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업의 개요
당사는 고유의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아래의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바이오 신약 등)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활동을 영위하는 기반기술 중심의 바이오벤처기업입니다.
당사는 2008년 5월 13일 설립되었으며 2014년 12월 기술성장기업 특례로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당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ALT-B4) 기반기술로 주요 글로벌 제약업체들과 기술수출(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하였고, 자체 개발제품(ALT-BB4)인 테르가제주는 임상시험 완료후 국내 식약청의 품목허가를 신청하였습니다.
황반변성 치료제 블록버스터인 아일리아(Eylea)의 물질특허 만료에 대응하여 당사의 차별화된 특허 전략을 기반으로 개발한 바이오시밀러(ALT-L9)가 전세계 12개국에서 임상3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주요 제약사를 포함한 바이오의약품 관련 업체들과 공동 연구, 개발, CMO위탁 생산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가 개발 중인 제품들이 상업화 진입을 앞두고 있어 이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더욱 매진할 것입니다.
가. 산업의 이해
(1) 바이오의약품이란?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화학합성의약품(저분자 의약품이라고도 함)과 바이오의약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바이오의약품은 유전자 재조합, 세포배양, 세포융합 등 생물공학 기술(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의약품을 말합니다.
화학합성의약품
(Small Molecule Drug)
- 분자구조 단순
- 분자량 (0.1~1kDa)
- 비교적 간단한 유기 화학합성 공정을 통해 제조
- 알약, 가루약 등의 경구용(oral) 제형
- 약효 물질에 대한 기술 및 특허가 중요
- 신약, 복제약(제네릭), 개량신약 등으로 구분
바이오의약품
(Bio-pharmaceutical Drug)
- 분자구조 복잡
- 분자량 큼(단백질의약품은 20~25kDA, 항체의약품은 150kDa)
- 복잡하고 변화가 많은 생물(세포) 배양공정을 거쳐 생산
- 경구용 제형은 위에서 분해되므로 주사제(iv) 형태로 제품화
- 물질 뿐만 아니라 공정 및 제형에 대한 기술과 특허도 중요
- 바이오신약, 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등으로 구분
바이오의약품은 특히 생산공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판매 가격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질환 별로 표적치료제 개발이 가능해 화학합성의약품보다 부작용이 적으며, 임상 성공률이 높고 희귀성 및 난치성 질병 등 기존에 화학합성의약품으로 치료하지 못했던 질병에 대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신규 치료제인 오리지널 바이오신약과 오리지널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복제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및 기존 1세대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성, 효능, 기능 등을 개선시킨 바이오베터(Bio-bett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바이오베터는 의약품 허가 과정에서 신약으로 분류가 되어 신약에 준하는 허가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전세계 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 중 오리지널 항체의약품들은 대부분 2015~2020년 사이에 특허가 만료되고 있으며 그 때까지는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지만 높은 약가로 인해 의료보험 재정에 부담이 크고 약가 인하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많은 제약사들이 특허 오리지널 물질 특허 만료 이후 이를 복제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개발 중에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르네상스가 도래하였습니다. 이미 인슐린, 성장호르몬, 항암보조제(G-CSF) 등 대부분의 단백질의약품들은 오리지널 제품의 특허가 만료되었고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이 연이어 출시되었으며 오리지널 제품과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의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다수의 제품들이 시장에서 공존, 경쟁하고 있습니다.
(2)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제약분야에서 20 년 정도의 특허기간이 지나면 다른 제약회사도 특허 의약품의 주성분을 합성하여 판매할 수 있습니다. 최초의 특허개발 의약품을 오리지널(original)이라 하며,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을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제조하여 만든 의약품을 복제약(generic drug)이라 합니다. 의약품 중에는 화학적 합성으로 생산할 수 없는 항체와 같은 바이오의약품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동물세포를 이용하여 배양/정제 과정을 거쳐 생산합니다.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는 물질특허가 끝난 오리지널을 모델로 타 제약회사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생산하는 바이오의약품으로 기존의 특허 받은 오리지널 대비 임상시험을 통하여 동등성이 입증된 바이오의약품입니다.
(3) 바이오베터(Bio-better)
바이오베터(Bio-better)는 기존 바이오의약품의 효능 및 환자 편의성을 개선한 일종의 개량형 바이오의약품으로서 화학합성의약품의 개량 신약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화학합성의약품의 개량 신약은 특허가 만료된 원천물질을 단순히 치환하거나 제형을 개선하여 추가 임상시험 없이 개발되는 반면 바이오베터는 바이오 신약에 준하는 연구개발과 승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는 또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에 따른 임상시험 등 개발 과정이 비교적 용이한 바이오시밀러와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전세계 제약회사들은 이미 시장에 출시된 바이오의약품의 효능을 개선하거나 주사 시기를 획기적으로 줄여서 환자 편의성을 극대화 시킨 지속형(Long-Acting) 제제 등과 같이 기존 제품보다 개선된 바이오베터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바이오베터가 출시될 경우 이미 기존 제품에 의해 형성된 시장에서 기존 제품보다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 바이오의약품 비교]
특징
바이오신약
(Biologics)
바이오시밀러
(Biosimilar)
바이오베터
(Bio-better)
유사성
오리지널과 동일
유사하지만 오리지널과 동일하지 않음
오리지널 보다 우수
개발비용
20억~30억 달러
1억~3억 달러
2억~5억 달러
약물개발기간
약 10~12년
약 5~7년
약 5~7년
규제
지금까지 미국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의 상호교환 가능한 지정이 부족하여 보호됨
국가별 별도의 승인 절차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우수하므로 별도의
호환성 지정 필요없음
의약품가격
일반적으로 특허 독점
기간 동안 높은 가격으로 책정
오리지널 의약품의
50~80%
안전성/효능이 우수하여
바이오시밀러 대비
20~30% 높음
[출처] Frost&Sullivan, Access to New Therapy Areas to Drive Major Growth in the Global Biosimilars Market 2020-2026 (2020.12)
나. 시장 현황
(1)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특성 및 규모
바이오의약품은 일반적으로 합성의약품에 비해 크기가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생물체를 이용하여 복잡한 제조공정(세포 배양공정)을 거쳐야 되므로 변화에 민감하고 특히 오염 및 불순물 관리에 유의해야 하는 반면, 생물유래 물질로 고유의 독성이 낮고 작용기전이 명확하여 난치성 및 만성질환에 뛰어난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바이오의약품 제조 과정 ]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고자 할 때 특정 단백질(바이오의약품)의 유전자를 세포에 삽입하고 배양하는 과정을 유전공학적인 방법으로 제조
→ 유전자를 박테리아나 동물세포(CHO)에 삽입하여 세포주(Cell Line) 제조
→ 온도, pH, 용존산소 및 배지 등을 조절하여 세포주를 배양하고, 세포 수를 증식
→ 증식된 세포에서 필요한 단백질만 분리, 정제하여 이를 의약품으로 사용
□ 한국바이오협회 및 삼정KPMG 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8년 2,570억달러에서 2022년 4,310억달러, 2027년 6,660억달러 등 2023~2027년 연평균 성장률 8.9%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미지: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 추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 추이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삼정KPMG 경제연구원)
바이오의약품 중 특히 항체의약품의 시장 규모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항체의약품은 면역세포 신호전달 체계에 관여하는 단백질 항원이나 암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표지 인자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 단세포군 항체(mAb, Monoclonal Antibody)를 제작하고 인체 적용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단백질을 개량해 질병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바이오의약품입니다. 항체의약품은 종양(암), 자가면역질환, 신생혈관, 바이러스와 같은 광범위한 분야의 치료에 사용되며 이러한 의약품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요인으로는 화학합성의약품에 비해 임상시험의 성공확률이 높고, 후보물질 발굴단계에서의 실패 확률이 매우 낮으며, 화학합성의약품 개발 실패의 주요 원인인 부작용 및 독성에 대한 위험도 낮은 편입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신규 치료제인 오리지널 바이오신약과 오리지널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복제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및 기존 1세대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성, 효능, 기능 등을 개선시킨 바이오베터(Bio-bett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시밀러 개발은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오리지널 원료 물질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가 불가능하여 국내/외적으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며 마케팅 능력이 월등한 거대 다국적 제약사와 정면으로 승부하기에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는 국내 대다수의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은 글로벌 마케팅 파트너 사와 협력관계 유지가 사업개발의 핵심요소로 볼 수 있습니다.
바이오신약의 개발은 향후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은 크지만, 신약 개발의 속성상 전임상 혹은 임상 과정 중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리스크가 매우 큰 분야입니다. 특히 현재 대학 연구 기관 및 일부 기관에서 추진 중인 세포 치료제 혹은 유전자 치료제 등은 임상을 통하여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다면 전체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크게 성장시킬 수 있는 미래 가치가 충분한 분야이기는 하나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등 상업단계까지 개발을 진행하고 유지하는데 바이오시밀러와 비교하여 장기간의 연구개발의 노력과 상당한 비용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2)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특성과 규모
□ 2020년부터 글로벌 블록버스터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노년층 인구 및 만성질환자 수의 증가로 전반적인 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치료 기회의 확대 차원에서 소위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복제약을 칭하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현재 각국의 의료비 재정부담 축소 및 의약품 환자 접근성 확대 차원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바이오시밀러의 사용이 장려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주요 감독기관별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관
정 의
FDA
미국 허가 기준 생물학적 제품과 매우 유사하며, 제품의 안전성, 순도 및 효력 측면에서 오리지널 의약품과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생물학적 제품
EMA
이미 승인된 오리지널 의약품의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의약품으로, 종합적인 품질 특성, 생물학적 활동, 안전성 및 효과 측면에서 기준 제품과 유사성이 입증된 제품
WHO
오리지널 의약품과 품질, 안전 및 효과 면에서 유사한 바이오의약품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No.156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현황 및 전망(2020-2026) (2021.02)
□ 바이오신약 개발은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이 크지만 신약 개발의 속성상 전임상 혹은 임상 과정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과 성분면에서 유사하고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동일하지는 않으며 개발비용도 오리지널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고 개발 소요기간도 임상2상 면제 등 간소화된 절차에 의하여 짧아지고 제품출시 성공 확률은 신약대비 현저히 높습니다.
□ 한국바이오협회 및 삼정KPMG 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는 2016년 22억달러에서 2021년 187억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53.4%를 실현하였으며, 향후 2030년까지 740억달러로 시장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미지: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규모 추이_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규모 추이_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삼정KPMG 경제연구원)
□ 바이오 신약의 특허 만료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성장하면서 기존 오리지널 제품에 대한 가격 부담으로 치료 혜택을 받지 못한 개발도상국 환자들까지 치료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미 오리지널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어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었고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은 신약개발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연구개발 비용과 단축된 개발 기간에 대한 장점이 있어 많은 후발주자들이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3) 바이오베터(Bio-better) 시장의 특성
바이오베터(Bio-better)란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을 개량한 것으로 오리지널 의약품의 효능과 부작용을 개선함으로써 수퍼 바이오시밀러(Super Biosimilar)라고도 불리며, 오리지널 의약품처럼 20년간 특허가 인정됩니다. 오리지널 바이오 신약으로부터 유래한다는 점은 바이오시밀러와 같으나 오리지널과 동등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요구하는 바이오시밀러와 달리 새로운 또는 현저히 개선된 기술을 적용하여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에 비하여 개량된 품질이나 약효를 지닌 의약품입니다.
또한 바이오베터는 독자적인 특허가 인정되기 때문에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 만료와 상관없이 시장에 출시될 수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의 가격은 오리지널 의약품대비 낮게 결정되는 반면 바이오베터는 오리지널 대비 높은 가격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오리지널 및 바이오시밀러와는 다른 독자적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리지널 및 바이오시밀러와의 경쟁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과거 다수의 바이오 신약들의 성공을 기반으로 매년 큰 폭의 성장을 거듭해 왔으며, 현재 바이오의약품 전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두 분야는 항체의약품과 바이오베터 의약품입니다.
바이오베터는 독자적인 물질 특허가 인정되기 때문에,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고 차별화된 상품성 및 효능에 힘입어 오리지널 또는 바이오시밀러와의 경쟁에서도 벗어날 수 있으므로, 바이오베터사업은 향후 전체 바이오의약품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분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바이오의약품의 성장 곡선
바이오의약품의 성장 곡선
다. 회사 사업개요
당사는 보유 원천기술인 NexP™ 융합 기술, NexMab™ ADC 기술 및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Hybrozyme™, ALT-B4)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라이선스계약, 기술용역제공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 플랫폼 기술(Platform Technology)
당사는 지속형 바이오의약품 기반 기술인 NexP™ 융합(Fusion) 와 차세대 항체-항암치료제 기반 기술인 NexMab™ ADC,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로 전환해주는 Hybrozyme™ 기술 등 3개의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NexP™ 융합 기술
- 당사 자체적으로 개발한 단백질 캐리어(Carrier)인 NexP™와 1세대 단백질치료제를 융합하여 체내 지속성이 증가하고 투여 편의성 및 치료 효과가 향상된 차세대 단백질치료제를 개발하는 원천기술입니다.
- 지속형(Long-acting)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을 위한 기술로는 서방형(Slow-releasing) 제제, PEG 접합, Fc 융합, 알부민 융합 등이 있으나 각각의 기술이 가진 장단점으로 인해 적용 가능한 단백질의약품이 제한적이며, NexP™는 인체에 풍부한 단백질인 Alpha-1 Antitrypsin(A1AT) 내 일부 아미노산을 치환하여 체내 지속성을 늘리고 A1AT 고유의 기능을 없앤 단백질 캐리어로 단백질의약품에 NexP™를 융합하여 단백질의약품의 체내 지속성을 증가 시키는 특성을 보입니다.
- NexP™는 기존의 지속형 기술과 달리 거의 모든 단백질이나 펩타이드 치료제에 대해 적용 가능한 범용 기술로 융합 후에도 단백질의약품 자체의 생물학적 활성 저하가 없으며 제조 효율이 높아 경제성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 NexMab™ ADC 기술
-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는 항체와 약물(Payload)을 링커(Linker)로 접합 시켜 암세포 내에서만 약물이 분리 방출되면서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표적지향 항암제로 합성 약물의 장점인 강한 효능(Cytotoxicity)과 항체치료제의 장점인 선택성(Selectivity) 및 지속성을 결합하여 항체의약품보다 효능은 뛰어나고 합성 약물보다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적은 항체 바이오베터입니다.
- 당사의 NexMab™ ADC 기술은 항체의 구조를 가능한 원형 그대로 유지하면서 항체에 약물이 선택적으로 접합되도록 하는 ADC 기술이며, NexMab™ ADC 기술을 통해 생산된 항체-약물 접합체는 생산 수율이 높고 항체 고유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며 혈액 내에서도 접합이 쉽게 절단되지 않아 체내 지속성이 우수합니다.
□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Hybrozyme™, ALT-B4)
- 당사는 정맥주사(iv) 제형 항체의약품을 피하주사(sc) 투여 방식으로 변경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Hybrozyme™, ALT-B4)을 개발하였습니다. 현재 미국의 할로자임 테라퓨틱스(Halozyme Therapeutic, Inc.) 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재조합 rHuPH20(ENHANZE)가 시장에 출시되어 있으며 당사의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은 세계 2번째 개발이며 현재까지 2개사를 제외한 개발회사는 없는 상황입니다.
- 당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신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는 미국 할로자임 테라퓨틱스(Halozyme Therapeutic, Inc.) 사의 PH20과 동일한 작용 기전과 효소 활성을 유지하면서 열 안정성을 증가시켜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2) 개발 중인 제품
*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계획 참조 : '7.기타참고사항/ 바.연구개발실적/ (1)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계획'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라. 개발 제품의 품목별 시장 현황 및 전망
(1) 히알루로니다제 원천기술(Hybrozyme™)
□ 히알루로니다제를 이용하여 정맥주사(iv) 제형 항체의약품을 피하주사(sc)로 전환하는 기술은 당사와 미국의 할로자임 테라퓨틱스(Halozyme Therapeutic, Inc.)사가 보유(전세계 2개 회사만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의 할로자임 테라퓨틱스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rHuPH20(ENHANZE)을 시장에 출시하였으며 당사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ALT-B4)'의 시장출시를 위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당사가 개발한 ALT-B4는 할로자임 테라퓨틱스사의 제품(rHuPH20)과 비교하여 동일한 작용 기전과 효소 활성을 유지하면서 열안정성을 증가시켜 단백질 자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독자 기술이며 발현량이 높아 생산량 및 경제성 측면에서도 경쟁력 보유하고 있습니다.
□ 미국의 할로자임 테라퓨틱스사는 동물에서 추출한 히알루로니다아제가 이종 단백질로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반응-호흡곤란 등의 부작용 보고 건수가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이상 반응 등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히알루로니다아제 제품을 Hylenex라는 브랜드로 출시하였습니다. 당사 또한 자체제품(ALT-BB4, Tergase)을 출시할 예정이며 당사의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는 항체치료제나 단백질 제제의 SC제형 변환을 위한 첨가제로 사용되는 용도 이외에 자체제품으로서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및 수술 후 부종 완화 및 통증을 경감시키는 용도로 시장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 차세대 항암항체치료제(ADC 항체-약물 접합치료제)
□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는 항체에 세포독성 약물(Cytotoxic agent)을 링커(Linker)로 접합시킨 구조이며, ADC가 암세포 표면 수용체를 인식하고 결합하면 암세포 내로 유입되고 약물이 분리되면서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당사의 ADC항체치료제 개발은 항체치료제의 장점인 선택성(selectivity) 및 지속성과 합성 약물의 장점인 강한 효능을 결합하여 항체의약품보다 효능은 뛰어나고 합성 약물보다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적은 항체 바이오베터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전세계 다국적제약사들을 비롯하여 많은 바이오의약품회사들이 항체의약품에 항암약물을 접합하여 효능을 강화한 다양한 차세대 항체의약품(ADC 항체-약물 접합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 La Merie publishing 2022 자료에 따르면, 항체-약물 접합(ADC) 치료제 시장은 성장성이 큰 시장으로 시장규모는2022년기준 74억 달러에 이릅니다.
(3)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Eylea Biosimilar)
□ 습성황반변성(W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혈관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과발현으로 망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면서 출혈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부종이 생기고 삼출물이 발생되면서 황반(망막 중심의 노란색을 띠는 부위로 중심 시야에 해당)이 압박을 받으며 시력을 잃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입니다.
□ 습성황반변성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2013년 기준 2,400만명으로 추정되며 미국의 유병률만 해도 1,10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연령 관련 황반변성 환자군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2050년까지 2,200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한국에서도 보고된 환자 수만 2010년 9만명에 달하고 인구 고령화로 인해 2025년에는 3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치료제에 대한 비용 부담으로 처방을 받는 환자 수는 진료를 받은 환자 수의 20%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 최근 특허 만료가 임박한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국내 및 해외의 여러 경쟁업체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당사는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ALT-L9) 제품의 생산에 대한 고유한 제법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시장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La Merie publishing 2022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습성황반변성 시장은'루센티스(Lucentis)' 와'아일리아(Eylea)'가 전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2022년 아일리아의 시장규모는 97.6억달러이며, 루센티스의 시장규모는 29.8억달러입니다.
(4) 허셉틴 iv /바이오시밀러
□ 허셉틴 iv 오리지널의 물질 특허는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2014년과 2019년에 만료되었으며 수많은 제약사들이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였습니다. 허셉틴 iv 오리지널의 특허가 만료된 이후 Mylan/Biocon(Ogivri) 사에서 최초로 바이오시밀러를 2017년 12월에 출시하였으며, 셀트리온(Herzuma), 삼성바이오에피스(Ontruzant), 화이자(Trazimera), 암젠(Kanjinti) 등이 연이어 제품을 출시하여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내 시장경쟁이 심화된 상황입니다.
□ 허셉틴 sc 는 Roche 사에서 할로자임 테라퓨틱스(Halozyme Therapeutics) 사의 rHuPH20(ENHANZE) 를 도입하여 개발되었으며 2013년도 유럽에서 출시되었고 2019년 미국에서 허셉틴 sc 시판 허가를 받았습니다.
□ La Merie publishing 2022 자료에 따르면, HER2 타겟 유방암 항체치료제인 허셉틴의 전체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11% 증가한 113.3억달러입니다.
□ HER2 타겟 유방암 항체치료제인 허셉틴은 위암 환자가 많은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다른 항체치료제에 비해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지속형성장호르몬(hGH-NexP™)
□ 유전자 재조합 방식의 성장호르몬을 최초로 개발한 회사는 미국의 Genentech (Roche 사에 피인수)이며 1985년 소마토트로핀(Somatropin)이 출시된 이후 Pfizer, Novo Nordisk, Eli Lilly와 같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유전자 재조합 성장호르몬을 개발하여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한국에서는 LG화학, 동아제약, 한국 화이자, 한국 머크 등의 제품도 판매중입니다.
□ 매일 투여 받아야 하는 Daily제제 주사에서 1주일 단위 투여의 장기 지속형 제제 개발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되며, 현재 Novo Nordisk, Pfizer, Eli Lily 등 5~6개 기업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고, 1세대 성장호르몬은 1일 1회 주사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글로벌 제약사들 중심으로 2세대 지속형 제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성장호르몬은 성장 촉진 등과 같은 외양 개선을 위해서 주로 선진국에서 사용되며, 전세계적으로 성장호르몬 수요환자는 연간 2백만 명 이상으로 추정
□ 전세계 성장호르몬결핍증(GHD) 시장 규모는 2020년에 32억달러 이상으로 예상되며 2021년에서 2027년 사이에 7.1%이상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 신규 사업
당사는 바이오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이외에 추진 중인 신규 사업은 없습니다. 다만, NexP™ 융합 기술, NexMab™ADC 기술 등과 같은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이외에 추가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할 계획은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천원)
품 목/프로젝트
2023년 2022년 2021년
제 품 설 명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기술용역
수익
ALT-B4
83,334,255 86.3% 7,456,430 25.9%
11,996,795
31.0%
히알루로니다제 기술 수출(라이선스아웃) 계약 체결에 따른 계약금, 마일스톤 수익, 임상 시료 공급, 기술용역의 공급 등
ALT-P1
0 0.0% 1,267,709 4.4%
1,856,768
4.8%
지속형 성장호르몬 임상 진행을 위한 고객 회사로의 기술이전 수수료 및 위탁생산 용역
ALT-L9
(*주1)
- - - - - -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 이후 판매 라이선스 계약 등 체결에 따른 계약금, 시료공급, 마일스톤 수익, 글로벌 임상3상 개시 등
기타기술용역
- - - -
-
-
기타용역
상품 매출 12,949,243 13.4% 18,732,612 65.0%
23,534,795
60.7%
종속회사의 상품 매출
제품 매출 174,237 0.2% 1,341,073 4.7%
1,357,587
3.5%
종속회사의 제품, 원재료 매출
기타
65,194 0.1% 8,520 0.03%
-
-
-
합 계
96,522,929 100.0% 28,806,345 100.0% 38,745,944
100.0%
(주1)종속회사인 알토스바이오로직스의 국내외 판매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수취한 계약금, 마일스톤 등 거래금액은 회계정책변경으로 판매개시시점 이후로 영업수익의 인식을 유보하는 회계처리합니다.
당사는 국내외 제약사들과 당사의 개발 품목(바이오베터 및 바이오시밀러 등)을 개발 및 사업화에 대한 라이선스아웃(License-out)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이에 따른 계약금과 개발과정에서 임상 추진 등 단계적인 기술개발 지표를 달성할 때마다 마일스톤(Milestone)을 수취하고, 기술용역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기술용역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화 성공 이후, 고객회사의 해당 매출이 발생하면 매출액의 일정 부분에 해당하는 경상기술료(로열티) 또는 단계별 판매마일스톤을 수취합니다.
나. 주요 제품 설명
(1)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 약물 전달방식 피하주사(sc) 제형 전환물질
제품명
항체치료제의 기존 정맥주사(iv) 약물전달 방식은 환자의 불편함과 부작용 이외에 비용과 투약시간 면에서도 단점으로 작용하므로 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약물전달 방식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전환하게 하는 독보적인 플랫폼(기반) 기술인 Hybrozyme™ 을 통해 전세계 2번째로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주요
사용범위
◎ 항체치료제 개발/판매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등에 첨가제(exipient, active ingredient)
◎ 피부과 성형외과 및 정형외과 수술 후 통증 완화, 부종 경감 등 독자형 제품 (stand alone)
히알루로니
다제 원리
◎ 피하 조직에는 다당류와 단백질이 얽히고 설켜 있어 일종의 보호막이면서 약물의 흐름을 저해하는 단백질 중 hyaluronan(이하 HA) 층을 분해하여 약물의 흡수 및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히알루로니다제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해 히알루론산의 연결을 일시적으로 끊어 피부 아래에 작은 통로를 만들어 줌으로써 정맥주사(iv) 로만 가능했던 항암제가 이 통로를 통해 흡수되어 혈관에 도달하는 원리임
이미지: [히알루로니다제 기능]
[히알루로니다제 기능]
◎ 히알루로니다제는 원래 돼지나 소, 양의 고환에서 추출한 효소로 정자가 난자와 만나 착상하기 위해 난자를 둘러싼 보호막을 분해시키는 물질로 미국의Halozyme 사가rHuPH20 (ENHANZE)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사용하기 전까지 주로 동물에서 추출, 정제하여 미용 분야인 필러 시술 후 변형된 피부를 개선하거나 외과 수술 후 통증이나 부종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했으며,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는 동물 유래 대비 알러지 반응이나 면역원성이 낮은 장점이 있음
히알루로니
다제 기술
개발 현황
◎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동물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는 1950년 대에 개발되어 정형외과, 성형외과, 안과, 산부인과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99% 이상이 이종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저순도 제품으로 아나필락시스 반응, 가려움, 알러지, 호흡곤란 등 부작용 보고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고순도의 안전성이 담보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에서 미국의 할로자임 사가 rHuPH20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로슈 사가 항체치료제에 피하주사(sc) 변환기술로 적용하여 전세계적으로 그 기술을 주목받게 됨
◎ 현재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를 이용한 피하주사(sc) 변환 기술은 미국 할로자임 사와 당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전세계 피하주사(sc) 변환에 대한 수요를 두 회사가 양분하고 있음
◎ 당사가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ALT-B4)는 경쟁사 제품(rHuPH20) 대비 생산성, 효소 활성도가 높고 열 안정성과 면역원성 면에서도 우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기존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특허에 대해 기존 특허의 독점적인 권리를 확고히 하면서 차별성이 강조된 히알루로니다제의 집단에 대한 추가 특허를 국제특허출원(PCT) 함으로써 이후에 경쟁사들의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에 따른 따른 시장 진입장벽으로 작용함
(2) 차세대 항체-항암치료제(항체-약물 접합 치료제, ADC)
제품명
항체-약물 접합 기술(ADC)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항암 항체치료제
주요
사용범위
◎ 다양한 종류의 암의 치료
◎ 기존 항암 항체치료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의 치료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 Drug Conjugate)
◎ ADC는 항체(mAb)와 세포독성약물(payload, cytotoxic agent)을 링커(linker)로 접합시킨 구조이며 ADC가 암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인식하고 결합하면 암세포 내로 유입되고 약물이 분리되면서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원리임
◎ 일반적으로 항암 약물은 강력한 세포 독성(cytotoxicity)을 나타내어 암 세포가 아닌 정상 세포에도 작용을 하는 반면 항암 항체는 암 세포에 대한 선택성(selectivity)은 있으나 강력한 세포 독성은 없으므로 ADC는 항체의 선택성과 항암 약물의 세포 독성의 장점을 살려 항체의약품보다 효능은 우수하고 합성 약물보다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적은 신개념 기술의 바이오베터임
이미지: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구조]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구조]
◎ 세포독성 약물이 부착된 항체가 암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면 항체-약물 접합체는 암세포 내로 들어가서 여러 절편으로 절단되며, 이때 분리된 세포독성약물이 추가적으로 암세포의 성장억제 및 사멸 작용을 하며 또한 분리된 세포독성약물은 이웃에 있는 다른 암 세포에도 작용해 암 세포를 사멸하는(Bystander effect) 작용을 함
이미지: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작용]
[항체-약물 접합체(ADC)의 작용]
◎ ADC는 항체치료제와 항암약물의 병용요법보다 우월한 효과를 보이고 부작용 또한 적어 차세대 항암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 타겟에 대해 다양한 ADC 제품이 개발되고 있음
ADC 기술
개발 동향
◎ 항암 항체치료제의 개발 성공률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타파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ADC(Antibody-drug conjugate, 항체-약물 접합체) 개발이 전세계 제약회사들의 커다란 관심사임
◎ 특히 약물이 암세포를 만날 때까지는 분리되지 않고 암세포 안으로 유입된 후에만 약물이 효율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기존에 많은 양의 약물을 투입하는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 단일클론항체(mAb)의 능력과 성능을 확장함으로써 종양학 이외에 혈액학, 심장질환 및 자가면역 장애 분야까지도 적용이 가능함
◎ 2013년 미국에서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는 ADC 기반 유방암 치료제인 Genentech/Roche의 캐사일라(Kadcyla)는 항체인 허셉틴에 항암 약물을 무작위로 접합시킨 것으로 약물을 일단 항체 표면에 비선택적(Non-selective)으로 접합한 후 복잡한 정제 과정을 통해 비교적 균일한 제품으로 생산한 것임
◎ 캐사일라는 허셉틴 저항성 유방암 환자에게도 뛰어난 효능을 보여 주지만 고가의 항체치료제 중의 하나임
◎ 항체와 약물을 접합하는 다양한 ADC 기술이 개발 중에 있으나 항체 구조 변화에 따른 문제, 항체-약물 접합체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 약물 접합 부위를 컨트롤 할 수 없는 문제 등의 리스크 요인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임
NexMab™
ADC 기술의
특징
◎ 당사의 ADC 기술인 NexMab™ ADC 기술은 항체의 특정부위(C-말단)에만 선택적으로 항암 약물을 접합하는 방식으로 항체의 구조를 가능한 한 원형 그대로 유지하면서 항체에 약물이 선택적으로 접합되도록 하며 생산 수율이 높고 항체 고유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혈액 내에서도 접합이 쉽게 절단되지 않아 체내 지속성이 우수한 2세대 ADC 기술 중의 하나임
이미지: [NexMab™ 기술을 이용한 항체-약물 접합체]
[NexMab™ 기술을 이용한 항체-약물 접합체]
◎ 유전자재조합을 통해 C-말단 부위에 펩타이드 꼬리를 갖는 항체 변이체를 제조한 후 펩타이드 꼬리의 끝 부분에만 화학적 결합을 통해 약물과 링커를 접합하는 방식임
NexMab™
ADC
개발 현황
◎ 당사는 NexMab™ 기술을 활용하여 2019년 7월에 미국 FDA에 위암 치료용 희귀의약품으로 등록하면서 임상 절차를 간소화했으며 본 NexMab™ADC 기술을 전세계 주요국가에 특허 등록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기존 유방암 치료제인 허셉틴보다 약효가 향상된 ADC 유방암치료제(ALT-P7)를 개발하고 있음
◎ 당사의 ALT-P7 는 암 세포를 이용한 시험에서 항체치료제 대비 뛰어난 약효를 나타내어 투여량 감소, 기존 항암제 내성 환자 및 암 재발 환자에 대해서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며 임상시험에서 화학약물 요법보다 부작용이 적고 약물병용 요법보다 우수한 약효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
◎ 세계적인 GLP 인증 전임상시험 기관인 미국 MPI Research사에서 ADC 유방암치료제에 대한 원숭이 독성시험을 한 결과, 경쟁사ADC 항암제 대비 월등한 안전성을 확인했으며 동일한 payload를 사용하는 경쟁사 ADC 항암제보다 2배 고용량을 투여한 경우에도 원숭이에게서 독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이는 ADC 유방암 치료제 물질 안전성이 월등히 개선되었음을 의미함
◎ 이러한 전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삼성서울병원과 가천대 길병원에서 진행한 최초 인간 대상(FIH, First-in-Human) 임상1상 시험에서는 최대 허용 용량(MTD, Maximum Tolerated Dose)을 결정하고 ADC 유방암치료제의 약품 안전성(safety)과 약동학(pharmacokinetics) 및 유효성(efficacy)을 평가하였는데, 진행성 또는 재발성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용량 상승 연구 투여 용량을 경쟁사의 ADC 항암제 보다 2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본 임상1상 결과를 2020년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와 2020년 대한종양내과 학회(KSMO)에서 발표함
◎ 당사 ADC 유방암치료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임상1상을 마무리하고 있으며, 안전성은 기존의 캐사일라(Kadcyla) 보다 개선되었으며 향후 ADC 유방암치료제 및 위암치료제 뿐만 아니라 타 약물과의 병용 요법을 통하여 다양한 적응증 개발을 검토하고 있음
(3)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제품명
황반변성 항체치료제인 아일리아(Eylea)와 동등한 약효를 나타내는 바이오시밀러
주요
사용범위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w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망막중심정맥폐쇄성 황반 부종(macular edema following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당뇨성 황반부종(DME, Diabetic Macular Edema) 등 실명성 안과 질환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wAMD)이란?
◎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혈관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과발현으로 망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면서 삼출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부종이 생기면서 황반(망막 중심의 노란색을 띠는 부위로 중심시야에 해당함)이 압박을 받으며 시력을 잃게 되는 질환임
◎ WAMD는 산소 결핍과 감염에 의해 발병하는데, 고연령 층일수록 산소 결핍과 감염의 위험이 높아 50세 이상 연령층에서 WAMD의 발병률이 높음
◎ WAMD 환자는 전세계적으로 2013년 기준 2,400만명으로 추정되며 한국은 보고된 환자 수만 2010년에 9만명에 달하고 인구 고령화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의 사례로 보았을 때 추정 환자들 중에서 실제 20% 에도 못 미치는 환자만이 진료를 받을 정도로 인지도가 낮고 고가의 항체치료제 비용 부담으로 처방을 받는 환자 수는 진료를 받은 환자 수의 20% 에도 못 미치는 상황임
아일리아
(Eylea)
작용 기전
◎ 아일리아는 안구 내 VEGF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VEGF의 활동을 억제하여 새로운 혈관이 자라지 못하게하고 체액의 누출을 차단해 WAMD 환자의 시력을 유지하거나 회복시키도록 고안된 항체치료제임
◎ VEGF가 세포의 VEGF 수용체(VEGFR, VEGR Receptor)와 결합하여 혈관의 생성을 촉진하게 되는데, 아일리아는 VEGF에 결합하여 VEGF가 세포의 VEGFR과 결합하는 것을 방해함
이미지: [아일리아의 작용 기전]
[아일리아의 작용 기전]
◎ 2004년 WAMD 전문 항체치료제는 2006년 출시된 루센티스(Lucentis, 성분명 Ranibizumab)와 2011년 출시된 아일리아(Eylea, 성분명 Aflibercept)가 있으며, 아일리아의 2021년 전 세계 매출액은 약 97억달러로 유일하게 종양질환(암), 자가면역질환에 속하지 않은 블록버스터 신약임
당사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개발 현황
◎ 당사는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통해 축적한 Fc 기반 바이오시밀러 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 신속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아일리아 오리지널의 제형 특허를 회피한 독자적인 제형 기술을 확보하여 아일리아 오리지널의 물질 특허가 만료되는 2024년 이후에 출시가 가능함
◎ 현재 미국에서 전임상 시험을 마치고 국내에서 임상 1상을 완료하였으며, 글로벌 임상3상시험과 해외 판매를 목적으로 2020년 10월 자회사인 알토스바이오로직스를 설립함
◎ 알토스바이오로직스는 2021.03.03자 국내 주요 안과의약품업체와 국내판매를 위한 판매라이선스계약을 체결하고 2021.12.14자 체코 IND제출을 시작으로 글로벌 임상3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음
(4)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제품명
유방암 항체치료제인 허셉틴과 동등한 약효를 나타내는 바이오시밀러
주요
사용범위
◎ 유방암(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는 전체 유방암 환자의 30% 수준
◎ 위암(HER2 양성 전이성 위암)
허셉틴
시장 현황
◎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물질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2019년이후 약 7개사의 바이오의약품업체가 5종의 허셉틴바이오시밀러를 출시함
◎ 허셉틴은 제넨테크가 개발하고 로슈가 판매하는 유방암 치료제로 199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판매 승인을 획득함
◎ 종양의 성장에 관여하는 HER2 유전인자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표적항암제로 HER2 유전자가 과발현한 전이성 및 조기 유방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18세 이상 여성의 약 0.2%(2018년 기준 23만 5000명)가 매년 유방암 진단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허셉틴은 20년 동안 효과를 검증 받으면서 유방암의 글로벌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았으며 수 많은 기업이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참여함
◎ 국산 바이오시밀러 대표 주자인 셀트리온의 '허쥬마'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온트루잔트' 및 다국적제약사 마일란/바이오콘의 '오기브리', 화이자의 '트라지메라', 암젠/엘러간의 '칸진티' 가 FDA에 바이오시밀러로 허가를 받음
[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 받은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
허가 시기 개발사 제품명
2017년 12월 마일란-바이오콘 오기브리
2018년 12월 셀트리온 허쥬마
2019년 1월 삼성바이오에피스 온트루잔트
2019년 3월 화이자 트라지메라
2019년 6월 암젠-엘러간 칸진티
◎ 미국시장은 유럽 시장의 약 2배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비중이 큰 허셉틴 시장으로 유럽은 입찰 방식의 정부 조달 시장으로 재정 절감을 위해 바이오시밀러 도입에 적극적일 수밖에 없는 반면, 미국은 제약사와 보험약제관리사(PBM), 보험사의 이해관계로 움직이는 시장으로 이들의 이윤 극대화를 위해서는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가격이 낮게 책정될 바이오시밀러에 소극적인 특성을 보임. 유럽에서 오리지널 의약품 '레미케이드'의 시장점유율을 뛰어 넘은 셀트리온의 '램시마(미국명 인플렉트라)' 도 미국에 출시함.
◎오리지널 제품의 판매회사인 로슈는 특허 이슈제기 및 제형이 개선된 제품을출시하여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로슈는2013년 정맥주사를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경하여 유럽 시장에 출시한 후3년 만에 50% 넘는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고 미국 시장에도'허셉틴 하이렉타(HYLECTA)'를2019년에FDA 승인을 받음으로써 바이오시밀러 업체는 바이오시밀러 간 경쟁 뿐만 아니라 오리지널사의 피하주사 제형과도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됨
당사
개발 현황
◎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당사는 고발현 세포주와 생산 공정 모두를 자체 개발하였기 때문에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저렴한 가격에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할 수 있어 바이오시밀러 간 경쟁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는 캐나다에서 임상1상을 완료하였고 중국의QiLu제약에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며 라이선스아웃 이후 중국파트너인 QiLu제약이 임상3상 시험을 완료하고 품목허가신청을 준비하고 있음
◎ 당사는 하이브로자임(Hybrozyme™) 원천 기술을 통해 허셉틴 sc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검토 중이며 세계 유일 제품인 로슈사의 허셉틴 sc(하이렉타)와 동등성 시험을 완료하여 동등성 결과를 확보하였고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 이전 협약을 통해 허셉틴 sc 바이오시밀러 출시 또한 검토 하고 있음
(5) 지속형 인성장호르몬(hGH-NexP™)
제품명
NexP™와 결합하여 체내 지속성이 증가된 차세대 지속형 인성장호르몬(hGH)
주요
사용범위
◎ 성장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소아 저성장증(PGHD) 치료
◎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AGHD) 치료 및 노화억제 효능
성장호르몬의
기능
◎ 성장호르몬(hGH, human Growth Hormone)은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일 분자 폴리펩타이드이며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임
◎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성장호르몬은 간(liver)에서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을 분비시키고, 분비된 IGF-1과 성장호르몬은 체내 여러 조직의 세포증식에 작용하여 인체의 성장을 유도함
이미지: [성장호르몬의 작용]
[성장호르몬의 작용]
성장호르몬
시장 현황
◎ 과거에는 사체에서 추출한 성장호르몬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감염 위험성으로 인해 1985년 이후 사체에서 추출한 성장호르몬은 시장에서 점차 사라지게 됨
◎ 1985년 Genentech에 의해 최초로 유전자재조합 성장호르몬이 출시된 이후 Eli Lilly, Pfizer, Novo Nordisk 등이 유전자재조합 성장호르몬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한국의 LG화학, 동아제약 등의 업체가 자체 개발하여 국내에서 판매 중임
◎ hGH 제품관련 시장규모는 2023년 기준 전세계 연간 약 4.9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시장의 규모는 2022년도 기준 연간2,370억원으로 추정함
◎ 현재 판매되는 성장호르몬 제품들은 모두 1세대 제품으로 뛰어난 약효와 안전성에도 불구하고 매일 주사를 맞아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투여 횟수를 줄일 수 있는 1주형 2세대 지속형 성장호르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음
◎ 일부 개발도상국에서 1세대 제품의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지속형 제품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선진 시장에서 정착한 2세대 지속형 제품이 부재한 상황임
hGH-NexP™ 특징 및
개발 현황
◎ 1세대 성장호르몬은 물론 다른 지속형 성장호르몬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월한 지속성과 약효를 보임
◎ hGH-NexP™는 주 1회 주사 제품이므로 매일 주사하는 1세대 제품 대비 환자의 투약 순응도가 높기 때문에 치료 효과가 증대되고 잦은 주사의 불편함과 공포감 때문에 성장호르몬 투여를 주저했던 환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조효율이 높아 가격 경쟁력 보유
◎ 2015년 9월 임상 1상 및 2a을 성공적으로 완료함
◎ 2022년초 파트너사인 브라질 크리스탈리아사와의 계약에 따라 인도에서 임상1상시험을완료함
◎ 2021년말 파트너사인 브라질 크리스탈리아사와 변경계약을 체결하여 당사는 임상2상을 위한DS/DP생산하였으며, 파트너사인 크리스탈리아는 2023년 10월 인도 임상2상 IND를 신청함
◎ 최종 임상종료 이후 크리스탈리아는 남미에서 판매권을 확보하고 당사는 임상 허가 자료를 크리스탈리아로부터 무상으로 양도받아 남미를 제외한 전세계에서 제품 허가 승인을 추진할 예정으로 양사는 각 지역에서 판매하는 지속성 인성장호르몬의 제품 매출에 대한 로열티를 상호 지급하게 됨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매입현황
(단위: 천원, 미 달러)
매입유형
품 목
구 분
2021년도
(제14기)
2022년도
(제15기) 2023년도
(제16기)
원재료
국 내
3,097,724 10,391,766 4,753,952
수 입
1,729,438 957,599 866,618
$1,459,441 $755,621 $672,110
국고보조금 (312,573) (833,476) (343,923)
소 계
4,514,589 10,515,888 5,276,646
외주가공비
국 내
14,097,868 21,592,339 25,964,353
수 입
4,043,229 3,361,473 53,012,459
$3,412,008 $2,652,468 $41,114,052
국고보조금 (448,398) (1,564,120) (903,885)
소 계
17,692,700 23,389,692 78,072,927
합 계
국 내
17,195,592 31,984,105 30,718,305
수 입
5,772,667 4,319,071 53,879,077
국고보조금 (760,971) (2,397,596) (1,247,808)
합 계
22,207,289 33,905,580 83,349,574
주) 원재료 제조사가 해외업체이지만 국내의 대리점을 통해 구매하여 원화결재하는 경우에는 '국내'로 분류
원재료는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시약 및 실험도구 등을 의미하며, 외주가공비는 연구개발 과정에서 일부 실험에 대해 외부에 위탁하여 수행하거나 전임상 또는 임상시료를 외부에 위탁하여 생산하는 경우 지급하는 외주용역비용을 의미합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연구개발용 시료 및 도구 등은 대부분 장기간 동안 지속적인 반복 구매를 하게 되는데 국내 대리상을 통해 수입되는 품목이 많아 해외 제조사의 제조원가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 정책 또는 환율 변동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게 되며, 구입시마다 거래처와의 협의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게 됩니다.
다.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당사는 50리터 규모의 동물세포(CHO cell) 배양기와 정제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나, 이는 연구 및 공정 개발(Scale-up) 목적의 소규모 생산 설비로서 양산용 생산시설은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현재 당사 개발 제품의 전임상 및 임상 시료는 국내외의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 전문 생산기관)를 통해 생산하고 있습니다.
라.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현황
(단위: 천원)
공장별
자산별
소재지
2023년
기초가액
2023년 증감
2023년
손상 2023년 상각
2023년
기말가액
증가
감소
본사 토지 대전 전민동 15,963,685 - 5,768,166 - - 10,195,519
건물 대전 전민동 3,039,999 - - - 201,776 2,838,223
연구용기자재 대전 전민동 10,341,016 945,430 142,400 - - 11,144,046
(감가상각누계액) (4,452,605) -
-
- 1,669,890 (6,122,496)
(국고보조금) - -
-
- - -
계 5,888,410 945,430 142,400 - 1,669,890 5,021,550
알토스바이오직스 연구용기자재 서울연구소 - 42,866 -
- - 42,866
(감가상각누계액) - -
-
- 1,389 (1,389)
(국고보조금) - -
-
- - -
계 - 42,866
-
- 1,389 41,477
주 1) 국고보조금으로 구입한 연구용기자재는 재무제표에 국고보조금을 유형자산의 차감계정으로 기재하였습니다.
주 2) 세레스엔프엔디 제천 공장 영업에 전속된 자산, 부채 및 영업권을 포함한 관련 사업 일체를 포괄적으로 양도하였습니다.
(2) 설비의 신설 및 매입 계획
당사는 당사가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의 임상시료 및 상업용 제품 생산시설을 위해 부지를 매입하였으며 향후 순차적으로 생산 시설을 구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품목별 매출 현황
(단위 : 천원, 미 달러)
품 목 구분 2023년(제16기) 2022년(제15기) 2021년(제14기)
기술용역매출 수출 $64,010,718 $6,848,549 $12,184,615
내수 - -
-
부분합계 83,334,255 8,724,139 13,853,563
상품 매출 수출 $0 $0 $0
내수 12,949,243 18,732,612 23,534,795
부분합계 12,949,243 18,732,612 23,534,795
제품 매출 수출 $39,340 $291,735 $348,350
내수 123,512 973,506 950,200
부분합계 174,237 1,341,073 1,357,587
기타 매출 수출 $0 $0 $0
내수 65,194 8,520 -
부분합계 65,194 8,520 -
합계 수출합계 $64,050,058 $7,140,284 $12,532,965
내수합계 13,137,949 19,714,638 24,484,995
전체합계 96,522,929 28,806,345 38,745,944
당사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초기부터 국/내외 제약사와 개발 및 제품화에 대한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시 라이선스의 대가로써 착수금(Upfront)을 수취하고 계약의 진행에 따라 개발 단계별로 제휴사로부터 마일스톤(Milestone)을 받고 있습니다.
착수금과 마일스톤 금액은 개발 단계별로 개별 계약에 의해 정해진 금액이 다르며, 수익의 인식은 K-IFRS(1115호)를 회계처리 기준으로 채택함에 따라 계약서에 따른 청구금액 기준이 아닌 연구개발 진행율 등을 산정하여 진행기준에 의해 매출액을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의 인식금액과 현금흐름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당사는 품목허가를 받고 개발이 완료된 라이선스 제휴사의 제품에 대하여 해당 매출의 일정비율의 로열티 또는 판매마일스톤을 수취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품목허가를 받고 개발이 완료된 당사의 제품의 판매시 제품매출로 수익을 인식할 예정입니다.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조직
당사는 영업을 위한 판매조직을 별도로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을 체결한 국/내외 제약사가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성공할 경우 당사와 해당 계약상대방은 계약에 의해 정해진 지역에 대해서 판매를 담당하게 됩니다.
당사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을 맺은 주요 파트너들은 모두 해당 지역에서 의약품 마케팅을 위한 인력, 조직, 영업망 및 Know-how 등을 확보하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들이며,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파트너를 물색하여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파트너를 통한 판매를 시도할 계획입니다.
(2) 판매경로
당사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을 체결한 국/내외 제약사가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성공할 경우 해당 계약상대방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을 맺은 지역에 대해서 판매를 담당하게 되고, 지역별로 의약품의 유통구조 및 경로가 다양하여 판매 경로를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는 어렵습니다.
계약시 라이선스의 대가로써 착수금(Upfront)을 수취하고 계약의 진행에 따라 개발 단계별로 제휴사로부터 마일스톤(Milestone)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의 일반적인 구조는,
국/내외 제약사들과의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에 따라
1. 계약시 라이선스의 대가로써 수취하는 착수금(Upfront)과
2. 개발 단계별로 수령하는 마일스톤(Milestone) 수익 및
3. 품목허가 이후 발생되는 매출에 대한 상호 협의된 비율로 수령하는 경상기술료(로열티) 수익이며,
당사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을 위해 국/내외 제약사들과 접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시회 및 비즈니스 파트너링 행사 참여
- 국/내외 제약사들의 연락
- 국/내외 대리인(제약업계 출신의 개인 자문위원, 금융회사, 비즈니스 제휴 전문회사 등)을 통한 국/내외 제약사들에 연락
- 국/내외 제약사들에 대한 직접 연락
다. 주요 매출처
(단위 : 천원, 미 달러)
품 목/프로젝트
매출처(주1)
2023년
(제16기) 2022년
(제15기) 2021년
(제14기) 2020년
(제13기) 결제
조건 비고
기술
용역
매출 ALT-B4 수출 해외제약사 83,334,255 7,456,430 11,996,795 25,457,721 청구후
1개월 내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64,010,718 $5,866,993 $10,624,584 $21,052,632
내수 - - - -
소계 83,334,255 7,456,430 11,996,795 25,457,721
ALT-P1 수출 Cristalia(브)
- 1,267,709 1,856,768 223,645 청구후
1개월 내 지속형 성장호르몬
바이오베터
-
$981,556 $1,560,031 $184,358
내수 - - - -
소계 - 1,267,709 1,856,768 223,645
ALT-L9
(주2) 수출 - - - - 청구후
1개월 내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 - - -
내수 국내 L/O - - - -
소계 - - - -
기타
기술
용역 수출 Cristalia(브),
QiLu(중) - - - 530,452 청구후
1개월 내 허셉틴/엔브렐/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 - - $468,019
내수 - - - -
소계 - - - 530,452
부분합계 83,334,255 8,724,139 13,853,563 26,211,818 - -
상품 매출 수출
- - - - - 상품 매출
- - - -
내수 12,949,243 18,732,612 23,534,795 14,294,554
부분합계 12,949,243 18,732,612 23,534,795 14,294,554
제품 매출 수출 50,725 367,568 407,387 994,597 - 제품/원재료
매출
$39,340 $291,735 $348,350 $872,750
내수 123,512 973,506 950,200 924,873
부분합계 174,237 1,341,073 1,357,587 1,919,470
기타 매출 수출 - - - - - -
- - - -
내수 65,194 8,520 - -
부분합계
65,194 8,520 - -
합계 수출
83,384,980 9,091,707 14,260,950 27,206,415 - -
$64,050,058 $7,140,284 $12,532,965 $22,577,75 - -
내수 13,137,949 19,714,638 24,484,995 15,219,427 - -
전체 96,522,929 28,806,344 38,745,944 42,425,842 - -
(주1)회사 또는 그 종속회사의 영업기밀 또는 계약상 비밀유지의무에 위배하여 관련 내용을 공시할 경우 영업에 현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안은 익명 또는 그 내용을 생략하였습니다.
(주2)종속회사인 알토스바이오로직스의 국내외 판매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수취한 계약금, 마일스톤 등 거래금액은 회계정책변경으로 판매개시시점 이후로 영업수익의 인식을 유보하는 회계처리합니다.
라. 수주현황
(1) 라이선스계약 체결 현황
당사는 국/내외 제약사와의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에 따라 단계별로 마일스톤 수익을 받고 있고, 제품 출시 이후에는 상호 협의된 비율에 따라 판매액의 일정부분을 로열티로 받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계약현황 : '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의 현황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라이선스계약에 따른 수주현황
당기말 현재, 라이선스계약에 따라 제품출시 이전의 개발단계에서 당사가 기간에 걸쳐 기술용역을 제공하여 수익을 인식하는 수주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발주처 품목 용역기간 수주
총액 진행률 기성
금액 수주
잔액 계약자산
잔액
B사 기술용역 23.01.12 ~24.07.31 65,435 83.4% 54,581 10,854 13,932
합계 65,435 - 54,581 10,854 13,932
주1) 상기 용역기간, 수주총액 및 수주잔액은 고객회사 협의 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고객회사의 명칭은 계약에 따라 익명으로 처리합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당사는 글로벌 영업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표시통화와 다른 외화 수입, 지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포지션이 발생합니다.
주요 외화로는 USD 및 EUR 등이 있으며, 당사는 투기적 외환거래는 금지하고 환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평가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시장위험(금리, 상품가격, 환율 등)과 관련하여 투기적 거래를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금리나 상품 또는 환율 관련 파생금융상품의 거래내역은 공시대상기간중 없습니다.
당사는 현금성자산에 대하여 정기예금 등 시장위험이 없는 예금상품을 활용하고, USD 및 EUR 등 보유 외화는 외환수급을 고려하여 일정금액을 외화 또는 현지통화로 계속 보유하고 있습니다.
(외환위험)
당사는 용역매출 등과 관련하여 주로 USD 및 EUR의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 환율변동에 따른 환율변동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단위 : 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외화금액 원화장부금액 외화금액 원화장부금액
현금및현금성자산 USD 5,724,678.01 7,381,399,825 USD 460,006.80 582,966,617
EUR 29,332.83 41,845,922 EUR 6,079.71 8,214,903
GBP 3,989.68 6,550,217 GBP - -
단기금융상품 USD 16,280,549.59 20,992,140,640 USD 7,662,305.98 9,710,440,367
매출채권및기타채권 USD 10,921,736.80 14,082,487,429 USD 82,443.00 104,480,014
EUR - - EUR - -
외화금융자산 합계 42,504,424,033 10,406,101,901
미지급금 USD 7,396,531.00 9,537,087,069 USD 143,443.50 181,785,947
EUR 252,155.00 359,721,801 EUR 751,297.30 1,015,152,911
CHF 19,750.00 30,154,695 CHF 271,680.00 372,981,321
SEK - - SEK - -
GBP 46,478.50 76,307,936 GBP - -
기타유동부채 EUR - - EUR 135,000.00 190,192,050
외화금융부채 합계 10,003,271,501 1,760,112,229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련 통화에 대한 환율이 10% 변동 시 세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세전 이익증가(감소) 3,250,115,253 (3,250,115,253) 864,598,967 (864,598,967)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당사는 기술이전 계약, 정부과제 계약 등의 주요 경영상의 계약들이 있으며 최근 주요 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당기말 현재 당사가 체결한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 총괄표 >
품목 계약상대방 대상지역 계약체결일 계약종료일 총 계약금액 총수취금액(주2)
진행단계
해외
(US$ mil.)
국내
(백만원) 해외
(US$ mil.) 국내
(백만원)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QiLu 제약
(중국) 중국 2017.03.29 제품출시후
10년 3.5 (로열티별도) - 3.5 - 중국내 품목허가
신청예정
지속형
인성장흐르몬 Cristalia
(브라질) 남미 2019.07.23 종료기간
없음 3.1 (로열티별도) - 3.1 - 인도 임상2상 IND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GPC
(글로벌 제약사) 전세계 2019.11.29 종료기간
없음 1,373.0 (주1) - 19.0 - 임상1상 준비중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MSD 주3)
(글로벌 제약사) 전세계 2020.06.24 종료기간
없음 4,317.0 (주1) - 66.6 - 임상3상 진행중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Intas
(인도) 전세계
(일부 아시아
국가 제외) 2021.01.07 제품출시후
10년 109.0 (로열티별도) - 6.0 - 임상1상 준비중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Sandoz
(스위스) 전세계 2022.12.29 종료기간
없음 145.0 (로열티별도) - 8.0 - 임상1상 준비중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알토스
바이오로직스
(자회사) 전세계 2020.12.10 2032.12.09 (P/S별도) 10,023 0.0 7,434 글로벌 임상3상
진행중
합 계 5,950.6 10,023 106.3 7,434
(주1)총계약대금은 라이선스계약에 따라 당사가 최대로 수취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계약의 진행이 부진할 경우 총계약대금은 현저히 감소할 수 있습니다.
(주2)L/O계약에 따른 수취금액(현금기준)은 K-IFRS기준에 따른 수익인식금액(수익기준)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주3)MSD와의 비밀유지협약의 변경(2024.02.22)으로 거래상대방의 명칭(MSD)은 공개하기로 하였으나, 세부적인 개발진행과정과 개발계획은 계속 비공걔 또는 익명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1) 품목 : ALT-L2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①계약상대방 QiLu 제약 (중국)
②계약내용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독점적 기술 이전 및 중국내 임상시험, 허가, 생산, 상업화 등을 진행
③대상지역 중국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17.03.29
- 계약종료일 : 제품 출시후 10년
⑤계약금 총액 (계약조건에 따라 공시 유보)
⑥수취금액 <반환의무 없는 금액>
- 계약금(Upfront payment) : (공시 유보)
- 수취누계금액(계약금+마일스톤) : US$3,500,000
<반환의무 발생가능 금액>
- 해당사항 없음
⑦계약조건 계약금(Upfront payment) : (공시 유보)
- 수취조건 : 계약 체결시
마일스톤(Milestone) :
- 개발 마일스톤 (공시 유보) (수취조건 : 각 임상 단계별 진입, 성공, 판매 승인 등)
- 연간 매출 마일스톤 (공시 유보) (수취조건 : 매출 발생 시)
로열티(Royalty) :
- 수취조건 : 매출 발생시 매출액의 일정부분(공시 유보), 10년간
임상,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 의무는 없음
⑧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은 일시에 수익 인식
마일스톤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 인식
⑨대상기술 ALT-L2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유방암 및 위암 블록버스터 항체치료제인 허셉틴에 대한 바이오시밀러
⑩개발진행경과 <거래상대방>
- 중국내 품목허가 신청예정
⑪기타사항 해당사항 없음
(2) 품목 : ALT-P1 (지속형 인성장호르몬)
①계약상대방 Cristalia (브라질)
②계약내용 지속형 인성장호르몬 해외 임상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및 독점적 기술 이전
③대상지역 남미 지역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19.07.23
- 계약종료일 : 임상 완료 및 제품 출시 까지
⑤계약금 총액 (계약조건에 따라 공시 유보)
⑥수취금액 1. 글로벌(인도) 임상1상 시험
-계약금(Upfront payment) : US$2,000,000 (2019.08~2020.07, 5회 분할수취)
2. 임상2상 시험의 진행
-고객회사의 임상2상용 물질 위탁생산대금 : US$1,149,322
-2회에 걸쳐 대금 수취(각각 US$574,661, 2021.12/2022.05 수취완료)
-2022.11자로 물질 생산 완료 및 물질 위탁생산대금(US$1,149,322) 수익인식 완료
⑦계약조건 1. 글로벌(인도) 임상1상 시험의 진행
-계약대금 : US$2,000,000
-2021.12.16자 변경합의서 체결로 당사의 임상1상 시험의 수행의무 종결을 합의함
-변경합의서 체결일에 반환의무있는 거래대금(US$1,000,000) 및
잔존거래대금 4.76억원의 수익인식을 완료함
2. 글로벌(인도) 임상2상 시험의 진행
-고객회사의 임상2상용 물질 위탁생산대금 : US$1,149,322
-2022.11자로 물질 생산 완료
-2023.06.30자 변경합의로 임상2상의 Sponsor는 고객회사가 맡고
당사는 인도 임상2상의 Project Management를 맡기로 함
3. 로열티(Royalty) :
- 수취조건 : 매출 발생시 매출액의 일정비율(공시 유보)
⑧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은 계약체결일부터 변경합의서 체결일까지 기간동안 분할하여 수익 인식함
임상용 물질의 위탁생산에 따른 거래대금은 원가투입률에 따른 진행기준으로 수익 인식함
향후, 마일스톤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 인식
⑨대상기술 ALT-P1 (지속형 인성장호르몬), NexP™ 당사 고유 융합기술에 인성장호르몬을 결합하여 몸속에서 성장호르몬을 오랜 기간 지속시켜 약효를 유지하게 하는 차세대 기술
⑩개발진행경과
- 당사는 글로벌 임상1상시험을 인도에서 2020년 2월에 개시하고
2021년 10월 동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종료함
- 당사는 글로벌 임상2상시험을 위하여 2022~23년 임상2상용 물질(DS/DP)을 생산하여
고객회사에 공급함
- 고객회사는 2023년 10월에 Sponsor로서 글로벌 임상2상시험을 인도에서 신청하고
당사는 동 임상시험의 Project Management를 진행중
⑪기타사항 해당사항 없음
(3) 품목 :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 ①
①계약상대방 GPC (글로벌 제약사)
②계약내용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에 대한 비독점적 기술 이전
③대상지역 전세계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19.11.29
- 계약종료일 : 2039.12.01
⑤계약금 총액 최대 US$1.373B(1조 6천억원)
⑥수취금액 <반환의무 없는 금액>
- 계약금(Upfront payment) : US$13,000,000 (2019.12 수취)
- 마일스톤(Milestone) :
1차분 US$3,000,000 (2020.04 수취), 2차분 US$3,000,000 (2023.04 수취)
<반환의무 발생가능 금액>
- 해당사항 없음
⑦계약조건 계약금(Upfront payment) : US$13,000,000
- 수취조건 : 계약 체결 후 영업일 30일 이내
마일스톤(Milestone) :
- 개발 마일스톤/매출 마일스톤/누적 매출 마일스톤 으로 구분 (수취조건 : 각 임상 단계별 진입, 성공, 판매 승인 및 판매금액 달성, 적응증 추가 등)
◎ 임상시험, 품목허가 및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 의무는 없음 (최대 수령가능 금액은 US$1.373B 이나, 임상시험, 품목허가의 실패 또는 상업화 부진시 추가적인 수령가능 금액은 미발생 또는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
⑧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은 라이선스 제공의 대가로 일시에 수익 인식
마일스톤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 인식
⑨대상기술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원천 기술
⑩개발진행경과
- 2020.04자로 국내 CMO 기술이전 완료로 마일스톤(300만불, USD) 수취
- 2023.04자로 고객회사가 지정하는 해외 CMO 기술이전 완료로 마일스톤 수취
- 협의 중인 첫번째 품목 임상1상 진입 부터 개발 마일스톤 수취 예정
⑪기타사항 - 해외 CMO 위탁생산 계약 체결 완료
(4) 품목 :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 ②
①계약상대방 TTPC(글로벌 10대 제약사)
②계약내용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에 대한 비독점적 기술 이전
③대상지역 전세계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20.06.24
- 변경계약체결일 : 2024.02.22
- 계약종료일 : 2040.03.24
⑤계약금 총액 최대 US$4.317B(약 5조 5560억원_23년말환율적용)
⑥수취금액 1.계약금의 수취(반환의무 없는 금액)
-계약금(Upfront payment) : 1차분 US$8,000,000 (2020.07 수취)
2차분 US$8,000,000 (2020.08 수취)
-Signing fee(계약변경) : US$20,000,000 (2024.03 수취예정)
2.마일스톤 수취
-고객회사의 임상1상 개시로 개발 마일스톤 US$3,500,000 (2021.11 수취)
-고객회사의 임상3상 개시로 개발 마일스톤 US$13,000,000 (2023.04 수취)
3.계약에 따른 실행계약
3.1.GMP물질의 배치생산(SoW3, 21.06~22.12) : 생산완료 맟 US$1,991,578 수취
3.2.고객회사 지정 2nd CMO 기술이전 및 PPQ생산(WO1/WO2, 23.01~) : 진행중
⑦계약조건 1.계약금(Upfront payment) : US$16,000,000
- 수취조건 : 계약 체결 후 1차분 영업일 30일 이내, 2차분 비임상 독성 자료 전달 후 영업일 30일 이내
2.마일스톤(Milestone) :
- 개발 마일스톤 (수취조건 : 각 임상 단계별 진입, 성공, 판매 승인, 적응증 추가 등)
- 매출 마일스톤 (수취조건 : 목표 판매 금액 달성 시)
- 누적 매출 마일스톤 (수취조건 : 구간별 누적 매출 달성 시)
3.계약에 따른 실행계약
3.1.GMP물질의 배치생산(SoW3, 21.06~22.12) : GMP 배치생산 및 제공
3.2.고객회사 지정 2nd CMO 기술이전 및 PPQ생산(WO1/WO2, 23.01~) : 고객회사가 지정한 해외 CMO에 생산기술의 이전 및 GMP생산물질을 공급
◎ 임상시험, 품목허가 및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 의무는 없음 (최대 수령가능 금액은 US$3.865B 이나, 임상시험, 품목허가의 실패 또는 상업화 부진시 추가적인 수령가능 금액은 미발생 또는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
⑧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은 라이선스 제공의 대가로 일시에 수익 인식
마일스톤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 인식
고객회사 요청에의한 실행용역은 용역의 성격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회계처리함
⑨대상기술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원천 기술
⑩개발진행경과
- 고객회사 첫번째 품목 임상1상 개발 마일스톤 수취
- 고객회사 첫번째 품목 임상3상 개발 마일스톤 수취 완료(23.05.04 수취)
- 변경계약의 체결로 Signing fee 수취 예정(24.03 예정)
- 고객회사가 지정하는 해외 CMO(2nd CMO)로 기술이전 및 생산의 수탁용역을
진행중이며 수탁용역에 따른 수익을 인식함
⑪기타사항 - 해외 CMO 위탁생산 계약 체결 완료
(5) 품목 :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 ③
①계약상대방 Intas Pharmaceuticals (인도 소재 다국적 제약사)
②계약내용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에 대해 계약 상대방이 개발 중인 2개 품목에 대해 독점적 기술 이전
③대상지역 전세계(일부 아시아 국가 제외)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21.01.07
- 계약종료일 : 2개 품목에 대한 제품 출시 후 10년
⑤계약금 총액 최대 US$109M(1,180억원) + 로열티(판매금액에 따른 최대 두 자릿수 비율 %)
⑥수취금액 <반환의무 없는 금액>
- 계약금(Upfront payment) : US$6,000,000 (2021.01 수취)
<반환의무 발생가능 금액>
- 해당사항 없음
⑦계약조건 계약금(Upfront payment) : US$6,000,000
- 수취조건 : 계약 체결 후 10일 이내
마일스톤(Milestone) :
- 개발 마일스톤 (수취조건 : 각 임상 단계별 성공, 판매 승인, 적응증 추가 등)
- 매출 마일스톤 (수취조건 : 목표 판매 금액 달성 시)
- 누적 매출 마일스톤 (수취조건 : 구간별 누적 매출 달성 시)
로열티(Royalty) :
- 수취조건 : 매출 발생시 상호 협의된 비율 (최대 두자릿수 %)
◎ 임상시험, 품목허가 및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 의무는 없음 (임상시험, 품목허가의 실패 또는 상업화 부진시 추가적인 수령가능 금액은 미발생 또는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
⑧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은 라이선스 제공의 대가로 일시에 수익 인식
마일스톤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 인식
⑨대상기술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원천 기술
⑩개발진행경과
- 협의 중인 첫번째 품목 임상1상 종료시 개발 마일스톤 수취 예정
⑪기타사항 - 해당 사항 없음
(6) 품목 :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 ④
①계약상대방 Sandoz AG (스위스)
②계약내용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에 대해 계약 상대방이 개발 중인 1개 품목에 대해 독점적 기술 이전
③대상지역 전세계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22.12.29
- 계약종료일 : 마지막 판매 로열티 수취일
⑤계약금 총액 최대 US$145M(1,839억원, 계약일기준) + 판매로열티
⑥수취금액 <반환의무 없는 금액>
- 계약금(Upfront payment) : 1차 US$5,000,000 (2023.02 수취)
- 1차 마일스톤 : 계약일정 달성에 따른 마일스톤 US$3,000,000 (2023.05 수취)
<반환의무 발생가능 금액>
- 해당사항 없음
⑦계약조건 계약금(Upfront payment) : US$5,000,000
- 수취조건 : 계약 체결 후 40일 이내
마일스톤(Milestone) :
- 개발 마일스톤 (수취조건 : 각 임상 단계별 진입, 성공, 판매 승인 등)
- 누적 매출 마일스톤 (수취조건 : 구간별 누적 매출 달성 시)
로열티(Royalty) :
- 수취조건 : 매출 발생시 상호 협의된 비율
◎ 임상시험, 품목허가 및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 의무는 없음 (임상시험, 품목허가의 실패 또는 상업화 부진시 추가적인 수령가능 금액은 미발생 또는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
⑧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은 라이선스 제공의 대가로 일시에 수익 인식
마일스톤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 인식
⑨대상기술 ALT-B4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바이오의약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원천 기술
⑩개발진행경과
- 협의 중인 첫번째 품목 임상1상 진입 부터 개발 마일스톤 수취 예정
⑪기타사항 - 해당 사항 없음
(7) 품목 : ALT-L9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①계약상대방 알토스바이오로직스 (종속회사)
②계약내용
습성황반변성(W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노인성 안과질환 치료제인 오리지널 신약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임상 및 품목허가, 판매 등 독점 실시권 부여
③대상지역 전세계
④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20.12.10
- 계약종료일 : 2032.12.09
⑤계약금 총액 80억원 + 이익분배 (비율 약정)
⑥수취금액 1.계약금의 수취(반환의무 없는 금액)
-계약금(Upfront payment) : 20억원 (2021.1 수취, 현금기준)
2.제3자 라이선스계약에 따른 거래대금 수취
-알토스바이오로직스의 국내 판권 계약의 체결(21.03.03)로
수취하는 계약금 및 마일스톤 대금의 일정 비율을 수취함
-2021년도 수취금액 : 12.0억원(현금기준)
-2023년도 수취금액 : 2.1억원(현금기준)
3.마일스톤 수취
-알토스의 임상3상 진행단계에 따라 개별 마일스톤을 수취할 예정
-2022년도 임상3상 FPI 달성으로 마일스톤 수취(20억원)
⑦계약조건 1.계약금(Upfront payment) : 20억원
- 수취조건 :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
2.마일스톤(Milestone) :
- 개발 마일스톤 (수취조건 : 임상3상 진입 및 만료, 품목허가시)
3.제3자 라이선스계약에 따른 거래대금의 일정 비율 수취
4.이익분배(Profit Sharing) :
- 수취조건 : 품목허가후 매출 발생시 약정 비율에 따라 이익을 배분하기로 함
◎ 임상시험, 품목허가 및 등록, 상업화 실패시 계약은 종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계약 종료시에도 회사의 위약금 지급 의무는 없음 (임상시험, 품목허가의 실패 또는 상업화 부진시 추가적인 수령가능 금액은 미발생 또는 축소될 가능성이 있음)
⑧회계처리방법 2022년 회계정책변경으로,
계약금(Upfront, 20억원)은 품목허가시까지 기간동안 분할하여 영업외수익으로 인식
마일스톤 수취액은 추가적인 수행의무가 없으므로 영업외수익으로 일시 인식
상업생산시 이익분배 수취액은 수취시 일시에 수익으로 인식할 예정임
⑨대상기술 습성황반변성(W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노인성 안과질환 치료제인 오리지널 신약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 바이오시밀러(ALT-L9)
⑩개발진행경과
- 고객회사는 2021.12.14자로 동유럽 국가인 체코에 임상3상 IND 접수를 시작으로
한국, 일본 포함 12개국에서 환자 444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3상시험을 진행중
⑪기타사항 - 해당 사항 없음
나. 라이선스인(License-in) 계약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기술제휴 계약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진행중인 정부과제 계약
계약상대방 사업기간 총 사업비
(백만원) 계약명칭
국가신약개발사업단 2022.03.01
~2024.06.30 3,500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ALT-BB4 의 임상 1상 연구
국가신약개발사업단 2021.09.01
~2023.08.31 1,200 차세대 지속형 성장호르몬 수용체 길항제의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01.01~
2023.12.31 511 면역억제제 제조공정 개발 및 사업화
7. 기타 참고사항
가. 연구개발 활동 개요
당사는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위치한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개발 전문 바이오벤처기업으로 환자의 편이성을 높이는 정맥주사(iv)의 피하주사(sc)형으로 전환하는 Hybrozyme™ 기술, 차세대 표적 항암 항체 치료제 NexMab™ ADC 기술 및 기존 바이오 의약품보다 효능이 개선된 바이오베터 의약품 NexP™ Fusion Protein 기술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1. Hybrozyme™ 기술: 당사 고유 기술인 Hybrozyme™ 는 단백질 공학 기술에 기반한 신규의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에 적용한 원천기술로 정맥주사(iv) 만이 가능했던 기존 항체치료제나 단백질 의약품의 투여 방법에 대해 환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투여가 매우 간편하도록 피하주사(sc)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기술로 활용 범위가 크고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NexMab™ ADC 기술: 항체-약물 접합기술(ADC)은 표적 물질이 발현된 세포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하여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차세대 신약 기술이며 당사의 NexMab™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항암 항체 치료제 대비 개선된 효능을 보이면서 부작용은 적은 항암치료제를 개발하여 현재 유방암치료제로 임상 1상 투여를 완료하였습니다. 위암치료제로는 미국 FDA에 희귀의약품으로도 등록되었으며 병용투여 등 추가 임상시험을 검토 중입니다.
3. NexP™ Fusion Protein 기술: 당사 고유의 기술로 개발한 NexP™라는 Carrier protein과 바이오의약품을 융합(Fusion)하여 기존의 바이오의약품보다 체내 지속성이 증가된 차세대 지속형(Long-acting) 단백질의약품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반기술을 활용하여 지속형 성장호르몬의 국내2상을 완료하고 저신장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임상1상을 인도에서 완료하고 글로벌 임상2상을 준비중이며, 또한, 지속형 혈우병치료제의 개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4. 바이오시밀러 대량생산 Know-how: 당사의 고유한 제형 및 생산 기술을 적용하여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 조직
당사의 주요 연구개발조직은 기업부설연구소 산하 6개 연구개발 부서 및 2개 연구관리 부서로 구성되어 프로젝트 및 기능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여 연구, 개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당사의 연구조직은 기능(function)별 조직과 프로젝트별 조직이 matrix 형태로 구성된 조직으로서 적은 인원으로 많은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각 연구원들은 matrix 체제 하에서 어느 한 기능에 대한 전문가가 되는 것은 물론, 여러 프로젝트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연구개발 전문가로서 폭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큰 연구원 중심의 조직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알테오젠 기업부설연구소
알테오젠 기업부설연구소
다. 연구개발관련 전문인력 현황
당사의 주요 연구개발 조직은 기업부설연구소 산하 8개 부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알테오젠 기업부설연구소(대전)>
구 분 인 원
박사 석사 기타 합계
기업부설연구소 총괄
1
0
1
2
연구소 Cloning 그룹
1
0
2
3
세포 그룹
1
5
1
7
발효 그룹
0
7
2
9
정제 그룹
3
13
2
18
분석 그룹
0
16
5
21
신약개발
6
1
0
7
연구전담 Total
12
42
13
67
연구관리 연구지원
1
5
2
8
연구행정
1
5
10
16
연구관리 Total
2
10
12
24
합 계
14
52
25
91
<㈜알테오젠 서울연구소(서울)>
구 분
인 원
박사
석사
학사
합계
서울연구소 총괄
0
1
0
1
연구전담
신약개발 그룹
2
6
0
8
연구전담 Total
2
7
0
9
연구관리
연구관리
1
0
2
3
연구관리 Total
1
0
2
3
합 계
3
7
2
12
라. 핵심 연구인력
당사의 핵심 연구인력은 최고경영자(CEO)인 박순재 대표이사, 김규완 전무, 이상미 전무, 유선아 박사, 이선배 박사 등입니다.
직위 성명 담당업무 주요 경력 주요 연구실적(최근 5건)
대표이사
(CEO) 박순재 최고
경영책임자 - 미국 MIT, Post-Doc
- ㈜LG생명과학, 바이오텍연구소
- ㈜LG생명과학, 상무이사, 사업개발 및 해외 라이센싱
- 한화케미칼, 상무
- 바이넥스, 대표이사 1. Chung H-S, Kim J-S, Lee SM, Park SJ (2017) Role of the P2 residue of human alpha 1-antitrypsin in determining target protease specificity. PLoS ONE 12(9): e0185074.
2. Chung H-S, Lee S, Park SJ (2016) Oxidation Protection in Metal-Binding Peptide Motif and Its Application to Antibody for Site-Selective Conjugation. PLoS ONE 11(7): e0159451.
3. Chung H-S, Kim J-S, Lee SM, Park SJ (2016) Additional N-glycosylation in the N-terminal region of recombinant human alpha-1 antitrypsin enhances the circulatory half-life in Sprague-Dawley rats. Glycoconj J (2016) 33:201-208
4. Chung H-S, Lee SM, Park SJ et al. (2013) N-glycan analysis of human α1-antitrypsin produced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Glycoconj J (2013) 30:537-547
5. Yoon, W.H., Park, S.J., Kim, I.C., and Lee, M.G. (1997) Pharmacokinetics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in Rabbits and 3/4 Nephrectomized Rats. Research Communications in Molecular Pathology and Pharmacology. 96, 227-240
CTO 문승기 연구개발
총괄
(연구소장)
셀로스 바이오텍, 부사장/CTO
종근당, R&D전략기획이사
한일합성, 연구원
1. TGFβ4 alleviates the phenotype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2 by antagonizing PMP22-induced Nodal signaling. (Submission to Nature Medicine or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in progress)
2. Substitution of heavy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3 (CDR-H3) residues can synergistically enhance functional activity of antibody and its binding affinity to HER2 antigen. Mol. Cells. (2016) 39 (3), 217-228.
3. Discovery of a potent tubulin polymerization inhibitor: synthesis and evaluation of water-soluble prodrugs of benzophenone analog. Bioorg. Med. Chem. Lett. (2010) 20 (21), 6327-6330.
4. Structure-based virtual screening of novel tubulin inhibitors and their characterization as anti-mitotic agents. Bioorg. Med. Chem. (2010) 18 (19), 7092-7100.
5. Discovery of potent, selective, and orally bioavailable PDE5 inhibitor: Methyl-4-(3-chloro-4-methoxy-benzylamino)-8-(2-hydroxyethyl)-7-methoxyquinazolin-6-ylmethylcarba mate (CKD 533). Bioorg. Med. Chem. Lett. (2010) 20 (1), 383-386.
전무 김규완 신약개발
총괄
(서울연구소
연구소장) ㈜LG생명과학, 바이오텍연구소 책임연구원/부장 1. Properties of Acetyl-CoA Synthetase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J. Biochem. Mol. Biol.(1996)
전무 이상미 연구기획
담당 - ㈜LG생명과학, 바이오텍연구소 선임연구원
- 미국 메릴랜드주립대학, 연구원
- Cangenbio, 연구원 1. Chung H-S, Kim J-S, Lee SM, Park SJ (2017) Role of the P2 residue of human alpha 1-antitrypsin in determining target protease specificity. PLoS ONE 12(9): e0185074.
2. Chung H-S, Lee S, Park SJ (2016) Oxidation Protection in Metal-Binding Peptide Motif and Its Application to Antibody for Site-Selective Conjugation. PLoS ONE 11(7): e0159451.
3. Chung H-S, Kim J-S, Lee SM, Park SJ (2016) Additional N-glycosylation in the N-terminal region of recombinant human alpha-1 antitrypsin enhances the circulatory half-life in Sprague-Dawley rats. Glycoconj J (2016) 33:201-208
4. Chung H-S, Lee SM, Park SJ et al. (2013) N-glycan analysis of human α1-antitrypsin produced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Glycoconj J (2013) 30:537-547
5. Y-M Kim, SM Lee & H-S Chung (2013) Novel AGLP-1 albumin fusion protein as a long-lasting agent for type 2 diabetes. BMB Rep. 2013; 46(12): 606-610
상무 유선아 비임상
총괄 - 미국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ost-Doc
- 미국 Cleveland Clinic Foundation, Post-Doc
- 시드바이오칩스, 팀장
- 솔젠트㈜, 이사 1. Fan C, Quyang P, Timur AA, He P, You SA, Hu Y, Ke T, David DJ, Chen Q, Wang QK. (2009) Novel roles of GATAa1 in regulation of angiogenic factor AGGF1 and endothelial cell function. J Biol Chem. 284(35): 23331-23343.]
2. Du W, Bautista JF, Yang H, Diez-Sampedro A, You SA, Wang L, Kotagal P, L Ders HO, Shi J, Cui J, Richerson GB, Wang QK. (2005) Calcium-sensitive potassium channelopathy in human epilepsy and paroxysmal movement disorder. Nat. Genet. 37(7): 733-738.
3. *Tian XL, *Kadaba R, *You SA, *Liu M, Timur AA, Yang L, Chen Q, Szafranski P, Rao, S, Wu L, Housman DE, DiCorleto PE, Driscoll DJ, Borrow J, Wang Q. (2004) dentification of an angiogenic factor that when mutated causes susceptibility to Klippel-Trenaunay syndrome. Nature 427(6975): 640-645.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4. You SA, Archacki SR, Angeloui G, Moravec CS, Rao S, Kinter M, Topol EJ, and Wang Q. (2003) Proteomic approach to coronary atherosclerosis shows ferritin light chain as a significant marker: evidence consistent with iron hypothesis in atherosclerosis. Physiol. Genomics 13(1): 25-30.
5. Basu A, You SA and Haldar S. (2000) Regulation of Bcl2 phosphorylation by stress response kinase pathway. Int. J. Oncol. 16: 497-500.
상무 이선배 RA 총괄 - 미국 Univ. of Texas, Post-Doc
- 이화여대 연구교수 1. Chung H-S, Lee S, Park SJ (2016) Oxidation Protection in Metal-Binding Peptide Motif and Its Application to Antibody for Site-Selective Conjugation. PLoS ONE 11(7): e0159451.
2. Sunbae Lee, Yoon Soo Bae, “Monomeric and Dimeric Model of ERK2 in Conjunction with Studies on Cellular Localization, Nuclear Translocation, and In Vitro Analysis”, Mol. Cells, (2012). 33(4), 325.
3. Sunbae Lee, Mangalika Warthaka, Chunli Yan, Tamer Kaoud, Pengyu Ren, Kevin N. Dalby, “Examining Docking Interactions on ERK2 with Modular Peptide Substates”, Biochemistry (2011), 50 (44), 9500.
4. Sunbae Lee, Mangalika Warthaka, Chunli Yan, Tamer Kaoud, Andrea Piserchio, Ranajeet Ghose, Pengyu Ren, Kevin N Dalby, “A Model of a MAPK-Substrate Complex in an Active Conformation: A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Approach”, Plos One (2011), 6(4), e18594.
5. Yan, Chunli; Kaoud, Tamer; Lee, Sunbae; Dalby, Kevin; Ren, Pengyu, “Understanding the specificity of a docking interaction between JNK1 and the scaffolding protein JIP1 between JNK1 and the scaffolding protein JIP1”, J. Phys. Chem. B (2011), 115, 1491.
마. 연구개발비용
당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별로 연구인력의 인건비, 실험 시약 및 재료비, 외주용역비 등을 당기 비용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 일부 프로젝트 투자비용에 대하여 개발비 인식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비용 현황 (별도 재무제표 기준) >
(단위 : 천원)
과목 2023년 (16기) 2022년 (15기) 2021년 (14기)
원재료비 4,554,213 9,799,256 2,757,812
인건비 6,365,038 4,747,567 4,149,659
감가상각비 1,918,668 1,396,946 1,073,556
외주용역비 78,779,617 24,390,997 15,298,252
기타 4,184,118 3,079,714 2,016,333
연구개발비용 합계 95,801,653 43,414,481 25,295,612
(정부보조금) (1,285,154) (2,374,100) (900,767)
보조금 차감 후 금액 94,516,499 41,040,381 24,394,845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25,109,113 18,533,108 7,368,598
매출원가 51,796,660 5,493,546 9,300,301
개발비(무형자산) 17,610,725 17,013,727 7,725,946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114.76% 496.17% 148.57%
*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
< 연구개발비용 현황 (연결 재무제표 기준) >
(단위 : 천원)
과목 2023년 (16기) 2022년 (15기) 2021년 (14기)
원재료비 5,010,399 10,830,040 4,085,511
인건비 6,829,481 5,336,292 4,784,626
감가상각비 2,454,399 1,766,905 1,438,697
외주용역비 78,976,812 24,495,008 15,398,252
기타 4,328,434 3,764,613 2,656,627
연구개발비용 합계 97,599,525 46192,858 28,363,714
(정부보조금) (1,450,347) (2,573,911) (1,248,155)
보조금 차감 후 금액 96,149,178 43,618,948 27,115,558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26,741,792 21,111,675 10,089,311
매출원가 51,796,660 5,493,546 9,300,301
개발비(무형자산) 17,610,725 17,013,727 7,725,946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101.12% 252.67% 68.97%
*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
바. 연구개발실적
(1) 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계획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연구개발 진행 중인 바이오의약품(신약 및 바이오시밀러)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개발 진행 총괄표 >
구 분
품 목
적응증
연구
시작일
현재 진행단계
비 고
단계(국가)
승인일
바이오
신약
ALT-
P1
성장호르몬
결핍증
2008년
임상 1상(한국)
임상 1b/2a(한국)
임상 1상(인도)
임상 2상(인도)
2014년
2017년
2020년
2023년
해외 L/O(1건)파트너사
임상 2상 IND 신청
ALT-
P7
유방암
2011년
임상 1상(한국)
2017년
임상 2상 준비 중
ALT-
B4
피하주사
변환 용도
2017년
임상 1상(미국)
임상 3상(미국)
-
해외 L/O(4건)파트너사의
개별 진행
ALT-
BB4 부종/통증
완화 2017년 임상 1상(한국) 2021년 Pivotal 임상 완료
국내 품목허가 신청
바이오
시밀러
ALT-
L9
습성
황반변성
2014년
임상 1상(한국)
임상 3상(해외)
2019년
2021년
종속회사(알토스바이오)에 전용실시권 부여
종속회사의
임상 3상 FPI달성
ALT-
L2 유방암 2011년 임상 1상
(캐나다, 중국) - 해외 L/O파트너사
품목허가 신청
품 목: ALT-P1
①구 분
바이오 신약
②적응증
[주 적응증] 성장호르몬 결핍증
③작용기전
성장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하여 펩타이드 호르몬인 IGF-1을 분비시켜 골조직 세포 분열 및 미분화 연골세포의 분화를 자극하여 성장을 촉진
④제품의 특성
- 지속형 인성장호르몬인 ALT-P1은 알파-1 안티트립신을 모체로 하여 당사가 자체
개발한 지속형 플랫폼 기술인 NexP™ (지속형 단백질 기술)을 인성장호르몬과
융합(fusion)하여 기존의 인성장호르몬보다 체내 지속성이 증가(체내 반감기 증가)
시킴으로써 현재 유일하게 시장에 출시된 1일 제형의 인성장호르몬을 1주
제형의 지속형 인성장호르몬으로 개발 중
- NexP™ 차별성으로는 체내에 고농도로 존재하여 타 단백질보다 안전하며, 지난
20년간 폐기종치료제로 사용되어 과량 투여해도 안전성 및 면역원성 문제가
없었고 미국, 유럽, 일본, 브라질 등 전세계 주요국가 특허 등록 완료
⑤진행경과
1. 한국 임상1상: 건강한 성인(HV) 대상으로 단회투여 안전성 시험
- 2014년 4월 23일 임상승인
- 2015년 9월 11일 임상시험결과보고서 완료
2. 한국 임상1b/2a 상: 성인 성장호르몬결핍(AGHD) 환자를 대상으로 다회투여
안전성 및 용량 탐색 시험
- 2017년 7월 11일 임상승인
- 2017년 9월 27일 임상 개시
- 2021년 1월 15일 마지막 대상자 방문 종료
3. 글로벌 임상1상(인도) : 건강한 성인(HV) 대상으로 고용량 다회투여 안전성 시험
- 2020년 2월 21일 임상승인 (COVID-19 pandemic 인도 셧다운으로 지연됨)
- 2021년 6월 28일 임상시험 완료
- 2022년 3월 임상시험결과보고서 제출
4. 글로벌 임상2상(인도)
- 2022년 당사는 임상2상용 물질을 생산하여 고객회사에 공급
- 2023년 10월 고객회사가 스폰서로 인도에서 임상2상시험 신청
⑥향후계획
- 고객회사와 함께 소아대상(PGHD) 임상2/3상을 위하여 당사는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을 맡기로 함(생산비용은 고객회사 부담)
- 글로벌 임상2상시험(인도)의 진행과 비용은 고객회사가 맡기로 함(당사는 PM역할)
- 품목허가 시 남미지역의 판권은 크리스탈리아 사에게 나머지 전세계 판권은
당사가 보유 예정
⑦경쟁제품
시판 중인 인성장호르몬 현황
1. 1일 제형: 유트로핀(LG화학), 제노트로핀(화이자), 노디트로핀(노보노디스크)
2. 지속형 인성장호르몬
- 소마트로곤 (화이자/옵코 : 임상3상, 2021년1월 FDA BLA 제출)
- 트랜스콘T (어센디스 파마, 2020년 6월 FDA BLA 제출)
- GX-H9 (제넥신/한독 : 임상2상 완료, 중국 임상3상 승인(2020년 6월,아이맵)
⑧관련논문 등
해당사항없음
⑨시장규모
- 전세계 성장호르몬결핍증(GHD) 시장 규모는 2016년 14.2억 달러에서 2026년
20.8억 달러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 등 주요 7개국 시장에서 성장호르몬결핍증 시장은 연평균
3.9%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매일 주사에서 1주 투여의 장기지속형 제제 개발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 현재 Novo Nordisk, Pfizer, Eli Lily 등 5~6개 기업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태
이며, 1세대 성장호르몬은 1일 1회 주사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투여 불이행
문제가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시장 성장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1세대
제품을 보유한 글로벌 제약사들 중심으로 2세대 지속형 제형을 개발 중이지만
아직까지 출시된 제품은 없는 상황
⑩기타사항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유망바이오 IP 사업화 촉진)
품 목: ALT-P7
①구 분
바이오 신약
②적응증
[주 적응증] HER2 양성 유방암
③작용기전
- 항체에 링커(Linker)로 접합된 세포독성 물질(Cytotoxic agent, Payload)이 암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인식하고 결합하면 암세포 내로 유입되고 세포독성 물질이 분리되면서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원리
- 일반적으로 세포독성 항암 약물은 강력한 세포 독성(cytotoxicity)을 나타내어
암세포가 아닌 정상 세포까지도 작용을 하는 반면 항체는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
(selectivity)은 있으나 강력한 세포 독성은 없으므로 항체의 선택성과 항암 약물의
세포 독성의 장점을 살려 항체의약품보다 효능은 우수하고 합성 약물보다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적은 신개념 기술의 바이오베터
④제품의 특성
- 당사가 자체 개발한 NexMab™ 기술(항체-약물접합기술, ADC Antibody-Drug
Conjugate 항체-약물접합체)을 활용하여 기존의 항암 항체치료제보다 월등한
효능을 가지며 부작용은 적은 항체-약물접합 항암치료제로 개발
- 2013년 미국에서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는 ADC 기반 1세대 유방암 치료제인
Genentech/Roche의 캐사일라(Kadcyla)는 항체인 허셉틴에 항암 약물을 무작위로
접합시킨 것으로 약물을 일단 항체 표면에 비선택적(Non-selective)으로 접합한
후 복잡한 정제 과정을 통해 비교적 균일한 제품을 생산한 것에 비해 당사 제품은
항체 C 말단 부위에 위치 선택적으로 접합하여 생산성이 높고, 체내 안전성이
탁월한 차세대 원천 기술("위치 특이적 결합")
- 당사는 NexMab™ 기술을 활용하여 2019년 7월에 미국 FDA에 위암 치료용 희귀
의약품(Orphan drug)으로 등록하면서 임상 절차를 간소화했으며 본 NexMab™
ADC 기술을 미국,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 주요국에 특허 등록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기존 유방암 치료제인 허셉틴보다 약효/접합안전성/생산성/부작용 등 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ADC 유방암치료제(ALT-P7)를 개발 중
⑤진행경과
1. 세계적인 GLP 인증 전임상시험 기관인 미국 MPI Research 에서 원숭이 독성
시험 진행
- 경쟁사 ADC 항암제 대비 월등한 안전성 확인(동일한 payload를 사용하는
경쟁사 ADC 항암제보다 2배 고용량을 투여한 경우에도 원숭이에게서
독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음)
2. 상기 전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삼성서울병원과 가천대 길병원에서 진행한
최초 인간 대상(FIH, First-in-Human) 임상1상 2017년 6월 승인, 2017년 11월
개시, 2021년 1월 마지막 대상자 방문 종료
- 최대 허용 용량(MTD, Maximum Tolerated Dose) 결정
- 약품 안전성(safety)과 약동학(pharmacokinetics) 및 유효성(efficacy) 평가
- 진행성 또는 재발성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군 용량 상승
연구투여 용량을 경쟁사 ADC 항암제 보다 2배 이상 증가시킴
- 임상 1상 중간 결과 2020년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와 2020년 대한종양내과
학회(KSMO)에서 발표
- 2021년 8월 3일 임상 1상 임상시험결과보고서 (CSR) 완료(국내유일 임상1상완료)
⑥향후계획
- ADC 유방암치료제 및 위암치료제 뿐만 아니라 침샘암, 요로 상피암 등 타 HER2 양성
암에 대한 임상 개발 논의 중이며 타 약물과의 병용 요법을 통한 임상 2상 진행 방향 검토
- IO (Immunotherapy) 와 병용요법 가능성 검토
⑦경쟁제품
- 2013년, 항체-약물 접합체 중에서 HER2 양성 유방암에 대해 최초 허가를 받은
Roche 사의 캐사일라(Kadcyla)
- 2019년, HER2 양성 유방암에 대해 다이이치산쿄 사의 인허투(Enhertu)
⑧관련논문 등
- 2020년, ASCO 학회 발표 "First-in-human phase I study of ALT-P7, a HER-tar
geting antibody-drug conjugate in patients with HER2-positive advanced breast
cancer"
- 2020년, KSMO 학회 발표 "First-in-human(FIH), phase I study of ALT-P7, a HER2
-targeting antibody-drug conjugate, in patients with HER2 positive advanced
breast cancer"
⑨시장규모
- HER2 표적치료제 시장은 2025년 50억 달러 규모 예상 (HER2 양성 유방암시장
규모의 50%)되며 ADC 유방암치료제 캐사일라(Kadcyla)는 2013년 미국에서 출시
되어 2017년 1조원 이상 판매
- 항체-약물 접합(ADC) 치료제 시장은 2019년 27억 달러에서 2026년 248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 37%로 약 7년 만에 시장 규모가 9배 이상
커지게 됨에 따라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이 ADC 치료에 관심을 증대시키며 시장
성장의 견인차 역할
- 미국 머크(MSD) 사는 시애틀제네틱스와 2가지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해 5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으며(계약금 6억 달러+단계별 성과기술료 26억 달러)
길리어드사이언스(Gilead Science) 사는 이뮤노메딕스를 210억 달러에 인수한
다고 발표했고 2019년 일본의 다이이치산쿄(Daiichi-Sankyo) 사가 ADC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인허투)에 대해 영국계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60억
달러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
⑩기타사항
- 전임상 단계까지 산업부 연구비 지원 사업
- 임상 단계에서는 범부처항암사업단의 연구비 지원 사업
품 목: ALT-B4
①구 분
바이오 신약
②적응증
당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기존 정맥주사(iv) 약물전달 방식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환하게 하는 플랫폼(기반) 기술인 Hybrozyme™ 을 통해 전세계 2번째로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 항체치료제 개발/판매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등에 첨가제(exipient, active ingredient) 로 사용
- 피부과 성형외과 및 정형외과 수술 후 통증 완화, 부종 경감 등 독자적인 제품
(stand-alone)으로 출시 가능
③작용기전
- 피부를 구성하는 히알루론산을 일시적/국소적으로 분해하여 통로를 만들고 함께 투여된 분자량이 큰 항체 바이오의약품의 피부 투과 및 흡수를 촉진
- 피하 조직에는 다당류와 단백질이 복잡한 구조를 이루어 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는 차단막 혹은 보호막의 기능을 함.
- ALT-B4를 포함하는 히알루로니다제는 피하조직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인 히알루론산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약물의 흡수 및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
- 기존 정맥주사로만 사용될 수 있었던 고분자 바이오 약물을 히알루로니다제와 병용하여 피하로 투약함으로써, 약물의 혈관으로의 흡수율을 높임.
④제품의 특성
- 히알루로니다제는 원래 돼지나 소, 양의 고환에서 추출한 동물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를 정제한 약물이 시장에 주로 나와있음.
- 히알루로니다제는 정자의 첨두에 위치한 세포막 단백질 효소로써, 정자가 난자와 만나 착상하기 위해 난자를 둘러싼 보호막을 분해시키는 물질.
-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는 미국의 할로자임 (Halozyme) 사가 rHuPH20 를 세계 최초로 개발.
- 주요 사용 분야로는:
°정맥주사를 피하주사로 변환시켜주는 부형제(excipient)
°피부 미용
°히알루론산 필러 사용 후 필러 용해용
°외과 수술 후 통증이나 부종을 완화시키는 용도
-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는 동물 유래 제품과 비교하여
°알러지 반응이나 면역 원성이 낮은 장점이 있음
°성형 및 미용 시장에서의 적용 분야에서 확장 가능성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Game Changer 로 주목받게 됨
- 고순도의 안전성이 담보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에서
미국의 할로자임 사가 rHuPH20 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피하주사(sc)
변환기술로 로슈 사 항체치료제에 적용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그 기술을
주목받게 되었으며 현재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를 이용한 피하주사(sc) 변환
기술은 미국 할로자임 사와 당사가 양분하고 있고 피하주사 제형을 도입하려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수요를 두 회사가 대응하는 형국
- 당사가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ALT-B4)는 경쟁사 제품(rHuPH20)
대비 생산성, 효소 활성도가 높고 열 안정성과 면역원성 면에서도 우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기존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특허에 대해 기존 특허의 독점적인
권리를 확고히 하면서 차별성이 강조된 히알루로니다제의 집단에 대한 추가
특허를 국제특허출원(PCT) 함으로써 이후에 경쟁사들의 히알루로니다제
개발에 대한 진입을 원천적으로 봉쇄 가능
⑤진행경과
- 2020년 12월, 독자형 제품("테르가제" Tergase)으로 국내 Pivotal 임상1상 신청
- 2023년 2월, 독자형 제품("테르가제" Tergase) 품목허가(한국) 신청
- 2019년~2022년에 걸쳐 4차례의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통해 계약상대방회사 각각
임상시험 등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함 (글로벌, 상세 일정은 개별적임)
⑥향후계획
- 독자형 제품(ALT-BB4, Tergase)은한국 품목허가이후 상업화 진행 예정
- 피하주사 제형 기술(ALT-B4)의 수요가 있는 다수의 항체치료제 개발 업체와
라이선스계약 추진 예정
⑦경쟁제품
- 동물유래 히알루로니다제 제품 및 할로자임 사가 출시한 재조합 인간 히알
루로니다아제인 Hylenex (당사가 추진 중인 임상1상 제품 테르가제 경쟁 제품)
- 할로자임 사가 로슈 사 등이 시판 중인 기존 항체치료제에 첨가제(Excipient,
Active ingredient)로 적용 중인 Enhanze 기술 (당사가 개발한 하이브로자임
Hybrozyme™ 경쟁 기술)
⑧관련논문 등
해당사항 없음
⑨시장규모
- 미국 할로자임 사는 2012년까지만 하더라도 계약금 및 마일스톤 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Roche 사를 위시한 파트너 사의 임상 진전에 따른 API
(원료의약품) 매출과 Herceptin sc, Rituxan Hycela, HyQvia 등의 제품 출시로
로열티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로슈 사는 오리지널 허셉틴의 물질 특허 만료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가 경쟁적
으로 출시될 정맥주사형(iv)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허셉틴sc 제형을 출시
- 항체치료제의 첨가제로 사용될 경우 시장 규모는 예측 어려움
- 다만 독자 제품(Stand alone)으로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및 수술 후 부종 완화
및 통증을 경감시키는 작용이 있어 1950년대 동물에서 추출한 천연물 제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이종 단백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알러지, 아나필락
시스 반응-호흡곤란 등의 부작용 보고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이상 반응 등
부작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순수 정제 액상 재조합 제품에 대한 미충족
욕구(Unmet Needs)가 매우 큰 시장으로 할로자임 사도 Hylenex 란 제품으로 출시
하였고 독자 제품 시장 규모는 2018년 8,000억원(동물 유래 6,000억원, 재조합
2,000억원)에서 2022년에는 1조원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⑩기타사항
- 전임상 단계까지 범부처 신약개발 지원단의 지원 사업
품 목: ALT-L9
①구 분
바이오시밀러
②적응증
[주 적응증] 신생혈관성(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AMD)
[기타 적응증]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망막정맥폐쇄성 황반부종, 당뇨성 망막병증
③작용기전
- 체내의 VEGF(혈관내피성장인자)가 세포의 VEGF 수용체(VEGFR, VEGR Receptor)와 결합하여 혈관의 생성을 촉진하게 되는데, 수용체와 VEGF 결합을 방해 억제
④제품의 특성
-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리지널 신약 아일리아(Eylea)는
안구 내 VEGF(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VEGF의 활동을
억제하여 새로운 혈관이 자라지 못하게 하고 체액의 누출을 차단해 WAMD 환자의
시력을 유지하거나 회복시키도록 고안된 항체치료제
⑤진행경과
- 국내 최초로 미국 전임상 시험 완료
- 국내 최초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임상 1상 IND 승인(2019년 5월),
2019년 12월 임상 개시, 2020년 12월 마지막 대상자 방문종료
- 임상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20년 10월 자회사인 (주)알토스바이오로직스 법인 설립
- (주)알토스바이오로직스와 임상 및 판매에 관한 라이선스계약체결(2020년 12월)
- 2021년 8월 4일 임상1상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 완료
-2021년 12월 14일 자회사인 알토스의 글로벌 임상3상 체코 IND 제출함
-2022년 6월 17일 자회사인 알토스의 글로벌 임상3상 FPI 달성
⑥향후계획
- 2022년 다국적 임상3상 개시 진행중
⑦경쟁제품
[시판] 아일리아(Regeneron/Bayer 사)
[임상 3상 진행중인 바이오시밀러] ABP938(Amgen), SB15(삼성바이오에피스) 등
⑧관련논문 등
해당사항 없음
⑨시장규모
-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wAMD,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혈관
성장인자(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과발현으로 망막에 비정상적 으로 혈관이 자라면서 삼출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부종이 생기면서 황반(망막
중심의 노란색을 띠는 부위로 중심 시야에 해당함)이 압박을 받으며 시력을 잃게
되는 질환으로 WAMD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2013년 기준 2,400만으로 추정되며
한국은 보고된 환자 수만 2010년 9만 명에 달하고 인구 고령화로 2025년에는 3배
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의 사례로 보았을 때 추정 환자들 중에서 실제
20%에도 못 미치는 환자만이 진료를 받을 정도로 인지도가 낮고 고가의 항체치료제
비용 부담으로 처방을 받는 환자 수는 진료를 받은 환자 수의 20%에도 못 미치는
상황
- 2004년 wAMD 전문 항체치료제는 2006년 출시된 루센티스(Lucentis, 성분명
Ranibizumab)와 2011년 출시된 아일리아(Eylea, 성분명 Aflibercept)가 있으며,
아일리아의 2021년 전 세계 매출액은 97억달러로 유일하게 종양질환(암), 자가
면역질환에 속하지 않은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매년 10% 이상씩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100억 달러 시장 규모로 전망
⑩기타사항
해당사항 없음
품 목: ALT-L2
①구 분
바이오시밀러
②적응증
[주 적응증] HER2 양성 유방암/위암
③작용기전
- HER2/NEU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여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
④제품의 특성
- Trastuzumab을 주성분으로 하는 허셉틴에 대한 당사 개발 바이오시밀러
- 허셉틴은 제넨테크가 개발하고 로슈가 판매하는 유방암 치료제로 1998년 미국 식품
의약국(FDA) 판매 승인을 획득하였으며 종양의 성장에 관여하는 HER2 유전인자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표적항암제로 HER2 유전자가 과발현한 전이성 및 조기
유방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18세 이상 여성의 약 0.2%
(2018년 기준 23만5000명)가 매년 유방암 진단을 받는 것으로 알려짐
- 당사가 개발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고발현 세포주와 생산 공정 모두를
자체 개발하였기 때문에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저렴한 가격에 허셉틴 바이오
시밀러를 출시할 수 있어 바이오시밀러 간 경쟁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
⑤진행경과
캐나다 임상 1상
- 2016년 2월 임상승인, 2016년 8월 마지막 대상자 방문 종료
- 2017년 3월 임상시험결과보고서 완료
중국 QiLu 제약에 기술이전
- 라이센싱 아웃 후 고객회사에서 임상 3상시험 종료하고 CSR 진행중
⑥향후계획
- 최근 5종의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이외에 추가로 2종 이상의 바이오시밀러가 유럽
에서 승인되면서 갈수록 치열해지는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캐나다 임상3상
계획을 보류하고 당사 고유의 하이브로자임(Hybrozyme™) 원천 기술을 통해
허셉틴 sc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추진 중이며 세계 유일 제품인 로슈사의 허셉틴
sc(하이렉타)와 동등성 시험을 완료하여 동등성 결과를 확보하였고 글로벌
제약사와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통해 허셉틴 sc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기대함
⑦경쟁제품
Herzuma(Celltrion), Ogivri(Mylan/Biocon), Ontruzant(Samsung Bioepis), Trazimera(Pfizer), Kanjinti(Amgen) 등
⑧관련논문 등
해당사항 없음
⑨시장규모
- 2019년 6월을 기점으로 매년 글로벌 시장에서 8조원 규모인 허셉틴의 미국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출사표를 내민 바이오기업은 7개사
5종에 이르며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 본격화
- 허셉틴은 20년 동안 효과를 검증받으면서 유방암의 글로벌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았으므로 이 시장에서 오리지널 의약품 수요의 10%만 확보해도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기에 수 많은 기업이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뛰어든 배경임 (바이오시밀러 대표 주자인 셀트리온의 '허쥬마'와 삼성바이오
에피스의 '온트루잔트' 및 다국적제약사 마일란/바이오콘의 '오기브리', 화이자의
'트라지메라', 암젠/엘러간의 '칸진티' 가 FDA에 바이오시밀러로 허가됨
-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에 시장을 뺏기지 않으려는 오리지널 로슈 사의 특허 공세 및
제형이 개선된 제품 출시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2013년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변경하여 유럽 시장에 출시한 후 3년 만에 50%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도 허셉틴 하이렉타(HYLECTA)를 2019년에
FDA 승인을 받음으로써 바이오시밀러 업체는 바이오시밀러 간 경쟁 뿐만아니라
오리지널 사의 피하주사 제형과도 경쟁해야하는 경쟁구도 직면
⑩기타사항
해당사항 없음
(2) 연구개발 완료 실적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보유한 의약품의 품목허가 등으로 최종 개발이 완료된 제품은 없습니다.
(3) 연구개발활동 및 판매 중단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기타 연구개발 실적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지적재산권 보유 및 출원 현황
구분 내용 권리자 출원국 출원일 등록일
상표 ㈜알테오젠 국문/영문 명칭 알테오젠 대한민국 13.03.27 14.03.31
상표 ㈜알테오젠 로고 알테오젠 대한민국 13.03.27 14.03.31
서비스표 NexP™ 알테오젠 대한민국 10.04.14 11.07.29
서비스표 NexMab™ 알테오젠 대한민국 14.04.09 15.01.19
상표 Hybrozyme™ 알테오젠 대한민국 18.10.31 19.08.07
상표 Hybrizyme™ 알테오젠 대한민국 18.11.05 19.07.24
상표 DILUASE 알테오젠 대한민국 20.04.28
21.05.13
미 국 20.09.02
-
일 본 20.09.02
22.02.10
중 국 20.09.02
21.02.03
유 럽 20.09.02
21.02.25
상표 TERGASE 알테오젠 대한민국 20.09.24
21.05.17
미 국 20.10.16
-
일 본 20.10.16
21.10.21
중 국 20.10.16
21.03.04
유 럽 20.10.16
21.04.08
상표 Altos Biologics Inc. 알테오젠 대한민국 20.10.05
22.01.06
상표
HURASE
알테오젠
대한민국
21.12.23
23.06.07
특허 체내 지속성을 유지함으로 체내 반감기가 증가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 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10.04.22 12.09.10
PCT 10.04.22 -
호 주 11.09.30 13.10.24
러시아 11.11.21 14.01.10
미 국 11.10.21 15.04.21
일 본 11.10.18 15.04.10
중 국 11.10.21 14.08.13
유 럽 11.09.29 15.03.11
캐나다 11.10.12 16.02.16
인 도 11.10.19 18.08.30
브라질 11.10.19 21.05.25
멕시코 11.10.21 14.03.11
말레이시아 11.10.20 -
이집트 11.10.20 -
특허 신규한 알파-1 안티트립신 변이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알테오젠 대한민국 12.06.01 14.05.27
PCT 12.08.13 -
호 주 14.04.08 15.08.20
러시아 14.04.14 15.10.27
미 국 14.03.12 15.06.09
일 본 14.03.14 16.09.09
중 국 14.03.14 15.12.11
유 럽 14.04.10 17.09.27
캐나다 14.03.14 16.09.13
인 도 14.04.11 20.07.06
브라질 14.03.13 21.01.12
멕시코 14.03.14 17.07.26
말레이시아 14.03.14 -
특허 신규한 지속형 인간 성장호르몬의 정제 방법 HK이노엔 대한민국 12.06.05 14.11.04
알테오젠
특허 신규한 지속형 인간 성장호르몬 단량체를 제조하는 방법 CJ헬스케어 대한민국 12.11.21 15.04.22
알테오젠 PCT 13.11.21 -
특허 고당화된 지속형 인간 성장호르몬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CJ헬스케어 대한민국 13.05.31 15.03.16
알테오젠 PCT 13.06.05 -
중 국 14.12.05 17.04.05
미 국 14.12.05 18.02.27
일 본 14.12.05 17.10.27
유 럽 14.12.31 18.02.24
특허 GLP-1 유사체의 융합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알테오젠 대한민국 10.05.12 13.01.29
한남대
특허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모티프가 결합된 변형항체, 상기 변형항체를 포함하는 변형항체-약물 결합체 및 그 제조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13.02.22 15.07.29
PCT 13.02.22 -
캐나다 14.08.18 22.07.05
호 주 14.09.24 16.06.23
중 국 14.09.28 18.07.14
유 럽 14.09.24 20.08.26
일 본 14.08.22 17.01.06
멕시코 14.08.21 18.01.19
미 국 14.08.20 17.11.14
러시아 14.09.24 16.03.18
브라질 14.08.22 24.01.09
특허 단백질과 Fc 도메인을 융합한 융합 단백질의 안정화용 조성물 알테오젠 대한민국 13.10.23 14.07.09
PCT 13.10.23 -
일 본 15.05.07 16.10.21
미 국 15.04.29 16.09.21
유 럽 15.05.07 -
중 국 15.06.16 -
특허 단백질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알테오젠 대한민국 15.10.16 17.02.02
PCT 15.10.16 -
미 국 15.10.15 17.11.21
특허 IgG Fc 도메인을 가지는 융합 단백질의 안정한 액상 제제 알테오젠 대한민국 16.06.22 17.12.06
대한민국 22.09.08 -
PCT 16.06.23 -
미국 16.06.23 18.04.16.
호주 17.11.27 20.07.23
일본 17.12.11 19.06.21
멕시코 17.12.19 22.06.21
중국 17.12.20 21.11.12
중국 21.10.28 -
캐나다 17.12.21 20.06.09
인도 17.12.21 23.03.07
브라질 17.12.22 -
인도네시아 18.01.11 -
유럽 18.01.19 -
러시아 18.01.22 19.05.22
유럽 20.09.11 -
특허 IgG Fc 도메인을 가지는 융합 단백질의 생산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16.10.13 19.01.02
PCT 16.10.14 -
호주 18.03.15 19.11.07
미국 18.04.12 22.08.16
미국 22.07.07 -
유럽 18.04.16 23.04.19
유럽 22.07.21
일본 18.04.16 20.10.23
중국 18.04.12 22.09.06
브라질 18.04.13 -
멕시코 18.04.13 23.06.29
캐나다 18.04.13 23.06.20
러시아 18.05.14 20.09.14
인도 18.05.04 -
특허 변형항체를 포함하는
항체-약물 접합체 알테오젠
대한민국
17.03.30
19.07.15
PCT
17.03.30
-
캐나다
18.09.21
21.11.30
캐나다
21.10.15
-
미국
18.09.26
22.02.01
미국
21.12.14
-
일본
18.10.04
20.05.25
중국
18.11.05
22.03.24
중국
22.03.25
-
유럽
22.08.22
-
특허 항체-약물 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15.10.27 17.02.02
PCT 16.10.25 -
특허 FOLR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 알테오젠 대한민국 18.03.14 21.07.06
PCT 18.03.13 -
미국 20.09.11 24.01.09
유럽 20.09.22 -
일본 20.09.10 21.12.22
캐나다 20.10.13 23.10.03
중국 20.10.23 -
특허 혈액응고인자 Ⅶ/Ⅶa 또는 이의 융합단백질의 제조 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18.06.15 20.07.10
특허 효소 활성과 열 안정성이 증가한 새로운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효소 및 이의 제조 방법 알테오젠 PCT 19.07.25 -
대한민국 20.01.30 20.08.28
신규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효소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미국 20.01.02 -
유럽 20.01.06 -
일본 20.01.06 23.01.05
일본 22.12.28 -
대한민국 20.08.27 -
캐나다 20.09.11 -
인도 20.09.17 -
러시아 20.09.21 22.03.15
멕시코 20.09.21 -
브라질 20.09.23 -
중국 20.09.28 -
호주 21.01.20 23.02.02
호주 23.01.20 -
남아공 21.02.03 21.11.24
특허 신규한 성장 호르몬 수용체 길항제 및 이의 융합 단백질 알테오젠 대한민국 18.11.26 20.10.14
PCT 18.12.20 -
미국 20.06.17 -
유럽 20.06.09 -
일본 20.06.19 22.11.11
중국 20.06.22 -
특허 안정성이 향상된 신규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효소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알테오젠 대한민국 20.04.20 -
PCT 21.01.25 -
대만 22.01.25 -
대만 22.09.23 -
미국
21.11.03
-
러시아
21.11.08
24.01.12
캐나다
21.11.08
-
호주
21.11.11
24.01.18
중국
21.11.11
-
인도
21.11.08
-
유럽
21.11.12
-
일본
21.11.12
-
브라질
21.11.12
-
멕시코 22.06.27 -
남아공 22.06.08 23.06.28
특허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의 단백질의 제조 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20.08.06 -
PCT
21.08.06
-
대만
21.08.20
23.06.01
미국
22.09.27
-
러시아
22.09.28
-
유럽
22.10.24
-
일본
22.10.29
-
중국
22.10.21
-
브라질
22.09.29
-
호주
22.09.29
-
인도
22.09.28
-
캐나다
22.09.30
-
멕시코
22.09.30
-
남아공
22.09.30
23.08.30
특허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의 변이체와 약물을 포함하는 피하투여용 약학 조성물 알테오젠 PCT 20.03.24 -
대한민국 20.10.21 -
대한민국 22.05.19 23.03.03
대한민국 23.03.03 -
대만
20.06.09
22.10.21
대만
22.01.12
22.12.21
대만
22.07.27
-
대만 22.11.25 -
유럽 20.10.30 -
미국 20.11.04 -
미국 22.05.13 -
중국 20.11.27 -
중국 23.03.23 -
일본 20.12.14 23.06.12
일본 22.04.18 22.10.27
러시아
21.09.22
24.01.09
캐나다
21.09.20
-
호주
21.09.22
-
인도
21.09.23
-
브라질
21.09.24
-
멕시코
21.09.15
-
남아공
21.10.20
22.12.21
남아공
22.08.22
23.07.26
남아공
23.02.27
-
특허 FGF19변이체를 포함하는 신규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알테오젠 대한민국 20.11.20 -
특허 저용량 약액 충전 사전 충전형 주사기
및 그 제조방법 알테오젠
PCT
22.04.13
-
대만
22.04.14
23.09.21
대만 23.08.18 -
미국 23.10.13 -
유럽 23.10.26 -
일본 23.10.12 -
특허
N-말단 및/또는 C-말단이 절단된 가용성 PH20 폴리펩티드 및 이의 용도
알테오젠
대한민국
23.06.21
-
PCT
23.06.21
대만 23.06.21
특허
IgG Fc 도메인을 가지는 융합 단백질의 정제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22.10.18
PCT
22.10.18
-
특허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PH20의 변이체와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알테오젠
대한민국
22.10.28
PCT
22.10.28
특허
생리적으로 안전한 신규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효소 변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알테오젠
대한민국
23.03.23
특허
지속형 호르몬 수용체 길항제의 생산 방법
알테오젠
대한민국
23.06.01
PCT
23.08.18
알테오젠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양제지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상장폐지신청서 한국거래소 제출 접수) (0) | 2024.05.22 |
---|---|
웅진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1 |
에코프로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에코프로비엠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
효성중공업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