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머티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구분 연결대상회사수 주요
종속회사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상장 - - - - -
비상장 - - - - -
합계 - -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없습니다.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자회사 사 유
신규
연결 - -
- -
연결
제외 - -
- -
나. 회사의 법적·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이며, 영문명은 "ECOPRO MATERIALS Co., Ltd." 입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2017년 04월 주식회사 에코프로지이엠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되어 2022년 03월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및 홈페이지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75번길 15
전화번호 : 054-720-2200
홈페이지 : https://www.ecopromaterials.com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벤처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중견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 2024년 05월 14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되어 대기업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전구체 생산 및 판매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 부문은 전구체 단일 부문으로 2024년 1분기 총 매출액의 98% 비중을 기록 했습니다. 하이니켈 전구체는 하이니켈 양극재의 이전단계 물질로서 핵심 원재료에 해당 합니다. 당사가 생산하는 전구체는 EV, 전동공구, ESS 산업 등에서 다양한 제품군의 배터리로 사용되고 있으며, 당사의 전구체 생산시설은 포항시 영일만 산단 내 위치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사업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동 보고서 내 "Ⅱ.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용평가등에 관한 사항
평가일 신용등급 평가회사 평가구분 비고
2022년 08월 12일 B- 이크레더블 - 기업신용평가
1) ㈜이크레더블 - 신용등급 정의
신용등급 등급정의
AAA 채무이행 능력이 최고 우량한 수준임.
AA 채무이행 능력이 매우 우량하나, AAA 보다는 다소 열위한 요소가 있음.
A 채무이행 능력이 우량하나, 상위등급에 비해 경기침에 및 환경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움.
BBB 채무이행 능력이 양호하나, 장래경기침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채무이행 능력이 저하 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음.
BB 채무이행 능력에 문제가 없으나, 경제여건 및 시장환경 변화에 따라 그 안정성면에서는 투기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B 채무이행 능력이 있으나, 장래의 경제 환경 악화시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있어 그 안정성면에서 투기적임.
CCC 현재시점에서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매우 투기적임.
CC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C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D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NCR 허위 및 위/변조자료 제출 등 부정당한 행위가 확인되어 기존의 등급을 취소 정지 변경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현황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특례상장 유형
유가증권시장 상장 2023년 11월 17일 해당사항 없음
2. 회사의 연혁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당사의 본점 소재지 변경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자 주소 비고
2017년 04월 26일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394, 제2벤처동(포항테크노파크) 설립
2018년 01월 02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75번길 15 변경
나.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최근 5사업연도 중 당사의 경영진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동일자 주총종류 선임 임기만료
또는 해임
신규 재선임
2020년 03월 23일 정기주총 류재현 기타비상무이사 김수연 대표이사
조병육 사내이사
강원봉 감사
이동채 사내이사 -
2022년 03월 29일 정기주총 김순주 사내이사
박상조 감사 - 강원봉 감사
이동채 사내이사
2022년 10월 20일 임시주총 정일부 기타비상무이사 - -
2023년 01월 19일 임시주총 김병훈 대표이사
김영태 사외이사
엄종규 사외이사
김신종 사외이사
류재현 사외이사
김순주 기타비상무이사 - 김순주 사내이사
조병육 사내이사
류재현 기타비상무이사
박상조 감사
정일부 기타비상무이사
2023년 03월 29일 정기주총 - 김수연 사내이사 -
2023년 11월 06일 임시주총 강동현 사내이사
박선영 사외이사 - 김수연 사내이사
류재현 사외이사
다. 최대주주의 변동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라. 상호의 변경
연월 변경 전 변경 후
2022년 03월 주식회사 에코프로지이엠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이차 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이며 정관에 기재된 목적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 사업
1. 이차 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2.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3. 연료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4. 정밀화학소재 제조 및 판매업
5. 에너지 절약 소재 및 설비 산업
6. 친환경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
7. 각 호에 관한 기술 개발 및 기술의 판매
8. 부동산 및 설비 임대업
9. 광산물 및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니켈, 코발트, 망간 및 기타 부산물의 제조 판매
10. 경영지원 및 컨설팅업
11. 각호에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부대사업 일체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당사의 최근 5사업연도 중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일자 내용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
2020. 01
산학협력 협약체결(포항대학교)
2020. 05
소재ㆍ부품ㆍ장비 전문기업 인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0. 07
2020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고용노동부)
2020. 12
삼천만불 수출의 탑
2021. 03
RMP1 공장 준공
2021. 03
산학협력 협약체결(영남대학교)
2021. 12
2억출 수출의 탑
2022. 03 상호변경(에코프로지이엠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2022. 06 전구체 2공장(CPM2) 준공
2022. 12
「2022년 경북 투자유치대상」 기업부문 대상 수상
2023. 06 RMP2 공장 준공
2023. 11 유가증권시장 상장
2024. 02 CPM3, 4 / RMP 3, 4 공장 착공
3. 자본금 변동사항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종류 구분 제 8기 1분기
(2024년 1분기말) 제 7기
(2023년말) 제 6 기
(2022년말) 제 5 기
(2021년말) 제 4 기
(2020년말)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68,985,218 68,985,218 57,902,158 39,030,963 36,280,963
액면금액 500 500 500 500 500
자본금 35,120,609,000 35,120,609,000 28,951,079,000 19,515,481,500 18,140,481,500
우선주 발행주식총수 - - - - -
액면금액 - - - - -
자본금 - - - - -
기타 발행주식총수 - - - 13,608,037 13,608,037
액면금액 - - - 500 500
자본금 - - - 6,804,018,500 6,804,018,500
합계 자본금 35,120,609,000 35,120,609,000 28,951,079,000 26,319,500,000 24,944,500,000
※ 제4~5기의 자본금 변동추이의 경우 한국회계기준(K-GAAP), 제 6~8기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 제4~5기의 기타 발행주식의 경우 상환전환우선주이며, 제6기 중 전량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4. 주식의 총수 등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보통주 우선주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100,000,000 - 100,000,000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70,241,218 13,608,037 83,849,255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1,256,000 13,608,037 14,864,037 -
1. 감자 - - - -
2. 이익소각 1,256,000 - 1,256,000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4. 기타 - 13,608,037 13,608,037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68,985,218 - 68,985,218 -
Ⅴ. 자기주식수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68,985,218 - 68,985,218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 주)
취득방법 주식의 종류 기초수량 변동 수량 기말수량 비고
취득(+) 처분(-) 소각(-)
배당
가능
이익
범위
이내
취득 직접
취득 장내
직접 취득 - - - - - - -
- - - - - - -
장외
직접 취득 - - - - - - -
- - - - - - -
공개매수 - - - - - - -
- - - - - - -
소계(a) - - - - - - -
- - - - - - -
신탁
계약에 의한
취득 수탁자 보유물량 - - - - - - -
- - - - - - -
현물보유물량 - - - - - - -
- - - - - - -
소계(b) - - - - - - -
- - - - - - -
기타 취득(c) - - - - - - -
- - - - - - -
총 계(a+b+c) - - - - - - -
- - - - - - -
다. 자기주식 직접 취득ㆍ처분 이행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 주, %)
구 분 취득(처분)예상기간 예정수량
(A) 이행수량
(B) 이행률
(B/A) 결과
보고일
시작일 종료일
직접 취득 2023년 09월 22일 2023년 09월 22일 1,256,000 1,256,000 100 -
(주) 상장 전 자기주식취득으로 자기주식취득 결과보고서 공시제출 요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라. 자기주식 신탁계약 체결 및 해지 이행현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마. 종류주식 발행 현황
1) 최근 3사업연도 중 종류주식 발행내역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최근 3사업연도 중 전환권 행사에 관한 사항
행사일자 전환한
종류주식 수(주) 전환된
보통주주식 수(주)
2022년 08월 01일 13,608,037 13,608,037
- - -
주) 당사는 하기와 같이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발행하였으며, 2022년 8월 1일 전환권 전량 행사에 따라 13,608,037주의 보통주가 발행되었습니다.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내역]
- 2017년 11월 25일 : 8,040,186주
- 2020년 11월 06일 : 5,567,851주
5. 정관에 관한 사항
가.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해당주총명 주요변경사항 변경이유
2020년 03월 23일 제3기 정기주주총회 사업의 목적 추가
이사회 구성과 소집 방법 변경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변경
이사회 소집기간 단축을 위한 변경
2020년 10월 28일 임시주주총회 종류주식 관련 정관 변경 종류주식 관련 정관 신설 및 정비
2021년 03월 29일 제4기 정기주주총회 사업의 목적 추가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변경
2022년 03월 29일 제5기 정기주주총회 상호 변경 -
2022년 10월 20일 임시주주총회 공고방법 변경 사명변경에 따른 홈페이지 주소 변경
2023년 01월 19일 임시주주총회 공고방법 변경
주식 및 주권의 종류 변경
주식매수선택권 조항 변경
사채 발행 한도 변경
감사위원회 조항 추가 공고 게재 매체(신문사) 변경
전자증권 도입에 따른 변경
주식매수선택권 발행 한도 확대를 위한 변경
사채 발행 한도 확대를 위한 변경
감사위원회 도입을 위한 변경
2023년 03월 29일 제6기 정기주주총회 사업의 목적 추가 경영지원 컨설팅업 추가
2023년 11월 06일 임시주주총회 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를 확정하는 기준일과, 배당을 지급받을 주주를 확정하는 기준일을 분리 배당절차 개선사항 반영
2024년 03월 27일 제7기 정기주주총회 보상위원회 설립
의결 정족수 표준정관 반영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규정 구체화 임원보수 결정과정에 대한 객관성과 투명성 확보
상법 제368조에 부합하는 규정으로 정관 재정비
나. 사업목적 현황
구 분 사업목적 사업영위 여부
1 이차 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전기전자.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연료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정밀화학소재 제조 및 판매업
에너지 절약 소재 및 설비 산업
친환경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
각호에 관한 기술 개발 및 기술의 판매 영위
2 부동산 및 설비 임대업 미영위
3 광산물 및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니켈, 코발트, 망간 및 기타 부산물의 제조, 판매 영위
4 경영지원 및 컨설팅업 영위
5 각호에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부대사업 일체 영위
1) 사업목적 변경 내용
구분 변경일 사업목적
변경 전 변경 후
추가 2021년 03월 29일 - 광산물 및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니켈, 코발트, 망간 및 기타 부산물의 제조, 판매업
추가 2023년 03월 29일 - 경영지원 컨설팅업
2) 변경 사유
(1) 광산물 및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니켈, 코발트, 망간 및 기타 부산물의 제조, 판매업 사업목적 추가
① 변경 취지 및 목적, 필요성
-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MCP(Metal Composite Precipitate)와 같은 중간재 제련업 진출을 통해 전구체 생산에 필요한 황산니켈의 안정적인 공급 및 가격 경쟁력 확보
② 사업목적 변경 제안 주체
- 전략부서 및 이사회
③ 해당 사업목적 변경이 회사의 주된 사업에 미치는 영향 등
- 전구체 생산 밸류체인내 Upstream 확장을 통해 원재료 조달 안정성 및 사업 수익성 강화
(2) 경영지원 컨설팅업 사업목적 추가
① 변경 취지 및 목적, 필요성
-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 운영지원 및 사내물류 지원서비스 등 공통기능 지원
② 사업목적 변경 제안 주체
- 전략부서 및 이사회
③ 해당 사업목적 변경이 회사의 주된 사업에 미치는 영향 등
- 포항캠퍼스내 운영지원 및 물류 서비스 제공으로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의 물류 효율성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운영을 통해 통합 물류비용 절감
3) 정관상 사업목적 추가 현황표
구 분 사업목적 추가일자
1 광산물 및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니켈, 코발트, 망간 및 기타 부산물의 제조, 판매업 2021년 03월 29일
2 경영지원 컨설팅업 2023년 03월 29일
(1) 광산물 및 리사이클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추출한 니켈, 코발트, 망간 및 기타 부산물의 제조, 판매업
① 사업 진출 목적
- 전구체 생산에 필요한 니켈 수급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MCP(Metal Composite Precipitate)와 같은 중간재 프로세싱이 가능한 Upstream 사업의 운영을 통해 전구체 사업의 가격 경쟁력 확대
- 중간재 프로세싱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황산메탈 및 기타 부산물 외부 판매
② 시장의 주요 특성ㆍ규모 및 성장성
[니켈]
- S&P社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량 증대가 공급량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7년에는 인도네시아가 세계 정련 니켈공급의 44.1% 비중을 차지할 전망.
- 올해 정련니켈 수요는 지난해의 291만톤 대비 8.7% 증가한 317만톤이 될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 니켈 시장의 공급망은 안정성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
③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및 예상 자금소요액(총 소요액, 연도별 소요액), 투자자금 조달원천, 예상투자회수기간 등
- 신규사업과 관련한 시설투자자금은 23년~27년간 총 1.4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며 연도별 소요액은 계약과 관련된 정보의 유출가능성이 있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 투자자금조달의 대부분은 사업에서 발생하는 현금창출흐름에 기반하되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통한 신주모집으로 일부를 조달하고 소규모의 금융기관차입 활용 예정입니다.
- 예상투자회수기간은 회사의 사업 전략 등 계약과 관련된 정보의 유출가능성이 있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④ 사업 추진현황(조직 및 인력구성 현황, 연구개발활동 내역,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진척도 및 상용화 여부, 매출 발생여부 등)
- 조직 및 인력구성 현황
술본부 조직하에 생산기술담당, 개발담당, 제조기술담당을 조직하여 황산니켈 제련공정을 고도화시킴과 동시에 전구체 원료투입 효율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활동 내역
RMP 신규 원재료의 투입 적합성 평가 및 적용 등의 연구개발을 진행하였으며 21년 12월 황산니켈의 습식제련 회수방법, 22년 2월 니켈, 코발트 및 망간의 분리 회수를 위한 2단 추출을 이용한 용매추출방법에 대해 특허를 등록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XII. 상세표 - 4. 연구개발현황 / 5.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진척도 및 상용화 여부, 매출 발생여부
자체적인 EPC 설계 등을 통해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MCP(Metal Composite Precipitate)와 같은 중간재 프로세싱이 가능한 RMP 공정을 도입 및 상용화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구체 사업내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과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 21년 3월 RMP1 공장 준공 후 라인을 가동 중에 있으며 23년 6월 RMP2 공장을 준공하여 상업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은 현재 원재료 매입에 해당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별도의 매출은 발생하지 않으나 향후 황산메탈 외부 판매 등을 통해 매출이 발생할 예정입니다.
⑤ 기존 사업과의 연관성
- 전구체 생산공정에 활용되는 황산메탈의 안정적인 공급과 밸류체인내 Up-stream 확장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⑥ 주요 위험
- 글로벌 경기둔화 등으로 인한 니켈 메탈가격 하락에 따른 사업성 악화
- IRA, 러시아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메탈 가격 변동 또는 수요 공급 밸런스 문제 등
⑦ 향후 추진계획
- RMP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 중에 있으며 MHP원료 추가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사업협력 추진
- 공정 시너지를 통한 혁신적인 원가 절감을 지속함과 동시에 황산메탈 및 부산물 외부 판매 등을 통한 추가적인 성장기회 모색
⑧ 미추진 사유
- 해당사항 없음
(2) 경영지원 컨설팅업
① 사업 진출 목적
-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내 운영지원 및 사내물류 지원서비스 등 공통기능 지원
② 시장의 주요 특성ㆍ규모 및 성장성
- 시장의 주요특성 및 규모는 포항캠퍼스내 계열회사간 내부거래에 해당되어 그 시장의 규모 및 성장성을 기재하기 어려우나,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에 따라 계열회사의 실적도 함께 성장하고 있어 향후 본 사업 또한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③ 신규사업과 관련된 투자 및 예상 자금소요액(총 소요액, 연도별 소요액), 투자자금 조달원천, 예상투자회수기간 등
- 경영지원 컨설팅업 특성상 시설투자가 소요되지 않아 투자 및 예상자금소요액, 투자자금 조달원천, 예상투자회수기간에 대한 기재를 생략합니다.
④ 사업 추진현황(조직 및 인력구성 현황, 연구개발활동 내역,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진척도 및 상용화 여부, 매출 발생여부 등)
- 사내 포항캠퍼스경영지원담당 조직을 구성하고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내 운영지원 및 물류지원 서비스 등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 사업 특성상 연구개발활동 내역, 제품 및 서비스개발 진척도 및 상용화 여부는 존재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 운영관련 경영지원 서비스 제공을 통해 Shared SVC 수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⑤ 기존 사업과의 연관성
- 포항캠퍼스내 운영지원 및 물류 서비스 제공으로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의 물류 효율성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운영을 통해 통합 물류비용 절감.
⑥ 주요 위험
- 내부환경상 위혐요인이 특별히 존재하지 않으나 물류관련 공급제한, 자연재해 등 외부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⑦ 향후 추진계획
- 그룹사의 생산시설 능력 확대에 따라 경영지원 서비스 확대하여 추가적인 성장동력 확보 모색
⑧ 미추진 사유
- 해당사항 없음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이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하이니켈 전구체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구체는 양극소재에서 가장 높은 원가 비중을 차지하고 동시에 전구체 합성기술이 양극소재의 핵심 성능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양극활물질에서 매우 중요한 원재료에 해당 됩니다.
당사는 2024년 1분기 전방시장 수요 둔화에 따른 재고조정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66% 감소한 792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당사가 제조, 생산 및 판매하는 전구체 제품은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로서 EV, 전동공구, 그리고 ESS 산업에서 사용 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주요 전방시장인 EV시장이 캐즘구간에 돌입함에 따라 산업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자동차 산업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전기차 시장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핵심 원재료인 전구체 시장의 성장 또한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고의 기술력과 풍부한 Reference를 갖춘 하이니켈 양극소재용 전구체 전문제조 기업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생산 경험 - Ni 함량 80% 이상의 NCA 전구체 국내 최초 양산(`06)
- EV용 NCM811 전구체 글로벌 최초 양산('17)
- EV용 NCM9 ½½전구체 글로벌 최초 양산('21)
원가 경쟁력 - 공정 효율화를 통한 생산량 증대 및 원가 경쟁력
-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사용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기술력 - 농도구배형(Concentration Gradient) 전구체 합성 기술 보유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의 명칭 및 특성
당사는 하이니켈계 전구체 합성기술 특화기업으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소재용 전구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구체는 양극소재 원가 구성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양극소재의 핵심 성능을 결정합니다.
당사는 EV, 전동공구, ESS 배터리 등에 사용 되는 PCSG, PCDS, PNC 전구체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사업부문별 매출액 및 매출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 매출 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8기 1분기 (당분기)
매출액 비율
전구체 양극활물질의 핵심 소재 PCSG, PCDS, PNC 등 77,409 97.76%
상품 매출 등 - 1,776 2.24%
합계 79,185 100.00%
※ 정보유출 우려 등을 고려하여 주요 제품에 대한 가격변동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현황
당사의 주요 원재료는 니켈, 코발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원재료 별 매입액 및 매입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목 구체적 용도 매입액 비율
니켈 전구체 제조 99,383 91.05%
코발트 4,009 3.67%
기타 5,761 5.28%
합계 109,153 100.0%
※ 당사의 주요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품목 등에 대한 원재료 구매는 MHP, MCP 및 니켈 브리켓, 파우더, 황산니켈 등 다양한 형태로 매입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 변동추이
1) 니켈 현황
(1) 니켈 가격 동향
이미지: 니켈 가격_241q
니켈 가격_241q
(자료)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전구체의 주요 원재료로 사용되는 니켈 가격은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최근 3년간 2.7% 상승하였습니다. 2022년 (1) EV 시장의 성장과 (2) COVID-19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의 위축으로 니켈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인도네시아 및 중국과 같은 주요 니켈 생산국에서의 공급 과잉, 니켈 수요의 약세, 재고량 증가에 기인하여 2023년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니켈 생산 업체들은 운영 방침을 변경하며 프로젝트 중단이나 유지보수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S&P Global Ratings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2024년 LME 3개월물 니켈의 평균 가격을 전년 대비 26.1% 하락한 16,028달러/톤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니켈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Wood Mackenzie에 따르면, 정련니켈의 생산량은 2022년 대비 2025년까지 약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연평균 약 9%의 증가율을 의미합니다. 2024년 예상되는 생산량은 3,780천톤, 2025년에는 4,111천톤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정련니켈의 소비량 증가는 상대적으로 완화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3,503천톤, 2025년에는 3,878천톤으로 각각 13%와 11%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러한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2024년과 2025년에도 각각 277천톤, 233천톤의 공급 과잉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정련니켈의 평균 가격은 21,507달러/톤으로 예상되나, 공급 과잉과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2024년에는 16,434달러/톤, 2025년에는 15,423달러/톤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 출처 :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전략광종 자원시장 월간동향
당사는 중장기 니켈 수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추가적인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대표적인 구매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 모회사와의 협업을 통한 안정적인 중장기 MHP 수급 확대
- 이차전지 리사이클 업체와의 파트너쉽 체결 및 확대
당사는 상기의 전략 실행을 통해 니켈 수급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MCP(Metal Composite Precipitate)와 같은 중간재 프로세싱이 가능한 Upstream 사업의 운영을 통해 전구체 사업의 가격 경쟁력을 확대 하고자 합니다.
2) 코발트 현황
(1) 코발트 시장 및 가격 동향
이미지: 코발트_241q
코발트_241q
(자료)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배터리용 코발트 수요는 5년 내 약 10만 톤 규모의 증가를 전망 하고 있습니다. 전체 코발트 수요 중 배터리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년 기준 57%에서 '25년 72%까지성장할 것으로 전망 되나, Co less or free 와 같은 차세대 이차전지의 상용화 계획과 LFP 배터리 사용량이 확대 되면서 Co 시장의 중장기 수요 불확실성은 다소 존재 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코발트 시세 역시 2022년 4월 기준, 킬로그램당 약 $80을 수준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점진적인 하향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용도별 코발트 소비량 전망
용도별 코발트 소비량 전망
(자료)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2) 코발트 공급시장 및 공급 안정성
최근 코발트 시장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그 사용량이 빠르게 확대 되었고 이러한 시장 변화에 발맞춰 글로벌 광산 및 정련 업체들 또한 생산량을 확대 및 신규시설 투자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광해광업공단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주요 코발트 제련소인 Huayou는 중국, 인도네시아 및 짐바브웨 3국에 코발트, 니켈 및 리튬 생산시설 건설을 위해 32.7억불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라고 밝혔으며 그 외 다수의 중국 정련 회사들은 코발트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늘려 가고 있는 중입니다.
이미지: 코발트 생산량
코발트 생산량
(자료) USGC,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2
KOMIS 한국자원정보서비스 - 광종정보
다. 생산능력 및 설비
1) 생산능력
(단위 : 톤 / 연 )
사업부문 품 목 구분 2024년 1분기 2023년 2022년
전구체 PCSG, PCDS,
PNC 등 CPM1 24,000 24,000 24,000
CPM2 26,000 26,000 26,000
(1) 생산능력의 산출 근거
각 생산라인의 설계 기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일 평균 가동시간 24시간을 적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기재는 생략합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주요 사업장 현황
지역 구분 소재지
국내 에코프로머티리얼즈
(RMP 1,2 / CPM 1,2)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5
(2) 생산설비 현황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합계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기구비품 연구기자재 기타의
유형자산
기초 383,081 115,561 166 248,632 89 6,025 1,779 10,829
증감 18,185 810 (2) 14,711 (8) 2,768 (94) -
기말 401,266 116,371 164 263,343 81 8,793 1,685 10,829
※ 주요 물적자산에 관한 시가 등의 정보는 객관적인 자료를 파악할 수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향후 투자계획
최근 이차전지 소재 시장은 세계 각국의 정부가 추진하는 환경규제 및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 등에 힘 입어 전기차 시장과 함께 폭발적인 성장을 맞이 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시장 조사기관들은 향후 전기차 시장의 미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있으며 이와 함께 이차전지 소재 시장 역시 빠르게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빠르게 확대되는 하이니켈 전구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생산규모 확대 및 해외 생산 거점을 위한 투자를 계획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선도적 지위를 더욱 견고히 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증설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 방안으로 금융권 차입 및 자본시장으로부터의 자금 조달을 계획 하고 있습니다.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국내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 및 블루밸리 산업단지내 부지를 확보하고 예상 수요에 기반한 생산능력 확장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4년 2월 28일 고객사 수요 대응을 목적으로 이사회 결의를 통해 9,573억원 규모의 전구체 제조설비 및 황산메탈 제련설비 시설투자를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전구체 66,000톤/년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시설투자로 폐수 재활용 기술인 EWT(Eco-friendly Wastewater Treatment)공법이 신규 도입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고객사의 수요에 발맞춰 중장기적으로 생산능력을 2027년까지 전구체 210,000톤/년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단위 : 백만원)
품 목
제 8 기 1분기
(2024년 03월말)
제 7 기
(2023년말)
제 6 기
(2022년말)
전구체 수출 57,364 744,173 549,743
내수 20,045 70,193 69,534
계 77,409 814,366 619,277
상품 매출 등 수출 120 127,863 41,185
내수 1,656 10,295 4,786
계 1,776 138,157 45,971
합계 수출 57,484 872,036 590,928
내수 21,701 80,487 74,320
계 79,185 952,523 665,248
주) 상기 수출금액은 간접수출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나. 매출업무
구분 내용
(1) 영업계획 수립 연간 기준으로 내부 경영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고객사 Forecast를 기반으로 제품별, 고객별, 월별 판매 목표를 양산 제품 위주로 작성합니다. 작성된 영업계획은 확정 후 사업기획팀, 생산팀 등 유관부서에 배포하게 됩니다.
(2) INQUIRY(고객사요구물량) 접수 고객으로부터 INQUIRY 접수시 생산 가능성을 1차적으로 검토합니다(용도, 규격, 수량, 납기, 가격 등). 필요 시에는 신규 제품 개발 및 양산 검토 후 검토 결과를 고객에통보하게 됩니다.
(3) 신용조사 신규 고객 INQUIRY 접수 시 고객사 신용조사 진행(신용등급, 소송 내역 등) 후
INQUIRY에 대응하게 됩니다
(4) 견적 견적의뢰 접수 시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검토 후 내부 품의 득결 후 고객사에
견적을 제출합니다.
(5) 주문접수 고객으로부터 주문접수 후 유관부서와 생산 가능 여부를 검토(기존제품 및 신규제품별 항목 검토)하고, 고객사에 수량, 납기 등 검토 결과를 통보합니다.
(6) 생산의뢰 주문접수 상세 내역을 생산부서에 통보(E-MAIL, ERP 수주등록 등)합니다.
(7) 납기관리 납기 변동사항(고객의 요구, 생산 지연 등) 발생 시 고객 및 생산부서와 협의하여
납기를 조정합니다.
(8) 매출채권 관리 고객사별 결제조건을 기준으로 매월 고객사별 수금계획 및 입금현황 등 매출채권을관리합니다.
(9) 영업실적 분석 월별, 분기별, 반기별, 연간 계획 대비 실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부진한 경우
원인분석 및 만회대책을 수립합니다.
다.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판매경로
매출금액
제8기 1분기
(2024년 03월말)
제7기
(2023년말)
제6기
(2022년말)
수출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57,484 872,036 590,928
내수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양극소재 제조업체 등 21,701 80,487 74,320
합계
79,185 952,523 665,248
주) 상기 수출금액은 간접수출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2) 판매전략
(1) 판매 목표: '글로벌 No.1 하이니켈 전구체 전문 제조 기업'으로 입지 구축
(2) 세부 판매 전략
판매 전략
세부 추진 계획
조기 시장 진입 - 최단 승인 모델 집중 발굴
- 고객 맞춤형 제품 집중 공략
유연한 원료 수급 체계 구축 - 다양한 구매 방식의 원료 적용으로 경쟁력 강화
- 다양한 원료에 대한 공정 및 제품 추적 시스템 구축
개발과 연계한 역량 강화 - 시장 변화의 전제 대응으로 시장 선도 기업 입지 구축
- '소재 전문 기업' 이미지 확보
3)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에코프로비엠을 비롯한 양극활물질 제조업체, 이차전지 Cell업체, 자동차 OEM업체 등 전기차 시장 관련 전방업체들이며 주요 매출처에 대한 비중은 98%입니다.
라. 수주상황
당사의 수주 진행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진행 됩니다. 구체적인 방식은 고객사와의 중장기 공급계약을 확약하고 계약 기간 중 확약된 계약 물량을 바탕으로 거래가 진행 되는 방식, 그리고 수요업체와 기본 거래계약을 체결하고 1개월 전에 구매주문을 받아 생산 납품하는 형식을 취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대상 기간 중 진행 기준 수익을 인식하는 수주계약 거래는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재무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재무위험 및 이러한 위험이 회사의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노출 위험
측정
관리
시장위험 - 환율
미래 상거래
기능통화 이외의 표시통화를 갖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
현금흐름 추정
민감도 분석
통화선도
시장위험 - 이자율
변동금리 장기 차입금
민감도 분석
이자율스왑
신용위험
현금성자산, 매출채권, 파생상품, 채무상품
연체율 분석
신용등급
은행예치금 다원화, 신용한도
유동성위험
차입금 및 기타 부채
현금흐름 추정
차입한도 유지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재무부서의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재무부서는 영업부서들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합니다.
나. 시장위험
1) 외환 위험
(1) 외환 위험
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차입금과 관련된 외환차이는 포괄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표시되며, 다른 외환차이는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에 표시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인식됩니다.
2) 가격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회사는 지분증권에 대한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의 분산투자는 회사가 정한 한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3) 이자율위험
회사의 이자율 위험은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장기 차입금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입니다.
회사의 차입금과 채권은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차입금 중 이자율이 주기적으로 재설정되는 계약의 경우에는 관련하여 시장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다.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기업 고객에 대한 신용거래 및 채권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및 예치금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1) 위험관리
회사는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A 신용등급 이상과만 거래합니다.
기업 고객의 경우 외부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동 정보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고객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등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평가합니다. 고객별 한도는 내부 및 외부 신용등급에 따라 이사회가 정한 한도를 적용합니다. 경영진은 이러한 고객별 한도의 준수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회사의 신용위험은 개별 고객, 산업, 지역 등에 대한 유의적인 집중은 없습니다.
회사가 보유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낮은 신용위험의 상품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채무상품들에 대해서는 신용등급을 모니터링하여 신용위험의 하락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2) 신용보강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라. 유동성 위험
회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주석 21-(2) 참조)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유동성 위험 분석에서는 회사의 모든 비파생 금융부채를 계약상 만기별로 구분하였습니다.
유동성 위험 분석에 포함된 금액은 계약상의 할인되지 않은 현금흐름입니다. 금융보증계약 이외의 12개월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현재가치 할인의 효과가 중요하지 않으므로 장부금액과 동일합니다. 금융보증계약은 즉시 지급을 요구받을 수 있으므로 계약금액 총액이 3개월 미만 구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 천원)
당분기말 3개월 미만 3개월~1년 1년~ 5년 5년 초과 총 계약상
현금흐름 장부금액
매입채무 12,123,571 - - - 12,123,571 12,123,571
차입금 143,312,262 83,149,879 27,349,887 - 253,812,028 247,333,220
기타금융부채(*) 19,733,763 - 3,183,474 - 22,917,237 25,819,992
리스부채 118,534 333,265 456,452 - 908,251 861,887
비파생 소계 175,288,130 83,483,144 30,989,813 0 289,761,087 286,138,670
파생상품부채(통화선도) 2,570,665 - - - 2,570,665 2,570,665
파생상품 소계 2,570,665 - - - 2,570,665 2,570,665
합 계 177,858,795 83,483,144 30,989,813 - 292,331,752 288,709,335
(단위: 천원)
전기말 3개월 미만 3개월~1년 1년~ 5년 5년 초과 총 계약상
현금흐름 장부금액
매입채무 13,809,646 - - - 13,809,646 13,809,646
차입금 44,716,059 190,462,332 32,391,842 - 267,570,233 251,999,880
기타금융부채(*) 21,505,740 - 2,623,537 - 24,129,277 24,129,277
리스부채 117,153 327,793 517,618 - 962,564 913,670
합 계 80,148,599 190,790,125 35,532,997 - 306,471,721 290,852,473
(*) 종업원 관련 부채는 제외하였습니다.
마. 자본위험 관리
회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산업내 다른 기업과 일관되게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비지배지분 포함)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재무상태표의 장단기차입금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의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총차입금
247,333,220 251,999,880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158,781,443 -377,351,280
순부채
88,551,777 -125,351,400
자본총계
779,432,630 799,097,396
총자본
867,984,407 673,745,996
자본조달비율
10.20% -18.61%
바. 파생상품
회사는 환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나 위험회피회계는적용하지 않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의 파생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파생상품자산
통화선도자산 - 578,820
파생상품부채
통화선도부채 2,570,665 -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최근 이차전지 시장은 에너지 밀도 및 안정성 확대, 제조원가 감축 등을 목표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근 진행되고 있는 기술 트렌드 변화에 적절히 응답하고 나아가 시장 선도적인 기술을 선보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전개 하고 있습니다.
1)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소명 주식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기업부설연구소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영일만산단남로 75번길 15
연구조직 기술본부 산하 생산기술담당 / 개발담당 / 제조기술담당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구 분 과 목
제 8 기 1분기
(2024년 03월말)
제 7 기
(2023년)
제 6 기
(2022년)
에코프로
머티리얼즈 연구개발비용 계 1,616 7,504 6,681
(정부보조금) (82) (538) (505)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계÷당기매출액x100] 2.04% 0.79% 1.00%
3) 연구개발실적
당사의 공시대상기간 동안 연구개발실적은 상세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 현황' 참조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당사는 영위하는 산업과 관련하여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상세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세 현황은 '상세표-5.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참조
나. 환경 관련 규제사항 등
당사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법률, 규정에서 정하는 환경규제 등의 법률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영업활동에 심각한 제약을 받을만한 사항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으며, 당사의 영업에 영향을 미치는 법률 또는 제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환경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학물질 관리법」, 「환경오염시설의통합관리에관한 법률」 등.
- 안전 :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등에관한법률」등
또한, 당사가 취득한 환경경영시스템 및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인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다. 사업부문의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1) 산업의 특성
(1) 산업의 개요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물질의 산화환원 반응으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며,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에서 분리된 전자가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며 충전되고(음극에서 환원이 발생하여 에너지를 저장), 반대로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방전(양극에서 환원이 일어나 에너지 방출)되는 원리로 구동합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양극, 음극, 분리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이 전해질에 둘러 쌓여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이 배터리의 4대 구성요소라고 볼 수 있으며, 4대 구성요소가 전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0% 이상입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인 전구체는 4대 구성요소 중 양극재의 핵심 원재료에 해당하며 동시에 양극재의 성능을 결정 짓는 주요한 기능을 담당 합니다. 최근 전기차 시장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은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 내며 에너지 밀도의 향상은 전구체의 니켈 함량 고도화가 중심이 됩니다. 당사는 하이니켈 전구체 전문 제조기업으로 시장 선도적 지위를 확고히 구축 하고 있습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당사가 영위하는 전구체 사업은 완성품이 아닌 중간재 성격을 지닌 자본재로서 경기변동 및 계절적 경기변동의 특성을 나타내지는 않으나, 전방산업인 배터리 산업과 최종 전방산업인 EV 및 IT / Non-IT 기기 산업의 영향을 받으며, 이들 산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일부 받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대표적인 자유소비재로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냅니다.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뤄 1인당 국민소득이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에는 그 변동이 두드러지지 않지만 1인당 국민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 성장이 둔화 내지 정체를 보이는 시기에 대표적인 자유소비재인 자동차 수요는 다른 소비재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과거 내연기관차량 보급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경기변동에 관계없이 자동차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지만, 이후에는 경제성장률 변화 등 전반적인 경기변동 및 소비심리에 민감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기변동에 민감한 내연기관차량과는 다르게 전구체가 탑재되는 EV는, 2016년 파리기후변화협정 이후 전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의 수혜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정체 내지 둔화를 보이는 일반 내연기관차량 대비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둔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 초 COVID-19로 인해 글로벌 경제가 위축하고 유가가 기록적인 하락세를 나타냄에 따라 내연기관차량이 저유가 및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EV로의 전환이 지연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되었으나, 유럽을 중심으로 EV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정책들이 제시되며, EV 침투율은 더욱 빠르게 제고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후변화 등에 대한 대응으로 자동차 산업의 발전방향은 EV로의 이동이 명확하며, EV가 자동차 산업에 새로운 기회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바, 향후 EV 침투율이 현재 내연기관차량 침투율과 비슷해지는 시기까지는 경기변동에 따른 EV 산업의 변화는 그 정도가 약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3) 산업의 성장성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차전지 시장의 대표적인 제품인 리튬이온전지의 수요가 2035년 5,853GWh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EV 시장은 전세계적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2030년 2차전지의 시장 수요의 약 90%가 전기차향 수요로 예상됩니다. 이외에도 전력저장시스템(ESS)와 전동공구, E-bike 및 모바일, E-모바일 등 소형분야에서도 2차전지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수요는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Application별 시장 전망(~2035)]
(단위: Gwh)
이미지: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Application별 시장 전망
글로벌 리튬이온전지(LiB) Application별 시장 전망
자료 : SNE리서치, 'Battery Lithium Metal Outlook(2023.12)'
특히, 이차전지의 주요 수요처인 EV시장은 2023년에 금리 인상과 유동성 축소로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높은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2023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BEV+PHEV)은 총 1,374만대로 2022년 판매량인 1,054만대 대비 30.0% 증가하였습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추이(2020~2023)]
구 분 2020 2021 2022 2023
수치 전년비 수치 전년비 수치 전년비
북미 EV(만대) 37 74 100% 111 50% 160 43%
Battery(GWh) 23 45 99% 72 60% 105 45%
유럽 EV(만대) 141 237 69% 264 11% 301 14%
Battery(GWh) 52 91 74% 120 32% 151 26%
중국 EV(만대) 130 333 156% 625 88% 833 33%
Battery(GWh) 64 150 134% 286 91% 382 34%
기타 EV(만대) 14 27 99% 53 95% 80 51%
Battery(GWh) 8 15 101% 29 94% 44 52%
계 EV(만대) 321 672 109% 1,054 57% 1,374 30%
Battery(GWh) 147 302 106% 508 68% 683 34%
자료 : SNE리서치 (2023.12)
주) 상기 표의 EV 판매량은 BEV, PHEV 기준입니다. (HEV 제외)
2023년까지의 글로벌 전기차 판매 추이 및 성장세를 살펴보면, 북미 및 기타지역은 고성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유럽지역은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저성장 중인 상황입니다. 중국 전기차 시장은 2021년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약 49.6% 수준에서 2022년 59.3%까지 비중이 확대되었고, 2023년에는 60.6%까지 확대되며 글로벌 EV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중국 전기차의 급성장은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이 2022년까지 지급되는 것으로 계획되어, 구매 수요가 집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후 2023년도부터는 보조금 없이 상업화중인 단계를 감안 시 전년비 33% 성장은 견조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소비자의 인식이 전기차를 경차 등 Second Vehicle 개념에서 Main Vehicle로 전환되고 있음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2035)]
이미지: GlobalEV,EVBattery전망
GlobalEV,EVBattery전망
자료 : SNE리서치 (2023.12)
SNE 리서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판매는 2023년 1,374만대에서 2030년 4,204만대, 2035년에는 7,412만대까지 판매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EV용 배터리 수요는 2023년 683GWh 수준에서 2030년 2,567GWh, 2035년 4,694GWh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전구체 시장 또한 전방산업인 EV 및 배터리산업의 급격한 팽창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EV용 전구체 시장은 2023년 1,250천톤에서 향후 7년간 연평균 21%의 속도로 성장하며 2030년 4,618천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지: ev용 전구체 시장규모
ev용 전구체 시장규모
(단위 : 천톤)
(천톤) 2022년 2023년 2024년(E) 2025년(E) 2026년(E) 2027년(E) 2028년(E) 2029년(E) 2030년(E)
글로벌 EV용 전구체 시장 889 1,250 1,539 2,123 2,643 3,272 3,772 4,218 4,618
자료 : S&P Global
2) 국내외 시장 여건
(1) 시장의 안정성
전구체 산업은 자본력을 바탕으로 대규모의 생산설비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는 장치산업으로 생산설비의 규모 및 효율성이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특히, 2023년 이후 밸류체인 전반적으로 초과수요 상태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요 업체들은 공격적으로 설비투자를 집행하고 있으며, 확장된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사가 요구하는 전구체 물량을 안정적으로 차질 없이 공급할 수 있는 능력 자체가 전구체 산업 내 경쟁력이므로 이를 유지하기 위해 끊임 없는 대규모 생산설비 투자가 집행되어야 하는 대규모 장치산업이며, 신규업체들이 진입하기 어려운 시장입니다.
실제 2020년 1,188,000톤 수준이었던 글로벌 전구체 생산능력은 2022년 2,794,000톤 수준까지 증가했으며, 2027년에는 6,068,400톤에 달할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반적으로 전구체 산업내에서는 30,000톤 생산설비(공장1개)를 갖추는데 약 1,500억원 가량의 재원이 소요되는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를 대입할 경우 주요 전구체 업체들은 시장 전체적으로 향후 수년간 매년 3-4조원 규모의 설비투자를 집행 할 것으로 예상되고, 최근 글로벌 공급망 이슈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향후 관련 법규 및 제도 상의 이유로 북미·유럽지역 내 설비 투자비중이 높아질 경우, 전구체 업체들의 투자소요는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구체는 양극재 및 배터리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중요성을 더욱 인정 받고 있으며, 향후에도 양극재 및 배터리의 기술개발과 궤를 함께 하며 고도화를 이루어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전구체 산업에도 계속해서 더 수준 높고 다양한 경쟁요인이 작용하고 있으며, 법적 진입장벽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으나, 전구체 산업 내 작용하고 있는 주요 경쟁요인 고려 시 신규진입에 있어 높은 상업적 진입장벽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주요 경쟁요인 중 하나라도 부족할 경우, 장기적으로 전구체 산업 내 지위를 공고히 하기 어려운 바 신규업체가 단기간 내에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2) 경쟁상황
전구체는 화학물질 조성 및 생산 간 고도의 공정기술이 필요하기에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단순히 기성 설비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제품이 아니며, 독자적인 기계 및 설비들을 활용하여 생산하기에 숙련된 엔지니어들이 필수적인 요소로 뽑히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소수의 업체만이 존재합니다. 국내에서는 당사 포함 포스코퓨처엠 등 대기업 계열사 2-3개 업체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해외의 경우 일본 및 중국에 경쟁업체들이 분포하여 있습니다. 이러한 소수 사업자에 의한 시장지배로 인해 2022년말 기준 글로벌 전구체 시장은 상위 4개사가 52.8%를 차지하는 과점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당사가 주력으로 생산하는 하이니켈 NCM으로 한정할 경우 상위 4개사가 53.7%를, 또는 북미 및 유럽과 달리 독자적인 밸류체인을 구축한 중국업체를 제외할 경우 상위 4개사가 83.1%를 차지하는 과점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위 업체를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고려할 경우 향후 이와 같은 경향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주요한 시장 경쟁력 요인 및 회사의 강점 및 단점
1) 주요한 시장 경쟁력 요인
전구체 산업은 배터리 밸류체인 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원가 기준)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는 첨단 핵심산업으로 시장진입을 위해서는 기술력의 차이를 극복해야 합니다.
개발기술의 경우, 최근 전구체 업체들은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니켈 함량을 높이는 동시에 원자재 가격 부담이 높은 코발트의 함량을 낮추고, 낮은 코발트 함량으로 인해 야기되는 안정성 문제를 망간으로 보충하는, 이른바 하이니켈 NCM 전구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행거리 확대라는 분명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이니켈 NCM 전구체는 비교적 낮은 배터리 안정성과 짧은 수명 등으로 인해 상업 적용을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기술적 난이도를 극복해야 합니다.
또한, 생산기술의 경우, 고객별로 요구하는 미세하게 다른 물성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레시피를 보유함은 물론이고, 동일한 생산설비 내에서도 공정개선, 운영최적화 등을 통해 수율을 제고하고 라인 당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한편, 생산제품 교체를 위한 라인 재정비(Job Change)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도 전구체 산업 내 핵심 기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이처럼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산업 내 충분한 경험을갖춘 엔지니어는 극소수에 불과해 전구체 사업에 신규로 진입하는 업체가 단기간 내 하이엔드(High-end) 전구체 생산 역량 및 공정 기술을 확보할 가능성은 낮으며, 이를해결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건비를 지불하여 외부 엔지니어를 확보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시장에 있는 여러 업체들이 전구체 산업과 관련된 신규 투자 등을 발표하고 있으나, 하이엔드 전구체를 고객사의 요구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2) 회사의 강점 및 단점
① 생산능력
당사는 현재 연간 50,000톤 규모의 국내 최대 전구체 생산능력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특히, NCA 및 NCM 전구체 생산 라인을 모두 갖추고 있는 국내 유일의 전구체 기업으로 향후 삼원계 이차전지 시장에서의 트렌드 변화에 가장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당사는 중장기 하이니켈 전구체 수요 증가에 적극적인 대응과 IRA, CRMA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유연성을 확대 하고자 현재 국내에 한정된 전구체 생산 시설을 북미, 유럽까지 확대하여 해외 생산시설 투자를 계획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210,000톤 규모의 글로벌 전구체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② 기술력
최근 전기차 시장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에 집중 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은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 향상, 그리고 양극재 및 전구체의 니켈 함량 고도화와 직결 됩니다. 당사는 설립 이래 니켈 함량 80% 및 90% 이상의 하이니켈 전구체 사업을 영위하며 니켈 고도화에 특화된 개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전구체는 물리적 특성 상 생산과정의 습도, 온도 및 생산기술의 고도화 등에 따라 물성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균일한 결정의 동일한 제품을 제조하는 생산기술이 중요합니다. 당사는 하이니켈 전구체 생산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생산 및 품질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선도적인 경쟁력을 확보 하고 있습니다.
마.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당사의 경우, 단일 사업부문(전구체)을 영위하고 있어 별도의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바. 신규사업 현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노브랜드 KB제28호스팩 아이씨티케이 HD현대마린솔루션 SK증권제12호스팩 코칩 민테크 카티스 디앤디파마텍 유안타제16호스팩 제일엠앤에스 삐아 하나33호스팩 신한제13호스팩 신한제12호스팩 아이엠비디엑스 SK이터닉스 하나32호스팩 엔젤로보틱스 제이투케이바이오 삼현 오상헬스케어 케이엔알시스템 비엔케이제2호스팩 하나31호스팩 SK증권제11호스팩 유안타제15호스팩 유진스팩10호 에이피알 이에이트 코셈 케이웨더 사피엔반도체 에스피소프트 스튜디오삼익 신영스팩10호 폰드그룹 IBKS제24호스팩 레이저옵텍 이닉스 엘앤에프 포스뱅크 현대힘스 HB인베스트먼트 드림인사이트 대신밸런스제17호스팩 우진엔텍 세븐브로이맥주 한빛레이저 포스코DX DS단석 IBKS제23호스팩 하나30호스팩 씨싸이트 블루엠텍 LS머트리얼즈 케이엔에스 교보15호스팩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성스팩9호 에이텀 엔에이치스팩30호 에이에스텍 그린리소스 제이엔비 한선엔지니어링 동인기연 에코아이 스톰테크 에코프로머티 캡스톤파트너스 프로젠 에스와이스틸텍 에이직랜드 한국제13호스팩 메가터치 비아이매트릭스 컨텍 큐로셀 쏘닉스 KB제27호스팩 세니젠 신시웨이 유진테크놀로지 유투바이오 퀄리타스반도체 미쥬 워트 에스엘에스바이오 신성에스티 퓨릿 바이오텐 에이치엠씨제6호스팩 아이엠티 레뷰코퍼레이션 두산로보틱스 신한제11호스팩 한싹 밀리의서재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우듬지팜 코어라인소프트 STX그린로지스 상상인제4호스팩 율촌 한화플러스제4호스팩 대신밸런스제16호스팩 유안타제11호스팩 크라우드웍스 대신밸런스제15호스팩 한국제12호스팩 한국피아이엠 시큐레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넥스틸 빅텐츠 SK증권제10호스팩 KB제26호스팩 코츠테크놀로지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하나28호스팩 NICE평가정보 파두 엠아이큐브솔루션 시지트로닉스 에피바이오텍 조선내화 에이엘티 유안타제14호스팩 파로스아이바이오 길교이앤씨 버넥트 뷰티스킨 SK증권제9호스팩 와이랩 센서뷰 아이엠지티 필에너지 DB금융스팩11호 교보14호스팩 이노시뮬레이션 이브이파킹서비스 알멕 오픈놀 시큐센 하나29호스팩 KB제25호스팩 엔에이치스팩29호 하이제8호스팩 가이아코퍼레이션 비에이치 동국씨엠 동국제강 프로티아 큐라티스 마녀공장 나라셀라 진영 이수스페셜티케미컬 OCI 기가비스 팸텍 모니터랩 씨유박스 큐라켐 키움제8호스팩 트루엔 삼미금속 에스바이오메딕스 슈어소프트테크 토마토시스템 마이크로투나노 셀바이오휴먼텍 SK오션플랜트 노보믹스 삼성FN리츠 현대그린푸드 미래에셋비전스팩3호 IBKS제22호스팩 하나27호스팩 한화갤러리아 지아이이노베이션 LB인베스트먼트 한화리츠 유안타제12호스팩 엑스게이트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금양그린파워 라온텍 자람테크놀로지 하나26호스팩 나노팀 바이오인프라 삼성스팩8호 유안타제13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이노진 화인써키트 제이오 샌즈랩 꿈비 스튜디오미르 삼기이브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오브젠 미래반도체 지슨 태양3C 티이엠씨 한주라이트메탈 옵티코어 아이오바이오 타이드 신영스팩9호 신스틸 지에프씨생명과학 카이바이오텍 바이오노트 비엔케이제1호스팩 마이크로엔엑스 애니메디솔루션 IBKS제21호스팩 엔에이치스팩27호 핑거스토리 SAMG엔터 대신밸런스제14호스팩 엔에이치스팩26호 유진스팩9호 아하 에이아이더뉴트리진 대신밸런스제13호스팩 유니드비티플러스 펨트론 인벤티지랩 엔젯 유비온 티쓰리 티에프이 윤성에프앤씨 디티앤씨알오 뉴로메카 제이아이테크 LX세미콘 엔에이치스팩25호 교보13호스팩 큐알티 IBKS제20호스팩 저스템 산돌 삼성스팩7호 탈로스 플라즈맵 엔에이치스팩24호 핀텔 하나금융25호스팩 한국제11호스팩 샤페론 비스토스 탑머티리얼 에스비비테크 오에스피 모델솔루션 이노룰스 파인엠텍 KB스타리츠 SK증권제8호스팩 유안타제10호스팩 선바이오 더블유씨피 알피바이오 하나금융24호스팩 한화플러스제3호스팩 티엘엔지니어링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키움제7호스팩 신영스팩8호 대성하이텍 쏘카 에이치와이티씨 새빗켐 유안타제9호스팩 수산인더스트리 신한제10호스팩 아이씨에이치 성일하이텍 에이프릴바이오 퓨쳐메디신 벨로크 루닛 바스칸바이오제약 HPSP 와이씨켐 코난테크놀로지 넥스트칩 삼성스팩6호 엔에이치스팩23호 교보12호스팩 레이저쎌 보로노이 위니아에이드 케이비제21호스팩 비큐 AI 범한퓨얼셀 코나솔 청담글로벌 마스턴프리미어리츠 하나금융22호스팩 가온칩스 대명에너지 상상인제3호스팩 포바이포 신한제9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1호 키움제6호스팩 지투파워 유진스팩8호 코람코더원리츠 세아메카닉스 공구우먼 유일로보틱스 모아데이타 메쎄이상 노을 비씨엔씨 풍원정밀 스톤브릿지벤처스 하나금융21호스팩 브이씨 퓨런티어 바이오에프디엔씨 인카금융서비스 나래나노텍 아셈스 스코넥 이지트로닉스 LG에너지솔루션 애드바이오텍 케이옥션 코스텍시스템 오토앤 래몽래인 하이제7호스팩 라피치 제이엠멀티 신한서부티엔디리츠 툴젠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켈스 SK스퀘어 마음AI 알비더블유 NH올원리츠 NPX 트윔 아이티아이즈 지오엘리먼트 디어유 비트나인 지니너스 카카오페이 피코그램 엔켐 리파인 지앤비에스 에코 아이패밀리에스씨 차백신연구소 지아이텍 코닉오토메이션 케이카 씨유테크 아스플로 원준 실리콘투 에스앤디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HD현대중공업 SK리츠 유진스팩7호 와이엠텍 에이비온 라이콤 일진하이솔루스 디앤디플랫폼리츠 바이젠셀 아주스틸 롯데렌탈 브레인즈컴퍼니 딥노이드 한컴라이프케어 엠로 플래티어 원티드랩 크래프톤 HK이노엔 PI첨단소재 카카오뱅크 한화플러스제2호스팩 에브리봇 맥스트 큐라클 에스디바이오센서 오비고 엠씨넥스 아모센스 타임기술 이노뎁 라온테크 LB루셈 이성씨엔아이 에이디엠코리아 에코프로에이치엔 LX홀딩스 제주맥주 진시스템 F&F 삼영에스앤씨 샘씨엔에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에이치피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쿠콘 이삭엔지니어링 해성에어로보틱스 엔시스 자이언트스텝 제노코 라이프시맨틱스 SK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다인 네오이뮨텍 화승알앤에이 싸이버원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나노씨엠에스 뷰노 엑스플러스 유일에너테크 씨이랩 오로스테크놀로지 피엔에이치테크 모비데이즈 아이퀘스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레인보우로보틱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솔루엠 핑거 모비릭스 씨앤투스 선진뷰티사이언스 DL이앤씨 엔비티 파이버프로 나우코스 루트락 ESR켄달스퀘어리츠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석경에이티 지놈앤컴퍼니 프리시젼바이오 알체라 하이딥 에프앤가이드 티엘비 씨엔티드림 인바이오 엔젠바이오 퀀타매트릭스 명신산업 클리노믹스 포인트모바일 앱코 엔에프씨 제일일렉트릭 하나기술 에이플러스에셋 티앤엘 고바이오랩 네패스아크 교촌에프앤비 소룩스 위드텍 센코 바이브컴퍼니 원포유 미코바이오메드 피플바이오 하이브 넥스틴 케이엔솔 비나텍 씨엔알리서치 박셀바이오 티와이홀딩스 비비씨 코스텍시스 핌스 압타머사이언스 이오플로우 카카오게임즈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아이디피 셀레믹스 고스트스튜디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영림원소프트랩 한국파마 제이알글로벌리츠 솔브레인 이루다 미래에셋맵스리츠 이지스레지던스리츠 와이팜 에코앤드림 엠투아이 더네이쳐홀딩스 제놀루션 솔트룩스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티에스아이 에이프로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소마젠 신도기연 위더스제약 에스케이바이오팜 엠브레인 젠큐릭스 무진메디 HB솔루션 에스에이티이엔지 에스씨엠생명과학 휴럼 이지바이오 드림씨아이에스 대덕전자 HLB사이언스 엔피디 플레이디 서울바이오시스 제이앤티씨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레몬 서남 위세아이텍 케이씨씨글라스 세림B&G 이앤에치 CJ 바이오사이언스 엔에스엠 피피아이 RF머트리얼즈 아이비김영 브릿지바이오 다보링크 메드팩토 원텍 신테카바이오 제이엘케이 태웅로직스 윙스풋 노드메이슨 리메드 NH프라임리츠 비올 타스컴 진코스텍 웨이버스 유엑스엔 HLB바이오스텝 씨티알모빌리티 티움바이오 씨에스베어링 우양 코리아에셋투자증권 HD현대에너지솔루션 에스제이그룹 제테마 한화시스템 라파스 아이티엠반도체 일승 자이에스앤디 미디어젠 모코엠시스 티라유텍 롯데리츠 지누스 밸로프 캐리소프트 한국미라클피플사 케이엔제이 엔바이오니아 팜스빌 두산퓨얼셀 라온피플 솔루스첨단소재 콘텐트리중앙 아톤 녹십자웰빙 누보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엔지브이아이 올리패스 라닉스 윈텍 한독크린텍 아퓨어스 네오크레마 마니커에프앤지 솔트웨어 나노브릭 에스피시스템스 레이 그린플러스 코윈테크 덕산테코피아 KBG 엑스페릭스 세경하이테크 캐리 대모 에이스토리 플리토 헥토파이낸셜 아이스크림에듀 펨토바이오메드 펌텍코리아 에이에프더블류 태성 엠에프엠코리아 압타바이오 까스텔바작 마이크로디지탈 코퍼스코리아 프로이천 포스코퓨처엠 수젠텍 컴퍼니케이 다원넥스뷰 피에스케이 현대무벡스 TS트릴리온 이노벡스 아모그린텍 현대오토에버 지노믹트리 이지케어텍 미래에셋벤처투자 드림텍 더블유게임즈 에코프로비엠 셀리드 우리금융지주 천보 SCL사이언스 노랑풍선 웹케시 엘에이티 에어부산 비피도 유틸렉스 디케이티 아이엘사이언스 애니플러스 테크엔 디와이씨 오하임앤컴퍼니 위지윅스튜디오 국전약품 에이비엘바이오 머큐리 전진바이오팜 뉴트리 비투엔 이노메트리 DH오토리드 에코캡 원바이오젠 애닉 윙입푸드 남화산업 엠아이텍 티로보틱스 네오펙트 에이펙스인텍 티앤알바이오팹 나라소프트 아시아나IDT 디알젬 싸이토젠 아주IB투자 파멥신 디케이앤디 퀀텀온 노바렉스 셀리버리 대보마그네틱 노바텍 엘앤씨바이오 네온테크 로보티즈 옵티팜 에스퓨얼셀 세아제강 나우IB 푸드나무 하나제약 크리스에프앤씨 더블유에스아이 지티지웰니스 우진아이엔에스 엔피 피엔티엠에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디지캡 지니틱스 액트로 오파스넷 브이엠 바이오솔루션 더콘텐츠온 대유 신한알파리츠 디아이티 에스에스알 한일시멘트 휴네시온 티웨이항공 롯데이노베이트 한국유니온제약 그리티 알로이스 올릭스 테크트랜스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아이큐어 SV인베스트먼트 엘리비젼 지앤이헬스케어 이리츠코크렙 EDGC 에스엠비나 HDC현대산업개발 카이노스메드 파워넷 카나리아바이오 세종메디칼 제노레이 디피코 제이시스메디칼 에스제이켐 JTC 네오셈 케어랩스 애경산업 린드먼아시아 오스테오닉 엔지켐생명과학 동구바이오제약 아시아종묘 알리코제약 셀트리온 카페24 링크제니시스 배럴 SG 씨앤지하이테크 쿠쿠홈시스 SK케미칼 시스웍 디바이스이엔지 씨알푸드 레이크머티리얼즈 BGF리테일 동양피스톤 진에어 씨티케이 메카로 에스트래픽 케이씨텍 체리부로 대원 비즈니스온 동아타이어 삼양패키징 스튜디오드래곤 비디아이 코오롱티슈진 EMB 테이팩스 롯데웰푸드 탑선 영화테크 폴라리스세원 상신전자 야스 인산가 휴엠앤씨 신흥에스이씨 유티아이 선익시스템 엠플러스 앱클론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펄어비스 케이피에스 SK시그넷 덕우전자 지오릿에너지 케일럼 알에스오토메이션 컬러레이 와이즈버즈 모트렉스 데이타솔루션 지니언스 디앤씨미디어 이즈미디어 루켄테크놀러지스 힘스 제일약품 브이원텍 아우딘퓨쳐스 이녹스첨단소재 카카오 오리온 하림지주 덴티스 메디안디노스틱 나인테크 에스알바이오텍 뿌리깊은나무들 보라티알 매일유업 LK삼양 이랜시스 필옵틱스 미원에스씨 경동도시가스 넷마블 HD현대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일렉트릭 포인트엔지니어링 하나머티리얼즈 소프트캠프 와이엠티 파워풀엑스 크라운제과 AP시스템 유에스티 이엘피 유비쿼스 서진시스템 코미코 아스타 덴티움 에스디생명공학 신신제약 에프엔에스테크 모바일어플라이언스 피씨엘 호전실업 서플러스글로벌 유바이오로직스 도부마스크 한국비엔씨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셀젠텍 피엠티 바이오프로테크 애니젠 유니온커뮤니티 신라젠 자비스 핸즈코퍼레이션 티이엠씨씨엔에스 퓨쳐켐 뉴파워프라즈마 엘앤케이바이오 에스엘테라퓨틱스 핸디소프트 두산밥캣 삼성바이오로직스 클리오 오가닉티코스메틱 얼라인드 세화피앤씨 굿센 인크로스 에이치엘사이언스 코스메카코리아 JW생명과학 GRT 안지오랩 골든센츄리 인텔리안테크 에이치시티 잉글우드랩 앤디포스 수산아이앤티 미투온 화승엔터프라이즈 예선테크 LS에코에너지 스타리츠 유니테크노 모비스 나무기술 자이글 일동제약 헝셩그룹 샘표식품 에코마케팅 블루탑 두올 엔지스테크널러지 우리손에프앤지 오건에코텍 아이윈플러스 제노텍 동서 장원테크 위니아 한국자산신탁 한국토지신탁 모아라이프플러스 피앤씨테크 로스웰 씨앤에스링크 해성디에스 에스티팜 지씨셀 알엔투테크놀로지 이비테크 이스트에이드 휴온스 나눔테크 KC산업 용평리조트 해태제과식품 원익IPS 로보쓰리에이아이 레이언스 동양파일 삼일씨엔에스 팬젠 AP위성 비유테크놀러지 큐리언트 안트로젠 슈프리마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유니트론텍 크리스탈신소재 메디젠휴먼케어 볼빅 이엠티 더코디 에스와이 질경이 잇츠한불 크로넥스 딥마인드 와이씨 육일씨엔에쓰 휴젤 한국맥널티 덱스터 아진산업 HLB제약 강스템바이오텍 에이원알폼 메가엠디 보광산업 파크시스템스 에치에프알 예스티 코스맥스엔비티 멕아이씨에스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원익피앤이 세진중공업 하이즈항공 DXVX 케이디켐 네오오토 엔투텍 케어젠 아이진 나무가 이노시스 금호에이치티 제주항공 본느 파마리서치바이오 럭스피아 노브메타파마 엔케이맥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KH 건설 엑시콘 엄지하우스 메디쎄이 뉴지랩파마 케이엠제약 한송네오텍 패션플랫폼 LIG넥스원 넥슨게임즈 제너셈 타이거일렉 HDC랩스 동일제강 휴먼테크놀로지 씨아이에스 에이텍모빌리티 웹스 AJ네트웍스 파인텍 세토피아 심텍 흥국에프엔비 쎄노텍 칩스앤미디어 아시아경제 엔에스컴퍼니 아이쓰리시스템 로지시스 플럼라인생명과학 켐트로스 파마리서치 디와이디 펩트론 이노션 토니모리 광동헬스바이오 로지스몬 미래에셋생명 RFHIC 동운아나텍 일월지엠엘 헥토이노베이션 경보제약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이큐셀 코아스템켐온 에스엘에너지 SK디앤디 씨앗 베셀 넵튠 미래생명자원 싸이맥스 러셀 픽셀플러스 디딤이앤에프 제노포커스 틸론 관악산업 우정바이오 토박스코리아 이노인스트루먼트 우리산업 메가스터디교육 썬테크 휴센텍 로보로보 디알텍 에이비프로바이오 골프존 클래시스 FSN 다이나믹디자인 포시에스 덕산네오룩스 한솔제지 디와이파워 국일신동 듀켐바이오 링크드 바디텍메드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썸에이지 에이팩트 휴메딕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서전기전 아스트 오킨스전자 지란지교시큐리티 NEW 아이티센 미래엔에듀파트너 삼성물산 녹십자엠에스 디티앤씨 셀바스헬스케어 정다운 하이로닉 랩지노믹스 에이디테크놀로지 비씨월드제약 미스터블루 알테오젠 베노티앤알 대창스틸 에프엔씨엔터 휴마시스 씨에스윈드 텔콘RF제약 지엘팜텍 글로벌텍스프리 디에이테크놀로지 삼성에스디에스 아이케이세미콘 액션스퀘어 엑셈 테고사이언스 슈피겐코리아 영우디에스피 유니포인트 드림시큐리티 메디아나 HL만도 데브시스터즈 스피어파워 휴림네트웍스 고려시멘트 판도라티비 서연이화 신화콘텍 쿠쿠홀딩스 파버나인 덕신이피씨 창해에탄올 윈하이텍 아진엑스텍 콜마비앤에이치 화인베스틸 트루윈 큐엠씨 데이터스트림즈 코아시아씨엠 캐스텍코리아 BGF 나노 케이사인 코스맥스 오이솔루션 한국정보인증 다산솔루에타 현대이지웰 위월드 코셋 SGA솔루션즈 대동고려삼 기가레인 인트로메딕 한중엔시에스 알티캐스트 종근당 현대공업 엔브이에이치코리아 탑코미디어 신송홀딩스 큐브엔터 라이온켐텍 램테크놀러지 THE MIDONG 협진 아세아시멘트 해성옵틱스 내츄럴엔도텍 현대로템 수프로 두산테스나 파수 엘티씨 지엔씨에너지 한진칼 아미코젠 엔에이치엔 GH신소재 파이오링크 KG에코솔루션 JB금융지주 나스미디어 대주이엔티 머니무브 큐러블 태양기계 엑세스바이오 DSR 리가켐바이오 한국패러랠 동아에스티 윈팩 코렌텍 제로투세븐 한솔아이원스 우리이앤엘 아이센스 스킨앤스킨 SBI핀테크솔루션즈 우리로 디젠스 지엠비코리아 와이엠씨 LG헬로비전 아바텍 동일고무벨트 한국콜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코이즈 애경케미칼 퓨처코어 네이블 노블엠앤비 피엔티 사조씨푸드 비아트론 빛샘전자 한국ANKOR유전 휴비스 사람인 제룡산업 남화토건 케이탑리츠 메지온 원익머트리얼즈 디엔에이링크 GS리테일 나이스디앤비 시큐브 서암기계공업 인터지스 씨유메디칼 삼양사 키네마스터 비덴트 신진에스엠 이엠넷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스마트솔루션즈 에이티세미콘 테크윙 씨큐브 에스엠코어 씨엔플러스 하나투어 로보스타 대한과학 아이디스 에이블씨엔씨 제이씨케미칼 아이씨디 제닉 BF랩스 삼원강재 상아프론테크 신세계인터내셔날 에이리츠 나이벡 옵티시스 대양전기공업 한국항공우주 롯데하이마트 서연탑메탈 한세엠케이 코오롱ENP 넥스트아이 티엔엔터테인먼트 이마트 DGB금융지주 케이티스카이라이프 세아특수강 KX 골프존뉴딘홀딩스 메리츠금융지주 윈스 하림 한국종합기술 이퓨쳐 티케이케미칼 BNK금융지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부스타 현대위아 선진 미원화학 나노신소재 케이아이엔엑스 티피씨글로벌 LB세미콘 딜리 제이엔케이글로벌 블루콤 인트론바이오 시디즈 커넥트웨이브 알서포트 인텍플러스 티에스이 한화엔진 이브이첨단소재 대성에너지 현대퓨처넷 대정화금 KTis 한전산업 피제이메탈 옵투스제약 에이루트 엘브이엠씨 티비씨 시그네틱스 한국전자인증 BGF에코머티리얼즈 디케이락 위메이드플레이 KH 미래물산 아나패스 KNN 누리플랜 아이텍 인화정공 셀피글로벌 뉴온 휠라홀딩스 알파홀딩스 포메탈 KTcs 다원시스 현대홈쇼핑 씨젠 와이솔 하이비젼시스템 화신정공 코리아에프티 도화엔지니어링 엠에스오토텍 이글루 대성산업 아이마켓코리아 한미약품 인터로조 하이텍팜 우진 무학 에스디시스템 알톤 유비벨록스 오르비텍 이연제약 엑스큐어 투비소프트 한국화장품 에스제이엠 인피니트헬스케어 서진오토모티브 인지소프트 HL홀딩스 삼성생명 신세계푸드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애머릿지 케이씨에스 씨엑스아이 HLB테라퓨틱스 삼기 한화생명 이미지스 조선선재 인포바인 하이소닉 모베이스 코오롱인더 KC코트렐 지역난방공사 락앤락 스타플렉스 우리넷 아세아텍 영흥 폴라리스우노 코디 에스메디 글로벌에스엠 ITX-AI 그린생명과학 디와이피엔에프 위메이드 한전기술 셀바스AI 이원컴포텍 강원에너지 GKL 휴맥스 AP헬스케어 SK 동방선기 상상인인더스트리 진매트릭스 황금에스티 비츠로셀 하이트진로 한스바이오메드 동양생명 NHN벅스 아이앤씨 유니온머티리얼 케이엔더블유 형지엘리트 디에스케이 제넥신 톱텍 동국S&C 에스앤더블류 키움증권 영원무역 컴투스홀딩스 동일금속 한미글로벌 동아지질 어보브반도체 위메이드맥스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스맥 SDN 한국정밀기계 STX중공업 흥국 우림피티에스 티플랙스 LX하우시스 에스티오 에이테크솔루션 에스앤에스텍 뷰웍스 코오롱생명과학 엔시트론 한세실업 주성코퍼레이션 파인테크닉스 미원홀딩스 이수앱지스 대성파인텍 유비쿼스홀딩스 메디톡스 엠게임 아이컴포넌트 NAVER HLB생명과학 이크레더블 부국철강 KB금융 세운메디칼 한국철강 마이크로컨텍솔 이엠앤아이 일진전기 풍산 LG이노텍 아이엠 웰크론한텍 하이드로리튬 슈프리마에이치큐 명문제약 서울옥션 이스트소프트 비상교육 크레버스 동성케미컬 월덱스 쎄트렉아이 쌍방울 브리지텍 고영 조이시티 우진비앤지 테스 예스24 엘디티 LG유플러스 메타바이오메드 효성오앤비 인바이오젠 아시아나항공 SNT에너지 진양홀딩스 한울소재과학 이트론 엔케이 에코볼트 에스코넥 일신바이오 서원인텍 이씨에스 대창솔루션 한전KPS 아이에스이커머스 알에프세미 디엔에프 일진파워 비엠티 이아이디 기신정기 이엠코리아 KSS해운 효성 ITX 현우산업 유나이티드 케이알엠 디아이씨 에스에너지 성우전자 엘엠에스 제이엠티 오디텍 ISC 네오티스 미래나노텍 상보 CJ제일제당 바이오톡스텍 팬오션 옴니시스템 푸른기술 웨이브일렉트로 HJ중공업 빅솔론 JW홀딩스 S&K폴리텍 SK이노베이션 율호 갤럭시아머니트리 에코프로 대산F&B 컴투스 네오위즈 삼성카드 앤씨앤 엔텔스 알루코 풍강 웅진씽크빅 동국제약 케이프 상신이디피 한라IMS 에프알텍 이엠텍 참좋은여행 네오리진 맵스리얼티1 이베스트투자증권 매커스 나노캠텍 네오팜 오스코텍 켐트로닉스 제이스텍 동아엘텍 메타랩스 후성 휴온스글로벌 케이씨티 파트론 유니테스트 휴림로봇 LF 에스에이티 큐에스아이 멀티캠퍼스 주연테크 코스맥스비티아이 코세스 인천도시가스 성창오토텍 넥스턴바이오 제이티 아이윈 이녹스 삼정펄프 KEC KPX홀딩스 THE E&M 바텍 MDS테크 HDC현대EP 루멘스 세원이앤씨 CSA 코스믹 티엘아이 한국전자금융 쇼박스 팬엔터테인먼트 인포뱅크 노루페인트 아모레퍼시픽 아이오케이 동우팜투테이블 롯데관광개발 제이브이엠 평화산업 우진플라임 팅크웨어 신세계I&C 진바이오텍 TKG애강 진도 에이스테크 맥쿼리인프라 롯데쇼핑 셀트리온제약 GST 에너토크 제우스 뉴프렉스 유진테크 CG인바이츠 바이오니아 헬릭스미스 인콘 차바이오텍 현대글로비스 대봉엘에스 와이엔텍 케이엠 티비에이치글로벌 수성웹툰 하나금융지주 제일연마 모다이노칩 비에이치아이 케스피온 현대리바트 비보존 제약 자연과환경 와토스코리아 대한제강 폴라리스오피스 휴림에이텍 서린바이오 새론오토모티브 그린케미칼 가비아 덕산하이메탈 아바코 하나마이크론 엘오티베큠 코스나인 이상네트웍스 대상홀딩스 코아스 메디포스트 우리바이오 모두투어 이월드 동양고속 한미반도체 가온그룹 쏠리드 동일산업 옵트론텍 젬백스 플랜티넷 삼호개발 금호타이어 이노와이어리스 인베니아 동양이엔피 제주반도체 한창산업 디이엔티 에스엔유 iMBC 서산 KX하이텍 손오공 미래컴퍼니 아이크래프트 CJ CGV 일진다이아 메가스터디 케이에스피 KG모빌리언스 대주전자재료 텔레칩스 HB테크놀러지 도이치모터스 유니드 토비스 제넨바이오 상신브레이크 국일제지 DMS 인팩 퀀타피아 시너지이노베이션 신성델타테크 GS 유니퀘스트 다스코 한국경제TV LG디스플레이 다날 텔코웨어 형지I&C 비케이홀딩스 코엔텍 YBM넷 CS 아미노로직스 테라젠이텍스 디에이피 한양디지텍 STX엔진 동국알앤에스 빛과전자 듀오백 삼진엘앤디 폴라리스AI파마 NICE 대교 세진티에스 한솔인티큐브 리튬포어스 테라사이언스 우주일렉트로 피에이치씨 기업은행 이엔플러스 SOOP 드림어스컴퍼니 버킷스튜디오 원익QnC 로체시스템즈 에스텍 오텍 키이스트 현대에버다임 한솔홈데코 중앙백신 휴비츠 우리산업홀딩스 디지털대성 이수페타시스 강원랜드 유아이디 티씨케이 YG PLUS 아모텍 농심홀딩스 웰크론 파워로직스 한국금융지주 이엘씨 녹원씨엔아이 유엔젤 SBS 홈캐스트 씨씨에스 웹젠 엔씨소프트 하이스틸 대화제약 우수AMS JW신약 하츠 빅텍 탑엔지니어링 DSR제강 이루온 태경케미컬 재영솔루텍 한국큐빅 인터플렉스 삼영이엔씨 하이퍼코퍼레이션 한성크린텍 리더스코스메틱 한농화성 케이피엠테크 디티씨 와이오엠 초록뱀미디어 웨스트라이즈 쎌바이오텍 NE능률 테크엘 현대백화점 KG이니시스 비엘팜텍 대호에이엘 파라다이스 대웅제약 플래스크 마니커 SNT홀딩스 티케이지휴켐스 새로닉스 에스제이지세종 오리엔트정공 DGP 국보디자인 아이톡시 에스아이리소스 젬백스링크 포스코스틸리온 폴라리스AI 현대바이오 삼성출판사 세이브존I&C 에스피지 토탈소프트 교보증권 서호전기 파커스 한샘 서울리거 홈센타홀딩스 아비코전자 큐렉소 소니드 우원개발 티사이언티픽 신세계건설 인선이엔티 와이어블 SM Life Design 우신시스템 지어소프트 지엔코 셀루메드 KH바텍 알에프텍 에스폴리텍 이랜텍 ES큐브 케이피티유 3S LG전자 화일약품 오상자이엘 콜마홀딩스 농우바이오 케이엘넷 SNT모티브 에스티아이 잉크테크 대한뉴팜 씨티씨바이오 인탑스 LS마린솔루션 피씨디렉트 광주신세계 구영테크 한국기업평가 뉴보텍 동양에스텍 백금T&A 파나케이아 고려신용정보 제일바이오 서울반도체 아가방컴퍼니 엔터파트너즈 미코 유신 프럼파스트 한국컴퓨터 대동스틸 링네트 크레오에스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한빛소프트 일진디스플 NHN KCP CNT85 금강철강 룽투코리아 KH 필룩스 동아화성 비츠로시스 오리엔탈정공 웰킵스하이텍 리노공업 성우테크론 에스에프에이 신화인터텍 엑사이엔씨 피에이치에이 종근당바이오 APS 코위버 성호전자 MIT YW 삼영엠텍 이니텍 에이디칩스 유진로봇 태웅 경남제약 삼보모터스 한컴위드 코미팜 프리엠스 코나아이 메디콕스 SGA 더테크놀로지 지에스이 아이디스홀딩스 코데즈컴바인 안랩 신한지주 YTN CMG제약 JYP Ent. 한국테크놀로지 KCC건설 세동 프로텍 액토즈소프트 세코닉스 바이넥스 오성첨단소재 코웨이 태양 씨티프라퍼티 유아이엘 대원미디어 중앙첨단소재 세아홀딩스 CJ프레시웨이 파인디앤씨 디지아이 코텍 한네트 에스티큐브 티에스넥스젠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큐로홀딩스 나라엠앤디 에코바이오 에이텍 대아티아이 캠시스 현대바이오랜드 SFA반도체 LG생활건강 LG화학 대우건설 포스코인터내셔널 HD현대인프라코어 한화오션 삼표시멘트 진양화학 HLB이노베이션 SM C&C 승일 조광ILI TPC 코메론 블레이드 Ent 삼화네트웍스 성광벤드 유라테크 삼현철강 오픈베이스 KCI 라온시큐어 오로라 금화피에스시 코다코 인바디 고려제약 크린앤사이언스 동원F&B KD 이글벳 아즈텍WB 두산에너빌리티 오리콤 위닉스 상지건설 한국내화 엔피케이 삼천당제약 에이치케이 정원엔시스 한양이엔지 누리플렉스 에쎈테크 국순당 엘컴텍 이오테크닉스 상상인 서울제약 HLB파나진 나노엔텍 오공 솔고바이오 비츠로테크 코아시아 정상제이엘에스 진양제약 지니뮤직 진성티이씨 현대에이치티 삼아제약 파루 에스씨디 한국정보공학 디오 네오위즈홀딩스 다산네트웍스 바이오스마트 우리기술 안국약품 세중 우리기술투자 케이바이오 HRS 에스에이엠티 위즈코프 이건홀딩스 파인디지털 나이스정보통신 SG&G 아이에이 에스넷 에스엠 쌍용정보통신 쎄니트 대성미생물 에코플라스틱 케이엠더블유 화성밸브 경남스틸 마크로젠 희림 레드캡투어 솔브레인홀딩스 에프에스티 코맥스 EG 감성코퍼레이션 성도이엔지 제일테크노스 한세예스24홀딩스 무림SP 세종텔레콤 심텍홀딩스 파세코 SGC E&C 영풍정밀 서희건설 주성엔지니어링 케이티알파 대성홀딩스 다우데이타 동진쎄미켐 선광 제이에스티나 지더블유바이텍 클라우드에어 한국팩키지 삼지전자 우리엔터프라이즈 대원제약 한국가스공사 네패스 인지디스플레 위지트 유니셈 유성티엔에스 코리아나 SCI평가정보 골드앤에스 서울전자통신 대성창투 예림당 미래아이앤지 CJ ENM 이지홀딩스 기산텔레콤 화천기공 팜스코 케이티앤지 HD한국조선해양 디씨엠 바른손이앤에이 솔본 시공테크 신일제약 조아제약 AK홀딩스 HS애드 대한유화 백산 체시스 인성정보 그래디언트 동국산업 매일홀딩스 해성산업 자화전자 케이티 하이트론씨스템즈 제일기획 한국정보통신 파라텍 동성화인텍 스틱인베스트먼트 케이씨 드래곤플라이 엠케이전자 엠투엔 제이씨현시스템 포스코엠텍 스페코 좋은사람들 대원화성 모아텍 코웰패션 코콤 E1 SK가스 다우기술 영보화학 제룡전기 제이엠아이 디지틀조선 바이온 와이지-원 특수건설 아이즈비전 SKC 동일기연 소프트센 원익 원풍물산 웰바이오텍 한국주강 삼진 더라미 비트컴퓨터 엠젠솔루션 판타지오 덕양산업 에쓰씨엔지니어링 인지컨트롤스 유비케어 피델릭스 TJ미디어 휴맥스홀딩스 삼일 경동인베스트 뉴인텍 에스제이엠홀딩스 오스템 콤텍시스템 에스유홀딩스 피에스케이홀딩스 SK하이닉스 MH에탄올 국동 동남합성 삼성E&A 신도리코 예스코홀딩스 퍼시스 세보엠이씨 한일단조 WISCOM 동원수산 미래산업 다올투자증권 양지사 HDC 광전자 한국단자공업 원익홀딩스 한글과컴퓨터 메이슨캐피탈 광무 대호특수강 디아이 신성이엔지 티에이치엔 한온시스템 HLB 팜스토리 세원정공 영풍제지 유니온 키다리스튜디오 한국제지 한섬 현대엘리베이터 환인제약 삼보판지 삼목에스폼 에이스침대 원익큐브 계룡건설산업 서원 에스원 태경산업 리드코프 유니슨 아난티 광진실업 인터엠 신대양제지 와이투솔루션 남해화학 동원금속 성안머티리얼스 성우하이텍 대신정보통신 서부T&D HMM 경인양행 풀무원 서울도시가스 이구산업 동신건설 동화기업 에넥스 에이프로젠 제이준코스메틱 한국카본 신라에스지 케이씨피드 한탑 한국선재 DH오토웨어 시노펙스 PN풍년 삼천리자전거 메디앙스 KBI메탈 경창산업 대륙제관 동원개발 세원물산 이화전기 케이피에프 KPX케미칼 TP 에스엠벡셀 KB오토시스 신원종합개발 흥구석유 대한약품 이화공영 풍국주정 대림제지 대한광통신 동일철강 플레이위드 한국캐피탈 한일사료 KC그린홀딩스 문배철강 웅진 모베이스전자 CNH 국영지앤엠 유진기업 제이스코홀딩스 보성파워텍 브이티 태광 HL D&I 오뚜기 일정실업 와이엠 엘에스일렉트릭 신라섬유 원일특강 서한 대양금속 이화산업 동원시스템즈 바른손 부방 삼성중공업 모토닉 화신 대명소노시즌 CBI 대양제지 유니크 진로발효 삼보산업 푸드웰 푸른저축은행 피제이전자 베뉴지 엠에스씨 삼화페인트공업 경동나비엔 대동금속 광림 대원산업 큐캐피탈 한국가구 디모아 중앙에너비스 DB SGC에너지 삼륭물산 대림비앤코 경동제약 원풍 네이처셀 삼일기업공사 일지테크 한일화학 한국알콜 대주산업 글로본 대한해운 세명전기 휴니드테크놀러지스 수산중공업 에이티넘인베스트 롯데케미칼 대동기어 세아베스틸지주 호텔신라 태경비케이 화승코퍼레이션 신흥 화승인더스트리 극동유화 고려산업 피에스텍 대현 케이비아이동국실업 광명전기 부산산업 STX 고려아연 이렘 청호ICT 팜젠사이언스 무림페이퍼 현대차증권 금비 대동전자 원림 서흥 성문전자 HLB글로벌 일진홀딩스 대영포장 영화금속 신풍제약 동성제약 카스 아센디오 한올바이오파마 하이록코리아 유니켐 대창 국보 일성건설 까뮤이앤씨 보락 선도전기 씨아이테크 광동제약 갤럭시아에스엠 남성 KISCO홀딩스 태영건설 한국특강 한솔로지스틱스 삼양통상 SK텔레콤 진양폴리우레탄 미창석유공업 삼익THK 미원상사 서연 SBI인베스트먼트 세우글로벌 현대모비스 KG케미칼 대우부품 현대해상 현대지에프홀딩스 한국전력공사 국도화학 녹십자 SIMPAC 윌비스 대창단조 사조산업 한익스프레스 사조동아원 경인전자 무림P&P 인디에프 한솔피엔에스 디와이 방림 KIB플러그에너지 한솔케미칼 퍼스텍 엠벤처투자 플루토스 동원산업 대덕 한성기업 모헨즈 이스타코 태림포장 아세아제지 화천기계 CJ씨푸드 SHD 조일알미늄 에스엘 영원무역홀딩스 더존비즈온 보령 이건산업 모나리자 대구백화점 우성 유성기업 한일철강 삼익악기 화성산업 DN오토모티브 보해양조 상상인증권 혜인 금강공업 플레이그램 율촌화학 신원 동방 한국쉘석유 부광약품 풍산홀딩스 부국증권 계양전기 한솔테크닉스 DB금융투자 한미사이언스 삼진제약 POSCO홀딩스 범양건영 파미셀 동국홀딩스 대원전선 이수화학 삼성증권 삼영무역 한양증권 금호석유화학 유안타증권 제일파마홀딩스 에이엔피 한창제지 넥센 삼성공조 세방전지 진원생명과학 참엔지니어링 한국무브넥스 코스모신소재 덕성 신영증권 유진증권 유화증권 한신기계공업 코스모화학 가온전선 S-Oi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화전자공업 현대제철 써니전자 현대비앤지스틸 사조오양 한화투자증권 삼화전기 SK증권 평화홀딩스 일신석재 KG스틸 아이에스동서 SH에너지화학 대한화섬 코리아써키트 신세계 OCI홀딩스 삼일제약 인스코비 일성아이에스 현대건설 TCC스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F&F 홀딩스 아남전자 HD현대미포 GS건설 삼아알미늄 한국전자홀딩스 삼성SDI 삼성전기 동부건설 케이씨티시 코오롱글로벌 빙그레 녹십자홀딩스 시알홀딩스 현대약품 남양유업 남선알미늄 한국화장품제조 현대코퍼레이션 LS SK네트웍스 경농 티웨이홀딩스 동방아그로 송원산업 진흥기업 한국석유공업 천일고속 대원강업 만호제강 조광피혁 세방 동양철관 대유에이텍 남광토건 삼영전자공업 신영와코루 오리엔트바이오 조비 한국공항 조광페인트 삼천리 성보화학 조흥 금양 사조대림 비비안 SNT다이내믹스 한신공영 농심 삼영 성신양회 신라교역 신풍 종근당홀딩스 크라운해태홀딩스 한독 SG글로벌 SK디스커버리 샘표 흥아해운 GS글로벌 금호건설 삼부토건 삼화콘덴서공업 페이퍼코리아 동양 한화 JW중외제약 영풍 백광산업 성창기업지주 한창 삼화왕관 KR모터스 고려제강 태양금속공업 SUN&L DRB동일 넥센타이어 SG세계물산 롯데정밀화학 동화약품 DL LX인터내셔널 국제약품 태광산업 부산주공 한일현대시멘트 CS홀딩스 신성통상 DB하이텍 대림통상 유유제약 강남제비스코 대신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일전자 삼성제약 삼성화재해상보험 삼양식품 한화손해보험 NI스틸 일동홀딩스 대동 오리온홀딩스 깨끗한나라 태원물산 코오롱 삼성전자 대유플러스 BYC KG모빌리티 쌍용씨앤이 SPC삼립 흥국화재 일양약품 한진 한국수출포장공업 현대자동차 모나미 한화솔루션 아세아 카프로 롯데지주 대한방직 서울식품공업 아이에이치큐 LS네트웍스 금호전기 하이트진로홀딩스 노루홀딩스 기아 효성 CJ 두산 휴스틸 DB손해보험 TYM 대웅 진양산업 영진약품 케이씨씨 롯데칠성음료 일신방직 아모레퍼시픽그룹 제주은행 한솔홀딩스 벽산 롯데손해보험 대한제분 대상 LG 동아쏘시오홀딩스 코리안리 한국주철관공업 한일홀딩스 엔피씨 세아제강지주 대한전선 대한제당 삼양홀딩스 세기상사 한국앤컴퍼니 전방 대한항공 디아이동일 유한양행 CJ대한통운 경방 유수홀딩스 한진중공업홀딩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 엘에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9 |
---|---|
LG이노텍 엘지이노텍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9 |
두산밥캣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
SK바이오팜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
HD현대마린솔루션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증권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