 1. 1500억원 규모 영국 Burnley Widow Hill ESS 구축 사업 수주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스마트 전력 및 자동화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기존 주력사업의 활성화와 전력,자동화 기술 융합의 산물인 스마트 에너지 분야에서도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R&D 생산성 향상 체계 구축을 통해 R&D 사업 성과와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있으며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Digital Transformation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Smart Energy, Smart Factory 사업 등을 선도하기 위해 R&D 역량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담당 조직
1) R&D Campus
글로벌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조기술, ICT기술간 융/복합 Solution 플랫폼 개발 및 산업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탄소중립 목표달성을 위한 스마트에너지 산업분야 기술개발 및 선행 기술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선진개발체계 구축을 통한 R&D Speed-up과 공통 기반기술 확보로 R&D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 활동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분 연구소 명칭 소재지 운영현황 비고
R&D R&D Campus 안양 ■ 전력솔루션연구단 -
① 디지털H/W연구팀
■ 전력전자연구단
① 전력전자연구팀
② 전력Grid연구팀
■ 디지털솔루션연구단
① S/W연구팀
② 신전력개척Part
③ 철도신호연구팀
④ S/W인프라Part
⑤ K-EMS추진TFT
■ 소재/신뢰성연구단
① 소재/기반기술연구팀(안양)
② 신뢰성연구Part
③ 디자인Lab
■ 선행기술연구단
① DP인프라연구팀
② 선행기술연구팀
■ 기술경영팀
① 기술경영팀(미래전략Part)
② 기술경영팀(연구지원Part)
■ 자동화솔루션연구소
자동화연)제품개발그룹
자동화연)시스템솔루션그룹
자동화연)Industrial H/W Chapter
자동화연)Application Platform Chapter
자동화연)Advanced Technical Chapter
자동화연)Embedded Platform Chapter
자동화연)OT Platform Chapter
자동화연)Robotics & Motion Chapter
자동화연)Network & Security Chapter
자동화연)Mechanical Chapter
자동화연)SQE Chapter
자동화연)솔루션연구전략팀
■ IP팀
■ 아웃소싱Part
2) R&D Campus(청주)
LS ELECTRIC R&D Campus(청주)는 발전 단계에서부터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송전/변전/배전 계통에 들어가는 Global 수준의 전력기기와 시스템에 대해 연구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단기적 사업성과를 위한 제품개발 뿐만 아니라, 지속 성장을 위한 핵심기술연구 및 신규개발 Item 발굴을 지속 추진하여 전력분야의 사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꾸준히 우수 인재를 확보하고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위하여 내부 지식의 활발한 공유 및 Open R&D 활동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분 연구소명칭 소재지 운영현황 비고
국내 R&D Campus(청주) 충북(청주) ■ 전력솔루션연구단 -
■ Smart솔루션연구팀
■ Smart LMV연구팀
■ 디지털 H/W 연구팀
■ 미래신성장연구팀(청주Part)
■ 선행기술연구팀(청주Part)
■ 전력AM연구팀
■ 글로벌DEVICE개발팀
■ 글로벌SWGR개발팀
■ 기술경영팀(연구전략Part)
(3) 연구개발비용
연결기준으로 회사의 최근 연구개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과 목 제51기 1분기 제50기 제49기 비 고
연구개발비용 합 계 33,792 147,071 132,134 정부보조금 차감 전
지출총액임
판매비와 관리비 19,314 78,213 73,281 -
제조경비 13,904 62,633 56,042 -
개발비(무형자산) 574 6,225 2,811 -
(정부보조금) (514) (1,249) (196) -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33,278 145,822 131,938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3.3% 3.5% 3.9% -
(4) 연구개발실적
1) R&D Campus(안양)
사업부문 연구과제 연구개발성과 연구기관
전사공통 전사 공통기반기술
개발 DT Infra 구축 자체개발
SW, 통신, 신뢰성, 디자인 기반 기술 확보 자체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체계 고도화 자체개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자체개발
소재 분석 및 공정 최적화 자체개발
공공기술 철도 인프라 자동열차운행 지상신호시스템 개발 자체개발
전력기기
/전력시스템 전력 공통 기술 개발 스마트팩토리 분석 기반 공정개선 자체개발
배전급 전력용 반도체 기술 개발 자체개발
소재기반기술 개발 자체개발
수소 연료전지 기술 개발 자체개발
IED 선행 기술개발 자체개발
기기 및 시스템 개발 초전도한류기 운영기술 개발 자체개발
차세대 EMS 기술 개발 자체개발
수배전반 신제품 개발 자체개발
Smart LV, MV 운영 개발 자체개발
MVDC 기술 개발 자체개발
밸브 셀계 기술 개발 자체개발
자동화 INV 제품 및 기술 개발 LVD개발 자체개발
Drive 통신 전용화 개발 자체개발
MVD 전용화 개발 자체개발
PLC 제품 및 기술 개발 Controller 핵심기술 개발 자체개발
HMI 제품 개발 자체개발
제어 알고리즘 기술 개발 자체개발
스마트
에너지 ESS
/PCS 제품 개발 UPS 시스템 개발 자체개발
ESS PCS 인증/개발 자체개발
2) R&D Campus(청주)
사업부문 연구과제 연구개발성과 연구기관
전력 저압기기 개발 Power-House(QTS)대응 UL Smart MCCB 400/600AF 개발 외 자체개발
고압기기 개발 Hydro-Quebec향 VCB개발 외 자체개발
개폐기기 개발 EMEA 사업부향 RMU 개발 외 자체개발
계전기기 개발 삼성향 GIPAM1000 F-IEC61850 개발 외 자체개발
배전반 개발 UL 27kV MCSG (LV 중치형 Line-up 확대 개발) 외 자체개발
초고압 Tr. 개발 북미향 525kV 425MVA 변압기 개발 외 자체개발
전력IT 개발 LS AMS 고도화 및 AIP 기술개발 외 자체개발
다.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1)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
중요한 재산적 권리 및 특허권등 무형자산의 취득 현황
(기간: '24.01.01~'24.03.31)
취득일 취득무형자산 내용 비고
2024-01-02 특허권 모니터링 화면 변경에 따른 오브젝트 변환장치 등 74건 -
2024-02-01 실용신안권 배전반의 잠금장치 등 2건 -
2024-01-02 디자인권 회로 차단기용 트립장치 등 13건 -
2024-01-02 상표권 FUTURING SMART ENERGY 등 14건 -
7. 기타 참고사항
가.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1) 사업부문별 자산, 매출, 법인세 차감 전 순손익 현황
(2024년 3월 31일 기준) (단위:백만원)
사업부문 자 산 매 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
51기 1분기 50기 49기 51기 1분기 50기 49기 51기 1분기 50기 49기
전력부문 1,911,400 1,814,051 1,644,519 918,598 3,661,198 2,668,292 87,713 285,178 116,843
자동화부문 339,396 319,532 456,275 142,570 628,973 590,651 2,399 21,221 54,856
금속부문 336,140 310,710 321,173 135,880 563,437 558,084 366 12,957 11,267
IT부문 51,571 63,572 50,459 25,865 101,047 80,718 1,240 5,449 4,287
공통부문 및 연결조정 1,256,360 1,225,027 850,379 (184,274) (724,172) (520,675) 6,775 (60,709) (60,286)
합계 3,894,867 3,732,892 3,322,805 1,038,639 4,230,483 3,377,070 98,493 264,096 126,967
※ 공통부문은 보고부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영업부문과 영업부문에 대한 지원활동 및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부서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결조정 효과는 보고부문별 자산에 대한 내부거래 제거 금액입니다.
나. 사업부문별 시장여건 및 영업개황
(1) 전력부문
ㄱ. 산업의 특성
(i) 전력수배전 사업
- 전력산업은 고도의 안전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국가의 기반 산업이자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몇몇 선진 업체에 의해 산업 집중이 이루어지는 Multi-international Business 형태의 산업입니다. 전력수배전사업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을 최종 수용가까지 안전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전력 차단, 개폐 등 계통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입니다. 안전성 및 신뢰성에 대한 장기간의 검증과 국제적 인증이 필수적인 사업으로, 각 국가 별 다양한 전력계통 및 규격과 연계되어 모델 변경이 어렵고, 규격화 및 표준화와 더불어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전력시스템산업은 국가 전력망 구축에 필수적인 "자본재 산업" 이며, 기업의 설비투자와도 연관성이 있습니다. 안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장기간의 검증과 국제적 인증이 사업 수행을 위한 필수조건입니다. 전력전자 및 메카트로닉스 기술을 응용한 기기로 확대되는 추세이며, 설비의 수명진단 및 계통 보호, 분산 발전 및 전력 저장의 기술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최근 신재생 직류 에너지 발전원과 연계된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i) 전력인프라 사업
- 송변전 : 송변전사업은 국가 전력망을 구축하는 기간산업으로, 국제규격 기반의 제품 개발과 안전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장기간의 검증과 실적이 사업수행에 중요합니다. 소수의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신규업체의 진입이 어려운 시장입니다. 최근 북미지역의 IRA 법안과 IIJA법안의 시행 그리고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등의 전기자동차 주변 산업의 생산기반시설 확대에 따라 송변전 설비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HVDC 시장은 기술 선도주자인 유럽 국가들과 중국 기업들이 정부의 국산화 개발정책에 따라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으며, 국내 기업들도 시장참여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 중입니다.
- 전력IT : 전력IT사업은 발전, 송변전, 배전, 수용가에 이르는 전력계통의 각종 전력정보 관리 및 제어를 위한 ICT솔루션을 구현하여 발전설비 운용, 에너지사용 효율화, 급전 안정화를 구현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시스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분야별로 Microgrid, EMS, SCADA, xEMS, DCS, DMS 등이 있습니다.
- 신재생에너지 :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시스템을 통해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국가별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방향에 따라 확대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인 전력 생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정시간에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 후 원하는 시간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에너지 저장장치 산업에 있어서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성과 전력 다소비 기업의 최대 전력 소비 감축을 위해 집중적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2022년 개정 후 국내 수소 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시장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 철도시스템 : 철도사업은 국가 내 화물 및 인원을 운송하는 기간산업이며, 인명과 자산을 운송하는 분야인 만큼 안전성 및 신뢰성이 철도 사업에서 핵심 요소 입니다. 최근 친환경 운송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ICT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무인열차제어, 무선열차제어 등 차세대 열차제어시스템 적용 사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각국 기업들이 속속 자체 철도시스템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철도시스템 시장은 중국 및 기타 개발도상국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철도 선진국들에서는 수소철도차량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ⅲ) EV-Relay 사업
- EV Relay는 계통상 고전압 계통(DC 450V 이상)의 고전류나 이상전류 발생 시, 기계적으로 전기배터리의 전원을 ON/OFF 기능 및 높은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기능을갖추고 있으며, 전기자동차, 전기차 충전기, ESS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전력제어용 등 광범위한 분야의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i) 전력수배전 사업
전력계통이 안정적 전력 공급을 바탕으로 효율적 운영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 시스템 및 제품의 디지털화를 통해 데이터의 관리 및 운영에 대한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 및 산업 자체의 형태가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디지털화 되고 있으며, 고품질 / 전자식 / System / Fusion化 된 제품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과거 기계식 제품 중심에서 향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구조가 변경되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력산업의 성장성은 반도체, IT, 자동차, 배터리 산업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ii) 전력인프라 사업
세계은행에서 발표한 '23년 세계경제전망보고서에서는 인플레이션과 높은 금리 등을 성장 둔화 요인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산업 변화의 흐름에 따라 반도체, IT, 자동차, 배터리 산업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세계의 탈탄소 정책 기조와 미국의 IRA 시행으로 전력인프라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글로벌 전력망 투자는 노후설비의 교체, 기존 전력망의 보강, 신규 전력망 신설등에 따라 2020년 2350억달러(327조원)에서 2050년 6360억달러(886조원)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미국은 22년 3월 '저탄소 및 청정인프라 투자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중요도와 시장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국내는 전력계통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2030년 까지 약 75조원을 투자해 전력망을 증대할 계획임에 따라 변전소 구축사업은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 글로벌 HVDC, FACTS 시장은 신규 건설 예정 전력망과 노후화 전력망 개선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IGBT의 발달 및 신재생 에너지 시장의 증대로 전압형 HVDC와 MMC STATCOM 시장은 높은 성장성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글로벌 탄소중립의 선언에 따라 지속적인 확대가 될 전망이며, 특히 미국(2050년 탄소중립)과 중국(2060년 탄소중립)을 중심으로 시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함께 태양광/풍력 등 발전시스템 산업의 투자 증가가 기대되고, 신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계통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부터 국내 청정수소발전 의무화 제도(CHPS)가 실시됨에 따라 수소 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시장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 철도시스템시장은 최근 개발도상국들의 도시화 추세로 인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20년 기준으로 전세계 도시철도 시장은 약 334억$ 규모를 기록하였으며, 지속적인 도시화와 각국 광역권 내의 수송 수요 증가로 향후 5년 간 약 4.1%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무선통신기반열차제어시스템 등 차세대 도시철도용 열차제어시스템에 대한 상용화 움직임도 활발 합니다.
(ⅲ) EV-Relay 사업
고부가가치 제품의 EV Relay는 전기자동차의 주요 전장 부품으로써 2차전지와 연계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분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ESS 산업에도 활용되는 등 2차 전지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산업이기 때문에 2차전지를 활용하는 환경친화적인 시장이 확대되고 활용 목적이 다양해지면서 직류 전력 산업 시장은 뚜렷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글로벌 각국의 탄소 규제 강화, 배터리 가격 하락 및 자동차 회사들의 경쟁적인 전동화 전략으로 인해 EV Relay 시장은 '25년 4.1조원, '30년에 7.2조원의 시장으로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ㄷ. 경기 변동의 특성
(i) 전력수배전 사업
- 전력설비의 특성 상 건설 및 설비투자 경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경기변동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산업입니다. 특히 신규투자 및 정부 중심의 SOC 사업 활성화가 당 사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ii) 전력인프라 사업
- 전력 인프라 사업 특성 상, 국가 또는 지역단위 인프라 구축 계획과 연계된 사업으로 개별 국가의 정책 및 정부 재정상태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저성장 기조에서 회복하는 단계로 북미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 산업 분야의 투자 증가와, ADB 등 공공재원 및 차관을 활용한 사업전개도 가능하여 신흥산업국 중심으로 지속적인 수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ⅲ) EV-Relay 사업
- EV Relay 사업은 전기차 및 ESS 전방 산업의 수요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Relay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 산업인 ESS 산업, 충전기 산업, 전기자동차 산업 등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으로써,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따른 시장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EV Relay 산업의 특성상 매출처의 수주 발생 시기에 따라 변동성이 발생합니다.
ㄹ. 시장점유율
(i) 전력수배전 사업
-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추정한 주요제품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가 생산하고 있는 양산제품에 한하여 기재하였습니다.)
-전력기기(저압,고압) 점유율
(단위 : %)
구분 51기 1분기 50기 49기
LS ELECTRIC 63 63 63
기타 37 37 37
계 100 100 100
주1) 자료출처: 주요 업체 영업담당자 인터뷰 및 시장동향 조사 등
-배전반 점유율
(단위 : %)
구분 51기 1분기 50기 49기
LS ELECTRIC 26 26 26
기타 74 74 74
계 100 100 100
(ⅱ) EV-Relay 사업
-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추정한 주요 제품의 Global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EV-Relay 점유율
(단위 : %)
구분 51기 1분기 50기 49기
LS이모빌리티솔루션 4 4 4
기타 96 96 96
계 100 100 100
주1) 자료출처: AT Kearney 컨설팅 보고서 및 자체 조사
ㅁ.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i) 전력수배전 사업
- 전력기기 시장은 완전 경쟁체제의 시장이나, 고도의 안정성을 요구하는 산업의 특성 상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제조 브랜드에 대한 LOYALTY가 타산업에 비해 높은 편이며, 전력 관련 각종 규제 및 규격(IEC 등)에 대한 높은 진입장벽이 형성되어 있는 보수적인 분야입니다. 또한 제품에 대한 고도의 안정성 및 신뢰성 요구에 따라, 브랜드 신뢰성 및 A/S를 위한 유통망의 비중이 높으며, 기타 시장 내 경쟁요소에는 품질, 가격, 고객 납기준수율 등이 있습니다. 국가 별 규격 획득 및 CE, UL, CCC, IEC 등 다양한 국제규격 취득을 통한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성 검증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탄소 중립과 같은 환경규제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저압에서부터 초고압까지 전력분야의 Total Solution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국제 원자재가 영향을 받는 제품 원료의 특성 상 고객의 가격 민감성이 증대됨에 따라, 단순 조립 등 低부가가치 부품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ODM 및 SKD 등을 통한 원가절감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ii) 전력인프라 사업
- 송변전사업은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배터리 및 배터리 소재 등 전기자동차 주변 산업의 생산기반시설 확충과 데이터 센터 증가, 북미 지역의 IRA법, IIJA법 시행에 따른 국내 제조 대기업의 북미지역 진출 등으로 사업확장의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시장의 친환경 및 고효율, Digital화 Trend에 대비하여 친환경/고효율 제품 개발과 함께 Digital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HVDC 납품 실적 및 기술 완성도를 통해 AC와 DC를 Total Solution으로 제공하는 Smart 전력망 사업을 전개 중입니다.
- 전력IT사업은 국내 차세대 EMS 구축을 독자기술로 구현하여 Global Reference로 활용하고 있으며, 신재생 연계 ESS에 스마트 솔루션을 적용하여 소규모 지역에 전력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있어서 육상은 물론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저장장치는 국내 사업 실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북미, 동남아, 일본과 같은 주요 글로벌 시장 진입을 통해 사업의 확대를 해 나가고 있습니다.
- 철도시스템 사업에 대해서 사업기획에서부터 생산, 설치, 시험 및 시운전, 운영 및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걸친 수행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속철도 PJT 수행 등 약 30년에 걸친 다양한 신뢰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ⅲ) EV-Relay 사업
- 당사가 보유한 LS EV Relay 제품은 당사의 풍부한 Reference를 바탕으로 타 경쟁사 대비 유리한 조건으로 폭스바겐, 르노, 볼보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에게 납품을 진행할 수 있는 강점이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에게 납품을 진행해온 당사의 글로벌 품질 수준의 뛰어난 품질관리 능력과 미래 제품 기술 준비를 위한 스마트 BDU 등의 전문적인 연구역량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당사의 독보적인 강점입니다.
(2) 자동화부문
ㄱ. 산업의 특성
자동화기기 시장은 제조업체의 자동화 구현을 통해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등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특히, 자동화 분야의 주요 제품인 PLC, 인버터는 산업자동화 및 에너지절약 기기로 중요성이 높은 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개발부터 기술지원, 응용, 서비스 등 종합 기술력이 요구되므로 세계적으로 기술수준이 높은 소수의 업체만이 참여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자동화기기 시장은 최근 '고령화, 고임금화 및 안전요구 증가' 등의 추세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전환 가속화, 2차전지 산업의 급성장,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투자 확대 또한 자동화 산업의 성장을 이끄는 Key Driver 이며, 시장은 단품 Device 중심에서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추세로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ㄷ.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자동화기기 시장의 특성은 기업의 설비투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경기침체로 인한 기업의 설비투자가 감소하게 되면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기계수주, 기계판매, 건설수주, 건설기성 등의 지표추이도 매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ㄹ. 시장점유율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추정한 주요제품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동화기기 점유율
(단위 : %)
구분 51기 1분기 50기 49기
LS ELECTRIC 30 32 31
기타 70 68 69
계 100 100 100
ㅁ.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자동화 기기시장의 경쟁요소는 제품의 가격, 신뢰성 및 기술지원, A/S 지원체제 등이 주요 경쟁요소이며, 국내시장에서는 Local 업체로서 유일한 대기업으로 기술변화 대응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오랜기간 축적된 Know-how와 많은 Reference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유통망과 기술지원 및 서비스 Infra는 국내에 진출해 있는 다른 Global 선진사 대비해서 가장 경쟁우위에 있는 강점이며, R&D 역량 기반의 고객 Needs에 대한 신속한 전용제품 대응이 가능한 것도 큰 강점입니다. 특히, 최근 국내 대기업들의 해외 진출이 증가하고 있고 당사에 현지의 기술지원 및 A/S Infra 확보를 요구하는 만큼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3) 금속부문
ㄱ. 산업의 특성
비철금속중 기능금속소재인 동관(Copper Tubes)은 열전도성, 내식성, 가공성이 우수하여 전기 전자 산업 분야와 건축용 배관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테인레스관(Stainless Steel Welded Pipes, 이하 STS관으로 표기)은 건축용 배관, 가스, 석유화학 플랜트 등의 중화학공업과 조선업 등의 기초산업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동관은 공조용 열교환기 산업의 필수소재로 인간생활의 쾌적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민소득의 증가와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증대 등의 사유로 현재 시장 규모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전망입니다. 스테인리스관은 강한 내식성을 바탕으로 기존 Carbon 파이프가 주도했던 건축배관, Plant 배관 등의 수요를 대체하고 있으며, 기존 파이프보다 두께가 두껍고 외경이 큰 제관과 특수 강종 중심으로 시장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ㄷ.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동관은 원재료인 전기동의 국제가격과 환율에 영향을 받으며, 주요 고객인 에어컨 산업의 경기와 연동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스테인리스관은 에너지/화학 관련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신장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ㄹ. 시장점유율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추정한 주요제품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동관(LS메탈) 점유율
(단위 : %)
구분 51기 1분기 50기 49기
LS메탈 35 36 34
기타 65 64 66
계 100 100 100
-STS관(LS메탈) 점유율
(단위 : %)
구분 51기 1분기 50기 49기
LS메탈 16 22 19
기타 84 78 81
계 100 100 100
ㅁ.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동관은 공업용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 업체와 국내 중소업체들의 저가공세로 영업여건이 악화되고 있으나, LS메탈의 핵심 기술인 고효율 박관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생산성과 우수한 품질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합금관을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특허를 취득하고 있으며, 향후 합금관의 판매비중을 높여서 시장 점유율을 올리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스테인리스관은 LNG 에너지 개발 수요 확대로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어 LS메탈의 주요 역량인 다양한 특수강 개발 및 고품질 제품 생산을 통해 시장 수요 확대에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제품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조관 생산라인을 부산공장에 신설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제품 구성으로 수주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노브랜드 KB제28호스팩 아이씨티케이 HD현대마린솔루션 SK증권제12호스팩 코칩 민테크 카티스 디앤디파마텍 유안타제16호스팩 제일엠앤에스 삐아 하나33호스팩 신한제13호스팩 신한제12호스팩 아이엠비디엑스 SK이터닉스 하나32호스팩 엔젤로보틱스 제이투케이바이오 삼현 오상헬스케어 케이엔알시스템 비엔케이제2호스팩 하나31호스팩 SK증권제11호스팩 유안타제15호스팩 유진스팩10호 에이피알 이에이트 코셈 케이웨더 사피엔반도체 에스피소프트 스튜디오삼익 신영스팩10호 폰드그룹 IBKS제24호스팩 레이저옵텍 이닉스 엘앤에프 포스뱅크 현대힘스 HB인베스트먼트 드림인사이트 대신밸런스제17호스팩 우진엔텍 세븐브로이맥주 한빛레이저 포스코DX DS단석 IBKS제23호스팩 하나30호스팩 씨싸이트 블루엠텍 LS머트리얼즈 케이엔에스 교보15호스팩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성스팩9호 에이텀 엔에이치스팩30호 에이에스텍 그린리소스 제이엔비 한선엔지니어링 동인기연 에코아이 스톰테크 에코프로머티 캡스톤파트너스 프로젠 에스와이스틸텍 에이직랜드 한국제13호스팩 메가터치 비아이매트릭스 컨텍 큐로셀 쏘닉스 KB제27호스팩 세니젠 신시웨이 유진테크놀로지 유투바이오 퀄리타스반도체 미쥬 워트 에스엘에스바이오 신성에스티 퓨릿 바이오텐 에이치엠씨제6호스팩 아이엠티 레뷰코퍼레이션 두산로보틱스 신한제11호스팩 한싹 밀리의서재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우듬지팜 코어라인소프트 STX그린로지스 상상인제4호스팩 율촌 한화플러스제4호스팩 대신밸런스제16호스팩 유안타제11호스팩 크라우드웍스 대신밸런스제15호스팩 한국제12호스팩 한국피아이엠 시큐레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넥스틸 빅텐츠 SK증권제10호스팩 KB제26호스팩 코츠테크놀로지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하나28호스팩 NICE평가정보 파두 엠아이큐브솔루션 시지트로닉스 에피바이오텍 조선내화 에이엘티 유안타제14호스팩 파로스아이바이오 길교이앤씨 버넥트 뷰티스킨 SK증권제9호스팩 와이랩 센서뷰 아이엠지티 필에너지 DB금융스팩11호 교보14호스팩 이노시뮬레이션 이브이파킹서비스 알멕 오픈놀 시큐센 하나29호스팩 KB제25호스팩 엔에이치스팩29호 하이제8호스팩 가이아코퍼레이션 비에이치 동국씨엠 동국제강 프로티아 큐라티스 마녀공장 나라셀라 진영 이수스페셜티케미컬 OCI 기가비스 팸텍 모니터랩 씨유박스 큐라켐 키움제8호스팩 트루엔 삼미금속 에스바이오메딕스 슈어소프트테크 토마토시스템 마이크로투나노 셀바이오휴먼텍 SK오션플랜트 노보믹스 삼성FN리츠 현대그린푸드 미래에셋비전스팩3호 IBKS제22호스팩 하나27호스팩 한화갤러리아 지아이이노베이션 LB인베스트먼트 한화리츠 유안타제12호스팩 엑스게이트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금양그린파워 라온텍 자람테크놀로지 하나26호스팩 나노팀 바이오인프라 삼성스팩8호 유안타제13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이노진 화인써키트 제이오 샌즈랩 꿈비 스튜디오미르 삼기이브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오브젠 미래반도체 지슨 태양3C 티이엠씨 한주라이트메탈 옵티코어 아이오바이오 타이드 신영스팩9호 신스틸 지에프씨생명과학 카이바이오텍 바이오노트 비엔케이제1호스팩 마이크로엔엑스 애니메디솔루션 IBKS제21호스팩 엔에이치스팩27호 핑거스토리 SAMG엔터 대신밸런스제14호스팩 엔에이치스팩26호 유진스팩9호 아하 에이아이더뉴트리진 대신밸런스제13호스팩 유니드비티플러스 펨트론 인벤티지랩 엔젯 유비온 티쓰리 티에프이 윤성에프앤씨 디티앤씨알오 뉴로메카 제이아이테크 LX세미콘 엔에이치스팩25호 교보13호스팩 큐알티 IBKS제20호스팩 저스템 산돌 삼성스팩7호 탈로스 플라즈맵 엔에이치스팩24호 핀텔 하나금융25호스팩 한국제11호스팩 샤페론 비스토스 탑머티리얼 에스비비테크 오에스피 모델솔루션 이노룰스 파인엠텍 KB스타리츠 SK증권제8호스팩 유안타제10호스팩 선바이오 더블유씨피 알피바이오 하나금융24호스팩 한화플러스제3호스팩 티엘엔지니어링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키움제7호스팩 신영스팩8호 대성하이텍 쏘카 에이치와이티씨 새빗켐 유안타제9호스팩 수산인더스트리 신한제10호스팩 아이씨에이치 성일하이텍 에이프릴바이오 퓨쳐메디신 벨로크 루닛 바스칸바이오제약 HPSP 와이씨켐 코난테크놀로지 넥스트칩 삼성스팩6호 엔에이치스팩23호 교보12호스팩 레이저쎌 보로노이 위니아에이드 케이비제21호스팩 비큐 AI 범한퓨얼셀 코나솔 청담글로벌 마스턴프리미어리츠 하나금융22호스팩 가온칩스 대명에너지 상상인제3호스팩 포바이포 신한제9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1호 키움제6호스팩 지투파워 유진스팩8호 코람코더원리츠 세아메카닉스 공구우먼 유일로보틱스 모아데이타 메쎄이상 노을 비씨엔씨 풍원정밀 스톤브릿지벤처스 하나금융21호스팩 브이씨 퓨런티어 바이오에프디엔씨 인카금융서비스 나래나노텍 아셈스 스코넥 이지트로닉스 LG에너지솔루션 애드바이오텍 케이옥션 코스텍시스템 오토앤 래몽래인 하이제7호스팩 라피치 제이엠멀티 신한서부티엔디리츠 툴젠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켈스 SK스퀘어 마음AI 알비더블유 NH올원리츠 NPX 트윔 아이티아이즈 지오엘리먼트 디어유 비트나인 지니너스 카카오페이 피코그램 엔켐 리파인 지앤비에스 에코 아이패밀리에스씨 차백신연구소 지아이텍 코닉오토메이션 케이카 씨유테크 아스플로 원준 실리콘투 에스앤디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HD현대중공업 SK리츠 유진스팩7호 와이엠텍 에이비온 라이콤 일진하이솔루스 디앤디플랫폼리츠 바이젠셀 아주스틸 롯데렌탈 브레인즈컴퍼니 딥노이드 한컴라이프케어 엠로 플래티어 원티드랩 크래프톤 HK이노엔 PI첨단소재 카카오뱅크 한화플러스제2호스팩 에브리봇 맥스트 큐라클 에스디바이오센서 오비고 엠씨넥스 아모센스 타임기술 이노뎁 라온테크 LB루셈 이성씨엔아이 에이디엠코리아 에코프로에이치엔 LX홀딩스 제주맥주 진시스템 F&F 삼영에스앤씨 샘씨엔에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에이치피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쿠콘 이삭엔지니어링 해성에어로보틱스 엔시스 자이언트스텝 제노코 라이프시맨틱스 SK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다인 네오이뮨텍 화승알앤에이 싸이버원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나노씨엠에스 뷰노 엑스플러스 유일에너테크 씨이랩 오로스테크놀로지 피엔에이치테크 모비데이즈 아이퀘스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레인보우로보틱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솔루엠 핑거 모비릭스 씨앤투스 선진뷰티사이언스 DL이앤씨 엔비티 파이버프로 나우코스 루트락 ESR켄달스퀘어리츠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석경에이티 지놈앤컴퍼니 프리시젼바이오 알체라 하이딥 에프앤가이드 티엘비 씨엔티드림 인바이오 엔젠바이오 퀀타매트릭스 명신산업 클리노믹스 포인트모바일 앱코 엔에프씨 제일일렉트릭 하나기술 에이플러스에셋 티앤엘 고바이오랩 네패스아크 교촌에프앤비 소룩스 위드텍 센코 바이브컴퍼니 원포유 미코바이오메드 피플바이오 하이브 넥스틴 케이엔솔 비나텍 씨엔알리서치 박셀바이오 티와이홀딩스 비비씨 코스텍시스 핌스 압타머사이언스 이오플로우 카카오게임즈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아이디피 셀레믹스 고스트스튜디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영림원소프트랩 한국파마 제이알글로벌리츠 솔브레인 이루다 미래에셋맵스리츠 이지스레지던스리츠 와이팜 에코앤드림 엠투아이 더네이쳐홀딩스 제놀루션 솔트룩스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티에스아이 에이프로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소마젠 신도기연 위더스제약 에스케이바이오팜 엠브레인 젠큐릭스 무진메디 HB솔루션 에스에이티이엔지 에스씨엠생명과학 휴럼 이지바이오 드림씨아이에스 대덕전자 HLB사이언스 엔피디 플레이디 서울바이오시스 제이앤티씨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레몬 서남 위세아이텍 케이씨씨글라스 세림B&G 이앤에치 CJ 바이오사이언스 엔에스엠 피피아이 RF머트리얼즈 아이비김영 브릿지바이오 다보링크 메드팩토 원텍 신테카바이오 제이엘케이 태웅로직스 윙스풋 노드메이슨 리메드 NH프라임리츠 비올 타스컴 진코스텍 웨이버스 유엑스엔 HLB바이오스텝 씨티알모빌리티 티움바이오 씨에스베어링 우양 코리아에셋투자증권 HD현대에너지솔루션 에스제이그룹 제테마 한화시스템 라파스 아이티엠반도체 일승 자이에스앤디 미디어젠 모코엠시스 티라유텍 롯데리츠 지누스 밸로프 캐리소프트 한국미라클피플사 케이엔제이 엔바이오니아 팜스빌 두산퓨얼셀 라온피플 솔루스첨단소재 콘텐트리중앙 아톤 녹십자웰빙 누보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엔지브이아이 올리패스 라닉스 윈텍 한독크린텍 아퓨어스 네오크레마 마니커에프앤지 솔트웨어 나노브릭 에스피시스템스 레이 그린플러스 코윈테크 덕산테코피아 KBG 엑스페릭스 세경하이테크 캐리 대모 에이스토리 플리토 헥토파이낸셜 아이스크림에듀 펨토바이오메드 펌텍코리아 에이에프더블류 태성 엠에프엠코리아 압타바이오 까스텔바작 마이크로디지탈 코퍼스코리아 프로이천 포스코퓨처엠 수젠텍 컴퍼니케이 다원넥스뷰 피에스케이 현대무벡스 TS트릴리온 이노벡스 아모그린텍 현대오토에버 지노믹트리 이지케어텍 미래에셋벤처투자 드림텍 더블유게임즈 에코프로비엠 셀리드 우리금융지주 천보 SCL사이언스 노랑풍선 웹케시 엘에이티 에어부산 비피도 유틸렉스 디케이티 아이엘사이언스 애니플러스 테크엔 디와이씨 오하임앤컴퍼니 위지윅스튜디오 국전약품 에이비엘바이오 머큐리 전진바이오팜 뉴트리 비투엔 이노메트리 DH오토리드 에코캡 원바이오젠 애닉 윙입푸드 남화산업 엠아이텍 티로보틱스 네오펙트 에이펙스인텍 티앤알바이오팹 나라소프트 아시아나IDT 디알젬 싸이토젠 아주IB투자 파멥신 디케이앤디 퀀텀온 노바렉스 셀리버리 대보마그네틱 노바텍 엘앤씨바이오 네온테크 로보티즈 옵티팜 에스퓨얼셀 세아제강 나우IB 푸드나무 하나제약 크리스에프앤씨 더블유에스아이 지티지웰니스 우진아이엔에스 엔피 피엔티엠에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디지캡 지니틱스 액트로 오파스넷 브이엠 바이오솔루션 더콘텐츠온 대유 신한알파리츠 디아이티 에스에스알 한일시멘트 휴네시온 티웨이항공 롯데이노베이트 한국유니온제약 그리티 알로이스 올릭스 테크트랜스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아이큐어 SV인베스트먼트 엘리비젼 지앤이헬스케어 이리츠코크렙 EDGC 에스엠비나 HDC현대산업개발 카이노스메드 파워넷 카나리아바이오 세종메디칼 제노레이 디피코 제이시스메디칼 에스제이켐 JTC 네오셈 케어랩스 애경산업 린드먼아시아 오스테오닉 엔지켐생명과학 동구바이오제약 아시아종묘 알리코제약 셀트리온 카페24 링크제니시스 배럴 SG 씨앤지하이테크 쿠쿠홈시스 SK케미칼 시스웍 디바이스이엔지 씨알푸드 레이크머티리얼즈 BGF리테일 동양피스톤 진에어 씨티케이 메카로 에스트래픽 케이씨텍 체리부로 대원 비즈니스온 동아타이어 삼양패키징 스튜디오드래곤 비디아이 코오롱티슈진 EMB 테이팩스 롯데웰푸드 탑선 영화테크 폴라리스세원 상신전자 야스 인산가 휴엠앤씨 신흥에스이씨 유티아이 선익시스템 엠플러스 앱클론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펄어비스 케이피에스 SK시그넷 덕우전자 지오릿에너지 케일럼 알에스오토메이션 컬러레이 와이즈버즈 모트렉스 데이타솔루션 지니언스 디앤씨미디어 이즈미디어 루켄테크놀러지스 힘스 제일약품 브이원텍 아우딘퓨쳐스 이녹스첨단소재 카카오 오리온 하림지주 덴티스 메디안디노스틱 나인테크 에스알바이오텍 뿌리깊은나무들 보라티알 매일유업 LK삼양 이랜시스 필옵틱스 미원에스씨 경동도시가스 넷마블 HD현대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일렉트릭 포인트엔지니어링 하나머티리얼즈 소프트캠프 와이엠티 파워풀엑스 크라운제과 AP시스템 유에스티 이엘피 유비쿼스 서진시스템 코미코 아스타 덴티움 에스디생명공학 신신제약 에프엔에스테크 모바일어플라이언스 피씨엘 호전실업 서플러스글로벌 유바이오로직스 도부마스크 한국비엔씨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셀젠텍 피엠티 바이오프로테크 애니젠 유니온커뮤니티 신라젠 자비스 핸즈코퍼레이션 티이엠씨씨엔에스 퓨쳐켐 뉴파워프라즈마 엘앤케이바이오 에스엘테라퓨틱스 핸디소프트 두산밥캣 삼성바이오로직스 클리오 오가닉티코스메틱 얼라인드 세화피앤씨 굿센 인크로스 에이치엘사이언스 코스메카코리아 JW생명과학 GRT 안지오랩 골든센츄리 인텔리안테크 에이치시티 잉글우드랩 앤디포스 수산아이앤티 미투온 화승엔터프라이즈 예선테크 LS에코에너지 스타리츠 유니테크노 모비스 나무기술 자이글 일동제약 헝셩그룹 샘표식품 에코마케팅 블루탑 두올 엔지스테크널러지 우리손에프앤지 오건에코텍 아이윈플러스 제노텍 동서 장원테크 위니아 한국자산신탁 한국토지신탁 모아라이프플러스 피앤씨테크 로스웰 씨앤에스링크 해성디에스 에스티팜 지씨셀 알엔투테크놀로지 이비테크 이스트에이드 휴온스 나눔테크 KC산업 용평리조트 해태제과식품 원익IPS 로보쓰리에이아이 레이언스 동양파일 삼일씨엔에스 팬젠 AP위성 비유테크놀러지 큐리언트 안트로젠 슈프리마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유니트론텍 크리스탈신소재 메디젠휴먼케어 볼빅 이엠티 더코디 에스와이 질경이 잇츠한불 크로넥스 딥마인드 와이씨 육일씨엔에쓰 휴젤 한국맥널티 덱스터 아진산업 HLB제약 강스템바이오텍 에이원알폼 메가엠디 보광산업 파크시스템스 에치에프알 예스티 코스맥스엔비티 멕아이씨에스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원익피앤이 세진중공업 하이즈항공 DXVX 케이디켐 네오오토 엔투텍 케어젠 아이진 나무가 이노시스 금호에이치티 제주항공 본느 파마리서치바이오 럭스피아 노브메타파마 엔케이맥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KH 건설 엑시콘 엄지하우스 메디쎄이 뉴지랩파마 케이엠제약 한송네오텍 패션플랫폼 LIG넥스원 넥슨게임즈 제너셈 타이거일렉 HDC랩스 동일제강 휴먼테크놀로지 씨아이에스 에이텍모빌리티 웹스 AJ네트웍스 파인텍 세토피아 심텍 흥국에프엔비 쎄노텍 칩스앤미디어 아시아경제 엔에스컴퍼니 아이쓰리시스템 로지시스 플럼라인생명과학 켐트로스 파마리서치 디와이디 펩트론 이노션 토니모리 광동헬스바이오 로지스몬 미래에셋생명 RFHIC 동운아나텍 일월지엠엘 헥토이노베이션 경보제약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이큐셀 코아스템켐온 에스엘에너지 SK디앤디 씨앗 베셀 넵튠 미래생명자원 싸이맥스 러셀 픽셀플러스 디딤이앤에프 제노포커스 틸론 관악산업 우정바이오 토박스코리아 이노인스트루먼트 우리산업 메가스터디교육 썬테크 휴센텍 로보로보 디알텍 에이비프로바이오 골프존 클래시스 FSN 다이나믹디자인 포시에스 덕산네오룩스 한솔제지 디와이파워 국일신동 듀켐바이오 링크드 바디텍메드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썸에이지 에이팩트 휴메딕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서전기전 아스트 오킨스전자 지란지교시큐리티 NEW 아이티센 미래엔에듀파트너 삼성물산 녹십자엠에스 디티앤씨 셀바스헬스케어 정다운 하이로닉 랩지노믹스 에이디테크놀로지 비씨월드제약 미스터블루 알테오젠 베노티앤알 대창스틸 에프엔씨엔터 휴마시스 씨에스윈드 텔콘RF제약 지엘팜텍 글로벌텍스프리 디에이테크놀로지 삼성에스디에스 아이케이세미콘 액션스퀘어 엑셈 테고사이언스 슈피겐코리아 영우디에스피 유니포인트 드림시큐리티 메디아나 HL만도 데브시스터즈 스피어파워 휴림네트웍스 고려시멘트 판도라티비 서연이화 신화콘텍 쿠쿠홀딩스 파버나인 덕신이피씨 창해에탄올 윈하이텍 아진엑스텍 콜마비앤에이치 화인베스틸 트루윈 큐엠씨 데이터스트림즈 코아시아씨엠 캐스텍코리아 BGF 나노 케이사인 코스맥스 오이솔루션 한국정보인증 다산솔루에타 현대이지웰 위월드 코셋 SGA솔루션즈 대동고려삼 기가레인 인트로메딕 한중엔시에스 알티캐스트 종근당 현대공업 엔브이에이치코리아 탑코미디어 신송홀딩스 큐브엔터 라이온켐텍 램테크놀러지 THE MIDONG 협진 아세아시멘트 해성옵틱스 내츄럴엔도텍 현대로템 수프로 두산테스나 파수 엘티씨 지엔씨에너지 한진칼 아미코젠 엔에이치엔 GH신소재 파이오링크 KG에코솔루션 JB금융지주 나스미디어 대주이엔티 머니무브 큐러블 태양기계 엑세스바이오 DSR 리가켐바이오 한국패러랠 동아에스티 윈팩 코렌텍 제로투세븐 한솔아이원스 우리이앤엘 아이센스 스킨앤스킨 SBI핀테크솔루션즈 우리로 디젠스 지엠비코리아 와이엠씨 LG헬로비전 아바텍 동일고무벨트 한국콜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코이즈 애경케미칼 퓨처코어 네이블 노블엠앤비 피엔티 사조씨푸드 비아트론 빛샘전자 한국ANKOR유전 휴비스 사람인 제룡산업 남화토건 케이탑리츠 메지온 원익머트리얼즈 디엔에이링크 GS리테일 나이스디앤비 시큐브 서암기계공업 인터지스 씨유메디칼 삼양사 키네마스터 비덴트 신진에스엠 이엠넷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스마트솔루션즈 에이티세미콘 테크윙 씨큐브 에스엠코어 씨엔플러스 하나투어 로보스타 대한과학 아이디스 에이블씨엔씨 제이씨케미칼 아이씨디 제닉 BF랩스 삼원강재 상아프론테크 신세계인터내셔날 에이리츠 나이벡 옵티시스 대양전기공업 한국항공우주 롯데하이마트 서연탑메탈 한세엠케이 코오롱ENP 넥스트아이 티엔엔터테인먼트 이마트 DGB금융지주 케이티스카이라이프 세아특수강 KX 골프존뉴딘홀딩스 메리츠금융지주 윈스 하림 한국종합기술 이퓨쳐 티케이케미칼 BNK금융지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부스타 현대위아 선진 미원화학 나노신소재 케이아이엔엑스 티피씨글로벌 LB세미콘 딜리 제이엔케이글로벌 블루콤 인트론바이오 시디즈 커넥트웨이브 알서포트 인텍플러스 티에스이 한화엔진 이브이첨단소재 대성에너지 현대퓨처넷 대정화금 KTis 한전산업 피제이메탈 옵투스제약 에이루트 엘브이엠씨 티비씨 시그네틱스 한국전자인증 BGF에코머티리얼즈 디케이락 위메이드플레이 KH 미래물산 아나패스 KNN 누리플랜 아이텍 인화정공 셀피글로벌 뉴온 휠라홀딩스 알파홀딩스 포메탈 KTcs 다원시스 현대홈쇼핑 씨젠 와이솔 하이비젼시스템 화신정공 코리아에프티 도화엔지니어링 엠에스오토텍 이글루 대성산업 아이마켓코리아 한미약품 인터로조 하이텍팜 우진 무학 에스디시스템 알톤 유비벨록스 오르비텍 이연제약 엑스큐어 투비소프트 한국화장품 에스제이엠 인피니트헬스케어 서진오토모티브 인지소프트 HL홀딩스 삼성생명 신세계푸드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애머릿지 케이씨에스 씨엑스아이 HLB테라퓨틱스 삼기 한화생명 이미지스 조선선재 인포바인 하이소닉 모베이스 코오롱인더 KC코트렐 지역난방공사 락앤락 스타플렉스 우리넷 아세아텍 영흥 폴라리스우노 코디 에스메디 글로벌에스엠 ITX-AI 그린생명과학 디와이피엔에프 위메이드 한전기술 셀바스AI 이원컴포텍 강원에너지 GKL 휴맥스 AP헬스케어 SK 동방선기 상상인인더스트리 진매트릭스 황금에스티 비츠로셀 하이트진로 한스바이오메드 동양생명 NHN벅스 아이앤씨 유니온머티리얼 케이엔더블유 형지엘리트 디에스케이 제넥신 톱텍 동국S&C 에스앤더블류 키움증권 영원무역 컴투스홀딩스 동일금속 한미글로벌 동아지질 어보브반도체 위메이드맥스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스맥 SDN 한국정밀기계 STX중공업 흥국 우림피티에스 티플랙스 LX하우시스 에스티오 에이테크솔루션 에스앤에스텍 뷰웍스 코오롱생명과학 엔시트론 한세실업 주성코퍼레이션 파인테크닉스 미원홀딩스 이수앱지스 대성파인텍 유비쿼스홀딩스 메디톡스 엠게임 아이컴포넌트 NAVER HLB생명과학 이크레더블 부국철강 KB금융 세운메디칼 한국철강 마이크로컨텍솔 이엠앤아이 일진전기 풍산 LG이노텍 아이엠 웰크론한텍 하이드로리튬 슈프리마에이치큐 명문제약 서울옥션 이스트소프트 비상교육 크레버스 동성케미컬 월덱스 쎄트렉아이 쌍방울 브리지텍 고영 조이시티 우진비앤지 테스 예스24 엘디티 LG유플러스 메타바이오메드 효성오앤비 인바이오젠 아시아나항공 SNT에너지 진양홀딩스 한울소재과학 이트론 엔케이 에코볼트 에스코넥 일신바이오 서원인텍 이씨에스 대창솔루션 한전KPS 아이에스이커머스 알에프세미 디엔에프 일진파워 비엠티 이아이디 기신정기 이엠코리아 KSS해운 효성 ITX 현우산업 유나이티드 케이알엠 디아이씨 에스에너지 성우전자 엘엠에스 제이엠티 오디텍 ISC 네오티스 미래나노텍 상보 CJ제일제당 바이오톡스텍 팬오션 옴니시스템 푸른기술 웨이브일렉트로 HJ중공업 빅솔론 JW홀딩스 S&K폴리텍 SK이노베이션 율호 갤럭시아머니트리 에코프로 대산F&B 컴투스 네오위즈 삼성카드 앤씨앤 엔텔스 알루코 풍강 웅진씽크빅 동국제약 케이프 상신이디피 한라IMS 에프알텍 이엠텍 참좋은여행 네오리진 맵스리얼티1 이베스트투자증권 매커스 나노캠텍 네오팜 오스코텍 켐트로닉스 제이스텍 동아엘텍 메타랩스 후성 휴온스글로벌 케이씨티 파트론 유니테스트 휴림로봇 LF 에스에이티 큐에스아이 멀티캠퍼스 주연테크 코스맥스비티아이 코세스 인천도시가스 성창오토텍 넥스턴바이오 제이티 아이윈 이녹스 삼정펄프 KEC KPX홀딩스 THE E&M 바텍 MDS테크 HDC현대EP 루멘스 세원이앤씨 CSA 코스믹 티엘아이 한국전자금융 쇼박스 팬엔터테인먼트 인포뱅크 노루페인트 아모레퍼시픽 아이오케이 동우팜투테이블 롯데관광개발 제이브이엠 평화산업 우진플라임 팅크웨어 신세계I&C 진바이오텍 TKG애강 진도 에이스테크 맥쿼리인프라 롯데쇼핑 셀트리온제약 GST 에너토크 제우스 뉴프렉스 유진테크 CG인바이츠 바이오니아 헬릭스미스 인콘 차바이오텍 현대글로비스 대봉엘에스 와이엔텍 케이엠 티비에이치글로벌 수성웹툰 하나금융지주 제일연마 모다이노칩 비에이치아이 케스피온 현대리바트 비보존 제약 자연과환경 와토스코리아 대한제강 폴라리스오피스 휴림에이텍 서린바이오 새론오토모티브 그린케미칼 가비아 덕산하이메탈 아바코 하나마이크론 엘오티베큠 코스나인 이상네트웍스 대상홀딩스 코아스 메디포스트 우리바이오 모두투어 이월드 동양고속 한미반도체 가온그룹 쏠리드 동일산업 옵트론텍 젬백스 플랜티넷 삼호개발 금호타이어 이노와이어리스 인베니아 동양이엔피 제주반도체 한창산업 디이엔티 에스엔유 iMBC 서산 KX하이텍 손오공 미래컴퍼니 아이크래프트 CJ CGV 일진다이아 메가스터디 케이에스피 KG모빌리언스 대주전자재료 텔레칩스 HB테크놀러지 도이치모터스 유니드 토비스 제넨바이오 상신브레이크 국일제지 DMS 인팩 퀀타피아 시너지이노베이션 신성델타테크 GS 유니퀘스트 다스코 한국경제TV LG디스플레이 다날 텔코웨어 형지I&C 비케이홀딩스 코엔텍 YBM넷 CS 아미노로직스 테라젠이텍스 디에이피 한양디지텍 STX엔진 동국알앤에스 빛과전자 듀오백 삼진엘앤디 폴라리스AI파마 NICE 대교 세진티에스 한솔인티큐브 리튬포어스 테라사이언스 우주일렉트로 피에이치씨 기업은행 이엔플러스 SOOP 드림어스컴퍼니 버킷스튜디오 원익QnC 로체시스템즈 에스텍 오텍 키이스트 현대에버다임 한솔홈데코 중앙백신 휴비츠 우리산업홀딩스 디지털대성 이수페타시스 강원랜드 유아이디 티씨케이 YG PLUS 아모텍 농심홀딩스 웰크론 파워로직스 한국금융지주 이엘씨 녹원씨엔아이 유엔젤 SBS 홈캐스트 씨씨에스 웹젠 엔씨소프트 하이스틸 대화제약 우수AMS JW신약 하츠 빅텍 탑엔지니어링 DSR제강 이루온 태경케미컬 재영솔루텍 한국큐빅 인터플렉스 삼영이엔씨 하이퍼코퍼레이션 한성크린텍 리더스코스메틱 한농화성 케이피엠테크 디티씨 와이오엠 초록뱀미디어 웨스트라이즈 쎌바이오텍 NE능률 테크엘 현대백화점 KG이니시스 비엘팜텍 대호에이엘 파라다이스 대웅제약 플래스크 마니커 SNT홀딩스 티케이지휴켐스 새로닉스 에스제이지세종 오리엔트정공 DGP 국보디자인 아이톡시 에스아이리소스 젬백스링크 포스코스틸리온 폴라리스AI 현대바이오 삼성출판사 세이브존I&C 에스피지 토탈소프트 교보증권 서호전기 파커스 한샘 서울리거 홈센타홀딩스 아비코전자 큐렉소 소니드 우원개발 티사이언티픽 신세계건설 인선이엔티 와이어블 SM Life Design 우신시스템 지어소프트 지엔코 셀루메드 KH바텍 알에프텍 에스폴리텍 이랜텍 ES큐브 케이피티유 3S LG전자 화일약품 오상자이엘 콜마홀딩스 농우바이오 케이엘넷 SNT모티브 에스티아이 잉크테크 대한뉴팜 씨티씨바이오 인탑스 LS마린솔루션 피씨디렉트 광주신세계 구영테크 한국기업평가 뉴보텍 동양에스텍 백금T&A 파나케이아 고려신용정보 제일바이오 서울반도체 아가방컴퍼니 엔터파트너즈 미코 유신 프럼파스트 한국컴퓨터 대동스틸 링네트 크레오에스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한빛소프트 일진디스플 NHN KCP CNT85 금강철강 룽투코리아 KH 필룩스 동아화성 비츠로시스 오리엔탈정공 웰킵스하이텍 리노공업 성우테크론 에스에프에이 신화인터텍 엑사이엔씨 피에이치에이 종근당바이오 APS 코위버 성호전자 MIT YW 삼영엠텍 이니텍 에이디칩스 유진로봇 태웅 경남제약 삼보모터스 한컴위드 코미팜 프리엠스 코나아이 메디콕스 SGA 더테크놀로지 지에스이 아이디스홀딩스 코데즈컴바인 안랩 신한지주 YTN CMG제약 JYP Ent. 한국테크놀로지 KCC건설 세동 프로텍 액토즈소프트 세코닉스 바이넥스 오성첨단소재 코웨이 태양 씨티프라퍼티 유아이엘 대원미디어 중앙첨단소재 세아홀딩스 CJ프레시웨이 파인디앤씨 디지아이 코텍 한네트 에스티큐브 티에스넥스젠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큐로홀딩스 나라엠앤디 에코바이오 에이텍 대아티아이 캠시스 현대바이오랜드 SFA반도체 LG생활건강 LG화학 대우건설 포스코인터내셔널 HD현대인프라코어 한화오션 삼표시멘트 진양화학 HLB이노베이션 SM C&C 승일 조광ILI TPC 코메론 블레이드 Ent 삼화네트웍스 성광벤드 유라테크 삼현철강 오픈베이스 KCI 라온시큐어 오로라 금화피에스시 코다코 인바디 고려제약 크린앤사이언스 동원F&B KD 이글벳 아즈텍WB 두산에너빌리티 오리콤 위닉스 상지건설 한국내화 엔피케이 삼천당제약 에이치케이 정원엔시스 한양이엔지 누리플렉스 에쎈테크 국순당 엘컴텍 이오테크닉스 상상인 서울제약 HLB파나진 나노엔텍 오공 솔고바이오 비츠로테크 코아시아 정상제이엘에스 진양제약 지니뮤직 진성티이씨 현대에이치티 삼아제약 파루 에스씨디 한국정보공학 디오 네오위즈홀딩스 다산네트웍스 바이오스마트 우리기술 안국약품 세중 우리기술투자 케이바이오 HRS 에스에이엠티 위즈코프 이건홀딩스 파인디지털 나이스정보통신 SG&G 아이에이 에스넷 에스엠 쌍용정보통신 쎄니트 대성미생물 에코플라스틱 케이엠더블유 화성밸브 경남스틸 마크로젠 희림 레드캡투어 솔브레인홀딩스 에프에스티 코맥스 EG 감성코퍼레이션 성도이엔지 제일테크노스 한세예스24홀딩스 무림SP 세종텔레콤 심텍홀딩스 파세코 SGC E&C 영풍정밀 서희건설 주성엔지니어링 케이티알파 대성홀딩스 다우데이타 동진쎄미켐 선광 제이에스티나 지더블유바이텍 클라우드에어 한국팩키지 삼지전자 우리엔터프라이즈 대원제약 한국가스공사 네패스 인지디스플레 위지트 유니셈 유성티엔에스 코리아나 SCI평가정보 골드앤에스 서울전자통신 대성창투 예림당 미래아이앤지 CJ ENM 이지홀딩스 기산텔레콤 화천기공 팜스코 케이티앤지 HD한국조선해양 디씨엠 바른손이앤에이 솔본 시공테크 신일제약 조아제약 AK홀딩스 HS애드 대한유화 백산 체시스 인성정보 그래디언트 동국산업 매일홀딩스 해성산업 자화전자 케이티 하이트론씨스템즈 제일기획 한국정보통신 파라텍 동성화인텍 스틱인베스트먼트 케이씨 드래곤플라이 엠케이전자 엠투엔 제이씨현시스템 포스코엠텍 스페코 좋은사람들 대원화성 모아텍 코웰패션 코콤 E1 SK가스 다우기술 영보화학 제룡전기 제이엠아이 디지틀조선 바이온 와이지-원 특수건설 아이즈비전 SKC 동일기연 소프트센 원익 원풍물산 웰바이오텍 한국주강 삼진 더라미 비트컴퓨터 엠젠솔루션 판타지오 덕양산업 에쓰씨엔지니어링 인지컨트롤스 유비케어 피델릭스 TJ미디어 휴맥스홀딩스 삼일 경동인베스트 뉴인텍 에스제이엠홀딩스 오스템 콤텍시스템 에스유홀딩스 피에스케이홀딩스 SK하이닉스 MH에탄올 국동 동남합성 삼성E&A 신도리코 예스코홀딩스 퍼시스 세보엠이씨 한일단조 WISCOM 동원수산 미래산업 다올투자증권 양지사 HDC 광전자 한국단자공업 원익홀딩스 한글과컴퓨터 메이슨캐피탈 광무 대호특수강 디아이 신성이엔지 티에이치엔 한온시스템 HLB 팜스토리 세원정공 영풍제지 유니온 키다리스튜디오 한국제지 한섬 현대엘리베이터 환인제약 삼보판지 삼목에스폼 에이스침대 원익큐브 계룡건설산업 서원 에스원 태경산업 리드코프 유니슨 아난티 광진실업 인터엠 신대양제지 와이투솔루션 남해화학 동원금속 성안머티리얼스 성우하이텍 대신정보통신 서부T&D HMM 경인양행 풀무원 서울도시가스 이구산업 동신건설 동화기업 에넥스 에이프로젠 제이준코스메틱 한국카본 신라에스지 케이씨피드 한탑 한국선재 DH오토웨어 시노펙스 PN풍년 삼천리자전거 메디앙스 KBI메탈 경창산업 대륙제관 동원개발 세원물산 이화전기 케이피에프 KPX케미칼 TP 에스엠벡셀 KB오토시스 신원종합개발 흥구석유 대한약품 이화공영 풍국주정 대림제지 대한광통신 동일철강 플레이위드 한국캐피탈 한일사료 KC그린홀딩스 문배철강 웅진 모베이스전자 CNH 국영지앤엠 유진기업 제이스코홀딩스 보성파워텍 브이티 태광 HL D&I 오뚜기 일정실업 와이엠 엘에스일렉트릭 신라섬유 원일특강 서한 대양금속 이화산업 동원시스템즈 바른손 부방 삼성중공업 모토닉 화신 대명소노시즌 CBI 대양제지 유니크 진로발효 삼보산업 푸드웰 푸른저축은행 피제이전자 베뉴지 엠에스씨 삼화페인트공업 경동나비엔 대동금속 광림 대원산업 큐캐피탈 한국가구 디모아 중앙에너비스 DB SGC에너지 삼륭물산 대림비앤코 경동제약 원풍 네이처셀 삼일기업공사 일지테크 한일화학 한국알콜 대주산업 글로본 대한해운 세명전기 휴니드테크놀러지스 수산중공업 에이티넘인베스트 롯데케미칼 대동기어 세아베스틸지주 호텔신라 태경비케이 화승코퍼레이션 신흥 화승인더스트리 극동유화 고려산업 피에스텍 대현 케이비아이동국실업 광명전기 부산산업 STX 고려아연 이렘 청호ICT 팜젠사이언스 무림페이퍼 현대차증권 금비 대동전자 원림 서흥 성문전자 HLB글로벌 일진홀딩스 대영포장 영화금속 신풍제약 동성제약 카스 아센디오 한올바이오파마 하이록코리아 유니켐 대창 국보 일성건설 까뮤이앤씨 보락 선도전기 씨아이테크 광동제약 갤럭시아에스엠 남성 KISCO홀딩스 태영건설 한국특강 한솔로지스틱스 삼양통상 SK텔레콤 진양폴리우레탄 미창석유공업 삼익THK 미원상사 서연 SBI인베스트먼트 세우글로벌 현대모비스 KG케미칼 대우부품 현대해상 현대지에프홀딩스 한국전력공사 국도화학 녹십자 SIMPAC 윌비스 대창단조 사조산업 한익스프레스 사조동아원 경인전자 무림P&P 인디에프 한솔피엔에스 디와이 방림 KIB플러그에너지 한솔케미칼 퍼스텍 엠벤처투자 플루토스 동원산업 대덕 한성기업 모헨즈 이스타코 태림포장 아세아제지 화천기계 CJ씨푸드 SHD 조일알미늄 에스엘 영원무역홀딩스 더존비즈온 보령 이건산업 모나리자 대구백화점 우성 유성기업 한일철강 삼익악기 화성산업 DN오토모티브 보해양조 상상인증권 혜인 금강공업 플레이그램 율촌화학 신원 동방 한국쉘석유 부광약품 풍산홀딩스 부국증권 계양전기 한솔테크닉스 DB금융투자 한미사이언스 삼진제약 POSCO홀딩스 범양건영 파미셀 동국홀딩스 대원전선 이수화학 삼성증권 삼영무역 한양증권 금호석유화학 유안타증권 제일파마홀딩스 에이엔피 한창제지 넥센 삼성공조 세방전지 진원생명과학 참엔지니어링 한국무브넥스 코스모신소재 덕성 신영증권 유진증권 유화증권 한신기계공업 코스모화학 가온전선 S-Oi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화전자공업 현대제철 써니전자 현대비앤지스틸 사조오양 한화투자증권 삼화전기 SK증권 평화홀딩스 일신석재 KG스틸 아이에스동서 SH에너지화학 대한화섬 코리아써키트 신세계 OCI홀딩스 삼일제약 인스코비 일성아이에스 현대건설 TCC스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F&F 홀딩스 아남전자 HD현대미포 GS건설 삼아알미늄 한국전자홀딩스 삼성SDI 삼성전기 동부건설 케이씨티시 코오롱글로벌 빙그레 녹십자홀딩스 시알홀딩스 현대약품 남양유업 남선알미늄 한국화장품제조 현대코퍼레이션 LS SK네트웍스 경농 티웨이홀딩스 동방아그로 송원산업 진흥기업 한국석유공업 천일고속 대원강업 만호제강 조광피혁 세방 동양철관 대유에이텍 남광토건 삼영전자공업 신영와코루 오리엔트바이오 조비 한국공항 조광페인트 삼천리 성보화학 조흥 금양 사조대림 비비안 SNT다이내믹스 한신공영 농심 삼영 성신양회 신라교역 신풍 종근당홀딩스 크라운해태홀딩스 한독 SG글로벌 SK디스커버리 샘표 흥아해운 GS글로벌 금호건설 삼부토건 삼화콘덴서공업 페이퍼코리아 동양 한화 JW중외제약 영풍 백광산업 성창기업지주 한창 삼화왕관 KR모터스 고려제강 태양금속공업 SUN&L DRB동일 넥센타이어 SG세계물산 롯데정밀화학 동화약품 DL LX인터내셔널 국제약품 태광산업 부산주공 한일현대시멘트 CS홀딩스 신성통상 DB하이텍 대림통상 유유제약 강남제비스코 대신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일전자 삼성제약 삼성화재해상보험 삼양식품 한화손해보험 NI스틸 일동홀딩스 대동 오리온홀딩스 깨끗한나라 태원물산 코오롱 삼성전자 대유플러스 BYC KG모빌리티 쌍용씨앤이 SPC삼립 흥국화재 일양약품 한진 한국수출포장공업 현대자동차 모나미 한화솔루션 아세아 카프로 롯데지주 대한방직 서울식품공업 아이에이치큐 LS네트웍스 금호전기 하이트진로홀딩스 노루홀딩스 기아 효성 CJ 두산 휴스틸 DB손해보험 TYM 대웅 진양산업 영진약품 케이씨씨 롯데칠성음료 일신방직 아모레퍼시픽그룹 제주은행 한솔홀딩스 벽산 롯데손해보험 대한제분 대상 LG 동아쏘시오홀딩스 코리안리 한국주철관공업 한일홀딩스 엔피씨 세아제강지주 대한전선 대한제당 삼양홀딩스 세기상사 한국앤컴퍼니 전방 대한항공 디아이동일 유한양행 CJ대한통운 경방 유수홀딩스 한진중공업홀딩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바이오팜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
---|---|
HD현대마린솔루션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
현대글로비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
DB손해보험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
LG생활건강 엘지생활건강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