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의 개요
[지주회사]
1. 에코프로
지주회사는 다른 회사의 주식을 확보하며 그 회사에 실질 지배력을 행사하고 이를 통해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를 의미합니다. 지주회사의 수익은 일반적으로 용역 및 브랜드사용료, 배당금 수익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자회사 및 관계회사에 대한 사업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에 따라 자회사 및 관계회사들의 경영실적이 지주회사 경영실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또한, 지주회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 지주회사의 행위제한 요건이 규정 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38조 제3항에 따라 과징금을 부과 받을 수 있고, 동법 제124조 및 제128조에 의한 벌칙을 부과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22년 2월 11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조 제7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에 의거, 지주회사의 법적 기준을 충족하여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승인 받은 바 있습니다.
당사 및 당사의 종속회사들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소속회사
전지재료사업부문 에코프로비엠(연결),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에코프로에이피, 에코프로씨엔지
환경사업부문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전지재료사업부문]
1. 에코프로비엠(연결)
리튬이온전지는 크게 충전 및 방전 전압이 높은 양극재(Cathode), 충전 및 방전 전압이 낮은 음극재(Anode), 리튬 이온의 이동 매개체인 전해질(Electrolyte) 그리고 전기적 단락 방지를 위한 분리막(Separator), 4가지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주요 제품은 하이니켈 NCA와 NCM 양극재로 니켈 함량을 극대화하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가가 높은 코발트는 적게 사용하며 안정성을 확대한 제품입니다. 또한, 에코프로비엠은 NCA, NCM 양극재를 동시 생산하며 각형/원통형/파우치형과 같은 모든 배터리 타입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에코프로비엠의 NCA 양극재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출력의 장점을 바탕으로, 에코프로비엠의 NCA 제품은 주로 전동공구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해 왔으나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이 확대 되면서 전기차 시장으로의 판매 성장이 빠르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에코프로비엠은 2016년, EV용 NCM811 양극활물질 양산에 성공하며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 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NCM811은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보유한 제품입니다. 해당 제품은 전방 고객의 전기차 Flagship 모델에 적용되며 높은 판매 성장을 기록 중이며, NCM 9 ½ ½의 경우 북미 시장에서 큰 폭의 판매 성장 중입니다.
당기 중 NCA/NCM을 포함한 당사 양극활물질은 연결기준 약 6조 9,009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에코프로비엠 및 종속회사의 사업의 내용은 동일합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전지재료 계열사와 함께 원가,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업스트림 밸류 체인을 확대하여 시장 내 차별화된 지위를 확고히 할 것입니다.
* 출처 : 한국IR협의회, NICE디앤비 에코프로비엠기술분석보고서, 당사 재구성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하이니켈 전구체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구체는 양극소재에서 가장 높은 원가 비중을 차지하고 동시에 전구체 합성기술이 양극소재의 핵심 성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양극활물질에서 매우 중요한 원재료에 해당 됩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2022년 전구체 2공장 증설을 통한 생산능력 확대 및 고객사의 수요 증가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3% 증가한 9,525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제조, 생산 및 판매하는 전구체 제품은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로서 EV, 전동공구, 그리고 ESS 산업에서 사용 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전기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핵심 원재료인 전구체 시장의 성장 또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최고의 기술력과 풍부한 Reference를 갖춘 하이니켈 양극소재용 전구체 전문제조 기업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생산 경험 - Ni 함량 80% 이상의 NCA 전구체 국내 최초 양산(`06)
- EV용 NCM811 전구체 글로벌 최초 양산('17)
- EV용 NCM9 ½½전구체 글로벌 최초 양산('21)
원가 경쟁력 - 공정 효율화를 통한 생산량 증대 및 원가 경쟁력
-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사용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기술력 - 농도구배형(Concentration Gradient) 전구체 합성 기술 보유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당사의 주요 자회사인 주식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우수한 품질 및 높은 성장성을 보유한 리튬 이온 비즈니스 전문 기업으로서, 리튬 분쇄/가공 및 수산화리튬전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리튬은 모든 종류의 배터리에 들어가는 필수 소재로서 전기차 시장 확대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며 '하얀 석유'라는 별칭을 얻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원천 기술 기반의 신규 프로젝트 중심의 고속 성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성장 전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LH전환 사업 진출 - LH전환 신규사업 양산 개시 (`21년 4Q)
- 공업용 탄산리튬→ 이차전지용 수산화리튬전환 기술 보유
안정적인 Sourcing 시스템 구축 - 공업용 탄산리튬 장기 공급계약, 스포듀민정광 확보 추진
- 리튬 클레이 등 신규 공급망 확보 위한 기술개발 추진
고객사 확대 추진 - 신규 고객사확보를 통해 외부 매출 및 수익성 제고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2023년 누적 매출액은 리튬분쇄 가공과 리튬전환 가공을 포함하여 약 4,394억원을 기록 했습니다. 전지재료사업부문 계열사의 리튬 원료 자립화를 위한 내재화(In-house)를 통해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원료 및 가격 경쟁력 보유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4. 에코프로에이피
당사의 주요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피는 산소 및 질소 등 산업용 가스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에코프로에이피의 산업용 가스 생산공장인 기체분리공장(ASU)을 통해 생산된 고순도의 산소 및 질소는 하이니켈계 양극재 및 전구체 생산에 사용됩니다.
에코프로에이피가 생산하는 고순도의 산소 및 질소의 경우 이차전지용 배터리의 소재인 양극활물질의 필수 구성물로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수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방산업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ASU1공장 외에 ASU2공장을 증설하는 등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피는 현재 경북 포항시에 위치한 산업단지내에 ASU공장 및 파이프라인을 설치하여 전방업체에 산업용 가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2023년 누적 매출액은 약 310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5. 에코프로씨엔지
당사의 주요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에코프로씨엔지는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 및 배터리 스크랩에서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유가금속을 회수하여 리튬화합물과 니켈/코발트/망간의 복합염을 제조하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전문기업으로 전방산업인 배터리업체 및 배터리 소재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하여 배터리 원가 경쟁력 확보 및 환경 보전과 자원 순환에 앞장서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씨엔지의 2023년 누적 매출액은 1,029억원을 기록했으며, 국제사회의 친환경 정책 강화로 EV용 이차전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대응하기 위해 BRP2공장의 추가 증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환경사업부문]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에코프로에이치엔은 국내 유일의 친환경 Total Solution 전문 기업으로, 환경진단/소재설계/유지보수와 솔루션 제공을 융합한 종합 환경시스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으로는 크게 클린룸 케미컬 필터,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이 있습니다.
클린룸 케미컬 필터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정의 Clean Room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여 공정 수율 향상에 기여합니다. 유해물질 종류에 따라 Clean Room 각 부위에 설치되어 각종 유해가스를 제거하며, 신규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맞춤형 설계가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은 중공업, 자동차, 화학 등의 산업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원인인 VOCs(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소재와 엔지니어링 기술을 통합한 Hybrid형 VOCs 제거 기술을 확보하여, 국내 유일의 분석/개발/설계 관리의 Total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발생하는 PFCs(과불화화하합물) 가스를 분해하여 환경보호에 기여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촉매식대용량 PFCs 처리기술은 일반적인 PFCs 제거 기술 대비 30% 이상의 에너지효율을나타내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2023년 4분기 클린룸 케미컬 필터 부문 436억원,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부문 782억원,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부문 1,063억원의 매출 성과를 달성하였고, 환경산업에 대한 소재 및 설비 기술을 동시에 보유한 기업으로서 환경산업 전 부문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기반으로 SDM사업(탄소배출권 사업), 양극재 도판트 등 이차전지 부소재 개발 및 유기 전자재료 분야의 사업 진출 등의 신사업 진출에 관한 중장기 전략을 당사 실적발표회를 통해 안내한 바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지주회사]
1. 에코프로
가.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명칭 및 특성
당사의 주요 수익은 주요 자회사에 업무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취하는 Shared SVC 수익, 자회사 및 기타 투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배당수익, CI 사용수익 및 임대수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hared SVC 및 CI 수익은 외부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적정 비용을 산정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에코프로의 종속 회사들이 필요로 하는 업무 서비스를 제공 하고 그에 따른 적정한 비용을 청구 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1) 연결 기준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대상회사 매출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비율
지주회사 에코프로 배당 수익 등 배당금 수익 등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의 지분 관리 및 투자 260,007 3.6%
환경사업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제품, 상품 등 환경사업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제어 228,946 3.2%
전지재료사업 에코프로비엠(연결) 제품, 상품 등 양극활물질 등 이차전지용 양극 소재 6,900,868 95.1%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양극활물질용 전구체 등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소재 952,523 13.1%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양극활물질용 수산화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소재 439,439 6.1%
에코프로에이피 산업용 가스 이차전지용 산업용 가스 공급 31,021 0.4%
에코프로씨엔지 폐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이차전지) 유기금속 회수 및 재활용 102,923 1.4%
기타사업 에코프로파트너스 - 금융투자 중소기업창업투자 4,926 0.1%
상해예커환경과학유한공사 제품, 상품 등 환경솔루션 산업현장 및 대기층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 - 0.0%
에코로지스틱스 제품, 상품 등 운송사업 물류 서비스 15,413 0.2%
포항ISV그린테크1호VC - 금융투자 중소기업창업투자 1,627 0.0%
(연결조정) (1,677,493) (23.1%)
합계 7,260,200 100.0%
2) 별도 기준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 분 구체적 용도 매출액 비율
배당 수익 자회사 및 기타 투자회사로부터 수취하는 배당수익 223,016 85.8%
기간에 걸쳐 인식 Shared SVC 수익, 브랜드 사용수익(CI) 및 임대수익 등 36,991 14.2%
합계 260,007 100.0%
[전지재료사업부문]
1. 에코프로비엠(연결)
가. 주요 제품에 관한 사항
1)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이미지: 이차전지 구조
이차전지 구조
에코프로비엠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소재(양극재, 양극활물질)를 개발 및 생산하는 전지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전체 배터리 소재 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배터리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입니다. 당사는 니켈 함량이 80% 이상이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양극소재인 하이니켈(High Nickel)계 삼원계 양극활물질을 전문 생산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이 생산하는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의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극 소재
주요 특성
NCA
○ 타 소재에 비해 출력과 에너지 밀도가 높음
○ 고출력을 요구하는 전동공구 및 고성능 프리미엄 전기차에 탑재
○ 당사는 국내 최초 High-Nickel계 NCA 양극소재 상용화('08)
NCM
○ 층상계 구조의 전이금속 층에 니켈, 코발트, 망간이 일정한 비율로 전재
○ 현재 전기차, ESS(Energy Strorage System) 등 중대형전지를 중심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음
○ 당사는 세계 최초로 전기차용 전용 소재인 CSG(Advaced NCM811) 제품을
상용화(`16년)
○ 니켈 함량 90% 이상 제품 양산 시작 (`21년)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연결)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매출액(비율) 비율
양극재
(양극활물질) 하이니켈계 양극소재로서,
코발트 대비 니켈 함량을 높여
원가를 절감 및 용량를 확대
시킨 소재로 고출력 이차전지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되어 가고 있음 NCA, NCM 등 6,886,792 99.8%
기타(임대수익, 스크랩 등)
- 14,076 0.2%
합계 6,900,868 1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가.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하이니켈계 전구체 합성기술 특화기업으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소재용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구체는 양극소재 원가 구성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양극소재의 핵심 성능을 결정합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EV, 전동공구, ESS 배터리 등에 사용 되는 PCSG, PCDS, PNC 전구체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매출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7기 (당기)
매출액 비율
전구체 양극활물질의 핵심 소재 PCSG, PCDS, PNC 등 814,366 85.50%
상품 매출 등 - 138,157 14.50%
합계 952,523 100.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가.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이미지: 에코프로이노베이션_주요 사업영역
에코프로이노베이션_주요 사업영역
하이니켈 양극활물질의 핵심 원재료인 수산화리튬은 EV 및 ESS 등 이차전지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그 필요량이 해마다 증가 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은 수산화리튬 필요량의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저순도의 공업용 탄산리튬으로부터 고순도의 수산화리튬을 전환 및 가공하여 전방 산업인 양극활물질 업체에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 이차전지 관련 업체들의 수산화리튬 해외 의존도를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비율
수산화리튬 및 임가공 하이니켈 양극활물질의 핵심 소재 439,439 100.0%
합계 439,439 10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4. 에코프로에이피
가.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에코프로에이피는 하이니켈 양극활물질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순도의 산소 및 질소 등의 산업용 가스를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코프로 그룹 포항캠퍼스 내에 위치하여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활물질 및 핵심원재료 생산 시설에 고순도의 산업용 가스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비율
산업용 가스 이차전지용 산업용 가스 31,021 100.0%
합계 31,021 10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5. 에코프로씨엔지
가.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에코프로씨엔지는 폐배터리 및 배터리 스크랩, 폐양극재에서 유기금속을 회수 및 재활용하여 전방시장에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전방산업인 이차전지 시장 성장에 따라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비율
폐배터리 재활용 폐배터리(이차전지) 유기금속 회수 및 재활용 102,923 100.0%
합계 102,923 10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환경사업부문]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가.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요 사업 아이템으로는 크게 클린룸 케미컬 필터,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이 있습니다.
1) 클린룸 케미컬 필터는 공기중의 유해물질을 선별적으로 차단하는 제품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등의 초정밀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화학 오염물질(유기, 염기, 산성가스 등)인 AMC(Airborne Molecular Contamination)를 제거하여 미세한 생산 공정에서 필요한 공장의 제품 수율 향상에 도움을 주며, 공기의 질을 개선하여 인체의 유해함을 방지합니다. 동사의 클린룸 케미컬 필터는 90% 이상의 높은 제거 효율과 긴 수명을 보유하고 있고, 독자적인 흡착 소재 기술을 통해 수요기업의 요구에 맞춤형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제품 경량화를 통한 설치 조작이 용이합니다.
이미지: 클린룸 케미컬 필터
클린룸 케미컬 필터
2)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은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인쇄 공장, 석유화학 공장,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장 등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및 복합 악취 물질 등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스템입니다. 동사의 유해가스 저감 설비는 축열연소 설비(RTO)/촉매연소 설비(RCO, CTO)의 연소시스템, 농축+연소 설비(CRTO), Microwave 기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 설비 등이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2018년, Microwave 기반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 설비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하였으며, 기존 설비 대비 30% 이상 에너지 효율성을 확보하였습니다. 해당 설비는 VOCs 악취 성분을 흡착제를 이용하여 전처리 후 Microwave 기술을 통해 탈착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탈착된 VOCs는 최대 1/40의 작은 풍량으로 재농축시키고 이후 촉매산화로 처리함으로써 유해가스를 제거 합니다. VOCs는 촉매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산화 처리되며, 흡착제는 냉각 후 재사용이 가능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해당 기술은 석유화학, 자동차, 제약, 바이오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VOCs 제거 외 제습, Air Dryer로의 기술 확대를 통해 신규 시장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3)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초정밀 제조 환경에서 PFCs(과불화화합물) 가스를 분해 하는 기술입니다. 당사는 2014년, PFCs가 분해 처리가 가능한 대용량 촉매식 분해 시스템 기술을 자체 개발하여 사업 상용화를 이루었습니다. 당사의 고유 기술은 PFCs 가스를 직접 소각하는 기존의 기술 대비 분해 온도를 1,300~1,400도에서 750도로 낮추고, 분해율은 95%에서 99.7%로 높여 운전 효율성이 높은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지: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 출처 : 한국IR협의회, NICE디앤비 에코프로 기술분석보고서, 에코프로HN IR Book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 용도 주요상표 등 매출액 비율
클린룸
케미컬 필터 물리·화학적 흡착 및 분해를 통해
유해가스를 선택적으로 제거 FFU(팬필터),
OAC(외조기필터),
EFU(장비용 필터) 등 43,618 19.1%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산업현장 및 대기층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제거 RTO, CTO, RCO,
Microwave System 등 78,167 34.1%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반도체 및 Display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PFCs(과불화화합물) Gas 제거 RCS System 등 106,258 46.4%
기타 임대 수익 등 - 903 0.4%
합계 228,946 10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지주회사]
1. 에코프로
당사는 지주회사로서 원재료 및 생산설비가 없어 기재를 생략하며, 주요 종속회사를 포함한 연결기준 원재료 매입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매입액 비율
전지재료사업 원재료/ 상품 등 전구체 등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소재 7,618,412 99.6%
환경사업 원재료/ 상품 등 활성탄 외 흡착제 제조 등 30,932 0.4%
합계 - - - 7,649,344 100.0%
※ 전지재료사업 및 환경사업은 다수의 국내/외 매입처를 통하여 주요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으며, 공급 안정성의 관점에서 차질이 발생한 이력은 없습니다.
[전지재료사업부문]
1. 에코프로비엠(연결)
가. 주요 원재료(연결)
1) 주요 원재료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 용도 매입액 비율
전구체,
리튬 등 리튬이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활물질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 6,294,521 99.2%
기타 - 49,447 0.8%
합계 6,343,968 100.0%
※ 계열회사인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및 국내외 다수의 경로를 통하여 주요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으며,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차질이 발생한 이력은 없습니다.
2)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 및 공급시장의 독과점 정도 등
(1) 니켈 현황
① 니켈 가격 동향
2023년 12월 29일, LME 니켈 가격은 16,603달러/톤으로 마감하며 2023년 중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고, 2024년 1월에는 더욱 급락하여 16,007달러/톤을 기록, 2021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하락은 주로 인도네시아 및 중국과 같은 주요 니켈 생산국에서의 공급 과잉, 니켈 시장의 약세, 재고량 증가에 기인합니다. 이에 따라, 주요 니켈 생산 업체들은 운영 방침을 변경하며 프로젝트 중단이나 유지보수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S&P Global Ratings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2024년 LME 3개월물 니켈의 평균 가격을 전년 대비 26.1% 하락한 16,028달러/톤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니켈가격
니켈가격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전략광종 자원시장 월간동향
② 니켈 공급시장 및 공급안정성
Wood Mackenzie에 따르면, 정련니켈의 생산량은 2022년 대비 2025년까지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연평균 약 9%의 증가율을 의미합니다. 2024년 예상되는 생산량은 3,780천톤, 2025년에는 4,111천톤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정련니켈의 소비량 증가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3,503천톤, 2025년에는 3,878천톤으로 각각 13%와 11%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러한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2024년과 2025년에도 각각 277천톤, 233천톤의 공급 과잉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정련니켈의 평균 가격은 21,507달러/톤으로 예상되나, 공급 과잉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2024년에는 16,434달러/톤, 2025년에는 15,423달러/톤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전략광종 자원시장 월간동향
(2) 코발트 현황
①코발트 가격 동향
코발트 시장은 전기차 시장 성장 및 리튬이온배터리 사용량 증가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 감소 및 인플레이션, 고금리로 인한 경제 성장 둔화로 따라 코발트 가격은 2022년 대비 하향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미지: 코발트가격
코발트가격
②코발트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배터리용 코발트 수요는 5년 내 10만 톤 증가할 전망입니다. 전체 코발트 수요 중 배터리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년 57%에서 '25년 72%로 급증할 전망입니다.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코발트 수요는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업체들은 배터리의 코발트 함량을 줄여 비용과 공급망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글로벌 코발트 매장량 (단위: 천톤)
이미지: 글로벌 코발트 매장량
글로벌 코발트 매장량
-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 (단위 : 톤)
이미지: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Mining.com, Newssummits.com
(3) 리튬 현황
① 리튬 가격 추세
2020년 이후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으로 리튬 수요가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세계 전기차 (BEV, PHEV, HEV, 상용차 포함) 판매량은 2020년 6,580천 대에서 2021년에는 68.5% 증가한 11,087천 대로, 그리고 2022년에는 전년 대비 49.9% 증가하여 16,621천 대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따라, 리튬 수요도 2020년 383,000톤 LCE에서 2021년에는 41.8% 증가한 543,000톤 LCE로, 그리고 2022년에는 47.5% 증가한 801,000톤 LCE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리튬 가격은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지만, 중국 내 리튬 채굴량 및 재고 증가와 중국의 이차전지 산업 수요의 위축으로 인해 2023년을 시작으로 리튬 가격은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리튬가격
리튬가격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② 리튬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리튬은 21세기 들어서며 2차전지 원료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세계 생산량의 약 70%는 안데스산맥에 위치한 염수호(Salt Lake)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리튬은 알루미늄 전해 시 리튬 화합물을 첨가하면 전류의 흐름을 더 쉽게 하는 성질이 있어 알루미늄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 요업, 에어컨, 합성고무 제조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튬은 2차전지 시장의 확대로 연간 4% 이상의 수요 확대가 전망되는 등 향후 관심을 받는 품목이며, 한국의 경우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lithium hydroxide)을 중심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메이저 리튬 생산업체 Albemarle사는 미국 IRA법 및 전기차 수요 증가로 2030년 세계 리튬 수요가 370만 톤(LCE)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리튬 공급량은 290만 톤(LME)에 그쳐 80만 톤가량의 공급부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글로벌 리튬 매장량
이미지: 글로벌 리튬 매장량
글로벌 리튬 매장량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글로벌 리튬 광산 생산량
이미지: 국가별 리튬 생산량
국가별 리튬 생산량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글로벌 리튬 정련 생산량
이미지: 국가별 정련 생산량
국가별 정련 생산량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나.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에코프로비엠의 생산능력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도 별 양극 소재 생산능력
(단위 : 톤/월)
구분 2020년 말 2021년 말 2022년 말 2023년 말 2024년 말 (예정)
양극활물질
(NCA, NCM) 약 5,000톤 약 6,400톤 약 15,000톤 약 15,800톤 약 18,800톤
(1) 생산능력의 산출 근거
각 생산라인의 설계 기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일 평균 가동시간 24시간을 적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최근 이차전지 양극재 사업의 관심집중에 따른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오창캠퍼스 본사, CAM4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2산단로 100
CAM1 ~ CAM3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송대길 116
포항캠퍼스 CAM5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75번길 10
CAM6, CAM7 (에코프로이엠)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곡강리 1669
(2)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합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연구기자재
기초 639,028 41,340 152,256 92,610 323,628 149 6,672 22,373
증감 388,873 28,028 75,468 39,202 244,441 (33) 2,053 (286)
기말
1,027,902 69,368 227,724 131,813 568,069 116 8,725 22,087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향후 투자계획
에코프로비엠은 시장 변화에 유연히 대응하고, IRA 및 CRMA와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최소화 하기 위해 국내를 넘어 북미, 유럽 현지 내 양극재 생산시설을 확보 하고자 합니다. 에코프로비엠은 2023년 말 기준 연산 19만톤의 양극활물질 생산능력을 2027년까지 71만톤으로 확대 하고자 하며, 시장 수요에 맞춰 보다 유연한 생산능력을 갖출 계획입니다. 2024년의 경우 CAM8 및 LFP 파일럿 공장이 준공될 예정에 있으며, 헝가리, 캐나다 등 다수의 양극재 공장 증설이 진행중입니다.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가. 주요 원재료 현황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주요 원재료는 니켈, 코발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원재료 별 매입액 및 매입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목 구체적 용도 매입액 비율
니켈 전구체 제조 606,824 86.85%
코발트 59,386 8.50%
기타 32,488 4.65%
합계 698,698 100.00%
※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주요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품목 등에 대한 원재료 구매는 MHP, MCP 및 니켈 브리켓, 파우더, 황산니켈 등 다양한 형태로 매입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 변동추이
'Ⅱ. 사업의 내용' -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내 '1. 에코프로비엠' 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생산능력 및 설비
1) 생산능력
(단위 : 톤 / 연 )
사업부문 품 목 구분 2023년 2022년 2021년
전구체 PCSG, PCDS,
PNC 등 CPM1 24,000 24,000 20,000
CPM2 26,000 26,000 -
(1) 생산능력의 산출 근거
각 생산라인의 설계 기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일 평균 가동시간 24시간을 적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에코프로머티리얼즈
(RMP 1,2 / CPM 1,2)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5
(2)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
구분 합계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연구기자재 기타의
유형자산
기초 245,131 80,955 - 155,416 92 3,451 1,694 3,523
증감 137,950 34,606 166 93,216 (3) 2,574 85 7,306
기말 383,081 115,561 166 248,632 89 6,025 1,779 10,829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향후 투자계획
최근 이차전지 소재 시장은 세계 각국의 정부가 추진하는 환경규제 및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 등에 힘 입어 전기차 시장과 함께 폭발적인 성장을 맞이 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시장 조사기관들은 향후 전기차 시장의 미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있으며 이와 함께 이차전지 소재 시장 역시 빠르게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빠르게 확대되는 하이니켈 전구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생산규모 확대 및 해외 생산 거점을 위한 투자를 계획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선도적 지위를 더욱 견고히 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증설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 방안으로 금융권 차입 및 자본시장으로부터의 자금 조달을 계획 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국내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 및 블루밸리 산업단지내 부지를 확보하고 예상 수요에 기반한 생산능력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4년 2월 28일 고객사 수요 대응을 목적으로 이사회 결의를 통해 9,573억원 규모의 전구체 제조설비 및 황산메탈 제련설비 시설투자를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전구체 66,000톤/년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시설투자로 폐수 재활용 기술인 EWT(Eco-friendly Wastewater Treatment)공법이 신규 도입될 예정입니다.
동사는 고객사의 수요에 발맞춰 중장기적으로 생산능력을 2027년까지 전구체 210,000톤/년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가.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주요 사업은 탄산리튬을 주요 원재료로 사용 중에 있으며 해당 원재료에 대한 가격변동추이는 동 사업보고서 내 'Ⅱ. 사업의 내용' 중 에코프로비엠의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나.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단위 : 톤/ 월)
사업부문 회사명 품 목 단위 2023년 2022년 2021년
전지재료사업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리튬 분쇄 톤 7,800 7,800 2,600
리튬 전환 톤 1,080 1,080 1,080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3)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①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본사(포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0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오창 공장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87-40
②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합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연구기자재 임차자산
개량권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기초 90,701 5,648 18,517 420 63,490 - 1,568 978 80
증감 19,991 - (1,225) 50 21,542 21 (266) (156) 25
기말 110,692 5,648 17,292 470 85,032 21 1,302 822 105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4) 향후 투자계획
리튬 시장은 중장기 전기차 시장의 성장 전망과 함께 그 수요 또한 가파른 상승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국내외 거점을 기반으로 리튬전환 및 수산화리튬 가공 사업의 생산 능력 확대를 지속코자 하며, 이를 통해 가격 경쟁력 확보 및 높은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심화된 경쟁 시장 속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것 입니다.
4. 에코프로에이피
가.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단위 : 천Nm³/ 월)
사업부문 회사명 품 목 단위 2023년 2022년 2021년
전지재료사업 에코프로에이피 산업용 가스 Nm³ 9,333 9,333 9,333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3)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①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에코프로에이피 본사(포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0
②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합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공기구비품
에코프로에이피 기초 35,879 2,781 4,546 63 28,311 178
증감 (3,622) - (268) (3) (3,356) 5
기말 32,257 2,781 4,278 60 24,955 183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4) 향후 투자계획
최근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관련 부재료의 수요 또한 가파르게 증가 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에이피는 양극활물질 및 전구체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고순도의 산소 및 질소를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 중에 있으며 빠르게 증가 되는 시장 수요에 맞춰 적극적인 생산능력 확대를 계획 중에 있습니다.
5. 에코프로씨엔지
가. 주요 원재료의 가격변동추이
에코프로씨엔지의 주요 사업은 양극재, 배터리 생산 과정 및 사용 수명이 다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 및 배터리 스크랩, 폐양극재를 원료로 하여 사용 중에 있으며, 원재료의 가격의 경우 포함된 광물 시세의 변동 및 고객사와의 구매계약에 따라 결정되고 있습니다.
나.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단위 : 톤/ 월)
사업부문 회사명 품 목 단위 2023년 2022년 2021년
전지재료사업 에코프로씨엔지 폐배터리 재활용 톤 1,000 1,000 1,000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3)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①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에코프로씨엔지 본사(포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0
②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합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공기구비품 연구기자재
에코프로씨엔지 기초 46,119 3,853 9,098 217 32,508 443 0
증감 581 - (213) 303 257 (12) 246
기말 46,700 3,853 8,885 520 32,765 431 246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4) 향후 투자계획
이차전지 시장에 따른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국내에 전처리 및 후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BRP 공장의 추가 증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IRA, CRMA등 해외 환경 관련 규제 대응을 위한 자원 순환 구조의 구성 및 배터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객사와의 동반 해외 진출 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환경사업]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가. 주요 원재료
1) 주요 원재료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매입유형 품목 구체적 용도 매입액 비율
원재료 활성탄 Media 제조 1,599 5.2%
이온교환수지 Media 제조 3,386 10.9%
필터 프레임 케미컬 필터 제조 6,878 22.2%
기타 제품 제조 19,069 61.6%
합계 30,932 100%
※ 주요 원재료의 매입처와 당사간의 특수한 관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당사는 다수의 국내/외 매입처를 통하여 주요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으며, 공급 안정성의 관점에서 차질이 발생한 이력은 없습니다.
※ 기술/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매입처, 가격변동추이 등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나.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사업부문 품목 단위 2023년 2022년 2021년
클린룸 케미컬 필터 Chemical Filter EA 60,000 60,000 60,000
※ 각 생산라인의 설계 기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일 평균 가동시간 9시간을 적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클린룸 케미컬 필터 사업의 특성상 고객사의 주문에 의해 총 생산량의 차이가 연도별로 존재하며, 상기 생산능력은 외조기용 필터를 제외하였습니다.
※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및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은 고객의 사업장에 대규모 설비 장치를 설치하는 고객맞춤형 제품으로, 규격화된 생산능력을 산출하기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3)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에코프로HN 본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87-40
에코프로HN 평택 사무소 경기도 평택시 지제동 843-3
에코프로HN 화성 사무소 경기도 화성시 영통로 50번길 7-4
에코프로HN 울산 사무소 울산광역시 동구 등대5길 36
에코프로HN 당진 사무소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서정로57
(2)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합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연구기자재
기초 44,691 15,989 10,896 6,303 5,845 133 851 4,674
증감 (2,973) (350) (1,704) (353) (373) (19) (252) 78
기말
41,718 15,639 9,192 5,950 5,472 114 599 4,752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4) 향후 투자계획
(1) 탄소배출권 사업(SDM 사업)
에코프로에이치엔은 경쟁력 높은 온실가스 저감 기술력을 확보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탄소배출권 사업(SDM 사업)에 진출, 미래성장동력을 확보 하고자 합니다. 해당 사업은 해외 기업에서 온실가스 저감 기술을 지원하여 가스 배출량을 감축 하고 이를 UNFCCC 기구로부터 인정 받아, 한국의 탄소배출권 시장에 판매하는 구조 입니다. 당사는 중국 내 다수의 질산 제조 기업에게 N2O 제거 기술 및 처리설비를 제공하고 감축을 통해 인정 받은 탄소배출권을 판매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한 설비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이사회 결의 등을 통해 투자계획이 확정되는대로 관련 공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2) 신사업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현재 이차전지 부소재 및 유기 전자재료 신사업 개발을 활발히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신규 시장에 진출하고자 합니다. 특히, 이차전지 부소재의 경우 2024년 양산을 목표로 양극재 도판트 및 도가니 등 양극재에 필요한 핵심 부재료를 개발하고 그룹 내 전지재료 사업과의 긴밀한 공급망을 구축하여 안정적인 이차전지 시장 진출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전자재료 소재 사업은 고객사와의 협력 및 산학협력을 통한 연구개발을 진행중이며, 2024년 양산을 목표로 사업 준비에 만전을 다하고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지주회사]
1. 에코프로
가. 매출(연결)
(단위 : 백만원)
구분 매출유형 품 목 제26기
(2023년) 제25기
(2022년) 제24기
(2021년)
에코프로 기타매출
임대수익 배당금 수익 수출 - - -
내수 223,016 107,294 4,941
계 223,016 107,294 4,941
용역 수익
(SVC, CI 사용료 등) 수출 - - -
내수 36,991 28,797 12,423
계 36,991 28,797 12,423
합계 수출 - - -
내수 260,007 136,091 17,364
계 260,007 136,091 17,364
에코프로비엠
(연결) 제품
상품
기타매출 양극활물질 수출 6,005,986 4,017,733 1,408,879
내수 880,806 1,329,484 71,699
계 6,886,792 5,347,217 1,480,578
기타 수출 - - -
내수 14,076 10,390 5,050
계 14,076 10,390 5,050
합계 수출 6,005,986 4,017,733 1,408,879
내수 894,882 1,339,874 76,749
계 6,900,868 5,357,607 1,485,629
에코프로
머티리얼즈 제품
기타매출 전구체 수출 - - -
내수 952,523 665,248 342,888
계 952,523 665,248 342,888
에코프로
이노베이션 제품
상품
기타매출 양극소재용
리튬 생산 수출 - - -
내수 410,357 391,942 28,016
계 410,357 391,942 28,016
리튬 분쇄
및 가공 수출 - - -
내수 29,082 31,700 19,142
계 29,082 31,700 19,142
합계 수출 - - -
내수 439,439 423,642 47,158
계 439,439 423,642 47,158
에코프로
에이피 제품 산업용
가스 수출 - - -
내수 31,021 21,426 4,543
계 31,021 21,426 4,543
에코프로
씨엔지 제품 폐배터리
리사이클 수출 - - -
내수 102,923 109,010 -
계 102,923 109,010 -
에코프로
에이치엔 제품
상품
기타매출 클린룸
케미컬 필터 수출 7,857 6,687 1,033
내수 35,995 48,463 4,696
계 43,852 55,150 5,729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수출 6,421 6,630 -
내수 71,508 63,912 9,937
계 77,929 70,542 9,937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수출 38,090 - 735
내수 67,953 91,862 8,633
계 106,043 91,862 9,368
기타
(임대수익 등) 수출 215 - -
내수 907 684 105
계 1,122 684 105
합계 수출 52,583 13,317 1,768
내수 176,363 204,921 23,371
계 228,946 218,238 25,139
에코프로
파트너스 금융투자 중소기업창업투자 수출 - - -
내수 4,926 696 537
계 4,926 696 537
상해예커환경과학
유한공사 제품 환경사업솔루션 수출 - 2,223 141
내수 - - -
계 - 2,223 141
에코로지스틱스 운송 물류 사업 수출 - - -
내수 15,413 8,981 1,299
계 15,413 8,981 1,299
포항ISV그린테크
1호VC 금융투자 중소기업창업투자 수출 - - -
내수 1,627 3 1
계 1,627 3 1
내부거래제거 (1,677,493) (1,303,424) (420,586)
총계 수출 6,058,569 4,033,273 1,410,788
내수 1,201,631 1,606,468 93,325
계 7,260,200 5,639,741 1,504,113
※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치엔의 2021년 연결대상 매출액은 2021년 11월 ~ 2021년 12월 기간의 매출액 입니다.
[전지재료사업부문]
1. 에코프로비엠(연결)
가. 매출(연결)
1) 매출실적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제 8기
(2023년) 제 7 기
(2022년) 제 6 기
(2021년)
양극재
(양극활물질) 수출 6,759,012 5,172,347 1,408,879
내수 127,779 167,583 71,699
계 6,886,791 5,339,930 1,480,578
기타
(상품, 용역 등) 수출 - - -
내수 14,076 17,678 5,050
계 14,076 17,678 5,050
합계 수출 6,759,012 5,172,347 1,408,879
내수 141,855 185,261 76,749
계 6,900,867 5,357,608 1,485,629
※ 상기 수출금액은 간접수출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2) 매출업무
구분 내용
(1) 영업계획 수립 연간 기준으로 내부 경영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고객사 Forecast를 기반으로 제품별, 고객별, 월별 판매 목표를 양산 제품 위주로 작성합니다. 작성된 영업계획은 확정 후 사업기획팀, 생산팀 등 유관부서에 배포하게 됩니다.
(2) INQUIRY(고객사요구물량) 접수 고객으로부터 INQUIRY 접수시 생산 가능성을 1차적으로 검토합니다(용도, 규격, 수량, 납기, 가격 등). 필요 시에는 신규 제품 개발 및 양산 검토 후 검토 결과를 고객에통보하게 됩니다.
(3) 신용조사 신규 고객 INQUIRY 접수 시 고객사 신용조사 진행(신용등급, 소송 내역 등) 후
INQUIRY에 대응하게 됩니다
(4) 견적 견적의뢰 접수 시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검토 후 내부 품의 득결 후 고객사에
견적을 제출합니다.
(5) 주문접수 고객으로부터 주문접수 후 유관부서와 생산 가능 여부를 검토(기존제품 및 신규제품별 항목 검토)하고, 고객사에 수량, 납기 등 검토 결과를 통보합니다.
(6) 생산의뢰 주문접수 상세 내역을 생산부서에 통보(E-MAIL, ERP 수주등록 등)합니다.
(7) 납기관리 납기 변동사항(고객의 요구, 생산 지연 등) 발생 시 고객 및 생산부서와 협의하여
납기를 조정합니다.
(8) 매출채권 관리 고객사별 결제조건을 기준으로 매월 고객사별 수금계획 및 입금현황 등 매출채권을관리합니다.
(9) 영업실적 분석 월별, 분기별, 반기별, 연간 계획 대비 실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부진한 경우
원인분석 및 만회대책을 수립합니다.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 8 기
(2023년)
제 7 기
(2022년)
제 6 기
(2021년)
수출
Cell제조업체 등
6,759,012 5,172,347 1,408,879
내수
Cell제조업체 등
141,855 185,261 76,749
합계
6,900,867 5,357,608 1,485,629
2) 판매방법 및 조건
내수의 경우 현금 결제, 수출은 T/T 결제 등의 방법으로 대금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대비용의 경우 고객사와의 협의 및 계약조건에 따라 부담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① 판매 목표: 중장기 글로벌 No.1 양극소재 업체로의 도약을 위한 기반 구축
② 세부 판매 전략
판매 전략
세부 추진 계획
Deeper
(기존 고객 확대/안정화)
- 공급 안정성 확보 및 선제적 Line 증설을 위한 장기 파트너십 관계 구축
- 고객 개발 Roadmap에 맞춘 소재 개발로 고객 Needs 충족
Wider
(미래 성장 동력 발굴)
- 신규 개발 제품의 개선 및 공급 가격 최적화
- 신규고객 확보 및 장기공급계약(LTA) 체결을 위한 전략적 거래선 육성
- Cell Maker와의 협업 체제 구축
Faster
(영업 Level 고도화)
- Demand 적중률 개선으로 수요 안정화 향상
- 영업 기획 기능 강화
- Marketing 기능 강화
4)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이차전지 Cell 제조 업체로 삼성SDI, SK온, TMM 등이 있으며, 주요 매출처에 대한 매출비중은 98.8% 입니다.
다. 수주상황
에코프로비엠의 수주 진행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진행 됩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고객사와의 중장기 공급계약을 확약하고 계약 기간 중 확약된 계약 물량을 바탕으로 거래가 진행 되는 방식, 그리고 수요업체와 기본 거래계약을 체결하고 1개월 전에 예상사용량을 통보 받아 생산 납품하는 형식을 취하고 방식이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대상 기간 중 진행 기준 수익을 인식하는 수주계약 거래는 없습니다.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가. 매출실적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제 7 기
(2023년말)
제 6 기
(2022년말)
제 5 기
(2021년말)
전구체 수출 744,173 549,743 264,379
내수 70,193 69,534 77,390
계 814,366 619,277 341,769
상품 매출 등 수출 127,863 41,185 -
내수 10,295 4,786 1,119
계 138,157 45,971 1,119
합계 수출 872,036 590,928 264,379
내수 80,487 74,320 78,509
계 952,523 665,248 342,888
※ 상기 수출금액은 간접수출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나. 매출업무
구분 내용
(1) 영업계획 수립 연간 기준으로 내부 경영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고객사 Forecast를 기반으로 제품별, 고객별, 월별 판매 목표를 양산 제품 위주로 작성합니다. 작성된 영업계획은 확정 후 사업기획팀, 생산팀 등 유관부서에 배포하게 됩니다.
(2) INQUIRY(고객사요구물량) 접수 고객으로부터 INQUIRY 접수시 생산 가능성을 1차적으로 검토합니다(용도, 규격, 수량, 납기, 가격 등). 필요 시에는 신규 제품 개발 및 양산 검토 후 검토 결과를 고객에통보하게 됩니다.
(3) 신용조사 신규 고객 INQUIRY 접수 시 고객사 신용조사 진행(신용등급, 소송 내역 등) 후
INQUIRY에 대응하게 됩니다
(4) 견적 견적의뢰 접수 시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검토 후 내부 품의 득결 후 고객사에
견적을 제출합니다.
(5) 주문접수 고객으로부터 주문접수 후 유관부서와 생산 가능 여부를 검토(기존제품 및 신규제품별 항목 검토)하고, 고객사에 수량, 납기 등 검토 결과를 통보합니다.
(6) 생산의뢰 주문접수 상세 내역을 생산부서에 통보(E-MAIL, ERP 수주등록 등)합니다.
(7) 납기관리 납기 변동사항(고객의 요구, 생산 지연 등) 발생 시 고객 및 생산부서와 협의하여
납기를 조정합니다.
(8) 매출채권 관리 고객사별 결제조건을 기준으로 매월 고객사별 수금계획 및 입금현황 등 매출채권을관리합니다.
(9) 영업실적 분석 월별, 분기별, 반기별, 연간 계획 대비 실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부진한 경우
원인분석 및 만회대책을 수립합니다.
다.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7기
(2023년)
제6기
(2022년)
제5기
(2021년)
수출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872,036 590,928 264,379
내수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80,487 74,320 78,509
합계
952,523 665,248 342,888
※ 수출금액은 간접수출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2) 판매전략
(1) 판매 목표: '글로벌 No.1 하이니켈 전구체 전문 제조 기업'으로서 입지 구축
(2) 세부 판매 전략
판매 전략
세부 추진 계획
조기 시장 진입 - 최단 승인 모델 집중 발굴
- 고객 맞춤형 제품 집중 공략
유연한 원료 수급 체계 구축 - 다양한 구매 방식의 원료 적용으로 경쟁력 강화
- 다양한 원료에 대한 공정 및 제품 추적 시스템 구축
개발과 연계한 역량 강화 - 시장 변화의 전제 대응으로 시장 선도 기업 입지 구축
- '소재 전문 기업' 이미지 확보
라. 수주상황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수주 진행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진행 됩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고객사와의 중장기 공급계약을 확약하고 계약 기간 중 확약된 계약 물량을 바탕으로 거래가 진행 되는 방식, 그리고 수요업체와 기본 거래계약을 체결하고 1개월 전에 예상사용량을 통보 받아 생산 납품하는 형식을 취하고 방식이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대상 기간 중 진행 기준 수익을 인식하는 수주계약 거래는 없습니다.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가. 매출실적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제19기
(2023년) 제18기
(2022년) 제17기
(2021년)
양극소재용
수산화리튬 수출 - - -
내수 410,357 391,942 28,016
계 410,357 391,942 28,016
분쇄가공 수출 - - -
내수 29,082 31,700 19,142
계 29,082 31,700 19,142
합계 수출 - - -
내수 439,439 423,642 47,158
계 439,439 423,642 47,158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19기
(2023년)
제18기
(2022년)
제17기
(2021년)
수출
에코프로이노베이션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 - -
내수
에코프로이노베이션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439,439 423,642 47,158
합계
439,439 423,642 47,158
2) 판매전략
① 판매 목표: 리튬 원료의 Downstream화를 통한 수산화리튬 원가 경쟁력 강화
② 세부 판매 전략
판매 전략
세부 추진 계획
기술 고도화 - 전환공정 기술 고도화
- 다양한 원료처리 기술
원가경쟁력 확보 - 원재료 제련 기술 확보
- LHM 공장 증설 추진
친환경기술 개발 - 원천 기술 기반 친환경 기술 개발
다. 수주상황
주식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제품은 통상 30일 내외의 단기 발주형식으로, 수요업체와 기본거래계약을 체결하고 1개월 전에 예상사용량을 통보 받은 후 생산 납품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어 수주현황은 작성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이에 수주상황에 대한 기재를 생략합니다.
4. 에코프로에이피
가. 매출실적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제12기
(2023년) 제11기
(2022년) 제10기
(2021년)
산업용 가스 수출 - - -
내수 31,021 21,426 4,543
계 31,021 21,426 4,543
나. 판매경로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12기
(2023년) 제11기
(2022년) 제10기
(2021년)
수출
에코프로에이피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 - -
내수
에코프로에이피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31,021 21,426 4,543
합계
31,021 21,426 4,543
다. 수주상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5. 에코프로씨엔지
가. 매출실적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제4기
(2023년) 제3기
(2022년) 제2기
(2021년)
폐배터리
재활용 수출 - - -
내수 102,923 109,010 -
계 102,923 109,010 -
나. 판매경로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4기
(2023년) 제3기
(2022년) 제2기
(2021년)
수출
에코프로씨엔지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 - -
내수
에코프로씨엔지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102,923 109,010 -
합계
102,923 109,010 -
다. 수주상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환경사업부문]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가. 매출실적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매출유형 품 목 제 3 기
(2023년) 제 2 기
(2022년) 제 1 기
(2021.05.01
~2021.12.31)
제품 클린룸
케미컬 필터 수출 7,878 6,687 4,014
내수 35,740 48,463 16,651
계 43,618 55,150 20,665
제품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수출 5,139 6,630 2,550
내수 73,028 63,912 34,890
계 78,167 70,542 37,440
제품,
용역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수출 38,921 - 735
내수 67,337 91,862 31,682
계 106,258 91,862 32,417
기타매출 기 타 수출 - - -
내수 903 684 382
계 903 684 382
합 계 수출 51,938 13,317 7,299
내수 177,008 204,921 83,605
계 228,946 218,238 90,904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기준일 : 2023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 3 기
(2023년)
제 2 기
(2022년)
제 1 기
(2021.05.01
~2021.12.31)
수출
에코프로에이치엔 → 반도체/디스플레이/중공업 사업장 등
51,938 13,317 7,299
내수
에코프로에이치엔 → 반도체/디스플레이/중공업 사업장 등 177,008 204,921 83,605
합계
228,946 218,238 90,904
2) 판매방법 및 조건
매출유형 품 목 주요 계약 조건
제품 클린룸 케미컬
필터 - 주요 매출유형 : 제품매출
- 주요 계약 조건 : 일반공급계약(납품 후 100% 지급)
제품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 주요 매출유형 : 공사매출
- 주요 계약 조건
① 선급금(계약금액의 10%) : 계약이행/선급금보증증권 등 제출 후
② 중도금(계약금액의 70%) : 입고완료 및 자재양도각서 제출 후
③ 잔금(계약금액의 20%) : 설치/시운전 완료 후 하자보증증권 제출 후
제품, 용역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 주요 매출유형 : 공사매출
- 주요 계약 조건
① 초도 지불금(계약금액의 20%) : VP 승인 후 지급
② 중도 지불금(계약금액의 70%) : 납품 Progress에 따라 지급
③ 잔금 지불(계약금액의 10%) : 시운전 완료 후 지급
3) 판매전략
① 판매 목표 : 강소사업 다각화를 통한 사업영역 확대 및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으로 도약
② 세부 판매 전략
사업부문
세부 추진 계획
클린룸 케미컬 필터 - 클린룸 오염제어 솔루션 리더 입지 확보
- 장비용 케미컬 필터 확장을 통한 고부가가치 품목 증대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 환경플랜트 설비의 고효율 설비 수요 증가에 맞춰 기술기반 사업 고도화
- 국내외 Microwave 기술 확장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 온실가스 감축 전문기업화
- 온실가스 감축(탄소배출권)에 대한 선제적 대응
다. 주요 매출처
당기 중 회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매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제 3 기
(2023년) 제 2 기
(2022년)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주요거래처(A) 67,719 29.6% 86,877 39.8%
주요거래처(B) 25,197 11.0% 26,319 12.1%
주요거래처(C) - - - -
주요거래처(D) - - - -
※ 상기 비중은 공시대상기간의 전체 매출액 대비 주요거래처의 매출액 비중을 기재하였습니다.
라. 수주상황
(단위 : 백만원)
품목 수주
일자 납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클린룸
케미컬 필터 ~
2023.12.31 - - 52,322 - 43,352 - 8,970
온실가스
감축 솔루션 - - 130,545 - 106,043 - 24,502
미세먼지
저감 솔루션 - - 92,971 - 78,166 - 14,805
합 계 - 275,839 - 227,561 - 48,278
※ 산업 내 영업활동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수주의 세부 내역이 아닌 부문별 수주 상황으로 기재 하였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지주회사]
1. 에코프로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연결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관리
시장위험 - 환율
미래 상거래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통화선도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장기 차입금
민감도 분석
이자율스왑
시장위험 - 주가 지분상품 투자 민감도 분석 포트폴리오 분산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파생상품,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유동성위험
차입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차입한도 유지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원칙과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정책을 문서화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1) 연결 기준
연결회사는 환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나 위험회피회계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 비유동 합계 유동 비유동 합계
파생상품자산:
전환사채 콜옵션 - - - 53,990,492 - 53,990,492
통화선도 2,955,292 - 2,955,292 5,091,822 - 5,091,822
합계 2,955,292 - 2,955,292 59,082,314 - 59,082,314
파생상품부채:
교환사채 교환옵션 - - - 904,646 - 904,646
통화선도 3,678,105 - 3,678,105 826,713 - 826,713
합계 3,678,105 - 3,678,105 1,731,359 - 1,731,359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당기 중 전액 전환청구되었습니다.
구분 전환사채
발행일자 2021.07.27
액면가액 150,000백만원
발행가액 150,000백만원
전환가격 61,400원 / 주
전환가격조정 합병, 분할, 주식분할 및 병합, 자본의 감소 등에 의하여 필요시 전환가격 조정
액면이자율 0%
전환기간 2022.07.27∼2026.06.27
전환시 발행할 주식 ㈜에코프로 기명식 보통주식 2,332,814주
콜옵션 2022년 7월 27일부터 2024년 7월 27일까지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에게 매도청구 가능
전환사채 부채요소의 공정가치는 동일한 조건의 전환권이 없는 사채의 시장이자율을적용하여 계산되었으며 발행시점의 부채요소의 공정가치는 108,308백만원이었습니다. 발행가액에서 부채요소를 차감한 잔여가치는 전환권의 가치에 해당하며, 세효과 차감후 금액을 자본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당사는 당기 중 전환사채에 대한 콜옵션을 행사하였으며, 이사회를 통해 소각하였습니다.
연결회사가 당기 중 발행한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전환사채
발행일자 2023.07.24
만기일자 2028.07.24
액면가액 440,000백만원
발행가액 440,000백만원
전환가격 275,000원 / 주
전환가격조정 전환사채 인수계약서에 정한 바에 따라 조정
액면이자율 0%
만기보장수익율 2.0%
전환기간 2024.07.24 ~ 2028.06.24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 발행일로부터 3년 후 매 3개월 마다 투자자가 보유한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음.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전환사채의 부채요소 및 자본요소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부채요소 402,903,213 99,100,073
자본요소(전환권대가) 36,177,053 35,027,116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에코프로씨엔지가 보통주를 발행 시 보통주 투자자와 주주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내역
계약의 주체 - ㈜에코프로
- ㈜에코프로씨엔지
- ETERNAL PLUS LIMITED
계약만기일 본 계약은 (a) 주주들 상호 합의에 따라 해지되거나 (b) ETERNAL PLUS LIMITED의 지분 비율이 5%
이하가 되어 자동해지될 때까지 효력이 지속됨.
풋옵션 약정 의무 불이행에 따른 풋옵션
- 행사 가능 기간
(i) 의무 불이행에 기한 풋옵션: 1차 증자(initial closing) 거래종결일로부터 11.5년 이내
(ii) 의무 불이행 풋옵션 행사가능기간 내 대상회사의 상장이 완료될 경우 상장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행사가능기간 종료
- 행사조건: 1차 증자(initial closing) 거래종결일로부터 11.5년이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아래와 같은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i) ㈜에코프로씨엔지의 자산 전부 혹은 중요한 부분이 매각되었을 때
(ii) ㈜에코프로씨엔지 혹은 신고인이 주주간계약 또는 신주인수계약상의 진술 및 보장을 중대하게 위반했을 때
(iii) 상법 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을 중대하게 위반하여 본 계약 및 신주인수계약을 이행 할 수 없을 때
(iv) ㈜에코프로씨엔지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 의견이 한정, 부적정 혹은 의견 거절일 때
(v) ㈜에코프로씨엔지의 영업 전부 혹은 중요한 일부가 중단되거나 변경된 때
(vi) 1차 증자(initial closing) 거래종결일로부터 10년이 될 때까지 대상회사의 상장이 이뤄지지 아니한 때
(vii) 자발적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대상회사에 해산, 청산 등의 사유가 발생한 때
(viii) ㈜에코프로씨엔지 혹은 신고인이 주주간계약 혹은 신주인수계약상 확약과 의무를 중대하게 위반한 때
- 행사가액: ETERNAL은 1차 증자를 통해 인수한 보통주는 발행가액에서 풋옵션 행사 통지를 신고인이 수령할 때까지 투자자가 배당 받은 금액의 총액을 공제한 만큼의 가액으로, 2차 증자를 통해 인수한 보통주는 발행가액에 연 4%의 복리를 가산한 금액에서 풋옵션 행사 통지를 신고인이 수령할 때까지 투자자가 배당 받은 금액의 총액을 공제한 금액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당기 중 보통주를 발행 시 보통주 투자자와 주주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내역
계약의 주체 - ㈜에코프로
- ㈜에코프로이노베이션
- 프리미어성장전략엠앤에이3호사모투자 합자회사 외 7개사
풋옵션 약정 기업공개 관련 풋옵션
- 행사 가능 기간
(i) 2차 기업공개에 따른 풋옵션 : 행사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
(ii) 최종 기업공개에 따른 풋옵션 : 행사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
- 기업공개 기한
(i) 2차 기업공개 : 거래종결일로부터 5년 이내 기업공개를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
(ii) 최종 기업공개 : 거래종결일로부터 7년 이내 기업공개를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
- 행사조건: 기업공개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i) 2차 기업공개시 기준 공모단가와 2차 예비공모단가의 차액이 기준 공모단가의 25%를 초과하고, 대주주의 선택에 따라 기업공개를 철회한 경우
(ii) 최종 기업공개시 기준 공모단가와 2차 예비공모단가의 차액이 기준 공모단가의 25%를 초과하고, 대주주의 선택에 따라 기업공개를 철회한 경우
(iii) 2차 및 최종 기업공개시 기준 공모단가와 2차 예비공모단가의 차액이 기준 공모단가의 25%를 초과하고, 대주주의 선택에 따라 기업공개를 완료할 경우, 대주주는 차액에 대해 공모절차상 납입기일 이전에 정산할 의무를 부담함.
- 행사가액: 거래종결일부터 기업공개 풋옵션 매매대금 지급기한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주당 투자원금의 연3% 복리를 가산한 금액
기타 (i) 지배기업이 제3자에게 종속기업의 주식을 매각 시 투자자의 동반매각권(Tag Along Right)이 있으며, 일정 조건 하에서 주식처분이 제한됨.
2) 별도 기준
당사가 보유한 파생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 비유동 합계 유동 비유동 합계
파생상품자산:
전환사채 콜옵션 - - - 53,990,492 - 53,990,492
선물환 2,025,858 - 2,025,858 - - -
합계 2,025,858 - 2,025,858 53,990,492 - 53,990,492
파생상품부채:
통화스왑 738,739 - 738,739 687,813 - 687,813
교환사채 교환옵션 - - - 904,646 - 904,646
㈜에코프로씨엔지 보통주 풋옵션(*) - 2,148,750 2,148,750 - 2,613,926 2,613,926
㈜에코프로이노베이션 보통주 풋백옵션(*) - 218,403,701 218,403,701 - - -
합계 738,739 220,552,451 221,291,190 1,592,459 2,613,926 4,206,385
※ 전기 이전에 종속기업인 ㈜에코프로씨엔지가 발행한 보통주의 주주간 계약과 당기 중 종속기업인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발행한 보통주의 주주간계약에 대한 평가입니다.
[전지재료사업부문]
1. 에코프로비엠(연결)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기준)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연결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관리
시장위험 - 환율
미래 상거래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통화선도
통화스왑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장기 차입금
민감도 분석
통화스왑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파생상품,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유동성위험
차입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차입한도 유지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1) 시장 위험
(1) 외환 위험
보고기간말 현재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연결회사의 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의 원화환산 기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USD
JPY
CNY CAD EUR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65,836,091 - - - -
매출채권
674,528,775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2,532,968 - - - -
기타금융자산 - 153,700 - - 75,310
금융부채
매입채무
616,935,450 - - - -
기타금융부채
4,792,365 - 127,492 441,333 45,801
차입금
122,493,000 - - - -
파생상품
파생상품자산
350,614 - - - -
파생상품부채 2,078,000 - - - -
연결회사의 주요 환위험은 USD 환율에 기인하므로 손익의 변동성은 주로 USD 표시금융상품으로부터 발생하며 USD 환율에 대한 민감도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미국 달러/원
10% 상승시
534,427 534,427
10% 하락시
(534,427) (534,427)
연결회사의 기타 환율위험에 대한 노출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2) 가격 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SMI 주가지수에 속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주가의 변동 시 연결회사의 세후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5% 상승시
481,893 481,893
5% 하락시
(481,893) (481,893)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증권의 손익은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3) 이자율위험
연결회사의 이자율 위험은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장기 차입금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입니다.
연결회사의 차입금과 채권은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차입금 중 이자율이 주기적으로 재설정되는 계약의 경우에는 관련하여 시장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차입금과 관련된 이자율위험 및 보고기간 말 현재 계약상 이자율 재설정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지수
금액
비율
변동금리 차입금
949,722,220 52.2%
고정금리 차입금 - 이자율 재설정일 또는 만기일:
1년 미만
467,899,037 25.7%
1-5년 402,903,213 22.1%
5년 초과 - -
합계
1,820,524,470 100%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의 변동시 연결회사의 세후 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이자율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1% 상승 시
(7,303,364) (7,303,364)
1% 하락 시
7,303,364 7,303,364
2) 신용 위험
신용위험은 기업 고객에 대한 신용거래 및 채권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및 예치금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1) 위험관리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연결실체 관점에서 관리합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A 신용등급 이상과만 거래합니다.
기업 고객의 경우 외부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동 정보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고객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등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평가합니다. 고객별 한도는 내부 및 외부 신용등급에 따라 이사회가 정한 한도를 적용합니다. 경영진은 이러한 고객별 한도의 준수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낮은 신용위험의 상품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채무상품들에 대해서는 신용등급을 모니터링하여 신용위험의 하락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2) 신용보강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연결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① 매출채권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은 신용위험 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기대신용손실율은 보고기간말 기준으로부터 각 36개월 동안의 매출과 관련된 지불 정보와 관련 확인된 신용손실 정보를 근거로 산출하였습니다.
당기와 전기 중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
2,457,821 2,457,877
변동 (2) (56)
기말 2,457,819 2,457,821
매출채권은 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경우 제각되며,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상은 연결포괄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로 순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각된 금액의 후속적인 회수는 동일한 계정과목에 대한 차감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② 상각후원가 측정 기타 금융자산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에는 기타 미수금 등이 포함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모두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손실충당금은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경영진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고 단기간 내에 계약상 현금흐름을 지급할 수 있는 발행자의 충분한 능력이있는 경우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3) 유동성 위험
연결회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다음의 차입금 한도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 1년 내 만기 도래
2,309,923,454 1,280,744,592
- 1년 이후 만기 도래
250,000,000 247,500,000
유동성 위험 분석에서는 연결회사의 다음의 금융부채를 계약상 만기별로 구분하였습니다.
- 모든 비파생 금융부채
- 순액 및 총액 결제 파생상품 중 계약상 만기가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기 위해필요한 경우
유동성 위험 분석에 포함된 금액은 계약상의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입니다. 금융보증계약 이외의 12개월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현재가치 할인의 효과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장부금액과 동일합니다. 금융보증계약은 즉시 지급을 요구받을 수 있으므로 계약금액 총액이 3개월 미만 구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매매목적 파생상품부채 2,078백만원(전기말: 139백만원)은 공정가치 해당액으로 3개월 미만 구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파생상품에 대해서는 순공정가치에 근거하여 관리하고 있으므로 계약상 만기가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기위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1) 당기말
(단위: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1년~ 5년 5년 초과 총 계약상
현금흐름 장부금액
비파생상품
매입채무 734,064,641 - - - 734,064,641 734,064,641
단기차입금 118,563,491 985,284,283 - - 1,103,847,774 1,072,899,037
장기차입금 29,671,318 138,542,937 174,528,104 41,825,300 384,567,659 344,722,220
사채 - - 485,795,552 - 485,795,552 402,903,213
기타금융부채(*) 110,269,296 62,388 303,357 - 110,635,041 109,526,031
리스부채 480,747 1,399,065 3,072,067 - 4,951,879 4,734,775
금융보증계약 7,639,892 - - - 7,639,892 110,171
소계 1,000,689,385 1,125,288,673 663,699,080 41,825,300 2,831,502,438 2,668,960,088
파생상품
매매목적 파생상품부채 2,078,000 - - - 2,078,000 2,078,000
합계 1,002,767,385 1,125,288,673 663,699,080 41,825,300 2,833,580,438 2,671,038,088
(*) 종업원급여부채는 제외하였습니다.
나. 자본위험 관리 (연결기준)
연결회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연결회사는 산업내 다른 기업과 일관되게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비지배지분 포함)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연결재무상태표의 장단기차입금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연결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당기말과 전기말의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총차입금
1,820,524,470 945,214,625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512,656,570) (320,363,497)
순부채
1,307,867,900 624,851,128
자본총계
1,599,392,286 1,488,215,127
총자본
2,907,260,186 2,113,068,256
자본조달비율
45.0% 29.6%
다.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1) 풋백옵션 등에 관한 사항
(1) 지배기업은 종속기업인 ㈜에코프로이엠과 관련하여 합작투자자인 삼성SDI㈜와의 합작투자계약을 통해 지배기업의 귀책으로 인해 본 계약이 해지될 경우 삼성SDI㈜가 소유한 ㈜에코프로이엠 주식 전부에 대해 행사 시점의 공정가치로 풋옵션을 행사할 권리를 삼성SDI㈜에게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배기업은 삼성SDI㈜의 귀책으로 인해 본 계약이 해지될 경우 삼성SDI㈜가 소유한 ㈜에코프로이엠 주식 전부에 대해 행사시점의 공정가치로 콜옵션을 행사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과 삼성SDI㈜는 약정기간 중 이사회 특별결의에 의한 승인 및 상대방 당사자의 동의 없이는 자신이 소유한 주식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습니다.
(2) 당사는 지난 2023년 7월 24일, 하기와 같이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습니다. 해당 사채는, 발행일로부터 3년 후 매 3개월 마다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풋옵션 (조기상환청구권) 행사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구분 전환사채
발행일자 2023.07.24
만기일자 2028.07.24
액면가액 440,000백만원
발행가액 440,000백만원
전환가격 275,000원/주
전환가격조정 전환사채 인수계약서에 정한 바에 따라 조정
액면이자율 0%
만기보장수익율 2.0%
전환기간 2024.07.24 ~ 2028.06.24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 발행일로부터 3년 후 매 3개월 마다 투자자가 보유한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음.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가. 재무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관리
시장위험 - 환율
미래 상거래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통화선도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장기 차입금
민감도 분석
이자율스왑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파생상품,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유동성위험
차입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차입한도 유지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나. 시장위험
1) 외환 위험
(1) 외환 위험
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차입금과 관련된 외환차이는 포괄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표시되며, 다른 외환차이는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에 표시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인식됩니다.
2) 가격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회사는 지분증권에 대한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는 회사가 정한 한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3) 이자율위험
회사의 이자율 위험은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장기 차입금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입니다.
회사의 차입금과 채권은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차입금 중 이자율이 주기적으로 재설정되는 계약의 경우에는 관련하여 시장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다.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기업 고객에 대한 신용거래 및 채권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및 예치금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1) 위험관리
회사는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A 신용등급 이상과만 거래합니다.
기업 고객의 경우 외부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동 정보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고객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등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평가합니다. 고객별 한도는 내부 및 외부 신용등급에 따라 이사회가 정한 한도를 적용합니다. 경영진은 이러한 고객별 한도의 준수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회사의 신용위험은 개별 고객, 산업, 지역 등에 대한 유의적인 집중은 없습니다.
회사가 보유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낮은 신용위험의 상품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채무상품들에 대해서는 신용등급을 모니터링하여 신용위험의 하락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2) 신용보강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라. 유동성 위험
회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유동성 위험 분석에서는 회사의 모든 비파생 금융부채를 계약상 만기별로 구분하였습니다.
유동성 위험 분석에 포함된 금액은 계약상의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입니다. 금융보증계약 이외의 12개월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현재가치 할인의 효과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장부금액과 동일합니다. 금융보증계약은 즉시 지급을 요구받을 수 있으므로 계약금액 총액이 3개월 미만 구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차입금의 내역
(단위: 천원)
구 분
차입처
당기말
전기말
단기
차입금
시설자금(*1) 대구은행 - 9,980,000
일반대출 대구은행 20,000,000 20,000,000
일반대출(*1) 대구은행 30,000,000 -
무역금융(*2) 대구은행 - 3,000,000
시설자금(*1)(*2) 대구은행 - 18,000,000
일반대출(*2) 산업은행 100,000,000 20,000,000
일반대출 하나은행 10,000,000 10,000,000
일반대출 하나은행 10,000,000 10,000,000
일반대출 하나은행 10,000,000 10,000,000
무역금융(*3) 수출입은행 - 75,000,000
장기
차입금
시설자금(*1)(*2) 대구은행 - 3,354,090
시설자금(*1)(*2) 대구은행 41,499,880 47,166,520
시설자금(황산화)(*1)(*2) 산업은행 16,000,000 24,000,000
시설자금(황산화)(*2) 하나은행 7,000,000 10,000,000
일반대출 국민은행 7,500,000 -
소계
251,999,880 260,500,610
차감: 단기차입금 180,000,000 175,980,000
차감: 유동성장기차입금 41,666,640 18,416,600
장기차입금 30,333,240 66,104,010
2) 당사의 비파생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당기말 3개월 미만 3개월~1년 1년~ 5년 5년 초과 총 계약상 장부금액
차입금 44,716,059 190,462,332 32,391,842 - 267,570,233 251,999,880
매입채무 13,809,646 - - - 13,809,646 13,809,646
미지급금(*) 20,307,716 - 2,623,537 - 22,931,252 22,931,252
미지급비용(*) 1,198,025 - - - 1,198,025 1,198,025
리스부채 117,153 327,793 517,618 - 962,564 913,670
합 계 80,148,599 190,790,125 35,532,997 - 306,471,720 290,852,473
(단위: 천원)
전기말 3개월 미만 3개월~1년 1년~ 5년 5년 초과 총 계약상 장부금액
차입금 37,905,147 163,550,063 69,907,083 - 271,362,293 260,500,610
매입채무 14,076,065 - - - 14,076,065 14,076,065
미지급금(*) 33,683,755 - 700,000 - 34,383,755 37,720,070
미지급비용(*) 248,188 - - - 248,188 1,091,251
리스부채 38,402 109,801 241,696 715,574 1,105,474 657,114
합 계 85,951,557 163,659,864 70,848,779 715,574 321,175,775 314,045,110
(*) 종업원급여 관련 부채는 제외했습니다.
마. 자본위험 관리
회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산업내 다른 기업과 일관되게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비지배지분 포함)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재무상태표의 장단기차입금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당기말과 전기말의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총차입금
251,999,880 260,500,610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377,351,280 -918,415
순부채
-125,351,400 259,582,195
자본총계
799,097,396 314,300,581
총자본
673,745,996 573,882,776
자본조달비율
-18.61% 45.23%
바. 파생상품
회사는 환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나 위험회피회계는적용하지 않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파생상품자산 - -
통화선도자산 578,820 -
파생상품부채 - -
통화선도부채 - -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가. 재무위험관리
주식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관리
시장위험 - 환율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통화선도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장기 차입금
민감도 분석
이자율스왑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파생상품,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유동성위험
차입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차입한도 유지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원칙과 환율변동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정책을 문서화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자산
부채
자산
부채
통화선도
-
358,615
4,235,525
-
4. 에코프로에이피
가. 재무위험관리
주식회사 에코프로에이피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시장위험 - 환율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민감도 분석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장단기 차입금
민감도 분석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유동성위험
차입금, 파생상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원칙과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정책을 문서화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해당 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5. 에코프로씨엔지
가. 재무위험관리
주식회사 에코프로씨엔지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이자부 예금과 차입금
민감도 분석
시장위험 - 환율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민감도 분석
신용위험 거래상대방이 의무 미이행에 따른 재무손실 신용등급
유동성위험
차입금, 파생상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당기말 현재 파생상품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화단위: 천원, 외화단위: USD)
구 분 파생상품 내역 매입 매도 파생상품자산(부채)
통화 금액 통화 금액
매매목적 통화스왑 USD 15,000,000 KRW 19,797,220 (502,752)
[환경사업부문]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시장위험이란 금리, 상품가격, 환율 및 기타 관련요소 등 시장변수가 불리하게 변동하여 자산이나 부채, 손익 등이 예상치 못한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연결실체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연결실체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관리
시장위험 - 환율
미래 상거래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차입금
민감도 분석
-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및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유동성위험
차입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차입한도 유지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원칙과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정책을 문서화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외환 위험
당사의 일부 제품의 매출 및 그 원재료의 구매 등의 거래들이 표시되는 통화는 USD 등 외화입니다. 당사는 환위험 관리를 위해 선도거래 등 대응책을 마련하여 실행중이며, 환위험 노출도를 최소화 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환율변동에 따른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2) 이자율위험
당사의 이자율 위험은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단기차입금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입니다. 당사의 차입금과 채권은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차입금 중 이자율이 주기적으로 재설정되는 계약의 경우에는 관련하여 시장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3)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기업 고객에 대한 신용거래 및 채권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및 예치금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당사는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A 신용등급 이상과만 거래합니다. 기업 고객의 경우 외부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동 정보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고객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등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평가합니다. 고객별 한도는 내부 및 외부 신용등급에 따라 이사회가 정한 한도를 적용합니다. 경영진은 이러한 고객별 한도의 준수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당사의 신용위험은 개별 고객, 산업, 지역 등에 대한 유의적인 집중은 없습니다. 당사가 보유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낮은 신용위험의 상품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채무상품들에 대해서는 신용등급을 모니터링하여 신용위험의 하락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4) 유동성위험
당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나. 자본위험 관리
당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당사는 산업내 다른 기업과 일관되게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연결재무상태표의 장단기차입금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연결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다.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1) 파생상품 등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2) 풋백옵션 등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지주회사]
1. 에코프로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당사는 지주회사로서 연구개발활동 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전지재료사업부문]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1. 에코프로비엠(연결)
1) 연결회사는 비엔더블유인베스트먼트㈜가 요청하는 경우 산업은행에서 주관하는 소재ㆍ부품ㆍ장비분야 펀드에 3,000백만원을 출자하기로 하는 약정을 체결하였으며, 당기말 현재 미이행 출자 약정 금액은 564백만원입니다.
2) 연결회사는 종속기업인 ㈜에코프로이엠과 관련하여 합작투자자인 삼성SDI㈜와의 합작투자계약을 통해 지배기업의 귀책으로 인해 본 계약이 해지될 경우 삼성SDI㈜가 소유한 ㈜에코프로이엠 주식 전부에 대해 행사 시점의 공정가치로 풋옵션을 행사할 권리를 삼성SDI㈜에게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삼성SDI㈜의 귀책으로 인해 본 계약이 해지될 경우 삼성SDI㈜가 소유한 ㈜에코프로이엠 주식 전부에 대해 행사시점의 공정가치로 콜옵션을 행사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3) 보고기간 말 현재 발생하지 않는 자본적지출 약정 금액은 712,739백만원 입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최근 양극활물질 시장은 전기차 시장 등의 성장에 따라 고밀도, 고안정성, 고수명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당사는 연구개발 비용 및 인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제품 성능 개선, 신제품 개발을 위한 R&D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소명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기업부설연구소
주식회사 에코프로이엠 기업부설연구소
소 재 지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87-40 (송대리 311-1)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곡강리 1669
연구조직 에코프로비엠 연구개발본부 (개발 1~3담당, 연구기획담당, 미래기술담당)
에코프로이엠 개발담당
2) 연구개발비용 (연결)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 8 기
(2023년)
제 7 기
(2022년)
제 6 기
(2021년)
비 고
연구개발비용 총액 48,841 50,918 33,211 -
(정보부조금) - - 121 -
연구개발비용 계
(정부보조금 차감 후) 48,841 50,918 33,332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0.71% 0.95% 2.24% -
3) 연구개발실적
구분 개발기술명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완료여부
신제품개발 고용량 NCA Ⅰ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13.12
고용량 NCA Ⅱ 고용량/고출력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14.05
고용량 NCA Ⅲ 고용량/고성능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19.07
고용량 NCA IV 에너지밀도 향상 고성능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진행중
고용량 고출력 NCA Ⅰ 고용량/고출력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13.12
고용량 고출력 NCA Ⅱ 고용량/고출력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16.05
고용량 장수명 CSG 고용량/장수명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16.08
고용량 고 안정성 CSG I 고 안정성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21.07
고용량 고 안정성 CSG II 고용량/고 안정성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개발 진행중
차세대 양극소재 개발 고성능 차세대 양극활물질 개발 진행중
차세대 양극소재 개발 저가격 고안정성 차세대 양극활물질 개발 진행중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고체전해질 기술 개발 고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 개발 진행중
차세대 양극소재 개발 IV 저가격 소듐 기반 양극 활물질 개발 진행중
고성능 리튬인산철 양극소재 개발 저가격 고성능 차세대 양극활물질 개발 진행중
※ 이차전지 양극재 사업의 관심집중에 따른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영업상 상세한 표기는 생략합니다.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최근 이차전지 시장은 에너지 밀도 및 안정성 확대, 제조원가 감축 등을 목표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기술 트렌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나아가 시장 선도적인 기술을 선보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전개 하고 있습니다.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소명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기업부설연구소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5
연구조직 생산기술담당 / 제조기술담당 / 개발담당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구 분 과 목
제 7 기
(2023년)
제 6 기
(2022년)
제 5 기
(2021년)
에코프로
머티리얼즈 연구개발비용 계 7,504 6,681 3,354
(정부보조금) (538) (505) (346)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계÷당기매출액x100] 0.79% 1.00% 0.98%
3.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최근 리튬 시장은 이차전지 시장 성장과 함께 그 수요가 매우 빠르게 확대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시장 내 연구개발들이 다양하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 이노베이션은 이처럼 높아진 시장 경쟁 속에서도 불구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가치 상승을 위해 현재의 사업 역량을 보다 고도화 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소명 주식회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 기업부설연구소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로 74
연구조직 통합개발본부(연구기획팀, 개발팀)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구 분 과 목 제 19 기
(2023년)
제 18 기
(2022년)
제 17 기
(2021년)
에코프로
이노베이션 연구개발비용 계 2,640 1,456 1,212
(정부보조금)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계÷당기매출액x100] 0.60% 0.34% 2.57%
3) 연구개발실적
이차전지 리튬 사업의 관심집중에 따른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4. 에코프로에이피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에코프로에이피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5. 에코프로씨엔지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에코프로씨엔지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소명 주식회사 에코프로씨엔지 기업부설연구소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로 74
연구조직 개발팀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구 분 과 목 제 4 기
(2023년)
제 3 기
(2022년)
제 2 기
(2021년)
에코프로
씨엔지 연구개발비용 계 1,210 747 18
(정부보조금)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계÷당기매출액x100] 1.18% 0.68% 0.00%
3) 연구개발실적
이차전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의 관심집중에 따른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환경사업부문]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계약 상대방에 따라 단가 및 하도급대금, 납품기일, 품질검사, 선급금, 지체상금 등의 계약조건이 다르기는 하나 해당 계약사항이 표준화 되어 있으며, 이상의 계약에 따라 당사에게 특별히 불리한 점, 관련 법령의 위반사항 또는 회사 영업과 관련하여 문제될 만한 사항은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 개요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업계 최고 수준의 개발/분석/설계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친환경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사업 확대 및 신규 사업분야 발굴을 위해 연구/분석 설비의 구축 및 개발, 엔지니어 인원 채용을 확대해 나아 가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소명 주식회사 에코프로HN 기업부설연구소
소 재 지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과학산업2로 587-40
연구조직 환경기술개발1,2팀, MW개발팀, R&BD기획팀,
신사업개발담당(무기소재개발팀,유기소재개발팀)
3)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 3 기
(2023년) 제 2 기
(2022년) 제 1 기
(2021.05.01
~2021.12.31)
연구개발비용 총액 12,632 12,099 5,116
(정부보조금) 902 451 227
연구개발비용 계
(정부보조금 차감 후) 11,730 11,648 4,899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5.1% 5.3% 5.4%
4) 연구개발실적
구분 연구개발실적 진행경과 및 향후 계획
신제품개발 반도체 Diffuser 공정용 필터 19.04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반도체 Metal 공정용 필터 19.08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반도체 CVD 공정용 필터 19.09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반도체 Clean 공정용 필터 19.09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HMF산화반응촉매 및 성형개발 19.10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디스플레이 악취제거용 필터 19.11 개발완료
기능개선 귀금속계열 VOC산화촉매 19.11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이륜차용 삼원촉매개발 19.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반도체 OPF 장비용 필터 개발 22.07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유기물 필터 개발 22.03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고농도 암모니아 필터 개발 22.07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디스플레이 포토공정용 필터 개발 22.03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노이즈 필터 개발 22.06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하이브리드형 노이즈 필터 개발 22.06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ICF 필터 개발 23.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하이브리드형 VOCs 산화촉매 개발 20.10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차세대 과불화 화합물 분해촉매개발 진행중
신제품개발 CH4 산화 촉매 개발 진행중
기능개선 저온 SCR 촉매 개발 20.10 개발완료
기능개선 과불화 화합물 분해촉매 개발 23.06 개발완료
기능개선 질소산화물 분해촉매 개발 22.03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온실가스 저감 촉매 22.07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VOC/악취 동시제거 촉매 22.07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Mn계 VOC 저감 촉매 21.12 개발완료
신공정개발 중유탈황 폐촉매 금속회수 공정개발 21.03 개발종료
신제품개발 나노미터급 금속산화물개발 21.03 개발종료
신제품개발 전고체전지용 황화물계 원료개발 21.07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이차전지 음극재용 C-Si 복합소재 개발 21.07 개발완료
기능개선 수소제조용 촉매개발 20.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CTO 21.07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Air dryer 21.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건조시스템 21.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제습시스템 21.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X-flow 기반 흡착제 코팅 (제습용) 23.08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분리형 케미컬 필터 23.12 개발완료
신제품개발 VOC 제거용 케미컬 필터 개발 진행중
신제품개발 나노미터급 금속산화물개발 (배터리 소재) 진행중
신제품개발 전자재료 소재 진행중
신제품개발 NH3 개질 촉매 시스템 개발 진행중
신제품개발 X-flow 기반 흡착제 코팅 (VOC 제거용) 진행중
신제품개발 코팅 촉매 개발 진행중
신제품개발 장비용 필터 개발 진행중
신제품개발 NOx제거용 케미컬 필터 개발 진행중
신제품개발 양극재용 Box Sagger 진행중
7. 기타 참고사항
[전지재료사업부문]
1. 에코프로비엠(연결)
가.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에코프로비엠은 이차전지 양극소재 사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구 분 특허 총계
등록 104
출원 -
합계 104
※ 이차전지 양극재 사업의 관심집중에 따른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특허 출원에 관한 세부 내용은 기재를 생략합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에코프로비엠(연결))' 참조
나. 법률/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률, 규정등으로 당사의 영업활동, 비용지출 또는 경쟁상의 지위 등 사업의 영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없습니다.
다. 환경 관련 규제사항 등
동사가 취득한 환경경영시스템 및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인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KS ISO 14001
- ISO 14001
- KS Q ISO 45001
- ISO 45001
에코프로비엠의 환경경영 실적에 관한 세부 내용은 당사 홈페이지(http://www.ecoprobm.c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온실가스 배출량
에코프로비엠은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하여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을 통해 사업장별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고효율 LED, 인버터 설치 등 시설별 에너지 사용 효율 향상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과 공정 개선,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의 경영활동을 적극 전개하여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이미지: 온실가스 배출량
온실가스 배출량
2)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량
에코프로비엠은 사업장 내 발생되는 폐기물을 99% 이상 재활용 처리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자체 점검을 통해 폐기물에 대한 법규 준수(처리업체 평가 및 관리), 환경사고 예방 및 쾌적한 환경을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률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률
3) 대기 환경 보전
에코프로비엠은 생산활동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최적의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통해 법적 처리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관리를 통해 배출시설별 오염물질을 측정하여 배출 농도를 법적 기준치 30% 이하로 처리/운영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설비 투자를 통해 대기오염 방지 노력에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이미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4) 수질 환경 보전
에코프로비엠은 생산활동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사내 폐수처리장을 통해 처리한 후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최종 유입 처리/배출원별 적정 처리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오염물질은 적정관리를 위하여 주기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수질환경보전(오창)
수질환경보전(오창)
이미지: 수질환경보전(포항)
수질환경보전(포항)
5) 연도별 환경 안전 투자 현황
에코프로비엠은 환경 보호 및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최우선으로 친환경 사업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고객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고자 아래와 같은 목표수립 및 노력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환경 안전 목표
순번 환경 안전 목표 세부 목표
1 환경오염물질 관리 - 지속적인 오염물질 배출 저감 활동
- 폐기물 저감 활동(재활용률 90% 이상)
- 환경 설비 적극적 투자
2 이해관계자 만족 - 환경안전 법규 준수
- 법적 기준 30% 이내 관리
-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소통
3 안전 사고 ZERO - 무재해 안전 시스템 구축
-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 지속적 안전 개선
▣ 연도별 투자 현황 및 투자금액
- 에코프로비엠은 매년 환경안전에 대한 투자금액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2022년도 투자금액은 약 25억원입니다
이미지: 연도별 투자현황 및 금액
연도별 투자현황 및 금액
라.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1) 산업의 특성
이차전지의 4대 핵심요소는 양극활물질(양극재), 음극활물질(음극재), 분리막 및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배터리 제조업체는 핵심 소재들을 매입 또는 자체생산하여 2차전지를 생산하고, 최종적으로 IT, 자동차, 에너지 업체들에 공급합니다. 주요 최종 적용 제품으로는 소형분야인 모바일기기 및 전동공구와 중대형분야인 전기차 그리고 전력저장시스템(ESS) 등이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이 속한 양극활물질(양극재) 소재 산업은 이차전지 밸류체인에서 후방 산업으로, 전방산업의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에 전기차, ESS, 모바일기기의 업황 변동은 이차전지의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며, 이차전지의 수요량이 다시 양극활물질(양극재) 등의 후방산업 업황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입니다.
리튬 이차전지 제조업체에 따라 채택되는 소재는 다르며 현재 주로 상용화된 양극소재는 아래와 같이 5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주요 양극소재별 특성]
양극소재
주요 특성
NCA
○ NCM, LMO 등 타 소재에 비해 출력과 에너지 밀도가 높음
○ 고출력을 요구하는 전동공구용에 적용, 향후 전기차용으로 확대될 전망
NCM
○ 층상계 구조의 전이금속 층에 니켈, 코발트, 망간이 일정한 비율로 전재
○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음
LCO
○ 높은 에너지밀도 및 긴 수명
○ 리튬 2차전지 상업화 초기에 가장 널리 사용 (주로 소형IT용)
○ 희귀금속인 코발트의 높은 가격, 안정성 이슈
LMO
○ 망간을 사용하여 가격이 저렴
○ 3차원 터널구조로 구조적 안정성 우수
○ 고온특성이 떨어지는 단점
LFP
○ 코발트 대신 철을 사용하므로 저렴하고 안정성 높음
○ 순도 및 전기전도도 등 성능측면에서 개선 필요
(1) NCA
NCA 양극재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성능의 특징이 있습니다. 고출력의 장점을 바탕으로, NCA 양극재는 주로 전동공구 시장에서 사용 되고 있으나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이 확대 되면서 전기차 시장으로의 수요 역시 빠르게 확대 되고 있습니다.
(2) NCM
NCM 양극재는 니켈 함량 비율에 따라 NCM 111/523/622/712/811/9반반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군이 있습니다. 최근 NCM 양극재 시장은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의 중요성이 부각 되며 하이니켈 (니켈 함량 80% 이상)의 양극재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 되고 있습니다.
(3) LCO
LCO 시장은 소형 시장, 그 중 스마트폰 의존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코발트 시세변동과 매우 밀접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내에서의 수요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됩니다.
(4) LMO
지금까지 LMO 시장 확대에 큰 견인차 역할을 했던 닛산 자동차의 'LEAF'는 2016년발매된 30kWh 모델부터 NCM을 메인으로 채용한 배터리셀로 전환했으며, 주행거리연장을 위해 셀의 고용량화를 추진하는 흐름 속에서 LMO 시장의 성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됩니다.
(5) LFP
LFP는 최근 중국의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규모가 상승 중에 있으나 하이니켈과같은 삼원계 배터리 대비 낮은 에너지 밀도의 한계로 인해 전기차 적용은 낮은 주행거리 성능을 갖는 일부 차종에 한정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에코프로비엠의 주요 제품은 하이니켈 NCA와 NCM 양극재로 니켈 함량을 최대화하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가가 높은 코발트는 적게 사용하며 안정성을 확대한 제품입니다. 또한, 에코프로비엠은 NCA, NCM 양극재를 동시 생산하며 각형/원통형/파우치형과 같은 모든 배터리 타입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차전지 시장의 대표적인 제품인 리튬이온전지의 수요가 2035년 5,853GWh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EV 시장은 전세계적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2030년 2차전지의 시장 수요의 약 90%가 전기차향 수요로 예상됩니다. 이외에도 전력저장시스템(ESS)와 전동공구, E-bike 및 모바일, E-모바일 등 소형분야에서도 2차전지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수요는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Application별 시장 전망(~2035)]
(단위: Gwh)
이미지: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Application별 시장 전망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Application별 시장 전망
자료 : SNE리서치, 'Battery Lithium Metal Outlook(2023.12)'
2-1) 전방산업의 성장성
[EV 시장]
2023년에 EV 시장은 금리 인상과 유동성 축소로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높은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2023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BEV+PHEV)은 총 1,374만대로 2022년 판매량인 1,054만대 대비 30.0% 증가하였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추이(2020~2023)]
구 분 2020 2021 2022 2023
수치 전년비 수치 전년비 수치 전년비
북미 EV(만대) 37 74 100% 111 50% 160 43%
Battery(GWh) 23 45 99% 72 60% 105 45%
유럽 EV(만대) 141 237 69% 264 11% 301 14%
Battery(GWh) 52 91 74% 120 32% 151 26%
중국 EV(만대) 130 333 156% 625 88% 833 33%
Battery(GWh) 64 150 134% 286 91% 382 34%
기타 EV(만대) 14 27 99% 53 95% 80 51%
Battery(GWh) 8 15 101% 29 94% 44 52%
계 EV(만대) 321 672 109% 1,054 57% 1,374 30%
Battery(GWh) 147 302 106% 508 68% 683 34%
자료 : SNE리서치 (2023.12)
주) 상기 표의 EV 판매량은 BEV, PHEV 기준입니다. (HEV 제외)
2023년까지의 글로벌 전기차 판매 추이 및 성장세를 살펴보면, 북미 및 기타지역은 고성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유럽지역은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저성장 중인 상황입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은 2021년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약 49.6% 수준에서 2022년 59.3%까지 비중이 확대되었고, 2023년에는 60.6%까지 확대되며 글로벌 EV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중국 전기차의 급성장은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이 2022년까지 지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구매 수요가 집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후 2023년도부터는 보조금 없이 상업화중인 단계를 감안 시 전년비 33% 성장은 견조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소비자의 인식이 전기차를 경차 등 Second Vehicle 개념에서 Main Vehicle로 전환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2035)]
이미지: GlobalEV,EVBattery전망
GlobalEV,EVBattery전망
자료 : SNE리서치 (2023.12)
SNE 리서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판매는 2023년 1,374만대에서 2030년 4,204만대, 2035년에는 7,412만대까지 판매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EV용 배터리 수요는 2023년 683GWh 수준에서 2030년 2,567GWh, 2035년 4,694GWh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ESS 시장]
산업통상자원부 및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글로벌 ESS 연간 시장규모는 2022년 152억불에서 2030년 395억불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ㆍ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 및 전력공급 시스템 안정화를 위한 ESS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배터리 가격 하락, 에너지 밀도 개선, ESS 시스템 사이즈 확대에 따른 단위당 비용 하락 등으로 ESS 발전 원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ESS시장의 수요 증가세는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글로벌 ESS 연간 시장규모]
(단위: $bn)
이미지: 글로벌 ESS 연간 시장규모
글로벌 ESS 연간 시장규모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2023.10.31), BNEF(2023)
이 중 2차전지 종류별로 구분하면, 리튬전지 기반이 95% 이상을 차지하며, 향후 리튬인산철(LFP) 전지 기반의 ESS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리튬인산철 전지는 가격, 화재안전성, 수명 등의 측면에서 경쟁력을 보유하여, 2022년을 기점으로 리튬인산철(LFP) 전지가 ESS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삼원계(NMC, NCA) 리튬전지를 추월하여, 2030년까지 글로벌 ESS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종류별 ESS 비중 전망]
이미지: 이차전지 종류별 ESS 비중 전망
이차전지 종류별 ESS 비중 전망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2023.10.31), BNEF(2023)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은 ESS설치 의무화, 보조서비스(주파수 조정, 에너지시프트) 시장 운영, 규제개선(승인기간 단축, 허가조건 완화) 등 지원정책을 추진하여 적극적인 ESS 보급화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 미국 바이든 정부는 IRA 법안에 서명하며 역사상 가장 공격적인 에너지 안보 강화 정책의 차원에서 3,690억 달러(약 490조원) 투자 계획을 밝혔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14차 5개년 실행계획에 기반하여 2030년까지 가장 큰 규모의 ESS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국 ESS 지원정책 현황]
구 분 미국 중국 일본 독일 호주 인도
설치의무화 O O X X X O
보조금 지급 O O O O O O
전력시장 참여 O - △ △ △ △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전략(2023.10.31)'
[주요국 ESS 정책 동향]
구 분 내 용
미국 기술개발, 설치의무화, 전력시장 참여 등 전방위적 지원
(목표) 10년 이내 10시간 이상 충방전가능한 ESS의 균등화저장비용 90%인하
(설치의무화) 캘리포니아, 오레건, 메사추세츠, 뉴욕, 뉴저지 등 5개 주에서 ESS 설치의무화
(보조금) '22년 8월 IRA 도입 이후 ITC(Investment Tax Credit)를 통해 ESS 설치 투자비에 대한 세액공제 비율 및 지원대상 확대
(전력시장 참여) ESS가 전력도매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침제정(FERC, Order 841)
중국 재생e 연계용 ESS 설치의무화 등 보급확대로 시장급성장
(목표) 2025년까지 설비규모 30GW 이상, ESS 비용 30% 감축목표
(설치의무화) 신규 유틸리티 규모의 재생e 발전설비에 ESS 연계의무화
(보조금) 설비기준을 충족하는 ESS 설비에 대해 지방정부에서 보조금지급
일본 배터리 제조능력 확대와 연계하여 ESS 설치 확대 추진
(목표) 2030년까지 배터리 국내 연간 제조능력 150GWh, 글로벌시장에서 연간 배터리 제조능력을 600GWh로 확대
(보조금) 상업용 및 주거용 ESS 설치에 대해 지방정부에서 보조금지급
유럽 ESS의 수익성 확보 및 보급 확대를 위한 가이드라인발표(Recommendation on Energy Storage, 2023.03)
(독일) 전기요금을 절감하기 위한 가정용 ESS 위주로 보급되어있으며, 태양광 연계 ESS 설치에 대해 보조금 지원 및 주파수 시장 운영
(영국) 장주기 기술개발 지원 프로그램 및 보조서비스 시장 활성화
호주 주거용 ESS 위주 보급 중이며 향후 유틸리티급 ESS 시장 급성장전망
(보조금) 주거용 ESS 설치에 대해 지방정부에서 보조금 지급
(시장참여) 주파수 시장을 통해 ESS의 주된 수익 창출 중
인도 재생e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ESS 산업 육성 추진
(목표) 2032년까지 51~84GW 규모의 ESS 설치 계획(India National Electricity Plan, 2022.09)
(설치의무화) 전체 전력수요에서 ESS로 충당되는 비중이 2030년까지 4%에 도달하도록 의무화 정책 시행
(보조금) 대형 에너지저장프로젝트 수행 기업에 보조금 지급
(전력시장 참여) 보조서비스 시장 참여 대상에 ESS 설비 포함(2021)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스토리지(ESS) 산업 발전전략(2023.10.31)'
[소형전지 산업]
기존에 소형전지의 대부분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 모바일 IT 기기 시장의 성장에 따라 동반 성장하여 왔으나, 모바일 IT 기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함에 따라 소형전지 시장은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무선청소기 등 Non-IT 산업으로 그 적용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소형 LIB(리튬이온배터리) 시장 전망(용도별)]
(단위: 백만셀)
이미지: 글로벌 소형lib시장 전망
글로벌 소형lib시장 전망
자료 : SNE 리서치, '글로벌 LIB Application별 중장기 전망보고서(~2025)'
특히 그 중에서 전기자전거, 전동공구 등 고출력이 요구되는 소형전지의 시장 성장이 두드러집니다. 전동공구의 경우 2017년 908백만셀(양극재와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이 있는 하나의 최소 단위)에서 2025년 4,300백만셀로 연평균 24.2%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전기자전거는 2017년 410.5백만셀에서 2025년 5,000백만셀로 연평균 36.2%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산업군이 전방으로 걸쳐있는 전동공구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에 더불어 고성능 전지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무선 전동공구에 대한 선호가 더해진 고성장으로 판단됩니다. 주목할 점은 중대형전지 시장과 마찬가지로 소형전지 시장도 고성능 전지를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2-2) 양극재 산업의 성장성
전방 산업의 성장성에 따라 당시의 양극재 산업 또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 시장에서의 핵심 경쟁 요인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 향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은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극활물질의 니켈 함량 고도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NCA, NCM과 같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타입의 이차전지 시장 수요는 빠르게 확대 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NCA 양극재는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의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출력의 장점을 바탕으로, 에코프로비엠의 NCA 제품은 주로 전동공구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해 왔으나 최근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용이 확대 되면서 전기차 시장으로의 판매 성장이 빠르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에코프로비엠은 2016년, EV용 NCM811 양극활물질 양산에 성공하며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 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NCM811은 니켈 함량 80% 이상의 제품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성을 보유한 제품입니다. 해당 제품은 전방 고객의 전기차 Flagship 모델에 적용되며 높은 판매 성장을 기록 중이며, NCM 9 ½½의 경우 북미 시장에서 큰 폭의 판매 성장 중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에코프로비엠 양극재 사업의 주 적용처인 EV용 2차전지는 경기 변동의 요인보다는 각국의 지원 정책 및 규제에 따른 변동 요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전동공구용 2차전지는 건설 경기 변동 추이를 따라가는 성향이 있으며, 4계절중 수요 성수기는 봄, 여름, 가을입니다.
마. 국내외 시장 여건
최근, 리튬이온 이차전지 시장은 내연기관차의 전동화 확대, DIY 문화 확산에 따른 전동공구 수요 증가, 무선 청소기 및 무선 이어폰 등 다양한 제품들의 무선화가 확대 되면서 그 수요가 빠르게 증가 하고 있습니다.
특히 내연기관차의 전동화, 즉 전기차 시장의 경우에는 세계 각 국의 친환경 정책이 실행 되면서 전기차 및 이차전지의 시장 규모가 매우 빠르게 확대 되었으며 이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핵심 원재료인 양극활물질 시장 또한 급격한 성장과 함께 치열한 경쟁이 진행 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시장 경쟁의 심화 상황에도 불구하고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꾸준한 설비 투자와 영업활동을 강화 하였으며 그 결과, 2022년 글로벌 하이니켈 양극재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 1위(SNE리서치 발표 기준)을 달성 하였습니다.
2022년 글로벌 2차전지 삼원계 양극재 공급업체 출하량 순위 및 시장점유율
순위
지역
업체명
시장점유율
1 한국 에코프로비엠 6.6%
2 벨기에 유미코어 6.1%
3 중국 XTC 5.1%
4 한국 LG화학 5.1%
5 중국 룽바이 5.0%
6 일본 스미토모 5.0%
7 일본 니치아 4.2%
8 한국 엘앤에프 3.9%
주) 출처 : SNE리서치 LIB 4대부재 SCM 분석 및 시장 전망
바. 경쟁력 확보 요인 및 회사의 강점
1)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최근 전기차 시장에서는 1회 충전당 주행거리 향상과 가격경쟁력 확보를 매우 중요한 경쟁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 요인은 양극활물질 내 니켈 비중을 높이고 동시에 코발트 등의 주요 메탈 비중을 낮춤으로서 해결이 가능합니다. 다만, 일반양극재 내 코발트 비중 축소는 제품의 안정성을 하락 시킵니다. 이 때문에 니켈 함량을 높이고 동시에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하이니켈 기술)은 시장이 요구하는 가장 핵심적인 경쟁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회사의 강점
에코프로비엠은 2008년 NCA 양극활물질 양산을 통해 니켈 함량 고도화 기술을 확보 하였으며 2016년 NCM811 양산, 2021년 니켈 함량 90% 이상의 양극활물질을 신규 양산 하며 니켈 고도화 기술을 더욱 강화 하였습니다. 또한 에코프로비엠은 생산 및 투자 최적화, 계열 회사들과의 Upstream 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시장 지위적인 원가 경쟁력을 확보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회사는 핵심 경쟁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통해 시장 선도적 지위를 견고히 할 것입니다.
사.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단일 사업(이차전지 양극소재)을 영위하고 있어 별도의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아. 신규사업 현황
해당 사항 없습니다.
2.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가.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영위하는 산업과 관련하여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상세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5.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에코프로머티리얼즈)' 참조
나. 환경 관련 규제사항 등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률, 규정에서 정하는 환경규제 등의 법률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영업활동에 심각한 제약을 받을만한 사항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으며, 영업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 또는 제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환경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학물질 관리법」, 「환경오염시설의통합관리에관한 법률」 등.
- 안전 :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등에관한법률」등
또한,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취득한 환경경영시스템 및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인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다. 사업부문의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1) 산업의 특성
(1) 산업의 개요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물질의 산화환원 반응으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며,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에서 분리된 전자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며 충전되고(음극에서 환원이 발생하여 에너지를 저장), 반대로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방전(양극에서 환원이 일어나 에너지 방출)되는 원리로 구동합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양극, 음극, 분리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전해질에 둘러 쌓여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이 배터리의 4대 구성요소라고 볼 수 있으며, 4대 구성요소가 전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0% 이상입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주요 제품인 전구체는 4대 구성요소 중 양극재의 핵심 원재료에 해당하며 동시에 양극재의 성능을 결정 짓는 주요한 기능을 담당 합니다. 최근 전기차 시장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은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 내며 에너지 밀도의 향상은 전구체의 니켈 함량 고도화가 중심이 됩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하이니켈 전구체 전문 제조기업으로 시장 선도적 지위를 확고히 구축 하고 있습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영위하는 전구체 사업은 완성품이 아닌 중간재 성격을 지닌 자본재로서 경기변동 및 계절적 경기변동의 특성을 나타내지는 않으나, 전방산업인 배터리 산업과 최종 전방산업인 EV 및 IT / Non-IT 기기 산업의 영향을 받으며, 이들 산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일부 받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대표적인 자유소비재로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뤄 1인당 국민소득이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에는 그 변동이 두드러지지 않지만 1인당 국민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 성장이 둔화 내지 정체를 보이는 시기에 대표적인 자유소비재인 자동차 수요는 다른 소비재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과거 내연기관차량 보급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경기변동에 관계없이 자동차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지만, 이후에는 경제성장률 변화 등 전반적인 경기변동 및 소비심리에 민감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변동에 민감한 내연기관차량과는 다르게 전구체가 탑재되는 EV는, 2016년 파리기후변화협정 이후 전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의 수혜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정체 내지 둔화를 보이는 일반 내연기관차량 대비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둔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초 COVID-19로 인해 글로벌 경제가 위축하고 유가가 기록적인 하락세를 나타냄에 따라 내연기관차량이 저유가 및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EV로의 전환이 지연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되었으나, 유럽을 중심으로 EV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정책들이 제시되며, EV 침투율은 더욱 빠르게 제고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후변화 등에 대한 대응으로 자동차 산업의 발전방향은 EV로의 이동이 명확하며, EV가 자동차 산업에 새로운 기회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바, 향후 EV 침투율이 현재 내연기관차량 침투율과 비슷해지는 시기까지는 경기변동에 따른 EV 산업의 변화는 그 정도가 약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3) 산업의 성장성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영위하고 있는 전구체 시장은 전방산업인 배터리 및 양극재 시장의 급격한 팽창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배터리 전문 리서치 업체인 크레딧솔루션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글로벌 전구체 수요는 연 1,418천톤으로 최근 3년 간 연평균 57.9%의 속도로 지속 성장해왔습니다.
(단위: 천톤)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CAGR
글로벌 전구체 수요
569
977
1,418
57.9%
(자료) 크레딧솔루션
전구체는 배터리의 핵심소재로서 향후 최종 전방산업인 EV, Non-IT 기기(전동공구 등), ESS 및 이에 영향을 받는 전방산업인 배터리 시장과 양극재 시장의 성장으로부터 밀접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존에는 스마트폰, 노트북 및 전동공구 등이 배터리의 주요 전방산업이었으나, 최근 배터리의 기술적 난제였던 고밀도, 고용량, 고출력 및 안정성 등의 문제가 해결되며 EV 및 ESS까지 그 적용처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배터리의 주요 적용처]
구분
내용
EV
■ 고용량(노트북용 배터리의 4,000배 이상), 내구성(10년 이상 수명)이 필수 요건
Non-IT 기기
■ 과거 배터리의 대표적인 사용처
■ 장시간 연속 사용 및 소형화 / 경량화가 주요 요소
■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 또는 드론 등 신규 적용처의 성장으로 수요 증가 중
ESS
■ 풍력 또는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
■ 고정형이므로 EV 또는 Non-IT 기기용처럼 엄격한 물리적 제약이 존재하지 않음
기타
■ 로봇 등 다양한 미래지향적 아이템에 탑재
한편, 최근 배터리 시장은 EV, Non-IT 기기 및 ESS 등 전방산업의 급격한 팽창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1) EV시장
글로벌 EV 시장은 2022년 기준 약 1,500만대로 최근 수년 간의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글로벌 EV 시장은 ICE 대비 EV의 결정적인 단점이었던 주행거리의 확대, 중국의 전략적인 EV 산업 육성을 위한 보조금 지급 등 수요 요인과, 디젤게이트 / 파리 협약 이후 주요국의 강도 높은 에너지 전환 정책, 그리고 이로 인한 OEM의 전략 변화 등 공급 요인이 일치하며 빠르게 성장해왔습니다. 이처럼 글로벌 수요-공급 동력이 균형으로 2020년 8.4%였던 완성차 시장 내 EV 침투율은 2027년 41.7%까지 제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지: 글로벌 EV 판매량/ 침투율 추이 및 전망
글로벌 EV 판매량/ 침투율 추이 및 전망
(단위: 천대,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E)
2024년(E)
2025년(E)
2026년(E)
2027년(E)
완성차 수요
72,574
75,382
77,516
83,785
87,208
89,205
91,352
93,884
ICE 수요
66,455
63,537
62,519
65,227
64,239
61,233
58,085
54,735
EV 수요
6,120
11,845
14,997
18,558
22,969
27,972
33,266
39,149
EV 침투율
8.4%
15.7%
19.3%
22.1%
26.3%
31.4%
36.4%
41.7%
(자료) 크레딧솔루션
(2) Non-IT 기기 시장
향후 중소형 배터리의 성장을 견인해 나갈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으로는 전동공구(Power Tool)와 퍼스널 모빌리티 부문이 있습니다.
전동공구는 건설, DIY (Do It Yourself), 원예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방시장의 추세에 따라 수요가 변동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특히, 건설과 부동산 산업에 크게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이며, 최근에는 DIY 열풍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빈도 또한 높아지며 문화나 소비 트렌드, 소득 수준 등에 따라 시장이 형성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전세계에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이 존재합니다.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되는 동시에 Uber, Lyft 등 공유승차 업체가 불러온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 변화가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의 확산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Helbiz, Bird Global 등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 업체가 상장을 하는 등 자본시장에서도 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니즈와 쉬운 조작방법 및 휴대성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빠르게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미지: 글로벌 Non-IT 수요 전망
글로벌 Non-IT 수요 전망
(단위 : 백만개)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E)
2024년(E)
2025년(E)
2026년(E)
2027년(E)
Non-IT 기기 수요
3,549 3,367 4,186 4,616 5,139 5,454 5,927 6,022
전동공구
1,636
1,812
2,153
2,253
2,326
2,353
2,415
2,459
퍼스널 모빌리티
1,012
1,060
1,443
1,685
1,947
2,149
2,283
2,356
웨어러블 디바이스 901 495 590 678 866 952 1,229 1,207
(자료) 크레딧솔루션
(3) ESS 시장
글로벌 ESS 시장은 2020년 22GWh에서 2022년 79GWh로 성장하였으며, 이후 연평균 30.9% 성장하여 2027년에는 약 308G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SS는 Energy Storage System 즉, 전력저장장치시스템을 칭하며 배터리 산업 성장을 이끄는 중요요소 중 하나입니다. 전력의 특성 상 발전 즉시 사용되어야 하는데, ESS를 활용하면 발전 후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ESS에 저장했다가 필요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ESS의 특성으로 생산되는 에너지와 소비되는 에너지 사이의 시간 및 공간의 차이를 극복함으로써 전력수급 안정화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ESS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산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다양한 요금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신재생과 연관된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 /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정책입니다. 현재 정부는 2030년까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끌어 올리는 에너지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RPS로 500MWh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는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것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소규모 발전사업자로부터 REC를 구매해야 하며, 현재 태양광 연계 ESS 구축 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ESS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ESS 전용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국내 ESS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현행 전기기본료는 피크타임에 사용하는 전력량에 따라 정해지는, 즉, 최대수요전력량이 낮을수록 기본료를 적게 내는 방식입니다. ESS를 활용할 경우 최대수요전력량을 낮춤으로써 기본요금을 감면 받고, 또, 전기료가 싼 시간대에 충전을 한 후, 비싼 시간대에 충전했던 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량 추가절감이 가능하도록 해 ESS 보급을 진작하고 있습니다.
[주요 국가 ESS 시장 필요성 및 산업 발전 방향]
국가
ESS 시장 필요성
산업 발전 방향
미국
전력계통 노후화
전력계통용 → 신재생에너지발전용 → 가정용
일본
원전사태에 따른 비상전원 확보
가정용 → 신재생에너지발전용 → 전력계통용
독일
신재생에너지 발전 활성화
신재생에너지발전용 → 전력계통용 → 가정용
(자료) 한국원자력환경공단
(4) 전구체 시장 규모 전망
이러한 전방산업의 성장에 따라 글로벌 전구체 수요는 2022년 1,418천톤에서 향후 5년간 연평균 30%의 속도로 성장하며 2027년 기준 5,263천톤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지: 글로벌 전구체 수요 추이 및 전망
글로벌 전구체 수요 추이 및 전망
(단위 : 천톤)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E)
2024년(E)
2025년(E)
2026년(E)
2027년(E)
글로벌
전구체 수요
569
977
1,418
1,975
2,669
3,473
4,347
5,263
(자료) 크레딧솔루션
2) 국내외 시장 여건
(1) 시장의 안정성
전구체 산업은 자본력을 바탕으로 대규모의 생산설비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는 장치산업으로 생산설비의 규모 및 효율성이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특히, 2023년 이후 밸류체인 전반적으로 초과수요 상태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요 업체들은 공격적으로 설비투자를 집행하고 있으며, 확장된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사가 요구하는 전구체 물량을 안정적으로 차질 없이 공급할 수 있는 능력 자체가 전구체 산업 내 경쟁력이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해 끊임 없는 대규모 생산설비 투자가 집행되어야 하는 대규모 장치산업이며, 신규업체들이 진입하기 어려운 시장입니다.
실제 2020년 1,188,000톤 수준이었던 글로벌 전구체 생산능력은 2022년 2,794,000톤 수준까지 증가했으며, 2027년에는 6,068,400톤에 달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전구체 업체들은 시장 전체적으로 향후 대규모의 설비투자를 집행 할 것으로 예상되고, 최근 글로벌 공급망 이슈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향후 관련 법규 및 제도 상의 이유로 북미·유럽지역 내 설비 투자비중이 높아질 경우, 전구체 업체들의 투자비는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구체는 양극재 및 배터리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중요성을 더욱 인정 받고 있으며, 향후에도 양극재 및 배터리의 기술개발과 궤를 함께 하며 고도화를 이루어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전구체 산업에도 계속해서 더 수준 높고 다양한 경쟁요인이 작용하고 있으며, 법적 진입장벽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나, 전구체 산업 내 작용하고 있는 주요 경쟁요인 고려 시 신규진입에 있어 높은 상업적 진입장벽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주요 경쟁요인 중 하나라도 부족할 경우, 장기적으로 전구체 산업 내 지위를 공고히 하기 어려운 바 신규업체가 단기간 내에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경쟁상황
전구체는 화학물질 조성 및 생산 간 고도의 공정기술이 필요하기에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단순히 기성 설비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제품이 아니며, 독자적인 기계 및 설비들을 활용하여 생산하기에 숙련된 엔지니어들이 필수적인 요소로 뽑히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전구체시장의 진입장벽은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국내에서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를 포함하여 소수 업체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 일본 및 중국에 경쟁업체들이 분포하여 있습니다. 이러한 소수 사업자에 의한 시장지배로 인해 2022년말 기준 글로벌 전구체 시장은 상위 4개사가 52.8%를 차지하는 과점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주력으로 생산하는 하이니켈 NCM으로 한정할 경우 상위 4개사가 53.7%를, 또는 북미 및 유럽과 달리 독자적인 밸류체인을 구축한 중국업체를 제외할 경우 상위 4개사가 83.1%를 차지하는 과점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위 업체를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고려할 경우 향후 이와 같은 경향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주요한 시장 경쟁력 요인 및 회사의 강점 및 단점
1) 주요한 시장 경쟁력 요인
전구체 산업은 배터리 밸류체인 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원가 기준)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는 첨단 핵심산업으로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기술력의 차이를 극복해야 합니다.
개발기술의 경우, 최근 전구체 업체들은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니켈 함량을 높이는 동시에 원자재 가격 부담이 높은 코발트의 함량을 낮추고, 낮은 코발트 함량으로 인해 야기되는 안정성 문제를 망간으로 보충하는, 이른바 하이니켈 NCM 전구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행거리 확대라는 분명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이니켈 NCM 전구체는 비교적 낮은 배터리 안정성과 짧은 수명 등으로 인해 상업 적용을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기술적 난이도를 극복해야 합니다.
또한, 생산기술의 경우, 고객별로 요구하는 미세하게 다른 물성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레시피를 보유함은 물론이고, 동일한 생산설비 내에서도 공정개선, 운영최적화 등을 통해 수율을 제고하고 라인 당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한편, 생산제품 교체를 위한 라인 재정비(Job Change)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도 전구체 산업 내 핵심 기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이처럼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산업 내 충분한 경험을갖춘 엔지니어는 극소수에 불과해 전구체 사업에 신규로 진입하는 업체가 단기간 내 하이엔드(High-end) 전구체 생산 역량 및 공정 기술을 확보할 가능성은 낮으며, 이를해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건비를 지불하여 외부 엔지니어를 확보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시장에 있는 여러 업체들이 전구체 산업과 관련된 신규 투자 등을 발표하고 있으나, 하이엔드 전구체를 고객사의 요구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2) 회사의 강점 및 단점
① 생산능력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현재 연간 50,000톤 규모의 국내 최대 전구체 생산능력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특히, NCA 및 NCM 전구체 생산 라인을 모두 갖추고 있는 국내 유일의 전구체 기업으로 향후 삼원계 이차전지 시장에서의 트렌드 변화에 가장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2023년 3월 발표된 IRA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양극재 밸류체인은 구성소재(Constituent Materials)에 포함되어 한국 등 FTA 체결 국가에서 생산하더라도 미국내 세액공제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글로벌 중장기 하이니켈 전구체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국내 생산 시설 투자를 중심으로 2027년까지 210,000톤 규모의 전구체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② 기술력
최근 전기차 시장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 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은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 그리고 양극재 및 전구체의 니켈 함량 고도화와 직결 됩니다. 당사는 설립 이래 니켈 함량 80% 및 90% 이상의 하이니켈 전구체 사업을 영위하며 니켈 고도화에 특화된 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전구체는 물리적 특성 상 생산과정의 습도, 온도 및 생산기술의 고도화 등에 따라 물성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균일한 결정의 동일한 제품을 제조하는 생산기술이 중요합니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생산 및 품질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선도적인 경쟁력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마.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경우, 단일 사업부문(전구체)을 영위하고 있어 별도의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바. 신규사업 현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환경사업부문]
1. 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가.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영위하고 있는 사업과 관련하여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부내역은 상세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6.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에코프로에이치엔(연결))' 참조
나. 법률/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률, 규정등으로 당사의 영업활동, 비용지출 또는 경쟁상의 지위 등 사업의 영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없습니다.
다. 환경 관련 규제사항 등
에코프로에이치엔이 취득한 환경경영시스템 및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인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 ISO 45001(안전경영시스템)
당사 환경경영 실적에 관한 세부 내용은 당사 홈페이지(http://www.ecoprohn.c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하여 사업장 내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시설별 에너지 사용 효율 향상을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 기술 개발과 공정 개선,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 사업연도말(2022년도말)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아래의 그래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2)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량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사업장 내 발생되는 폐기물을 적법하게 보관하여 재활용 처리업체를 통해 90% 이상의 재활용 처리(위탁)를 진행 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자체 점검을 통해 폐기물에 대한 법규 준수(처리업체 평과 및 관리), 환경사고 예방 및 쾌적한 환경을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폐기물처분부담금 제도 도입에 따라 당사는 폐기물처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소각, 매립처리가 필요한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율을 향상 시키는 경영 활동을 전개 하고 있습니다. 최근 사업연도말(2022년도말) 당사의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률은 아래의 그래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률
폐기물 배출량 및 재활용률
3) 대기 환경 보전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매년 강화되는 대기환경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대기오염물질은 배출허용기준 대비 10% 미만으로 처리되고 있습니다. 나아가 대기환경보전법을 준수하고 오염물질 처리의 효율성을 확대 하기 위해 최적의 방지시설을 적용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정부인증기관의 주기적인 굴뚝 배기가스 측정을 통해 객관적인 모니터링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도말 기준)
구분 단위 배출 허용 기준 배출 농도 배출 허용 기준 대비
배출 농도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먼지
mg/Sm3 50 4.9 10%
질소산화물
ppm 150 9.3 6%
황산화물
ppm 35 0.0 0%
NH3
ppm 30 0.1 0%
4) 수질 환경 보전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자체처리하고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하는 관리 방식을 운영하며 수질 환경 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에코프로에이치엔의 폐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물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진행 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말 기준)
구분 단위 배출 허용 기준 배출 농도 배출 허용 기준 대비
배출 농도
수질오염 물질
배출량 BOD ppm 100 92.1 92%
COD ppm 100 57.1 95%
SS ppm 100 4.5 5%
T-N ppm 50 3.2 6%
T-P ppm 10 0.0 0%
5) 연도별 환경 안전 투자 현황
에코프로에이치엔은 환경안전보건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오염물질 배출 최소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및 환경개선을 위한 기술개발을 통해 인류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편리하게 하는 것이 에코프로에이치엔의 궁극적인 목표 입니다. 이를 위해 에코프로에이치엔은 다음과 같은 환경 안전 목표를 설정하여 여러 환경 안전 활동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 환경 안전 목표
이미지: 환경 안전 목표
환경 안전 목표
▣ 연도별 투자 현황
이미지: 연도별 투자현황
연도별 투자현황
라.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1) 환경산업의 특성
「환경산업」이란 광범위적으로 자원순환관리, 물관리, 환경복원 및 복구, 기후대응, 대기관리, 환경안전.보건,지속가능 환경.자원, 환경지식.정보.감시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의미하며, 다음과 특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환경산업 특징]
특징 내용
공공재적 특성이
강한 산업 - 생활쓰레기의 수집 및 운반, 도시 하수 처리 등 일반 대중과 광범위한 지역 환경 보전을 위한 공공재적 특성이 강함
- 환경보전을 위한 활동과 시설은 공공복지를 위한 사회 간접 자본의 성격이 강함
인위적 시장
창출 산업 - 대기환경 산업은 개별 기술보다는 기계/화학/전기/전자 등 다양한 응용기술이 복합되어 적용된 산업
- 자연 발생적인 시장 창출보다는 국내 환경 정책이나 국제 환경규제 등 법적 및 제도적 요인에 의해 환경 산업의 수요가 창출되는 것이 일반적
기술 중시형
복합 산업 - 독자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다른 산업에 비해 환경산업은 여러 산업의 특징을 복합적으로 있는 응용 산업
다양한 현장
대응 산업 - 환경오염의 발생 과정, 오염 물질 특성, 처리 방법 등에 따라 오염 방지 시설 등이 주문자의 생산 방식에 의존하는 특성이 존재 하며, 산업체는 여러 가지 기술과 서비스를 갖추어야 고객들의 요구에 대응 가능
선진국형 산업 -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욕구증가는 환경산업 발전 요인으로 작용하고, 1인당 국민 소득이 1만 달러 이상인 국가에서 환경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는 선진국형 산업
* 출처 : 환경산업육성 및 해외진출 우수성과 사례분석,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8)
한국IR협의회, NICE디앤비 재구성
2) 환경사업의 성장성
환경부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발간한 '2022년 기준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도 환경부문 매출액은 105조 1,399억원으로 추정되며, 2021년도 환경부문 매출액 103조 110억원 대비 2.1% 증가하였습니다. 환경산업활동(매체별)로 볼 경우, '기후대응(3.1%)', '환경복원 및 복구(3.0%)', '지속가능 환경.자원(2.6%)', '자원순환관리(2.1%)', '환경지식.정보.감시(1.8%)', '환경안전.보건(1.8%)', '대기관리(0.7%)', '물관리(0.3%)'의 순으로 매출액이 전년대비 증가하였습니다. 환경부문에 대한 매출액 증가 추세를 감안할 때,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주요 사업이 포함된 대기환경 관련 시장은 매년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이미지: 환경부문 매출액
환경부문 매출액
* 출처 : 2022년 기준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
※ 환경산업통계 작성범위
환경산업 작성범위
자원순환관리 폐기물 관리기기 제조, 폐기물관리 관련시설 건설, 폐기물관리 관련 서비스, 폐자원에너지화 기기 제조,
폐자원에너지화 관련 시설 건설, 폐자원에너지화 관련 서비스, 재생용 가공원료 및 재활용제품 제조,
재활용제품 유통, 자원순환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물관리 오·폐수관리 기기 및 제품 제조, 오·폐수관리 관련 건설, 오·폐수관리 관련 서비스, 수도사업 관련, 물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환경복원/복구 토양/지표수/지하수 개선 및 정화기기 제조, 토양/지표수/지하수 개선 및 정화 관련 서비스, 환경복원 및 복구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기후대응 기후변화 대응 제조, 기후변화 대응 건설, 기후변화 대응 서비스, 기후대응 관련 분석/자료수 집 및평가 서비스
대기관리 대기오염 통제 기기 제조, 대기오염 통제 관련 건설, 대기오염 통제 관련 서비스, 실내공기질 통제기기 제조, 실내공기질 통제 서비스, 대기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환경안전/보건 소음 및 진동 저감장치 제조, 소음 및 진동 저감시설 건설, 환경보건 대응 제조, 환경보건 대 응 서비스, 환경안전·보건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지속가능 환경/자원 열/에너지 절약 및 회수 기기 제조, 열/에너지 절약 및 회수 관련 건설, 열/에너지 절약 및 회수 관련 서비스, 생물자원 관리/보전기기 제조, 생물자원 관리/보전 관련 건설, 생물자원 관리/보전 관련 서비스, 산림 관리 기기 제조, 산림 관리 관련 건설, 산림 관리 관련 서비스, 산림 관리 및 유지 서비스, 생물다양성 및 경관 보호기기 제조, 생물다양성 및 경관 보호 관련 서비스, 생물다양성 및 경관 보호 관련 건설, 생물다양성 및 바이오관련 생산·제조·서비스 (생 물종자·종묘산업), 지속가능 환경·자원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환경지식/정보/감시 환경감시/분석 및 측정장치 제조, 환경연구개발 관련 서비스, 환경 관련 계약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법무/교육 서비스, 환경 지식·정보·감시 관련 분석/자료수집 및 평가 서비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에코프로에이치엔이 전방 산업은 반도체/디스플레이/중공업/석유화학 등 그 범위가 매우 다양 합니다. 각 산업의 특성 및 계절성은 매우 상이하여 공통된 특성을 정의하기 어려우나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사업은 정부의 환경 규제 변화에 따른 영향도가 높습니다. 최근 환경오염 개선을 위한 국내외 정부의 정책들이 강화 됨에 따라 환경 개선을 위한 기업의 활동도 확대 되고 있습니다.
마. 국내외 시장 여건
2024년 환경 사업의 전방 시장은 고금리, 고물가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환경 개선을 위한 투자 축소가 예상 되고 있으나, 당사는 적극적인 영업 활동을 통해 수요의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케미컬 필터 사업은 국내 반도체 시장의 시설투자 계획이 다소 둔화되며 이에 따른 영향이 예상되나 제품 생산에 따른 케미펄 필터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온실가스 사업의 전방 시장은 반도체 산업의 투자 동향과 정부의 탄소배출 관련 법률 및 정책 변화에 따라 수요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국내 반도체 시장의 시설투자 계획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 되지만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의 온실가스 감축 설비 수요가 새로이 확대될 전망으로 이를 통해 견조한 수요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됩니다.
미세먼지 사업은 '대기오염방지법' 정책 강화에 따라 시장의 규모가 확대 되고 있습니다. 최근 VOC(휘발성유기화합물) 감축을 이행해야 하는 신규 산업이 법안 내 추가 되었습니다. 해당 산업으로부터의 미세먼지 감축 설비에 대한 미래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미세먼지 사업의 전방 시장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 하고 있습니다.
바. 경쟁력 확보 요인 및 회사의 강점
사업의 경쟁력을 좌우 하는 요인은 대기오염 물질을 저감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 가스 등의 에너지 비용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대기오염 물질 제거율을 높이는 것입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의 대기오염 저감 기술은 전방 고객의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고려한 촉매 개발을 통해 에너지 비용을 최소화 하는 고효율 운영에 특화 되어 있습니다. 산업 내 경쟁자는 다수 있으나 당사만이 갖춘 기술력을 활용하여 사업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사.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사업부문별 매출 정보는 Ⅱ.사업의 내용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 신규사업 현황
에코프로에이치엔은 20여년간 축적해온 관련 분야의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신규 사업을 추진 하고 있습니다.
1) 배터리 소재 사업
- 양극활물질의 도판트 및 도가니 등 이차전지 부소재 개발
- '24년 양산 목표
2) 전자재료 소재 사업
- 유기전자재료 등 개발
- '24년 양산 목표
3) SDM 사업
- 해외 파트너의 온실가스 감축 기술 제공을 통한 탄소배출권 판매권 확보
노브랜드 KB제28호스팩 아이씨티케이 HD현대마린솔루션 SK증권제12호스팩 코칩 민테크 카티스 디앤디파마텍 유안타제16호스팩 제일엠앤에스 삐아 하나33호스팩 신한제13호스팩 신한제12호스팩 아이엠비디엑스 SK이터닉스 하나32호스팩 엔젤로보틱스 제이투케이바이오 삼현 오상헬스케어 케이엔알시스템 비엔케이제2호스팩 하나31호스팩 SK증권제11호스팩 유안타제15호스팩 유진스팩10호 에이피알 이에이트 코셈 케이웨더 사피엔반도체 에스피소프트 스튜디오삼익 신영스팩10호 폰드그룹 IBKS제24호스팩 레이저옵텍 이닉스 엘앤에프 포스뱅크 현대힘스 HB인베스트먼트 드림인사이트 대신밸런스제17호스팩 우진엔텍 세븐브로이맥주 한빛레이저 포스코DX DS단석 IBKS제23호스팩 하나30호스팩 씨싸이트 블루엠텍 LS머트리얼즈 케이엔에스 교보15호스팩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성스팩9호 에이텀 엔에이치스팩30호 에이에스텍 그린리소스 제이엔비 한선엔지니어링 동인기연 에코아이 스톰테크 에코프로머티 캡스톤파트너스 프로젠 에스와이스틸텍 에이직랜드 한국제13호스팩 메가터치 비아이매트릭스 컨텍 큐로셀 쏘닉스 KB제27호스팩 세니젠 신시웨이 유진테크놀로지 유투바이오 퀄리타스반도체 미쥬 워트 에스엘에스바이오 신성에스티 퓨릿 바이오텐 에이치엠씨제6호스팩 아이엠티 레뷰코퍼레이션 두산로보틱스 신한제11호스팩 한싹 밀리의서재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우듬지팜 코어라인소프트 STX그린로지스 상상인제4호스팩 율촌 한화플러스제4호스팩 대신밸런스제16호스팩 유안타제11호스팩 크라우드웍스 대신밸런스제15호스팩 한국제12호스팩 한국피아이엠 시큐레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넥스틸 빅텐츠 SK증권제10호스팩 KB제26호스팩 코츠테크놀로지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하나28호스팩 NICE평가정보 파두 엠아이큐브솔루션 시지트로닉스 에피바이오텍 조선내화 에이엘티 유안타제14호스팩 파로스아이바이오 길교이앤씨 버넥트 뷰티스킨 SK증권제9호스팩 와이랩 센서뷰 아이엠지티 필에너지 DB금융스팩11호 교보14호스팩 이노시뮬레이션 이브이파킹서비스 알멕 오픈놀 시큐센 하나29호스팩 KB제25호스팩 엔에이치스팩29호 하이제8호스팩 가이아코퍼레이션 비에이치 동국씨엠 동국제강 프로티아 큐라티스 마녀공장 나라셀라 진영 이수스페셜티케미컬 OCI 기가비스 팸텍 모니터랩 씨유박스 큐라켐 키움제8호스팩 트루엔 삼미금속 에스바이오메딕스 슈어소프트테크 토마토시스템 마이크로투나노 셀바이오휴먼텍 SK오션플랜트 노보믹스 삼성FN리츠 현대그린푸드 미래에셋비전스팩3호 IBKS제22호스팩 하나27호스팩 한화갤러리아 지아이이노베이션 LB인베스트먼트 한화리츠 유안타제12호스팩 엑스게이트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금양그린파워 라온텍 자람테크놀로지 하나26호스팩 나노팀 바이오인프라 삼성스팩8호 유안타제13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이노진 화인써키트 제이오 샌즈랩 꿈비 스튜디오미르 삼기이브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오브젠 미래반도체 지슨 태양3C 티이엠씨 한주라이트메탈 옵티코어 아이오바이오 타이드 신영스팩9호 신스틸 지에프씨생명과학 카이바이오텍 바이오노트 비엔케이제1호스팩 마이크로엔엑스 애니메디솔루션 IBKS제21호스팩 엔에이치스팩27호 핑거스토리 SAMG엔터 대신밸런스제14호스팩 엔에이치스팩26호 유진스팩9호 아하 에이아이더뉴트리진 대신밸런스제13호스팩 유니드비티플러스 펨트론 인벤티지랩 엔젯 유비온 티쓰리 티에프이 윤성에프앤씨 디티앤씨알오 뉴로메카 제이아이테크 LX세미콘 엔에이치스팩25호 교보13호스팩 큐알티 IBKS제20호스팩 저스템 산돌 삼성스팩7호 탈로스 플라즈맵 엔에이치스팩24호 핀텔 하나금융25호스팩 한국제11호스팩 샤페론 비스토스 탑머티리얼 에스비비테크 오에스피 모델솔루션 이노룰스 파인엠텍 KB스타리츠 SK증권제8호스팩 유안타제10호스팩 선바이오 더블유씨피 알피바이오 하나금융24호스팩 한화플러스제3호스팩 티엘엔지니어링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키움제7호스팩 신영스팩8호 대성하이텍 쏘카 에이치와이티씨 새빗켐 유안타제9호스팩 수산인더스트리 신한제10호스팩 아이씨에이치 성일하이텍 에이프릴바이오 퓨쳐메디신 벨로크 루닛 바스칸바이오제약 HPSP 와이씨켐 코난테크놀로지 넥스트칩 삼성스팩6호 엔에이치스팩23호 교보12호스팩 레이저쎌 보로노이 위니아에이드 케이비제21호스팩 비큐 AI 범한퓨얼셀 코나솔 청담글로벌 마스턴프리미어리츠 하나금융22호스팩 가온칩스 대명에너지 상상인제3호스팩 포바이포 신한제9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1호 키움제6호스팩 지투파워 유진스팩8호 코람코더원리츠 세아메카닉스 공구우먼 유일로보틱스 모아데이타 메쎄이상 노을 비씨엔씨 풍원정밀 스톤브릿지벤처스 하나금융21호스팩 브이씨 퓨런티어 바이오에프디엔씨 인카금융서비스 나래나노텍 아셈스 스코넥 이지트로닉스 LG에너지솔루션 애드바이오텍 케이옥션 코스텍시스템 오토앤 래몽래인 하이제7호스팩 라피치 제이엠멀티 신한서부티엔디리츠 툴젠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켈스 SK스퀘어 마음AI 알비더블유 NH올원리츠 NPX 트윔 아이티아이즈 지오엘리먼트 디어유 비트나인 지니너스 카카오페이 피코그램 엔켐 리파인 지앤비에스 에코 아이패밀리에스씨 차백신연구소 지아이텍 코닉오토메이션 케이카 씨유테크 아스플로 원준 실리콘투 에스앤디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HD현대중공업 SK리츠 유진스팩7호 와이엠텍 에이비온 라이콤 일진하이솔루스 디앤디플랫폼리츠 바이젠셀 아주스틸 롯데렌탈 브레인즈컴퍼니 딥노이드 한컴라이프케어 엠로 플래티어 원티드랩 크래프톤 HK이노엔 PI첨단소재 카카오뱅크 한화플러스제2호스팩 에브리봇 맥스트 큐라클 에스디바이오센서 오비고 엠씨넥스 아모센스 타임기술 이노뎁 라온테크 LB루셈 이성씨엔아이 에이디엠코리아 에코프로에이치엔 LX홀딩스 제주맥주 진시스템 F&F 삼영에스앤씨 샘씨엔에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에이치피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쿠콘 이삭엔지니어링 해성에어로보틱스 엔시스 자이언트스텝 제노코 라이프시맨틱스 SK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다인 네오이뮨텍 화승알앤에이 싸이버원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나노씨엠에스 뷰노 엑스플러스 유일에너테크 씨이랩 오로스테크놀로지 피엔에이치테크 모비데이즈 아이퀘스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레인보우로보틱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솔루엠 핑거 모비릭스 씨앤투스 선진뷰티사이언스 DL이앤씨 엔비티 파이버프로 나우코스 루트락 ESR켄달스퀘어리츠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석경에이티 지놈앤컴퍼니 프리시젼바이오 알체라 하이딥 에프앤가이드 티엘비 씨엔티드림 인바이오 엔젠바이오 퀀타매트릭스 명신산업 클리노믹스 포인트모바일 앱코 엔에프씨 제일일렉트릭 하나기술 에이플러스에셋 티앤엘 고바이오랩 네패스아크 교촌에프앤비 소룩스 위드텍 센코 바이브컴퍼니 원포유 미코바이오메드 피플바이오 하이브 넥스틴 케이엔솔 비나텍 씨엔알리서치 박셀바이오 티와이홀딩스 비비씨 코스텍시스 핌스 압타머사이언스 이오플로우 카카오게임즈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아이디피 셀레믹스 고스트스튜디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영림원소프트랩 한국파마 제이알글로벌리츠 솔브레인 이루다 미래에셋맵스리츠 이지스레지던스리츠 와이팜 에코앤드림 엠투아이 더네이쳐홀딩스 제놀루션 솔트룩스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티에스아이 에이프로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소마젠 신도기연 위더스제약 에스케이바이오팜 엠브레인 젠큐릭스 무진메디 HB솔루션 에스에이티이엔지 에스씨엠생명과학 휴럼 이지바이오 드림씨아이에스 대덕전자 HLB사이언스 엔피디 플레이디 서울바이오시스 제이앤티씨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레몬 서남 위세아이텍 케이씨씨글라스 세림B&G 이앤에치 CJ 바이오사이언스 엔에스엠 피피아이 RF머트리얼즈 아이비김영 브릿지바이오 다보링크 메드팩토 원텍 신테카바이오 제이엘케이 태웅로직스 윙스풋 노드메이슨 리메드 NH프라임리츠 비올 타스컴 진코스텍 웨이버스 유엑스엔 HLB바이오스텝 씨티알모빌리티 티움바이오 씨에스베어링 우양 코리아에셋투자증권 HD현대에너지솔루션 에스제이그룹 제테마 한화시스템 라파스 아이티엠반도체 일승 자이에스앤디 미디어젠 모코엠시스 티라유텍 롯데리츠 지누스 밸로프 캐리소프트 한국미라클피플사 케이엔제이 엔바이오니아 팜스빌 두산퓨얼셀 라온피플 솔루스첨단소재 콘텐트리중앙 아톤 녹십자웰빙 누보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엔지브이아이 올리패스 라닉스 윈텍 한독크린텍 아퓨어스 네오크레마 마니커에프앤지 솔트웨어 나노브릭 에스피시스템스 레이 그린플러스 코윈테크 덕산테코피아 KBG 엑스페릭스 세경하이테크 캐리 대모 에이스토리 플리토 헥토파이낸셜 아이스크림에듀 펨토바이오메드 펌텍코리아 에이에프더블류 태성 엠에프엠코리아 압타바이오 까스텔바작 마이크로디지탈 코퍼스코리아 프로이천 포스코퓨처엠 수젠텍 컴퍼니케이 다원넥스뷰 피에스케이 현대무벡스 TS트릴리온 이노벡스 아모그린텍 현대오토에버 지노믹트리 이지케어텍 미래에셋벤처투자 드림텍 더블유게임즈 에코프로비엠 셀리드 우리금융지주 천보 SCL사이언스 노랑풍선 웹케시 엘에이티 에어부산 비피도 유틸렉스 디케이티 아이엘사이언스 애니플러스 테크엔 디와이씨 오하임앤컴퍼니 위지윅스튜디오 국전약품 에이비엘바이오 머큐리 전진바이오팜 뉴트리 비투엔 이노메트리 DH오토리드 에코캡 원바이오젠 애닉 윙입푸드 남화산업 엠아이텍 티로보틱스 네오펙트 에이펙스인텍 티앤알바이오팹 나라소프트 아시아나IDT 디알젬 싸이토젠 아주IB투자 파멥신 디케이앤디 퀀텀온 노바렉스 셀리버리 대보마그네틱 노바텍 엘앤씨바이오 네온테크 로보티즈 옵티팜 에스퓨얼셀 세아제강 나우IB 푸드나무 하나제약 크리스에프앤씨 더블유에스아이 지티지웰니스 우진아이엔에스 엔피 피엔티엠에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디지캡 지니틱스 액트로 오파스넷 브이엠 바이오솔루션 더콘텐츠온 대유 신한알파리츠 디아이티 에스에스알 한일시멘트 휴네시온 티웨이항공 롯데이노베이트 한국유니온제약 그리티 알로이스 올릭스 테크트랜스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아이큐어 SV인베스트먼트 엘리비젼 지앤이헬스케어 이리츠코크렙 EDGC 에스엠비나 HDC현대산업개발 카이노스메드 파워넷 카나리아바이오 세종메디칼 제노레이 디피코 제이시스메디칼 에스제이켐 JTC 네오셈 케어랩스 애경산업 린드먼아시아 오스테오닉 엔지켐생명과학 동구바이오제약 아시아종묘 알리코제약 셀트리온 카페24 링크제니시스 배럴 SG 씨앤지하이테크 쿠쿠홈시스 SK케미칼 시스웍 디바이스이엔지 씨알푸드 레이크머티리얼즈 BGF리테일 동양피스톤 진에어 씨티케이 메카로 에스트래픽 케이씨텍 체리부로 대원 비즈니스온 동아타이어 삼양패키징 스튜디오드래곤 비디아이 코오롱티슈진 EMB 테이팩스 롯데웰푸드 탑선 영화테크 폴라리스세원 상신전자 야스 인산가 휴엠앤씨 신흥에스이씨 유티아이 선익시스템 엠플러스 앱클론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펄어비스 케이피에스 SK시그넷 덕우전자 지오릿에너지 케일럼 알에스오토메이션 컬러레이 와이즈버즈 모트렉스 데이타솔루션 지니언스 디앤씨미디어 이즈미디어 루켄테크놀러지스 힘스 제일약품 브이원텍 아우딘퓨쳐스 이녹스첨단소재 카카오 오리온 하림지주 덴티스 메디안디노스틱 나인테크 에스알바이오텍 뿌리깊은나무들 보라티알 매일유업 LK삼양 이랜시스 필옵틱스 미원에스씨 경동도시가스 넷마블 HD현대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일렉트릭 포인트엔지니어링 하나머티리얼즈 소프트캠프 와이엠티 파워풀엑스 크라운제과 AP시스템 유에스티 이엘피 유비쿼스 서진시스템 코미코 아스타 덴티움 에스디생명공학 신신제약 에프엔에스테크 모바일어플라이언스 피씨엘 호전실업 서플러스글로벌 유바이오로직스 도부마스크 한국비엔씨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셀젠텍 피엠티 바이오프로테크 애니젠 유니온커뮤니티 신라젠 자비스 핸즈코퍼레이션 티이엠씨씨엔에스 퓨쳐켐 뉴파워프라즈마 엘앤케이바이오 에스엘테라퓨틱스 핸디소프트 두산밥캣 삼성바이오로직스 클리오 오가닉티코스메틱 얼라인드 세화피앤씨 굿센 인크로스 에이치엘사이언스 코스메카코리아 JW생명과학 GRT 안지오랩 골든센츄리 인텔리안테크 에이치시티 잉글우드랩 앤디포스 수산아이앤티 미투온 화승엔터프라이즈 예선테크 LS에코에너지 스타리츠 유니테크노 모비스 나무기술 자이글 일동제약 헝셩그룹 샘표식품 에코마케팅 블루탑 두올 엔지스테크널러지 우리손에프앤지 오건에코텍 아이윈플러스 제노텍 동서 장원테크 위니아 한국자산신탁 한국토지신탁 모아라이프플러스 피앤씨테크 로스웰 씨앤에스링크 해성디에스 에스티팜 지씨셀 알엔투테크놀로지 이비테크 이스트에이드 휴온스 나눔테크 KC산업 용평리조트 해태제과식품 원익IPS 로보쓰리에이아이 레이언스 동양파일 삼일씨엔에스 팬젠 AP위성 비유테크놀러지 큐리언트 안트로젠 슈프리마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유니트론텍 크리스탈신소재 메디젠휴먼케어 볼빅 이엠티 더코디 에스와이 질경이 잇츠한불 크로넥스 딥마인드 와이씨 육일씨엔에쓰 휴젤 한국맥널티 덱스터 아진산업 HLB제약 강스템바이오텍 에이원알폼 메가엠디 보광산업 파크시스템스 에치에프알 예스티 코스맥스엔비티 멕아이씨에스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원익피앤이 세진중공업 하이즈항공 DXVX 케이디켐 네오오토 엔투텍 케어젠 아이진 나무가 이노시스 금호에이치티 제주항공 본느 파마리서치바이오 럭스피아 노브메타파마 엔케이맥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KH 건설 엑시콘 엄지하우스 메디쎄이 뉴지랩파마 케이엠제약 한송네오텍 패션플랫폼 LIG넥스원 넥슨게임즈 제너셈 타이거일렉 HDC랩스 동일제강 휴먼테크놀로지 씨아이에스 에이텍모빌리티 웹스 AJ네트웍스 파인텍 세토피아 심텍 흥국에프엔비 쎄노텍 칩스앤미디어 아시아경제 엔에스컴퍼니 아이쓰리시스템 로지시스 플럼라인생명과학 켐트로스 파마리서치 디와이디 펩트론 이노션 토니모리 광동헬스바이오 로지스몬 미래에셋생명 RFHIC 동운아나텍 일월지엠엘 헥토이노베이션 경보제약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이큐셀 코아스템켐온 에스엘에너지 SK디앤디 씨앗 베셀 넵튠 미래생명자원 싸이맥스 러셀 픽셀플러스 디딤이앤에프 제노포커스 틸론 관악산업 우정바이오 토박스코리아 이노인스트루먼트 우리산업 메가스터디교육 썬테크 휴센텍 로보로보 디알텍 에이비프로바이오 골프존 클래시스 FSN 다이나믹디자인 포시에스 덕산네오룩스 한솔제지 디와이파워 국일신동 듀켐바이오 링크드 바디텍메드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썸에이지 에이팩트 휴메딕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서전기전 아스트 오킨스전자 지란지교시큐리티 NEW 아이티센 미래엔에듀파트너 삼성물산 녹십자엠에스 디티앤씨 셀바스헬스케어 정다운 하이로닉 랩지노믹스 에이디테크놀로지 비씨월드제약 미스터블루 알테오젠 베노티앤알 대창스틸 에프엔씨엔터 휴마시스 씨에스윈드 텔콘RF제약 지엘팜텍 글로벌텍스프리 디에이테크놀로지 삼성에스디에스 아이케이세미콘 액션스퀘어 엑셈 테고사이언스 슈피겐코리아 영우디에스피 유니포인트 드림시큐리티 메디아나 HL만도 데브시스터즈 스피어파워 휴림네트웍스 고려시멘트 판도라티비 서연이화 신화콘텍 쿠쿠홀딩스 파버나인 덕신이피씨 창해에탄올 윈하이텍 아진엑스텍 콜마비앤에이치 화인베스틸 트루윈 큐엠씨 데이터스트림즈 코아시아씨엠 캐스텍코리아 BGF 나노 케이사인 코스맥스 오이솔루션 한국정보인증 다산솔루에타 현대이지웰 위월드 코셋 SGA솔루션즈 대동고려삼 기가레인 인트로메딕 한중엔시에스 알티캐스트 종근당 현대공업 엔브이에이치코리아 탑코미디어 신송홀딩스 큐브엔터 라이온켐텍 램테크놀러지 THE MIDONG 협진 아세아시멘트 해성옵틱스 내츄럴엔도텍 현대로템 수프로 두산테스나 파수 엘티씨 지엔씨에너지 한진칼 아미코젠 엔에이치엔 GH신소재 파이오링크 KG에코솔루션 JB금융지주 나스미디어 대주이엔티 머니무브 큐러블 태양기계 엑세스바이오 DSR 리가켐바이오 한국패러랠 동아에스티 윈팩 코렌텍 제로투세븐 한솔아이원스 우리이앤엘 아이센스 스킨앤스킨 SBI핀테크솔루션즈 우리로 디젠스 지엠비코리아 와이엠씨 LG헬로비전 아바텍 동일고무벨트 한국콜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코이즈 애경케미칼 퓨처코어 네이블 노블엠앤비 피엔티 사조씨푸드 비아트론 빛샘전자 한국ANKOR유전 휴비스 사람인 제룡산업 남화토건 케이탑리츠 메지온 원익머트리얼즈 디엔에이링크 GS리테일 나이스디앤비 시큐브 서암기계공업 인터지스 씨유메디칼 삼양사 키네마스터 비덴트 신진에스엠 이엠넷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스마트솔루션즈 에이티세미콘 테크윙 씨큐브 에스엠코어 씨엔플러스 하나투어 로보스타 대한과학 아이디스 에이블씨엔씨 제이씨케미칼 아이씨디 제닉 BF랩스 삼원강재 상아프론테크 신세계인터내셔날 에이리츠 나이벡 옵티시스 대양전기공업 한국항공우주 롯데하이마트 서연탑메탈 한세엠케이 코오롱ENP 넥스트아이 티엔엔터테인먼트 이마트 DGB금융지주 케이티스카이라이프 세아특수강 KX 골프존뉴딘홀딩스 메리츠금융지주 윈스 하림 한국종합기술 이퓨쳐 티케이케미칼 BNK금융지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부스타 현대위아 선진 미원화학 나노신소재 케이아이엔엑스 티피씨글로벌 LB세미콘 딜리 제이엔케이글로벌 블루콤 인트론바이오 시디즈 커넥트웨이브 알서포트 인텍플러스 티에스이 한화엔진 이브이첨단소재 대성에너지 현대퓨처넷 대정화금 KTis 한전산업 피제이메탈 옵투스제약 에이루트 엘브이엠씨 티비씨 시그네틱스 한국전자인증 BGF에코머티리얼즈 디케이락 위메이드플레이 KH 미래물산 아나패스 KNN 누리플랜 아이텍 인화정공 셀피글로벌 뉴온 휠라홀딩스 알파홀딩스 포메탈 KTcs 다원시스 현대홈쇼핑 씨젠 와이솔 하이비젼시스템 화신정공 코리아에프티 도화엔지니어링 엠에스오토텍 이글루 대성산업 아이마켓코리아 한미약품 인터로조 하이텍팜 우진 무학 에스디시스템 알톤 유비벨록스 오르비텍 이연제약 엑스큐어 투비소프트 한국화장품 에스제이엠 인피니트헬스케어 서진오토모티브 인지소프트 HL홀딩스 삼성생명 신세계푸드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애머릿지 케이씨에스 씨엑스아이 HLB테라퓨틱스 삼기 한화생명 이미지스 조선선재 인포바인 하이소닉 모베이스 코오롱인더 KC코트렐 지역난방공사 락앤락 스타플렉스 우리넷 아세아텍 영흥 폴라리스우노 코디 에스메디 글로벌에스엠 ITX-AI 그린생명과학 디와이피엔에프 위메이드 한전기술 셀바스AI 이원컴포텍 강원에너지 GKL 휴맥스 AP헬스케어 SK 동방선기 상상인인더스트리 진매트릭스 황금에스티 비츠로셀 하이트진로 한스바이오메드 동양생명 NHN벅스 아이앤씨 유니온머티리얼 케이엔더블유 형지엘리트 디에스케이 제넥신 톱텍 동국S&C 에스앤더블류 키움증권 영원무역 컴투스홀딩스 동일금속 한미글로벌 동아지질 어보브반도체 위메이드맥스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스맥 SDN 한국정밀기계 STX중공업 흥국 우림피티에스 티플랙스 LX하우시스 에스티오 에이테크솔루션 에스앤에스텍 뷰웍스 코오롱생명과학 엔시트론 한세실업 주성코퍼레이션 파인테크닉스 미원홀딩스 이수앱지스 대성파인텍 유비쿼스홀딩스 메디톡스 엠게임 아이컴포넌트 NAVER HLB생명과학 이크레더블 부국철강 KB금융 세운메디칼 한국철강 마이크로컨텍솔 이엠앤아이 일진전기 풍산 LG이노텍 아이엠 웰크론한텍 하이드로리튬 슈프리마에이치큐 명문제약 서울옥션 이스트소프트 비상교육 크레버스 동성케미컬 월덱스 쎄트렉아이 쌍방울 브리지텍 고영 조이시티 우진비앤지 테스 예스24 엘디티 LG유플러스 메타바이오메드 효성오앤비 인바이오젠 아시아나항공 SNT에너지 진양홀딩스 한울소재과학 이트론 엔케이 에코볼트 에스코넥 일신바이오 서원인텍 이씨에스 대창솔루션 한전KPS 아이에스이커머스 알에프세미 디엔에프 일진파워 비엠티 이아이디 기신정기 이엠코리아 KSS해운 효성 ITX 현우산업 유나이티드 케이알엠 디아이씨 에스에너지 성우전자 엘엠에스 제이엠티 오디텍 ISC 네오티스 미래나노텍 상보 CJ제일제당 바이오톡스텍 팬오션 옴니시스템 푸른기술 웨이브일렉트로 HJ중공업 빅솔론 JW홀딩스 S&K폴리텍 SK이노베이션 율호 갤럭시아머니트리 에코프로 대산F&B 컴투스 네오위즈 삼성카드 앤씨앤 엔텔스 알루코 풍강 웅진씽크빅 동국제약 케이프 상신이디피 한라IMS 에프알텍 이엠텍 참좋은여행 네오리진 맵스리얼티1 이베스트투자증권 매커스 나노캠텍 네오팜 오스코텍 켐트로닉스 제이스텍 동아엘텍 메타랩스 후성 휴온스글로벌 케이씨티 파트론 유니테스트 휴림로봇 LF 에스에이티 큐에스아이 멀티캠퍼스 주연테크 코스맥스비티아이 코세스 인천도시가스 성창오토텍 넥스턴바이오 제이티 아이윈 이녹스 삼정펄프 KEC KPX홀딩스 THE E&M 바텍 MDS테크 HDC현대EP 루멘스 세원이앤씨 CSA 코스믹 티엘아이 한국전자금융 쇼박스 팬엔터테인먼트 인포뱅크 노루페인트 아모레퍼시픽 아이오케이 동우팜투테이블 롯데관광개발 제이브이엠 평화산업 우진플라임 팅크웨어 신세계I&C 진바이오텍 TKG애강 진도 에이스테크 맥쿼리인프라 롯데쇼핑 셀트리온제약 GST 에너토크 제우스 뉴프렉스 유진테크 CG인바이츠 바이오니아 헬릭스미스 인콘 차바이오텍 현대글로비스 대봉엘에스 와이엔텍 케이엠 티비에이치글로벌 수성웹툰 하나금융지주 제일연마 모다이노칩 비에이치아이 케스피온 현대리바트 비보존 제약 자연과환경 와토스코리아 대한제강 폴라리스오피스 휴림에이텍 서린바이오 새론오토모티브 그린케미칼 가비아 덕산하이메탈 아바코 하나마이크론 엘오티베큠 코스나인 이상네트웍스 대상홀딩스 코아스 메디포스트 우리바이오 모두투어 이월드 동양고속 한미반도체 가온그룹 쏠리드 동일산업 옵트론텍 젬백스 플랜티넷 삼호개발 금호타이어 이노와이어리스 인베니아 동양이엔피 제주반도체 한창산업 디이엔티 에스엔유 iMBC 서산 KX하이텍 손오공 미래컴퍼니 아이크래프트 CJ CGV 일진다이아 메가스터디 케이에스피 KG모빌리언스 대주전자재료 텔레칩스 HB테크놀러지 도이치모터스 유니드 토비스 제넨바이오 상신브레이크 국일제지 DMS 인팩 퀀타피아 시너지이노베이션 신성델타테크 GS 유니퀘스트 다스코 한국경제TV LG디스플레이 다날 텔코웨어 형지I&C 비케이홀딩스 코엔텍 YBM넷 CS 아미노로직스 테라젠이텍스 디에이피 한양디지텍 STX엔진 동국알앤에스 빛과전자 듀오백 삼진엘앤디 폴라리스AI파마 NICE 대교 세진티에스 한솔인티큐브 리튬포어스 테라사이언스 우주일렉트로 피에이치씨 기업은행 이엔플러스 SOOP 드림어스컴퍼니 버킷스튜디오 원익QnC 로체시스템즈 에스텍 오텍 키이스트 현대에버다임 한솔홈데코 중앙백신 휴비츠 우리산업홀딩스 디지털대성 이수페타시스 강원랜드 유아이디 티씨케이 YG PLUS 아모텍 농심홀딩스 웰크론 파워로직스 한국금융지주 이엘씨 녹원씨엔아이 유엔젤 SBS 홈캐스트 씨씨에스 웹젠 엔씨소프트 하이스틸 대화제약 우수AMS JW신약 하츠 빅텍 탑엔지니어링 DSR제강 이루온 태경케미컬 재영솔루텍 한국큐빅 인터플렉스 삼영이엔씨 하이퍼코퍼레이션 한성크린텍 리더스코스메틱 한농화성 케이피엠테크 디티씨 와이오엠 초록뱀미디어 웨스트라이즈 쎌바이오텍 NE능률 테크엘 현대백화점 KG이니시스 비엘팜텍 대호에이엘 파라다이스 대웅제약 플래스크 마니커 SNT홀딩스 티케이지휴켐스 새로닉스 에스제이지세종 오리엔트정공 DGP 국보디자인 아이톡시 에스아이리소스 젬백스링크 포스코스틸리온 폴라리스AI 현대바이오 삼성출판사 세이브존I&C 에스피지 토탈소프트 교보증권 서호전기 파커스 한샘 서울리거 홈센타홀딩스 아비코전자 큐렉소 소니드 우원개발 티사이언티픽 신세계건설 인선이엔티 와이어블 SM Life Design 우신시스템 지어소프트 지엔코 셀루메드 KH바텍 알에프텍 에스폴리텍 이랜텍 ES큐브 케이피티유 3S LG전자 화일약품 오상자이엘 콜마홀딩스 농우바이오 케이엘넷 SNT모티브 에스티아이 잉크테크 대한뉴팜 씨티씨바이오 인탑스 LS마린솔루션 피씨디렉트 광주신세계 구영테크 한국기업평가 뉴보텍 동양에스텍 백금T&A 파나케이아 고려신용정보 제일바이오 서울반도체 아가방컴퍼니 엔터파트너즈 미코 유신 프럼파스트 한국컴퓨터 대동스틸 링네트 크레오에스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한빛소프트 일진디스플 NHN KCP CNT85 금강철강 룽투코리아 KH 필룩스 동아화성 비츠로시스 오리엔탈정공 웰킵스하이텍 리노공업 성우테크론 에스에프에이 신화인터텍 엑사이엔씨 피에이치에이 종근당바이오 APS 코위버 성호전자 MIT YW 삼영엠텍 이니텍 에이디칩스 유진로봇 태웅 경남제약 삼보모터스 한컴위드 코미팜 프리엠스 코나아이 메디콕스 SGA 더테크놀로지 지에스이 아이디스홀딩스 코데즈컴바인 안랩 신한지주 YTN CMG제약 JYP Ent. 한국테크놀로지 KCC건설 세동 프로텍 액토즈소프트 세코닉스 바이넥스 오성첨단소재 코웨이 태양 씨티프라퍼티 유아이엘 대원미디어 중앙첨단소재 세아홀딩스 CJ프레시웨이 파인디앤씨 디지아이 코텍 한네트 에스티큐브 티에스넥스젠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큐로홀딩스 나라엠앤디 에코바이오 에이텍 대아티아이 캠시스 현대바이오랜드 SFA반도체 LG생활건강 LG화학 대우건설 포스코인터내셔널 HD현대인프라코어 한화오션 삼표시멘트 진양화학 HLB이노베이션 SM C&C 승일 조광ILI TPC 코메론 블레이드 Ent 삼화네트웍스 성광벤드 유라테크 삼현철강 오픈베이스 KCI 라온시큐어 오로라 금화피에스시 코다코 인바디 고려제약 크린앤사이언스 동원F&B KD 이글벳 아즈텍WB 두산에너빌리티 오리콤 위닉스 상지건설 한국내화 엔피케이 삼천당제약 에이치케이 정원엔시스 한양이엔지 누리플렉스 에쎈테크 국순당 엘컴텍 이오테크닉스 상상인 서울제약 HLB파나진 나노엔텍 오공 솔고바이오 비츠로테크 코아시아 정상제이엘에스 진양제약 지니뮤직 진성티이씨 현대에이치티 삼아제약 파루 에스씨디 한국정보공학 디오 네오위즈홀딩스 다산네트웍스 바이오스마트 우리기술 안국약품 세중 우리기술투자 케이바이오 HRS 에스에이엠티 위즈코프 이건홀딩스 파인디지털 나이스정보통신 SG&G 아이에이 에스넷 에스엠 쌍용정보통신 쎄니트 대성미생물 에코플라스틱 케이엠더블유 화성밸브 경남스틸 마크로젠 희림 레드캡투어 솔브레인홀딩스 에프에스티 코맥스 EG 감성코퍼레이션 성도이엔지 제일테크노스 한세예스24홀딩스 무림SP 세종텔레콤 심텍홀딩스 파세코 SGC E&C 영풍정밀 서희건설 주성엔지니어링 케이티알파 대성홀딩스 다우데이타 동진쎄미켐 선광 제이에스티나 지더블유바이텍 클라우드에어 한국팩키지 삼지전자 우리엔터프라이즈 대원제약 한국가스공사 네패스 인지디스플레 위지트 유니셈 유성티엔에스 코리아나 SCI평가정보 골드앤에스 서울전자통신 대성창투 예림당 미래아이앤지 CJ ENM 이지홀딩스 기산텔레콤 화천기공 팜스코 케이티앤지 HD한국조선해양 디씨엠 바른손이앤에이 솔본 시공테크 신일제약 조아제약 AK홀딩스 HS애드 대한유화 백산 체시스 인성정보 그래디언트 동국산업 매일홀딩스 해성산업 자화전자 케이티 하이트론씨스템즈 제일기획 한국정보통신 파라텍 동성화인텍 스틱인베스트먼트 케이씨 드래곤플라이 엠케이전자 엠투엔 제이씨현시스템 포스코엠텍 스페코 좋은사람들 대원화성 모아텍 코웰패션 코콤 E1 SK가스 다우기술 영보화학 제룡전기 제이엠아이 디지틀조선 바이온 와이지-원 특수건설 아이즈비전 SKC 동일기연 소프트센 원익 원풍물산 웰바이오텍 한국주강 삼진 더라미 비트컴퓨터 엠젠솔루션 판타지오 덕양산업 에쓰씨엔지니어링 인지컨트롤스 유비케어 피델릭스 TJ미디어 휴맥스홀딩스 삼일 경동인베스트 뉴인텍 에스제이엠홀딩스 오스템 콤텍시스템 에스유홀딩스 피에스케이홀딩스 SK하이닉스 MH에탄올 국동 동남합성 삼성E&A 신도리코 예스코홀딩스 퍼시스 세보엠이씨 한일단조 WISCOM 동원수산 미래산업 다올투자증권 양지사 HDC 광전자 한국단자공업 원익홀딩스 한글과컴퓨터 메이슨캐피탈 광무 대호특수강 디아이 신성이엔지 티에이치엔 한온시스템 HLB 팜스토리 세원정공 영풍제지 유니온 키다리스튜디오 한국제지 한섬 현대엘리베이터 환인제약 삼보판지 삼목에스폼 에이스침대 원익큐브 계룡건설산업 서원 에스원 태경산업 리드코프 유니슨 아난티 광진실업 인터엠 신대양제지 와이투솔루션 남해화학 동원금속 성안머티리얼스 성우하이텍 대신정보통신 서부T&D HMM 경인양행 풀무원 서울도시가스 이구산업 동신건설 동화기업 에넥스 에이프로젠 제이준코스메틱 한국카본 신라에스지 케이씨피드 한탑 한국선재 DH오토웨어 시노펙스 PN풍년 삼천리자전거 메디앙스 KBI메탈 경창산업 대륙제관 동원개발 세원물산 이화전기 케이피에프 KPX케미칼 TP 에스엠벡셀 KB오토시스 신원종합개발 흥구석유 대한약품 이화공영 풍국주정 대림제지 대한광통신 동일철강 플레이위드 한국캐피탈 한일사료 KC그린홀딩스 문배철강 웅진 모베이스전자 CNH 국영지앤엠 유진기업 제이스코홀딩스 보성파워텍 브이티 태광 HL D&I 오뚜기 일정실업 와이엠 엘에스일렉트릭 신라섬유 원일특강 서한 대양금속 이화산업 동원시스템즈 바른손 부방 삼성중공업 모토닉 화신 대명소노시즌 CBI 대양제지 유니크 진로발효 삼보산업 푸드웰 푸른저축은행 피제이전자 베뉴지 엠에스씨 삼화페인트공업 경동나비엔 대동금속 광림 대원산업 큐캐피탈 한국가구 디모아 중앙에너비스 DB SGC에너지 삼륭물산 대림비앤코 경동제약 원풍 네이처셀 삼일기업공사 일지테크 한일화학 한국알콜 대주산업 글로본 대한해운 세명전기 휴니드테크놀러지스 수산중공업 에이티넘인베스트 롯데케미칼 대동기어 세아베스틸지주 호텔신라 태경비케이 화승코퍼레이션 신흥 화승인더스트리 극동유화 고려산업 피에스텍 대현 케이비아이동국실업 광명전기 부산산업 STX 고려아연 이렘 청호ICT 팜젠사이언스 무림페이퍼 현대차증권 금비 대동전자 원림 서흥 성문전자 HLB글로벌 일진홀딩스 대영포장 영화금속 신풍제약 동성제약 카스 아센디오 한올바이오파마 하이록코리아 유니켐 대창 국보 일성건설 까뮤이앤씨 보락 선도전기 씨아이테크 광동제약 갤럭시아에스엠 남성 KISCO홀딩스 태영건설 한국특강 한솔로지스틱스 삼양통상 SK텔레콤 진양폴리우레탄 미창석유공업 삼익THK 미원상사 서연 SBI인베스트먼트 세우글로벌 현대모비스 KG케미칼 대우부품 현대해상 현대지에프홀딩스 한국전력공사 국도화학 녹십자 SIMPAC 윌비스 대창단조 사조산업 한익스프레스 사조동아원 경인전자 무림P&P 인디에프 한솔피엔에스 디와이 방림 KIB플러그에너지 한솔케미칼 퍼스텍 엠벤처투자 플루토스 동원산업 대덕 한성기업 모헨즈 이스타코 태림포장 아세아제지 화천기계 CJ씨푸드 SHD 조일알미늄 에스엘 영원무역홀딩스 더존비즈온 보령 이건산업 모나리자 대구백화점 우성 유성기업 한일철강 삼익악기 화성산업 DN오토모티브 보해양조 상상인증권 혜인 금강공업 플레이그램 율촌화학 신원 동방 한국쉘석유 부광약품 풍산홀딩스 부국증권 계양전기 한솔테크닉스 DB금융투자 한미사이언스 삼진제약 POSCO홀딩스 범양건영 파미셀 동국홀딩스 대원전선 이수화학 삼성증권 삼영무역 한양증권 금호석유화학 유안타증권 제일파마홀딩스 에이엔피 한창제지 넥센 삼성공조 세방전지 진원생명과학 참엔지니어링 한국무브넥스 코스모신소재 덕성 신영증권 유진증권 유화증권 한신기계공업 코스모화학 가온전선 S-Oi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화전자공업 현대제철 써니전자 현대비앤지스틸 사조오양 한화투자증권 삼화전기 SK증권 평화홀딩스 일신석재 KG스틸 아이에스동서 SH에너지화학 대한화섬 코리아써키트 신세계 OCI홀딩스 삼일제약 인스코비 일성아이에스 현대건설 TCC스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F&F 홀딩스 아남전자 HD현대미포 GS건설 삼아알미늄 한국전자홀딩스 삼성SDI 삼성전기 동부건설 케이씨티시 코오롱글로벌 빙그레 녹십자홀딩스 시알홀딩스 현대약품 남양유업 남선알미늄 한국화장품제조 현대코퍼레이션 LS SK네트웍스 경농 티웨이홀딩스 동방아그로 송원산업 진흥기업 한국석유공업 천일고속 대원강업 만호제강 조광피혁 세방 동양철관 대유에이텍 남광토건 삼영전자공업 신영와코루 오리엔트바이오 조비 한국공항 조광페인트 삼천리 성보화학 조흥 금양 사조대림 비비안 SNT다이내믹스 한신공영 농심 삼영 성신양회 신라교역 신풍 종근당홀딩스 크라운해태홀딩스 한독 SG글로벌 SK디스커버리 샘표 흥아해운 GS글로벌 금호건설 삼부토건 삼화콘덴서공업 페이퍼코리아 동양 한화 JW중외제약 영풍 백광산업 성창기업지주 한창 삼화왕관 KR모터스 고려제강 태양금속공업 SUN&L DRB동일 넥센타이어 SG세계물산 롯데정밀화학 동화약품 DL LX인터내셔널 국제약품 태광산업 부산주공 한일현대시멘트 CS홀딩스 신성통상 DB하이텍 대림통상 유유제약 강남제비스코 대신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일전자 삼성제약 삼성화재해상보험 삼양식품 한화손해보험 NI스틸 일동홀딩스 대동 오리온홀딩스 깨끗한나라 태원물산 코오롱 삼성전자 대유플러스 BYC KG모빌리티 쌍용씨앤이 SPC삼립 흥국화재 일양약품 한진 한국수출포장공업 현대자동차 모나미 한화솔루션 아세아 카프로 롯데지주 대한방직 서울식품공업 아이에이치큐 LS네트웍스 금호전기 하이트진로홀딩스 노루홀딩스 기아 효성 CJ 두산 휴스틸 DB손해보험 TYM 대웅 진양산업 영진약품 케이씨씨 롯데칠성음료 일신방직 아모레퍼시픽그룹 제주은행 한솔홀딩스 벽산 롯데손해보험 대한제분 대상 LG 동아쏘시오홀딩스 코리안리 한국주철관공업 한일홀딩스 엔피씨 세아제강지주 대한전선 대한제당 삼양홀딩스 세기상사 한국앤컴퍼니 전방 대한항공 디아이동일 유한양행 CJ대한통운 경방 유수홀딩스 한진중공업홀딩스
에코프로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웅진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1 |
---|---|
알테오젠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에코프로비엠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효성중공업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서원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