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삼성에스디에스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분 기 보 고 서
(제 40 기 1분기)
사업연도 | 2024년 01월 01일 | 부터 |
2024년 03월 31일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4년 5월 16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주권상장법인 |
면제사유발생 : | 해당사항 없음 |
회 사 명 : | 삼성에스디에스(주) |
대 표 이 사 : | 황 성 우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5길 125 (신천동) |
(전 화) 02-6155-3114 | |
(홈페이지) http://www.samsungsds.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실장 (성 명) 안 정 태 |
(전 화) 02-6155-5114 | |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24.1q 대표이사등의 확인서명 |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회사의 개요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2. 회사의 연혁
회사의 연혁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3. 자본금 변동사항
자본금 변동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4. 주식의 총수 등
주식의 총수 등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5. 정관에 관한 사항
정관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와 연결종속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주된 사업은 IT서비스와 물류의 2개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IT서비스 부문
당사는 IT기술역량을 활용하여 고객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I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공하는 IT서비스는 크게 클라우드 서비스, SI, ITO로 구분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기업 고객에게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부터 마이그레이션, 효율적인 통합 운영까지 End-to-End IT 서비스를 클라우드 위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Samsung Cloud Platform), 다양한 클라우드 전환/운영 경험과 업종 전문성, IT기술을 바탕으로 기업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Enterprise Cloud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다양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통합 운영하여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최근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과 솔루션을 삼성SDS의 클라우드 위에서 제공하여 고객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SI는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IT 신기술과 차별화된 업종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하고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엔터프라이즈솔루션 제공 사업으로 기업경영에 필수적인 ERP, SCM, CRM 등 업무시스템과 팩토리솔루션, 블록체인, 데이터분석플랫폼 등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IT 서비스 구축 및 관련 컨설팅 등을 제공합니다.
ITO는 업종전문성과 디지털 IT역량을 기반으로 고객 접점에서 고객의 IT혁신을 선도하고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IT 아웃소싱 서비스입니다. 40년 가까이 축적된 IT운영 노하우와 전기 /전자, 기계 /부품, EPC /건설, 화학 /에너지, 유통 / 서비스에 이르는 다양한 업종의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가치를 높입니다.
당사는 클라우드 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클라우드 기술력 강화와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인도, 베트남, 중국에 위치한 글로벌 개발센터 활용과 ITO Off-site 운영 등 원격근무방식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과 업무의 전문성 강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미래 클라우드를 대비한 업무 방식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 관계사를 대상으로 ERP(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MES(생산관리시스템) 등 팩토리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삼성 관계사의 IT서비스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서비스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보안 체계를 바탕으로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 관계사의 IT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는 한편, 대외 시장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 물류 부문
물류사업은 자체 개발한 물류 통합관리 플랫폼 Cello와 디지털 물류 플랫폼 Cello Square를 통해 글로벌 물류 전 영역에 걸친 종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제운송, 내륙운송, 물류센터 운영, 이커머스, 프로젝트 물류까지 전 영역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 맞춤형 물류 컨설팅과 IT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차별화된 물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 세계 36개국, 300여개 사이트, 6,000여명의 물류 전문가, 글로벌 5,300여개의 물류 파트너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물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당사는 2021년부터 Cello Square 기반으로 디지털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ello Square는 고객이 견적부터 예약, 운송, 트래킹, 정산까지 모든 물류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입니다. 한국, 중국, 동남아 등 수출 국가를 시작으로 서비스를 개시하였고, 미국, 유럽 등 수입 국가로 글로벌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삼성 관계사이며, 한국 및 글로벌 기업고객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품목매출액2024년 1분기(제40기)2023년 1분기(제39기)2023년(제39기)2022년(제38기)
IT서비스 | 클라우드 | 530,776 (16.3%) |
409,911 (12.0%) |
1,880,680 (14.2%) |
1,162,676 (6.7%) |
SI | 288,160 (8.9%) |
286,974 (8.5%) |
1,151,394 (8.7%) |
1,483,889 (8.6%) |
|
ITO | 734,664 (22.6%) |
773,008 (22.7%) |
3,073,782 (23.1%) |
3,321,629 (19.3%) |
|
소계 | 1,553,600 (47.8%) |
1,469,893 (43.2%) |
6,105,856 (46.0%) |
5,968,194 (34.6%) |
|
물류 | 1,693,668 (52.2%) |
1,931,030 (56.8%) |
7,170,988 (54.0%) |
11,266,556 (65.4%) |
|
합계 | 3,247,268 (100.0%) |
3,400,923 (100.0%) |
13,276,844 (100.0%) |
17,234,750 (100.0%) |
(1) IT서비스 사업
(가) 클라우드 사업
클라우드 사업은 기업향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CSP(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기반의 컨설팅부터 구축, 운영까지 전 과정의 IT서비스를 제공하는 MSP(Managed Service Provider)와 삼성SDS가 개발하고 글로벌 기업을 통해 검증한 자체 SaaS 솔루션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시스템에 생성형 AI 결합을 가속화하는 플랫폼인 FabriX(패브릭스)와 SaaS의 협업 솔루션에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Brity Copilot(브리티 코파일럿)을 제공합니다.
① CSP서비스
기업고객의 IT 설비 소유비용 절감과 Business Agility의 확보를 위한 원격 근무환경에 대한 수요가 커져가는 가운데, 당사는 고객이 필요한 IT 자원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T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Samsung Cloud Platform)을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특성에 따라 고성능, 고가용성 클라우드부터 사용하기 편리한 범용적인 클라우드까지 외부의 위협이나 보안 걱정없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를 안정적으로 제공합니다.
구분서비스현황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
기업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범용성 높은 클라우드로 고객의 다양한 업종 및 기업 업무 특성을 수용하고 편리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클라우드 |
공공 특화 클라우드 |
정부기관의 업무 혁신을 위하여 안정성이 검증된 클라우드 서비스로, 대국민 서비스 및 공공 업무에 최적화 |
금융 특화 클라우드 |
금융보안원 주관 CSP 안전성평가 전 항목을 충족하는 금융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로, 금융 디지털 서비스 혁신에 최적화 |
② MSP 서비스
당사는 고객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구축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비스, 사용량 기반의 SaaS(Software as a Service) 구축 서비스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분서비스현황
클라우드 전환/구축 |
다양한 업종 경험과 운영노하우, 클라우드 전문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업무 특성에 맞추어 최적의 클라우드를 선정, 전환, 운영하는 서비스로, 기존의 구축형 IT 인프라를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마이그레이션을 수행 |
SaaS 구축 | CRM, SCM, HRM 등 기업의 프로세스를 표준화한 클라우드 기반의 글로벌 SaaS 솔루션을 기업의 비즈니스 요구에 적합하게 설계 및 개발하여 적용하는 서비스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운영 |
컨테이너, DevOps, MSA 기술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운용하는 클라우드 환경 구성을 통해 당사와 글로벌 CSP가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하에서 개발부터, 테스트, 배포까지 자동화하여 유연하고 안정적인 통합 운영 서비스를 제공 |
③ 엔터프라이즈 SaaS 서비스
당사는 기업의 업무혁신부터 프로세스 혁신, 신기술 기반 플랫폼까지 다양한 기업향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과 수많은 기업들에서 검증된 기업향 솔루션을 엔터프라이즈 SaaS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Cloud 기반의 Brity Works(메일, 메신저, 미팅 등), Cloud EMM(Enterprise Mobility Management)과 같은 업무혁신 솔루션, 고객의 프로세스 혁신을 도와주는 Nexprime SCM(공급망 최적화 솔루션), HCM(인사 솔루션), 그리고 AI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Brightics로 기업의 비즈니스 혁신과 현대화를 지원합니다. '23년 2분기에 SRM(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국내 1위 기업인 엠로의 지분 인수를 완료하였으며, Nexprime 기반의 통합 SCM 솔루션을 확보하였습니다.
(나) SI
① 솔루션서비스
당사는 다양한 산업의 고객을 대상으로 IT서비스를 제공하며 확보한 업종 전문성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팩토리솔루션, 업무자동화 솔루션, 블록체인, AI/애널리틱스,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 자체 솔루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제조, 공공, 금융, 의료 분야 고객에게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솔루션솔루션 내용
팩토리솔루션 | 설비보전부터 공정제어, 품질검사 및 자재물류까지 전체 제조 공정 최적화를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 지능화하는 제조 솔루션 |
Brity RPA | 기업의 Workplace Digitalization을 위한 AI 기반의 대화형 업무 업무자동화 솔루션 *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
Nexledger (블록체인) |
금융, 제조, 유통 등 산업 전반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
EMS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서비스) |
생체 인증으로 강화된 모바일 보안과 차세대 보안 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보호와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모바일 업무 환경 지원과 기업 보안 강화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솔루션 (구축형 서비스) |
Brightics IoT (사물인터넷) |
IoT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관리하고 분석하는 플랫폼 |
② 업무시스템 구축 서비스
당사는 회사운영에 필요한 기업의 경영관리, 고객관리, 마케팅 등 업무전반에 걸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I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의 선진적인 시스템 구축경험과 솔루션을 기반으로 고객의 비즈니스를 지원합니다.
구분사업 내용
ERP | 인사, 영업, 자재/구매, 생산, 물류, 재무/회계 등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구축 서비스 |
BI/CRM | 경영정보 통합 및 데이터 기반 분석시스템 구축 서비스(BI) 마케팅/판매/서비스의 고객관리시스템 구축 서비스(CRM) |
③ IT컨설팅 서비스
기업의 IT시스템과 이와 관련된 업무프로세스를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등 정보화 전략 수립을 하는 컨설팅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 ITO 사업
당사가 제공하는 ITO 사업은 크게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 서비스와 데이터센터 인프라 서비스 운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① 애플리케이션 아웃소싱서비스
당사는 고객의 IT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자원(인력, SW)을 제공하고, IT 운영 노하우와 표준화된 관리 체계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정보자원 운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삼성 그룹 관계사별로 분산된 IT운영업무를 업종/솔루션/기능별로 통합운영하는 IT Shared Service를 도입하여 IT 조직 및 자원을 공통으로 활용하는 한편 운영업무 표준화 및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통해 기술분야별 최적화와 업무효율성 향상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② 데이터센터 인프라 서비스
당사는 고객의 비즈니스 가치 창출을 위해 활용되는 IT자원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보안)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인프라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크게 다음의 3가지 서비스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구분서비스현황
데이터센터 | IT인프라 운영에 적합한 전용 건물에 이중화된 기반설비(전기, 공조 등)를 갖추고 정보시스템을 고객 요구 수준에 맞게 체계적으로 구축, 운영 관리하는 서비스 |
네트워크 | 국내외에 있는 기업 본사와 지점 또는 관계사간에 안정적인 유무선 통신회선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이에 수반되는 통신장비의 고품질 운영 및 관리 서비스 |
보안 | 외부의 침입과 위협으로부터 기업의 정보자산을 보호하고, 내부 IT인프라를 통한 정보자산의 손실 및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서비스 |
(2) 물류 사업
당사는 2011년 이후, 해외 종속회사를 중심으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SCM컨설팅 역량을 바탕으로 계획과 실행간의 연계를 통해 원가절감, 물류 가시성 제고, 효율증대 등의 가치창출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종합 물류 서비스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이후 Cello Square를 기반으로 디지털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비스 지역을 한국, 중국 등 수출 국가에서 미국, 유럽 등 수입 국가로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Cello Square는 견적 - 예약 - 운송 - 트래킹 - 정산까지 단일 플랫폼으로 제공하여 기업 고객이 직접 신속하고 간편하게 물류 정보를 확인 및 처리하도록 지원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 및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용역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당사는 IT서비스(클라우드, SI, ITO) 및 물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주로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이동전화 서비스나 패키지 소프트웨어처럼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서비스가 아니라 고객의 상황과 요구사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통상 고객에게 받는 매출은 투입되는 원가에 일정 마진을 가산하여 제안한 후 고객과 협의를 통해 가격을 확정하기 때문에 사업별 가격을 테이블 형태로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서비스는 단위 가격을 정의하기가 어려우므로 기간별로 비교할 수는 없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매입현황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매입유형품 목구체적용도매입액(비율)비 고(매입처)
전사 | 상품 | 전산장비 外 | 상품매출 | 71,855 (14.9%) | 한국오라클, 아마존웹서비시즈코리아, 시스코시스템즈코리아 등 |
원부재료 | 전산장비 外 | 프로젝트 투입 원부재료 | 120,627 (24.9%) | ||
외주비 | 외주용역비 | 외주용역비 | 291,611 (60.2%) | ||
계 | 484,093 (100.0%) | - |
※ 주요 매입처 중 당사와 특수관계에 있는 매입처는 없습니다.
나.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사업특성상 상품원재료 구매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특정 서버의 공급에 대한 구매 등이 원재료 계정에 포함됩니다. 또한 IT서비스 사업의 특성상 고객의 요청 및 규모에 따라서 서버의 사양, 소프트웨어의 License 구입 등이 다양화 되어 있으며, IT서비스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IT 장비, 소프트웨어 및 기술인력 등 광범위한 상품과 용역을 고객 요청에 따라 매 프로젝트마다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상 기간에 따른 원재료의 가격 변동 추이 계산 및 단순비교는 어렵습니다.
다. 생산자원
당사가 영위하는 IT서비스업 및 물류사업 특성상 생산자원은 인적자원이 주로 해당됩니다. 2024년 3월말 현재 인원현황은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포함하여 총 25,640명이며, 그 중 IT서비스 부문 인력은 16,931명, 물류 부문 인력은 5,084명 입니다.
라. 영업 설비의 현황 등
(1) 현황
당사는 기업 대상 데이터센터 및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내에 5개 센터 및 11개
통신거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 상암, 수원, 춘천, 동탄센터는 당사 소유 센터이며, 구미센터 및 11개 통신거점은 임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5개 센터 및 11개 통신거점에는 기업고객 대상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 기계장치를투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암센터는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금융관계사 및 호텔신라 등 서비스 관계사의 주요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고, 수원센터는 삼성전자, 삼성전기 등 전자관계사의 핵심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춘천센터는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금융관계사의 주요 시스템 백업센터로 활용중 입니다. 동탄 데이터센터는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전용 데이터센터로서 R&D, AI 및 Simulation 등 고성능 컴퓨팅 수요를 담당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로부터 임차하여 사용하고 있는 구미센터는 삼성전자 및 일부 제조관계사의주요 시스템 백업센터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데이터센터는 모두 Tier 3급 수준의 안정성을 보유하여 국내외 최고 수준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시설 및 설비는 토지, 건물, 기계장치, 건설중인자산 등이 있으며, 2024년 1분기말 현재 장부가액은 1조 6,885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341억원 증가하였습니다. 2024년 1분기 신규취득은 1,066억원이며, 감가상각비는 743억원입니다.
[자산항목 : 주요 토지 및 건물] | (단위 : 백만원) |
사업소소유형태소재지구분기초장부가액당기증감당기상각 등기말장부가액시가증가감소
상암 데이터센터 | 자가 |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60길 24 | 토지 및 건물 | 310,554 | - | - | 2,183 | 308,371 | 152,049 |
수원 데이터센터 | 자가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68번길 10 | 토지 및 건물 | 217,342 | 608 | - | 1,803 | 216,147 | 74,853 |
춘천 데이터센터 | 자가 | 강원도 춘천시 옛경춘로 409-14 | 토지 및 건물 | 87,577 | - | - | 530 | 87,047 | 19,882 |
동탄 데이터센터 | 자가 | 경기도 화성시 송동 681-269 | 토지 및 건물 | 147,222 | - | - | 801 | 146,421 | 60,003 |
합 계 | 762,695 | 608 | - | 5,317 | 757,986 | 306,787 |
※ 시가와 관련하여 토지는 공시지가, 건물은 지방세 과세시가표준액을
이용하였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토지건물기계장치건설중인자산기타계
기 초 |
기초장부가액 | 118,639 | 661,283 | 794,186 | 30,385 | 49,926 | 1,654,419 |
취득원가 | 118,639 | 822,451 | 2,231,908 | 30,385 | 200,487 | 3,403,870 | |
감가상각누계액 (손상차손누계액 포함) |
- | (161,168) | (1,437,722) | - | (150,561) | (1,749,451) | |
증 감 |
일반취득 및 자본적지출 | - | 608 | 74,180 | 30,805 | 967 | 106,560 |
대체 | - | - | 127 | (872) | 315 | (430) | |
감가상각 | - | (5,430) | (63,522) | - | (5,378) | (74,330) | |
처분/폐기/손상 | - | - | (91) | - | (287) | (378) | |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 - | - | - | - | - | - | |
기타 | - | - | 2,606 | 4 | 74 | 2,684 | |
기 말 |
기말장부가액 | 118,639 | 656,461 | 807,486 | 60,322 | 45,617 | 1,688,525 |
취득원가 | 118,639 | 823,059 | 2,307,975 | 60,322 | 204,114 | 3,514,109 | |
감가상각누계액 (손상차손누계액 포함) |
- | (166,598) | (1,500,489) | - | (158,497) | (1,825,584) |
※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시가는 객관적인 시가판단이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 상기 금액은 연결기준입니다.
(2) 설비의 신설, 매입계획 등
시설투자는 고객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매출과 연동되는 임대용 투자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전 구축하는 인프라 투자로 구성됩니다.
당사는 매출 증가와 성장 기반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환경에 따라 신중히 검토하여 집행할 예정이며, 급증하는 고성능 컴퓨팅 수요에 따라동탄 데이터센터를 신축하여 고객의 클라우드 수요에 대응하고 데이터센터 사업의 지속적 성장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단위 : 억원) |
투자기간투자자산총 투자예상액기 투자액(당기분)비고
2019년 ~ 2027년 | 동탄 데이터센터 | 2,684 | 2,122 (295) |
- |
2022년 ~ 2024년 | 수원 데이터센터 | 318 | 318 (6) |
- |
※ 향후 계획에 따라 투자기간 및 총 투자예상액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2024년 1분기 매출은 3조 2,4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매출유형품 목제40기 1분기제39기 1분기제39기제38기
IT서비스 | 상품/용역 | 클라우드, SI, ITO | 1,553,600 | 1,469,893 | 6,105,856 | 5,968,194 |
물류 | 상품/용역 | 물류 서비스 | 1,693,668 | 1,931,030 | 7,170,988 | 11,266,556 |
합 계 | 3,247,268 | 3,400,923 | 13,276,844 | 17,234,750 |
- 지역별 매출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제40기 1분기제39기 1분기제39기제38기
국내 | 1.261,159 | 1,171,354 | 4,838,317 | 4,944,707 |
미주 | 811,259 | 945,681 | 3,630,930 | 4,600,705 |
중국 | 221,483 | 249,804 | 956,669 | 1,662,566 |
유럽 | 382,246 | 459,071 | 1,689,692 | 2,036,738 |
아시아 및 아프리카(국내 및 중국 제외) | 571,121 | 575,013 | 2,161,236 | 3,990,034 |
합 계 | 3,247,268 | 3,400,923 | 13,276,844 | 17,234,750 |
※ 연결 기준 매출액을 지역별로 구분하였으며, 국내 매출은 내수, 국외 매출은
수출에 해당합니다.
나. 판매경로, 판매방법, 판매전략 및 주요 매출처
(1) 판매경로
당사는 국내/외 대부분의 사업에서 고객에게 직접 상품 또는 용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및 각 법인별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판매방법 및 조건
당사는 주관사업자 또는 참여사업자로서 고객에게 상품 또는 용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신규사업 발굴 및 해외시장의 개척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차별화된 선진 IT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만족도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4) 주요 매출처
2024년 1분기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및 삼성전자의 종속회사이며, 당사의
주요 매출처에 대한 매출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66.9% 입니다.
다. 수주상황
(단위 : 억원) |
품목수주일자납기수주총액기납품액수주잔고수량금액수량금액수량금액
시스템구축 및 운영/유지보수 | - | - | - | 23,378 | - | 13,892 | - | 9,486 |
합 계 | - | 23,378 | - | 13,892 | - | 9,486 |
※ 2024년 3월말 현재 진행 중인 본사의 SI 프로젝트의 수주총액 및 잔고이며,
수주업이 아닌 ITO, 클라우드 서비스와 물류사업은 제외하였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시장위험은 다시 환율변동위험, 이자율변동위험과 지분증권 및 출자지분에 대한 시장가치의 변동위험등으로 구분됨). 당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 정책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글로벌 재무위험 관리정책을 수립하여 재무위험의 측정, 평가, 헷지 등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당사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1) 환율변동위험
당사는 글로벌 영업활동을 수행함에 따라(표시통화와 다른) 외화 수입, 지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포지션이 발생합니다. 주요 외화로는 USD, EUR, GBP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환위험이 최소화 되도록 사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수출입 등의 경상거래 및 자본거래(예금, 차입)시 현지통화 거래 우선 시행 및 입출금 통화 매칭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환포지션 발생을 억제하고, 불가피하게 발생한 환포지션에 대해서는 사전에 규정된 절차 및 규정에 따라 환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환위험 관리 규정에는 환위험의 정의, 측정주기, 관리주체, 관리절차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외환거래는 경상거래와 관련된 건으로 엄격하게 제한 및 투기적 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환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당사의 환위험(순외화 자산: 외화자산-외화부채)을 월단위로 모니터링,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2) 주가변동 위험
당사는 전략적 목적 등으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및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지분상품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수단을 이용하여 투자하고 있습니다.
(3) 이자율 위험
당사는 가격시장금리 변동으로 인한 재무상태표 항목의 가치변동(공정가치) 위험 또는 투자위험에서 비롯한 투자 및 재무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자수익, 비용의 현금흐름의 변동 등의 이자율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이자율 변동위험은 주로 이자수취 자산에의 투자, 예금 및 변동금리부 차입금에서 비롯됩니다. 당사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금융비용 위험의 최소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운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역 및 글로벌 자금공유 체제를 구축하고 외부차입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주기적인 금리동향 모니터링 및 대응방안 수립을 통해 이자율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당사의 통상적인 거래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하며 고객 또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상 의무사항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당사는 고객과 거래상대방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및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재무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고객과 거래상대방 각각에 대한신용한도를 설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거래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각종 예금 그리고 파생금융상품 등의 금융상품 거래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당사는 국제 신용등급이 높은 은행들에 대해서만 거래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거래는 별도의 승인, 관리, 감독 하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 유동성 위험
당사는 대규모 투자가 많은 사업의 특성상 적정 유동성의 유지가 중요합니다. 당사는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필요 현금수준 추정 및 자금수지 관리 등을 통하여 적정 유동성을 유지하며, 계획대비 실적 관리를 통하여 유동성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필요로 하는 현금성자산 등 운전자본 필요액을 추정 및 관리하고 있으며 일정기준 이상의 은행에 자금을 예치 및 조달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유동성 위험에 대비하여 당사는 무역금융 및 당좌차월 한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시설투자의 경우에는 내부유보 자금이나 장기차입을 통하여 조달기간을 매치시켜 관리하고 있습니다.
라. 자본위험관리
당사의 자본관리목적은 건전한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데 있습니다. 당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자본위험관리 정책은 전기와 변동이 없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분제 40 기 1분기(2024년 3월말)제 39 기(2023년 12월말)
부채 | 3,413,655,497 | 3,345,453,419 |
자본 | 9,043,683,124 | 8,975,571,142 |
부채비율 | 37.75% | 37.27% |
마.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해당사항 없음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당사의 연구소는 창의와 혁신을 기반으로 핵심기술과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가. 연구개발 담당조직
연구개발본부담당조직비 고
연구소 | XTerra Lab | 데이터 분석, AI, 보안, 클라우드, 분산컴퓨팅 기술 등의 분야 핵심 기술 연구 |
AI연구팀 | Gen.AI 서비스 및 Hyper Automation 사업을 위한 핵심 모델 경쟁력 강화 및 사업에 활용 할 수 있는 모델 연구 |
|
클라우드연구팀 | 클라우드 기반 AI플랫폼 연구개발, SDS클라우드 사업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개발 클라우드 기반 HPC 플랫폼 연구개발,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기술연구 |
|
보안연구팀 | 암호기술 및 SW보안기술 연구개발 | |
기술전략팀 | 기술전략 수립 및 실행, 특허 출원 및 관리 |
나.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
과 목제40기 1분기제 39기 1분기제39기제38기
연구개발비용 총계 | 48,561,126 | 40,829,701 | 184,604,961 | 200,555,467 | |
(정부보조금) | - | (16,551) | (16,551) | (2,050,667) | |
연구개발비용 계 | 48,561,126 | 40,813,150 | 184,588,410 | 198,504,800 | |
회계처리 | 개발비 자산화(무형자산) | 2,601,800 | 345,040 | 2,128,560 | 26,472,457 |
연구개발비(비용) | 45,959,326 | 40,468,110 | 182,459,850 | 172,032,343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총계÷당기매출액×100] |
1.50% | 1.20% | 1.39% | 1.16% |
※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 비율은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
으로 산정하였습니다.
다. 연구분야
당사의 연구소에서는 혁신적 신기술의 등장과 지속적인 사업효율화의 요구가 공존하는 현재의 기업환경에서 고객의 사업을 변화시킬 수 있는 주요기술 트렌드를 기반으로 영역별로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핵심응용기술을 응용하여 고객의 비즈니스 변화를이끌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AI
- 엔터프라이즈 생성형 AI 솔루션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기반한
대화형(자연어 대화 기반 요청 기능 수행), 시각형(이미지, 영상분석을 통한
개체 인식, 장면이해 등), 프로그램형(코드 검색, 코드 생성 등) AI요소기술
및 강화학습 기술 연구
□ Cloud
- IT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확대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술 경쟁력
향상을 위한 최적의 아키텍처 제공 및 클라우드 기반, AI 작업 수행 및
고성능 컴퓨팅(HPC) 제공을 위한 기술을 연구
□ Security
- 다양한 디바이스, 다양한 통신환경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생체인식, 이상행위기반 탐지, 통신구간의 정보유출
방지 기술 등 다양한 방식의 보안 기술을 연구
라. 연구개발실적
2024년 1분기 중 완료되거나 진행중인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중분류연구과제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AI | AI알고리즘 연구 | Cognitive Search 고도화 | Context-aware chunking, LLM Knowledge distillation for reranking, Query transformation 등 RAG 정확도 개선을 위한 요소 기술 개발 |
Self-reflective RAG 기술 개발 | RAG 정확도 개선을 위해 검색여부, 검색결과의 정합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Critic model 연구 개발 | ||
Vector DB에서의 Boosting retriever 연구 | 사용자 질의에 따라 풍부한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요소들을 파라미터화하여 검색 자유도 및 확장성 제고 | ||
Hallucination Detection | Prompt generation model을 활용하여 LLM이 생성한 답변의 Hallucination을 판단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확보 | ||
Graph RAG 기능 및 방향성 검증 | 기존 Graph RAG 방법론을 검토하고, 벤치마크 및 사내 KG 데이터 대상 실험을 통해 기존 기법들의 효용성 및 문제점 검증 | ||
강화학습을 이용한 양자 상태 추정 회로 최적화 | 양자 머신러닝을 이용한 에너지 구조 분석 | ||
Unsupervised Accuracy Estimation | 학습된 AI 모델을 타겟 사이트에 적용할 때, 레이블(label) 없는 타겟 데이터에 대한 모델 예측의 정확도를 추정하는 기술 연구. 이미지 분류 모델에서 영역분할 모델로 확장하고 MLOps향 튜토리얼 개발. |
||
경량 모델 아키텍쳐 연구 | AI 모델 초경량화 방법론 및 경량 구조에 맞는 학습 방법 연구 | ||
로그기반 인증 이상행위 탐지 기술 | 사용자의 인증 패턴을 학습하여 비정상적인 인증 시도를 탐지하는 AI이상탐지 기술 확보를 통한 SingleID 상품경쟁력 강화 | ||
Prompt Filtering 기술 | LLM에 입력하는 사용자 프롬프트 내 기밀 정보 및 민감 정보를 자동 탐지하는 기술 | ||
Code Search 기술 | 코드 임베딩 벡터 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입력된 코드 블록과 유사한 코드 블록을 자동으로 추천하는 기술 | ||
Code Generation 기술 | 자연어 형태로 입력된 코드 설명으로부터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기술 | ||
Code Defect Prediction 기술 | 코드 변경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코드 결함이 발생할 확률을 예측하는 기술 | ||
서비스 운영 장애 예측 기술 | 서비스 운영 상에 축적되는 Trace, Metric 등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를기반으로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장애 원인이 되는 마이크로 서비스(Container)를 추론하는 기술 |
||
Advanced Preference Learning 연구 | LLM을 대상으로 하여 모델의 Instruction Following 능력을 강화시키는 연구 | ||
Efficient RLHF for 한글 LLM | 한국어 LLM에 RL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모델 성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RL Method를 연구 | ||
멀티모달 연구 | 다중페이지 복합문서 임베딩 기술 개발 | 복잡한 형태의 문서 파일들을 다루기 위한 다중페이지, 복합문서의 문서 임베딩 기술 개발 | |
Image Captioning for enhancing VQA | Image Captioning 모델 확보를 통한 multimodal foundation model 학습데이터 고도화 및 text-rich한 image 대상 visual question answering 분석 성능 향상 |
||
Multimodal Foundation Model for Document AI | 고해상도 Image 문서의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여 Visual Feature를 LLM에게 전달하기 위한 Multimodal Foundation Model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Universal Document 대상 QA Model을 구축 |
||
Table-VQA on Business document imag | Table-VQA를 위한 테이블 정보 추출 모델과 LLM 모델의 결합 방법 연구 | ||
AICR 문서 인식 지원 범위 확대 및 모델 고도화 | AICR 문서 분석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기존 기능 성능 고도화 및 모델 업그레이드 | ||
Cloud | Sky Computing 기술연구 | Sky Computing 기반 고속 데이터 전송기술에 SCP 적용 기능개발 | Sky Computing 기반 고속 데이터 전송기능(SkyPlane)에 SCP 지원을 위한 모듈 개발 및 Sky Computing 선도 연구 그룹과의 협업을 통해 해당 기술에 대한 역량을 확보 |
스토리지기술연구 | 이기종 Storage간 Volume 복제 기술 개발 | 사용자 환경 및 운영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Vendor의 Storage 간의 volume을 복제하는 기술 연구 | |
Cold Storage Automation 기술 개발 | 장기보관 데이터의 운영(Disk/Host 교체 작업 등)을 자동화 하여 서비스 운영 효율성을 향상하는 기술 연구 | ||
AI Platform 기술 | Heterogeneous GPU computing 기술 개발 | GPU Platform에서 거대모델 Training/Tuning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사용자 컨테이너 자동 생성 기술 개발 | |
Cloud 환경에서 LLM Serving 최적화 기술 개발 | 강화학습 기반 스케줄러의 성능을 개선하고 거대모델 학습 작업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Policy 확보 | ||
네트워크 기술연구 | 컨테이너 환경에서 N/W Traffic Control 기술 연구 | 네트워크 성능 개선을 위환 최적화된 Fine-tuned Network Traffic Control 기법을 연구 | |
고성능 Resource-Efficient LB 연구 | 단위 시간 당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oad balancing 기술 연구 | ||
네트워크 가상 스위치 성능 기술 연구 | 가상스위치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 연구 | ||
고성능컴퓨팅 기술연구 | GPU 기반 HPC 시뮬레이션 연구 | 클라우드향 HPC Workload 가속 플랫폼 개발 및 Implicit DGML 기반 시뮬레이션 엔진 확보 | |
Sky Computing 기술연구 | SkyPilot과 AirFlow 기반의 Multi-cloud ML pipelining 프레임워크 확보 | ||
LLM 추론가속 연구 | 하드웨어 기반의 LLM 추론 가속 기술 연구 | ||
Security | 시스템보안연구 | 테스트코드 자동생성기술 적용범위 확대 연구 | 테스트코드 생성 성공률 개선을 통한 테스트 커버리지 개선 |
SW테스팅을 위한 LLM기반 AI 기술 연구 | 자동생성된 테스트코드의 가독성 및 테스트 커버리지 개선 | ||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보안기술 연구 |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능 기반의 보안기술 연구 개발 | ||
이상탐지 기술 개발 | 시계열 데이터 대상 이상징후 탐지 모형 연구 | ||
데이터보안연구 | 양자내성암호 기술 개발 | 양자컴퓨팅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암호 기술 최적화 및 국내외 표준화 진행 | |
PQC Migration 기술 연구 | 양자컴퓨터 사용한 기존 암호화 체계 공격에 대비하고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전환을 위한 기술확보 | ||
Secure Multiparty Computation(SMPC) | 안전한 데이터결합을 위한 프라이버시보호 원천 기술 연구 |
마.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해당사항 없음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 재산권
글로벌 IT서비스 기업인 당사는 특허가 사업 경쟁력의 원천임을 인식하고, 미래를 한발 앞서 내다보는 서비스 제공과 고객의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지식 재산권 출원 및 등록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국가별 특허 등록 현황 (2024년 1분기 누적기준) >
(단위 : 건) |
한국미국중국일본기타합계
1,541 |
348 |
151 |
50 |
50 |
2,140 |
당사는 1999년 일본에서 최초로 해외특허를 등록 받은 이래 현재 세계적으로
총 2,14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 관련 특허 분쟁의 가능성에 효과적으로대응하고자 한국에 이어 주요 IP 강국을 중심으로 특허를 통한 기술 권리화를 수행 하고 있습니다.
< 연도별 특허 등록 현황 >
(단위 : 건) |
구분'24년'23년'22년'21년'20년'19년~'18년
한국 | 11 | 56 | 100 | 84 | 22 | 42 | 1,226 |
해외 | 8 | 63 | 53 | 48 | 40 | 28 | 359 |
주요 기술별 특허는 AI/Analytics 관련 약 9%, Security 관련 약 14%, Cloud/Blockchain 관련 약 10%, ICT Convergence 관련 약 27%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AI/Analytics 및 Cloud 기술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당사 특허 포트폴리오는 사업보호 역할뿐만 아니라, 유사 특허 난립방지 및 경쟁사 견제의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미래사업 진출을 대비한 선행특허 확보 활동을 통해 향후 신규사업 진출 시 사업 보호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주요 특허 현황 >
명칭내용근거법소요인력 및 시간
문장 특징 벡터를 임베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
종래 문장 특징 벡터 추출 네트워크 대비 구조적으로 경량화된 ALBERT(A Lite BERT) 기반의 특징 추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문장 특징 벡터를 추출함으로써, 특징 추출 네트워크의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리소스를 절약하는 기술 |
특허법 | 발명자 2인, 3개월 소요 |
대화방의 이전 채팅 이력을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대화방에 초대받은 사용자가 대화방의 이전 대화 내역을 조회할 수 있으며, 이전 대화 내역의 조회가 가능한 시작 시점을 제한할 수 있는, 대화방의 이전 대화 내역을 조회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공방법 |
특허법 | 발명자 5인, 4개월 소요 |
로그 기반 워크 플로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반복 작업을 찾아내고, 찾아낸 반복 작업이 어떤 작업인지를 사용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를 생성하는 방법 |
특허법 | 발명자 2인, 3개월 소요 |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통신 가능 경로 및 상기 각 통신 가능 경로에서의 하나 이상의 통신 허용 정책을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 |
특허법 | 발명자 3인, 3개월 소요 |
스토리지 관리 장치 및 방법 |
사용자는 스토리지 서비스를 통한 직접적인 조회 없이도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점에 스토리지 영역의 정보를 디렉토리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특허법 | 발명자 1인, 3개월 소요 |
데이터 보안 장치 및 방법 |
중복 암호화된 배포 대상 데이터를 1차 및 2차에 걸쳐 복호화함으로써, 의도된 환경 및 의도된 애플리케이션 하에서만 배포 대상 데이터의 암호 키에 접근하도록 허용하는 방법 |
특허법 | 발명자 5인, 5개월 소요 |
관심 영역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다수의 부분 이미지에서 정확하게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 방법 |
특허법 | 발명자 4인, 3개월 소요 |
※ 2024년에 등록한 특허 중 주요 특허를 기재하였습니다.
나. 환경관련 규제사항
당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 제5항에 따른 관리업체에 해당하여, 동법 제44조에 따라 정부에 보고하여야 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년도사업장명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ton)연간 에너지 소비량 (TJ)직접배출간접배출총량연료 사용량전기 사용량스팀 사용량총량
2021년 | 삼성에스디에스㈜ | 3,354 | 98,531 | 101,882 | 62 | 2,053 | 8 | 2,117 |
2022년 | 삼성에스디에스㈜ | 3,419 | 114,693 | 118,107 | 63 | 2,380 | 22 | 2,459 |
2023년 | 삼성에스디에스㈜ | 4,121 | 145,421 | 149,536 | 76 | 3,020 | 21 | 3,118 |
※ '23년 온실가스 배출량 명세서 제출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환경부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총량은 사업장 단위의 절사 배출량을 합한 값으로 직접배출과 간접배출의 합과
차이가 있습니다.
다. 사업부문별 현황
[산업의 특성]
(1) IT서비스 부문
IT서비스산업은 국가 경제/사회 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산업으로서, 통신서비스산업과 함께 지식정보화 사회의 발전 과정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IT 서비스 산업은 고급인력 중심의 지식기반사업으로서 제조업, 통신업 등 타 산업 대비 인력자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고용 창출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IT 서비스 산업은 타 산업부문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러한 산업간 융합을 통해 균형성장, 생산성 향상, 신제품 개발 및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효과를 감안할 때 서비스 산업은 타 산업 대비 부가가치 유발계수가 높아 전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2) 물류 부문
현행법(물류정책기본법)상 물류업은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보관·하역·관리 등의 제반 업무로 정의되고 있으며, 업계에서는 물류활동의 수행주체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습니다.
구분설명
1PL: 자가물류 (1st Party Logistics) |
사내 물류조직을 두고 자체적인 물류 업무 수행 |
2PL: 자회사물류 (2nd Party Logistics) |
사내 물류조직을 별도로 분리하여 자회사를 설립 후 모회사의 물류 업무담당 |
3PL: 제3자물류 (3rd Party Logistics) |
이해관계가 직접적으로 엮이지 않은 제3의 업체가 물류를 책임 운송 |
4PL: 제4자물류 (4th Party Logistics) |
물류서비스의 아웃소싱이 활성화됨에 따라 등장한 개념으로 3PL 회사가 SCM관리 및 솔루션 제공, 변화관리능력, 부가가치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모든 물류기능에 대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 |
이러한 가운데 선진국을 중심으로 물류전략의 고도화 필요성, 핵심역량 집중을 위한 아웃소싱 수요 증가, 물류비용 절감 니즈 등으로 인해 물류업무를 위탁/수행하는 사업형태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1) IT서비스 부문
【글로벌 IT서비스시장 규모】
(단위 : 억달러) |
구분'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시장규모 | 15,199 |
17,075 |
19,012 |
20,949 |
22,833 |
성장률 | 9.7% |
12.3% |
11.3% |
10.2% |
9.0% |
※ 출처: Gartner, 2024. 03
'24년 글로벌 IT서비스 시장 규모는 1조 5,199억 달러로 전년비 9.7% 증가가 예상되고, 연평균 10.7% 성장을 지속하여 '28년 2조 2,833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전망입니다. 현재 글로벌 IT서비스 시장의 70%는 북미와 유럽이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 성장은 중국, 신흥 아시아 국가 등이 주도할 전망입니다.
【국내 IT서비스시장 규모】
(단위 : 조원) |
구분'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시장규모 | 28.3 |
31.8 |
34.9 |
37.7 |
40.1 |
성장률 | 8.0% |
12.2% |
9.8% |
8.0% |
6.5% |
※ 출처: Gartner, 2024. 03
'24년 국내 IT 서비스 시장 규모는 28.3조원으로 전년비 8.0%증가가 예상되고, 연평균 9.1%성장하여 '28년 40.1조원 규모에 이를 전망입니다.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전반적으로 신규 시스템 구축보다 기존 시스템 운영 효율화 및 업그레이드에 투자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블록체인,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 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자연어 기반의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ChatGPT의 등장 이후 급속도로 생성형 AI 기술과 서비스가 발전하고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2) 물류 부문
글로벌 3PL 물류시장 규모는 '24년부터 '28 년까지 연평균 4.9%로 성장하여 '28년 1.4조 달러에 달할 전망입니다. 점차 많은 기업들이 물류 운영 효율화를 위해 물류전문기업과 협업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자상거래 산업의 발달, 공급망 운영 최적화,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확산 등으로 물류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출처: Mordor Intelligence (2024)
[경기변동의 특성]
(1) IT서비스 부문
국내 IT서비스 산업은 IT 장비를 비롯한 유무형 자산 기반의 설비투자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IT서비스 관련 설비투자에 대해 영업 활동에 대한 보조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고, 교체 및 정비주기가 기업의 의사결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에 IT 설비투자는 경기 변동과 높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정보시스템의 주 수요자인 기업들이 경기가 악화될 경우 IT 부문 투자를 보류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요 IT서비스 업체들의 매출액은 설비투자 증가율과 국내 총생산(GDP) 증가율에 연동하여 유사한 추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등 Digital 기술 발전에 따라 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Digital Transformation에 투자하는 기업들이 늘어남으로써 경기 변동에의 민감도는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IT 서비스 산업의 경우 타 산업에 비해 계절적 영향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고객사의 예산 집행 및 투자가 하반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물류 부문
일반적으로 물류서비스는 세계 경기 순환에 따른 물동량 변화에 직접적이고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시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경쟁의 강도, 세계 및 권역별 경기변동, 선박의 수급, 유가의 변동, 기후, 국제정세 등이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은 불규칙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물류산업은 제품별 성수기 및 계절에 따른 민감도가 있습니다. IT 신제품 출시에 따른 성수기, 명절 및 연말과 같은 계절적 요인에 따라 물동량이 변화하며 매출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1) IT서비스 부문
국내 IT서비스 산업은 초기 태동 시 대기업 IT시스템 운영조직을 모태로 하는 그룹 계열 SI업체를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며, 그 결과 이를 중심으로 한 대내시장(Captive Market) 위주의 매출이 주를 이루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초창기 대내시장의 매출 비중이 높은 사업구조는 국내 IT서비스 산업 내에서 계열사로부터의 안정적 수요를 확보한 대기업 계열 업체와 그렇지 못한 비계열 업체간의 실적 차이가 커지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경제 내에서 대기업 계열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확대되면서, IT서비스 산업 내에서도 업체간의 규모 차이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내시장은 대외시장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은 편으로, 당사가 상대적으로 경쟁우위에 있습니다. 진입장벽의 주요 요인으로는 ① 그룹 내 영업기밀보호 및 정보보안 이슈 ② 고객사와 장기적 전략파트너로서 업체 교체 시 예상되는 높은 전환 비용 ③ 장기간 서비스를 수행함에 따른 고객별 특성에 대한 높은 이해도 및 시스템 운영상의 강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 대외시장의 경쟁강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이는 시장에 신규진입이 용이하고, IT 시스템 내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등이 대부분 범용화됨에 따라 수요자가 느끼는 업체별 서비스에 대한 차별화 정도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최근 들어 다양한 국내외 변수로 인해 생산차질 및 수요위축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업들의 IT 투자도 불확실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기업들은 IT 비용절감과 생성형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활용을 위해 클라우드 도입을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이에 대한 기업의 IT 투자도 확대될 것입니다.
IT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주요 사업자는 당사 외에 글로벌 IT 기업인 IBM, Accenture, NTT Data 등을 들 수 있습니다.
(2) 물류 부문
글로벌 물류업체는 서비스 지역과 사업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서비스 지역 확대를 위한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의 확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물류 운영 외에 컨설팅, 공급망 최적화 등 신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DHL, UPS, DB Schenker 등 글로벌 물류업체들은 과거 지역별, 서비스 영역별 강점을 가진 업체들을 지속적으로 M&A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지역별, 영역별 서비스 수준의 편차가 존재하며, 고객이 요구하는 상향 평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다양한 프로세스/시스템이 공존함에 따라 고객의 특화된 요구를 일관되게 반영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류사업을 영위하는 주요 사업자는 글로벌 물류 아웃소싱 업체와 물류/SCM 컨설팅, 디지털포워딩 및 솔루션 업체를 들 수 있습니다. 글로벌 물류 아웃소싱 업체로는 DHL, UPS, Expeditors, Kuehne+Nagel, DB Schenker 등이 있으며 물류/SCM 컨설팅, 디지털포워딩 및 솔루션 업체로는 Accenture, AT Kearney, IBM, PwC, Flexport, JDA Software 등이 있습니다.
[시장에서의 경쟁력 좌우 요인]
(1) IT서비스 부문
(가)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의 확보
IT서비스 산업은 전문 인력들의 SW 개발 역량과 시스템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는 시스템을 제공해야 하므로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의 확보가 중요한 경쟁요소입니다. 국내 대형 IT서비스 업체들은 그룹 관계사 사업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시스템 구축 경험과 기술력을 가진 다수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Digital Transformation 관련 요소기술인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 분야 전문인력 확보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업체들은 적극적인 해외 리크루팅 실시, 내부 직원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와 AI 역량 확보를 위해 많은 기업들이 기술 전환 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나) 규모 및 시장지위
IT서비스에 있어 업체의 규모와 시장지위는 다양한 레퍼런스 확보를 통한 경험 축적, 풍부한 기술인력의 확보, 프로젝트 수행 노하우 및 고객 선호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경쟁력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사업의 발주자 입장에서는 IT서비스 업체들의 경쟁 입찰 시 다수의 IT 서비스 구축 경험 및 역량을 보유하고 있고 높은 S/W개발 성숙 단계를 유지하고 있는 대형 사업자들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다) 해외사업 수주 능력
현재 국내 IT서비스 업체들은 내수 시장의 한계로 인한 성장의 어려움 등과 같은 이유로 다양한 해외진출 전략을 통해 해외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해외 수주는 특정 분야에 대한 레퍼런스 확보 후 성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정 국가에 진출 시 유사한 서비스를 주변 국가에 공급하거나, 해당 국가에 신규 서비스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수주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IT서비스 업체의 해외 수주 실적이 많을수록 향후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며 해당 업체의 수주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라) 자체 솔루션 서비스 능력
기존의 IT서비스는 이미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솔루션을 각 산업 혹은 기업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는 사업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SAP, Oracle 등 글로벌SW 사업자들로부터 각종 핵심 솔루션을 매입한 후 당사 및 외주 인력만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존 사업 체제는 인력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익성 악화 및 성장성 둔화라는 한계에 직면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 IT서비스 업체는 자체 솔루션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생산관리시스템(MES), 공급망관리(SCM), 구매관리(SRM), 물류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서의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자체 솔루션 보유는 신규시장 확대를 통한 매출성장과 수익성 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에 주요한 경쟁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마) 신성장분야에서의 역량 확보
최근 들어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의Digital Transformation 관련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통합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고객사들은 IT서비스 업체로부터 차세대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IT서비스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신기술과 연관된 서비스 확산과 시장규모의 증대가 예상되는 환경 하에서 기술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지속적인 인적 자본 투자는 타 업체 대비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중요한 역량이며, 레퍼런스 확보를 통한 해외 시장 진출 및 국내 신시장 개척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2) 물류 부문
(가)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 능력
세계 경제의 글로벌화와 블록화 등으로 인한 교역시장 확대,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확대 등으로 인해 고객은 지역별로 제공받는 물류 서비스의 품질이 균일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별, 고객별로 물류 시스템이 통합되지 않는다면 물동 가시성 정보 미흡, 부정확한 데이터 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고객 니즈를 충족시킬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단일 물류 시스템의 구축과 표준 업무 프로세스의 구축을 통해 전세계에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주요한 경쟁요소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나)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확보
물류사업에 있어 업체의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규모는 폭 넓은 커버리지, 다양한 물류 경로 확보를 통한 고객 니즈 충족 등의 측면에서 주요한 경쟁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기업 경영의 글로벌화로 물류 비용에 대한 화주의 인식 변화에 따라 글로벌 종합 물류 네트워크 확충을 통한 규모의 경제 달성은 물류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1) 다양한 업종에서 End-To-End IT서비스 및 통합 솔루션 제공
당사는 제조, 공공, 금융, 리테일, 의료 등 다양한 업종에서 시스템 구축, 운영 및 솔루션 제공 등의 경험을 갖고 있어 IT서비스 시장에서 공고한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 관계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레퍼런스를 확보함으로써 컨설팅, 시스템 통합, 솔루션 제공, 애플리케이션 유지/관리, IT 아웃소싱, IT 인프라 운영/ 관리 등을 아우르는 통합 IT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삼성 관계사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 사업 기반
당사는 삼성전자를 포함하여 제조업, 금융업,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삼성 관계사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최첨단 기술력과 독보적인 역량을 축적하였습니다. 그에 따라 당사는 관계사의 핵심 IT서비스 파트너로서 동반 성장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관계사의 지속적인 IT 투자비용의 증가를 바탕으로 경쟁사 대비 높은 매출 및 안정적 수익 확보의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T기업인 삼성전자는 단일 화주로 글로벌 상위권 물동량을 보유하고 있어 이러한 삼성 관계사의 물동량은 물류사업의 중요한 기반입니다.
(3) 선진 물류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 경쟁력 확보
당사는 자체 개발한 물류 통합관리 플랫폼 Cello를 바탕으로 모든 물류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관리의 복잡성 해소 및 고객사에게 높은 물류 가시성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물류 서비스 경험과 수행 인프라를 기반으로 관계사 및 대외사업 확대를 통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인 Cello square 를 통해 고객이 직접 신속하고 간편하게 물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생성 및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 및 예측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4) 차세대 기술 대응력 확보
국내 IT서비스 시장의 1위 사업자로서 다양한 업종 경험, 솔루션에 최근 IT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클라우드, 생성형 AI,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의 트렌드를 접목하여 당사는 차별화된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 역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당사는 자체 클라우드 및 AI/애널리틱스 플랫폼을 통해 삼성 관계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연계하여 경쟁사 대비 유리한 위치에서 관련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라.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구 분2024년 1분기(제40기)2023년 1분기(제39기)2023년(제39기)2022년(제38기)금액비율금액비율금액비율금액비율
IT서비스 | 매출액 | 1,553,600 | 47.8% | 1,469,893 | 43.2% | 6,105,856 | 46.0% | 5,968,194 | 34.6% |
영업이익 | 169,756 | 75.2% | 146,716 | 75.5% | 670,045 | 82.9% | 631,602 | 68.9% | |
유무형 자산 | 2,446,505 | 97.6% | 2,186,719 | 97.3% | 2,410,427 | 97.5% | 2,169,435 | 97.1% | |
물류 | 매출액 | 1,693,668 | 52.2% | 1,931,030 | 56.8% | 7,170,988 | 54.0% | 11,266,556 | 65.4% |
영업이익 | 56,111 | 24.8% | 47,579 | 24.5% | 138,186 | 17.1% | 284,472 | 31.1% | |
유무형 자산 | 60,100 | 2.4% | 60,951 | 2.7% | 62,846 | 2.5% | 63,750 | 2.9% |
※ 공통판매비와 관리비 및 자산의 합리적 배분기준 적용
공통판매비와 관리비의 경우 각 부분 귀속이 확실한 비용은 직접 귀속시켰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비용은 각 배부기준(매출액, 총원가 등)에 의거 적절히 배부
하고 있습니다. 공통 자산의 경우 직접귀속이 가능한 자산은 해당 부서에 직접
귀속시켰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자산은 합리적인 배부기준에 의거 적절히
배부하고 있습니다.
검색어 삼성 sdi 삼성sds 택배 삼성sds 연봉 삼성물산 삼성sds 주가 삼성sds 도어락 엠로 삼성sds as 삼성sds 비디오폰 삼성sds 채용 삼성sds 본사 삼성sds 월패드 삼성sds 물류 삼성sds ai lg cns 삼성sds 사장 삼성sds 배당금 삼성sds 고객센터 삼성sdi 주가 삼성전자
삼성sds 하는 일
삼성sds 연봉
삼성sds 채용
삼성sds 택배
삼성SDS 채용 공고
삼성sds 주
삼성sds 조직도
삼성sds 로고
노브랜드 KB제28호스팩 아이씨티케이 HD현대마린솔루션 SK증권제12호스팩 코칩 민테크 카티스 디앤디파마텍 유안타제16호스팩 제일엠앤에스 삐아 하나33호스팩 신한제13호스팩 신한제12호스팩 아이엠비디엑스 SK이터닉스 하나32호스팩 엔젤로보틱스 제이투케이바이오 삼현 오상헬스케어 케이엔알시스템 비엔케이제2호스팩 하나31호스팩 SK증권제11호스팩 유안타제15호스팩 유진스팩10호 에이피알 이에이트 코셈 케이웨더 사피엔반도체 에스피소프트 스튜디오삼익 신영스팩10호 폰드그룹 IBKS제24호스팩 레이저옵텍 이닉스 엘앤에프 포스뱅크 현대힘스 HB인베스트먼트 드림인사이트 대신밸런스제17호스팩 우진엔텍 세븐브로이맥주 한빛레이저 포스코DX DS단석 IBKS제23호스팩 하나30호스팩 씨싸이트 블루엠텍 LS머트리얼즈 케이엔에스 교보15호스팩 와이바이오로직스 삼성스팩9호 에이텀 엔에이치스팩30호 에이에스텍 그린리소스 제이엔비 한선엔지니어링 동인기연 에코아이 스톰테크 에코프로머티 캡스톤파트너스 프로젠 에스와이스틸텍 에이직랜드 한국제13호스팩 메가터치 비아이매트릭스 컨텍 큐로셀 쏘닉스 KB제27호스팩 세니젠 신시웨이 유진테크놀로지 유투바이오 퀄리타스반도체 미쥬 워트 에스엘에스바이오 신성에스티 퓨릿 바이오텐 에이치엠씨제6호스팩 아이엠티 레뷰코퍼레이션 두산로보틱스 신한제11호스팩 한싹 밀리의서재 인스웨이브시스템즈 우듬지팜 코어라인소프트 STX그린로지스 상상인제4호스팩 율촌 한화플러스제4호스팩 대신밸런스제16호스팩 유안타제11호스팩 크라우드웍스 대신밸런스제15호스팩 한국제12호스팩 한국피아이엠 시큐레터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넥스틸 빅텐츠 SK증권제10호스팩 KB제26호스팩 코츠테크놀로지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하나28호스팩 NICE평가정보 파두 엠아이큐브솔루션 시지트로닉스 에피바이오텍 조선내화 에이엘티 유안타제14호스팩 파로스아이바이오 길교이앤씨 버넥트 뷰티스킨 SK증권제9호스팩 와이랩 센서뷰 아이엠지티 필에너지 DB금융스팩11호 교보14호스팩 이노시뮬레이션 이브이파킹서비스 알멕 오픈놀 시큐센 하나29호스팩 KB제25호스팩 엔에이치스팩29호 하이제8호스팩 가이아코퍼레이션 비에이치 동국씨엠 동국제강 프로티아 큐라티스 마녀공장 나라셀라 진영 이수스페셜티케미컬 OCI 기가비스 팸텍 모니터랩 씨유박스 큐라켐 키움제8호스팩 트루엔 삼미금속 에스바이오메딕스 슈어소프트테크 토마토시스템 마이크로투나노 셀바이오휴먼텍 SK오션플랜트 노보믹스 삼성FN리츠 현대그린푸드 미래에셋비전스팩3호 IBKS제22호스팩 하나27호스팩 한화갤러리아 지아이이노베이션 LB인베스트먼트 한화리츠 유안타제12호스팩 엑스게이트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금양그린파워 라온텍 자람테크놀로지 하나26호스팩 나노팀 바이오인프라 삼성스팩8호 유안타제13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이노진 화인써키트 제이오 샌즈랩 꿈비 스튜디오미르 삼기이브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오브젠 미래반도체 지슨 태양3C 티이엠씨 한주라이트메탈 옵티코어 아이오바이오 타이드 신영스팩9호 신스틸 지에프씨생명과학 카이바이오텍 바이오노트 비엔케이제1호스팩 마이크로엔엑스 애니메디솔루션 IBKS제21호스팩 엔에이치스팩27호 핑거스토리 SAMG엔터 대신밸런스제14호스팩 엔에이치스팩26호 유진스팩9호 아하 에이아이더뉴트리진 대신밸런스제13호스팩 유니드비티플러스 펨트론 인벤티지랩 엔젯 유비온 티쓰리 티에프이 윤성에프앤씨 디티앤씨알오 뉴로메카 제이아이테크 LX세미콘 엔에이치스팩25호 교보13호스팩 큐알티 IBKS제20호스팩 저스템 산돌 삼성스팩7호 탈로스 플라즈맵 엔에이치스팩24호 핀텔 하나금융25호스팩 한국제11호스팩 샤페론 비스토스 탑머티리얼 에스비비테크 오에스피 모델솔루션 이노룰스 파인엠텍 KB스타리츠 SK증권제8호스팩 유안타제10호스팩 선바이오 더블유씨피 알피바이오 하나금융24호스팩 한화플러스제3호스팩 티엘엔지니어링 오픈엣지테크놀로지 키움제7호스팩 신영스팩8호 대성하이텍 쏘카 에이치와이티씨 새빗켐 유안타제9호스팩 수산인더스트리 신한제10호스팩 아이씨에이치 성일하이텍 에이프릴바이오 퓨쳐메디신 벨로크 루닛 바스칸바이오제약 HPSP 와이씨켐 코난테크놀로지 넥스트칩 삼성스팩6호 엔에이치스팩23호 교보12호스팩 레이저쎌 보로노이 위니아에이드 케이비제21호스팩 비큐 AI 범한퓨얼셀 코나솔 청담글로벌 마스턴프리미어리츠 하나금융22호스팩 가온칩스 대명에너지 상상인제3호스팩 포바이포 신한제9호스팩 미래에셋비전스팩1호 키움제6호스팩 지투파워 유진스팩8호 코람코더원리츠 세아메카닉스 공구우먼 유일로보틱스 모아데이타 메쎄이상 노을 비씨엔씨 풍원정밀 스톤브릿지벤처스 하나금융21호스팩 브이씨 퓨런티어 바이오에프디엔씨 인카금융서비스 나래나노텍 아셈스 스코넥 이지트로닉스 LG에너지솔루션 애드바이오텍 케이옥션 코스텍시스템 오토앤 래몽래인 하이제7호스팩 라피치 제이엠멀티 신한서부티엔디리츠 툴젠 미래에셋글로벌리츠 켈스 SK스퀘어 마음AI 알비더블유 NH올원리츠 NPX 트윔 아이티아이즈 지오엘리먼트 디어유 비트나인 지니너스 카카오페이 피코그램 엔켐 리파인 지앤비에스 에코 아이패밀리에스씨 차백신연구소 지아이텍 코닉오토메이션 케이카 씨유테크 아스플로 원준 실리콘투 에스앤디 프롬바이오 바이오플러스 HD현대중공업 SK리츠 유진스팩7호 와이엠텍 에이비온 라이콤 일진하이솔루스 디앤디플랫폼리츠 바이젠셀 아주스틸 롯데렌탈 브레인즈컴퍼니 딥노이드 한컴라이프케어 엠로 플래티어 원티드랩 크래프톤 HK이노엔 PI첨단소재 카카오뱅크 한화플러스제2호스팩 에브리봇 맥스트 큐라클 에스디바이오센서 오비고 엠씨넥스 아모센스 타임기술 이노뎁 라온테크 LB루셈 이성씨엔아이 에이디엠코리아 에코프로에이치엔 LX홀딩스 제주맥주 진시스템 F&F 삼영에스앤씨 샘씨엔에스 씨앤씨인터내셔널 에이치피오 SK아이이테크놀로지 쿠콘 이삭엔지니어링 해성에어로보틱스 엔시스 자이언트스텝 제노코 라이프시맨틱스 SK바이오사이언스 바이오다인 네오이뮨텍 화승알앤에이 싸이버원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나노씨엠에스 뷰노 엑스플러스 유일에너테크 씨이랩 오로스테크놀로지 피엔에이치테크 모비데이즈 아이퀘스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레인보우로보틱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솔루엠 핑거 모비릭스 씨앤투스 선진뷰티사이언스 DL이앤씨 엔비티 파이버프로 나우코스 루트락 ESR켄달스퀘어리츠 블리츠웨이스튜디오 석경에이티 지놈앤컴퍼니 프리시젼바이오 알체라 하이딥 에프앤가이드 티엘비 씨엔티드림 인바이오 엔젠바이오 퀀타매트릭스 명신산업 클리노믹스 포인트모바일 앱코 엔에프씨 제일일렉트릭 하나기술 에이플러스에셋 티앤엘 고바이오랩 네패스아크 교촌에프앤비 소룩스 위드텍 센코 바이브컴퍼니 원포유 미코바이오메드 피플바이오 하이브 넥스틴 케이엔솔 비나텍 씨엔알리서치 박셀바이오 티와이홀딩스 비비씨 코스텍시스 핌스 압타머사이언스 이오플로우 카카오게임즈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아이디피 셀레믹스 고스트스튜디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영림원소프트랩 한국파마 제이알글로벌리츠 솔브레인 이루다 미래에셋맵스리츠 이지스레지던스리츠 와이팜 에코앤드림 엠투아이 더네이쳐홀딩스 제놀루션 솔트룩스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티에스아이 에이프로 이지스밸류플러스리츠 소마젠 신도기연 위더스제약 에스케이바이오팜 엠브레인 젠큐릭스 무진메디 HB솔루션 에스에이티이엔지 에스씨엠생명과학 휴럼 이지바이오 드림씨아이에스 대덕전자 HLB사이언스 엔피디 플레이디 서울바이오시스 제이앤티씨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레몬 서남 위세아이텍 케이씨씨글라스 세림B&G 이앤에치 CJ 바이오사이언스 엔에스엠 피피아이 RF머트리얼즈 아이비김영 브릿지바이오 다보링크 메드팩토 원텍 신테카바이오 제이엘케이 태웅로직스 윙스풋 노드메이슨 리메드 NH프라임리츠 비올 타스컴 진코스텍 웨이버스 유엑스엔 HLB바이오스텝 씨티알모빌리티 티움바이오 씨에스베어링 우양 코리아에셋투자증권 HD현대에너지솔루션 에스제이그룹 제테마 한화시스템 라파스 아이티엠반도체 일승 자이에스앤디 미디어젠 모코엠시스 티라유텍 롯데리츠 지누스 밸로프 캐리소프트 한국미라클피플사 케이엔제이 엔바이오니아 팜스빌 두산퓨얼셀 라온피플 솔루스첨단소재 콘텐트리중앙 아톤 녹십자웰빙 누보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엔지브이아이 올리패스 라닉스 윈텍 한독크린텍 아퓨어스 네오크레마 마니커에프앤지 솔트웨어 나노브릭 에스피시스템스 레이 그린플러스 코윈테크 덕산테코피아 KBG 엑스페릭스 세경하이테크 캐리 대모 에이스토리 플리토 헥토파이낸셜 아이스크림에듀 펨토바이오메드 펌텍코리아 에이에프더블류 태성 엠에프엠코리아 압타바이오 까스텔바작 마이크로디지탈 코퍼스코리아 프로이천 포스코퓨처엠 수젠텍 컴퍼니케이 다원넥스뷰 피에스케이 현대무벡스 TS트릴리온 이노벡스 아모그린텍 현대오토에버 지노믹트리 이지케어텍 미래에셋벤처투자 드림텍 더블유게임즈 에코프로비엠 셀리드 우리금융지주 천보 SCL사이언스 노랑풍선 웹케시 엘에이티 에어부산 비피도 유틸렉스 디케이티 아이엘사이언스 애니플러스 테크엔 디와이씨 오하임앤컴퍼니 위지윅스튜디오 국전약품 에이비엘바이오 머큐리 전진바이오팜 뉴트리 비투엔 이노메트리 DH오토리드 에코캡 원바이오젠 애닉 윙입푸드 남화산업 엠아이텍 티로보틱스 네오펙트 에이펙스인텍 티앤알바이오팹 나라소프트 아시아나IDT 디알젬 싸이토젠 아주IB투자 파멥신 디케이앤디 퀀텀온 노바렉스 셀리버리 대보마그네틱 노바텍 엘앤씨바이오 네온테크 로보티즈 옵티팜 에스퓨얼셀 세아제강 나우IB 푸드나무 하나제약 크리스에프앤씨 더블유에스아이 지티지웰니스 우진아이엔에스 엔피 피엔티엠에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디지캡 지니틱스 액트로 오파스넷 브이엠 바이오솔루션 더콘텐츠온 대유 신한알파리츠 디아이티 에스에스알 한일시멘트 휴네시온 티웨이항공 롯데이노베이트 한국유니온제약 그리티 알로이스 올릭스 테크트랜스 효성중공업 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아이큐어 SV인베스트먼트 엘리비젼 지앤이헬스케어 이리츠코크렙 EDGC 에스엠비나 HDC현대산업개발 카이노스메드 파워넷 카나리아바이오 세종메디칼 제노레이 디피코 제이시스메디칼 에스제이켐 JTC 네오셈 케어랩스 애경산업 린드먼아시아 오스테오닉 엔지켐생명과학 동구바이오제약 아시아종묘 알리코제약 셀트리온 카페24 링크제니시스 배럴 SG 씨앤지하이테크 쿠쿠홈시스 SK케미칼 시스웍 디바이스이엔지 씨알푸드 레이크머티리얼즈 BGF리테일 동양피스톤 진에어 씨티케이 메카로 에스트래픽 케이씨텍 체리부로 대원 비즈니스온 동아타이어 삼양패키징 스튜디오드래곤 비디아이 코오롱티슈진 EMB 테이팩스 롯데웰푸드 탑선 영화테크 폴라리스세원 상신전자 야스 인산가 휴엠앤씨 신흥에스이씨 유티아이 선익시스템 엠플러스 앱클론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펄어비스 케이피에스 SK시그넷 덕우전자 지오릿에너지 케일럼 알에스오토메이션 컬러레이 와이즈버즈 모트렉스 데이타솔루션 지니언스 디앤씨미디어 이즈미디어 루켄테크놀러지스 힘스 제일약품 브이원텍 아우딘퓨쳐스 이녹스첨단소재 카카오 오리온 하림지주 덴티스 메디안디노스틱 나인테크 에스알바이오텍 뿌리깊은나무들 보라티알 매일유업 LK삼양 이랜시스 필옵틱스 미원에스씨 경동도시가스 넷마블 HD현대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일렉트릭 포인트엔지니어링 하나머티리얼즈 소프트캠프 와이엠티 파워풀엑스 크라운제과 AP시스템 유에스티 이엘피 유비쿼스 서진시스템 코미코 아스타 덴티움 에스디생명공학 신신제약 에프엔에스테크 모바일어플라이언스 피씨엘 호전실업 서플러스글로벌 유바이오로직스 도부마스크 한국비엔씨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셀젠텍 피엠티 바이오프로테크 애니젠 유니온커뮤니티 신라젠 자비스 핸즈코퍼레이션 티이엠씨씨엔에스 퓨쳐켐 뉴파워프라즈마 엘앤케이바이오 에스엘테라퓨틱스 핸디소프트 두산밥캣 삼성바이오로직스 클리오 오가닉티코스메틱 얼라인드 세화피앤씨 굿센 인크로스 에이치엘사이언스 코스메카코리아 JW생명과학 GRT 안지오랩 골든센츄리 인텔리안테크 에이치시티 잉글우드랩 앤디포스 수산아이앤티 미투온 화승엔터프라이즈 예선테크 LS에코에너지 스타리츠 유니테크노 모비스 나무기술 자이글 일동제약 헝셩그룹 샘표식품 에코마케팅 블루탑 두올 엔지스테크널러지 우리손에프앤지 오건에코텍 아이윈플러스 제노텍 동서 장원테크 위니아 한국자산신탁 한국토지신탁 모아라이프플러스 피앤씨테크 로스웰 씨앤에스링크 해성디에스 에스티팜 지씨셀 알엔투테크놀로지 이비테크 이스트에이드 휴온스 나눔테크 KC산업 용평리조트 해태제과식품 원익IPS 로보쓰리에이아이 레이언스 동양파일 삼일씨엔에스 팬젠 AP위성 비유테크놀러지 큐리언트 안트로젠 슈프리마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유니트론텍 크리스탈신소재 메디젠휴먼케어 볼빅 이엠티 더코디 에스와이 질경이 잇츠한불 크로넥스 딥마인드 와이씨 육일씨엔에쓰 휴젤 한국맥널티 덱스터 아진산업 HLB제약 강스템바이오텍 에이원알폼 메가엠디 보광산업 파크시스템스 에치에프알 예스티 코스맥스엔비티 멕아이씨에스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원익피앤이 세진중공업 하이즈항공 DXVX 케이디켐 네오오토 엔투텍 케어젠 아이진 나무가 이노시스 금호에이치티 제주항공 본느 파마리서치바이오 럭스피아 노브메타파마 엔케이맥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 KH 건설 엑시콘 엄지하우스 메디쎄이 뉴지랩파마 케이엠제약 한송네오텍 패션플랫폼 LIG넥스원 넥슨게임즈 제너셈 타이거일렉 HDC랩스 동일제강 휴먼테크놀로지 씨아이에스 에이텍모빌리티 웹스 AJ네트웍스 파인텍 세토피아 심텍 흥국에프엔비 쎄노텍 칩스앤미디어 아시아경제 엔에스컴퍼니 아이쓰리시스템 로지시스 플럼라인생명과학 켐트로스 파마리서치 디와이디 펩트론 이노션 토니모리 광동헬스바이오 로지스몬 미래에셋생명 RFHIC 동운아나텍 일월지엠엘 헥토이노베이션 경보제약 인바이츠바이오코아 이큐셀 코아스템켐온 에스엘에너지 SK디앤디 씨앗 베셀 넵튠 미래생명자원 싸이맥스 러셀 픽셀플러스 디딤이앤에프 제노포커스 틸론 관악산업 우정바이오 토박스코리아 이노인스트루먼트 우리산업 메가스터디교육 썬테크 휴센텍 로보로보 디알텍 에이비프로바이오 골프존 클래시스 FSN 다이나믹디자인 포시에스 덕산네오룩스 한솔제지 디와이파워 국일신동 듀켐바이오 링크드 바디텍메드 스튜디오산타클로스 썸에이지 에이팩트 휴메딕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서전기전 아스트 오킨스전자 지란지교시큐리티 NEW 아이티센 미래엔에듀파트너 삼성물산 녹십자엠에스 디티앤씨 셀바스헬스케어 정다운 하이로닉 랩지노믹스 에이디테크놀로지 비씨월드제약 미스터블루 알테오젠 베노티앤알 대창스틸 에프엔씨엔터 휴마시스 씨에스윈드 텔콘RF제약 지엘팜텍 글로벌텍스프리 디에이테크놀로지 삼성에스디에스 아이케이세미콘 액션스퀘어 엑셈 테고사이언스 슈피겐코리아 영우디에스피 유니포인트 드림시큐리티 메디아나 HL만도 데브시스터즈 스피어파워 휴림네트웍스 고려시멘트 판도라티비 서연이화 신화콘텍 쿠쿠홀딩스 파버나인 덕신이피씨 창해에탄올 윈하이텍 아진엑스텍 콜마비앤에이치 화인베스틸 트루윈 큐엠씨 데이터스트림즈 코아시아씨엠 캐스텍코리아 BGF 나노 케이사인 코스맥스 오이솔루션 한국정보인증 다산솔루에타 현대이지웰 위월드 코셋 SGA솔루션즈 대동고려삼 기가레인 인트로메딕 한중엔시에스 알티캐스트 종근당 현대공업 엔브이에이치코리아 탑코미디어 신송홀딩스 큐브엔터 라이온켐텍 램테크놀러지 THE MIDONG 협진 아세아시멘트 해성옵틱스 내츄럴엔도텍 현대로템 수프로 두산테스나 파수 엘티씨 지엔씨에너지 한진칼 아미코젠 엔에이치엔 GH신소재 파이오링크 KG에코솔루션 JB금융지주 나스미디어 대주이엔티 머니무브 큐러블 태양기계 엑세스바이오 DSR 리가켐바이오 한국패러랠 동아에스티 윈팩 코렌텍 제로투세븐 한솔아이원스 우리이앤엘 아이센스 스킨앤스킨 SBI핀테크솔루션즈 우리로 디젠스 지엠비코리아 와이엠씨 LG헬로비전 아바텍 동일고무벨트 한국콜마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코이즈 애경케미칼 퓨처코어 네이블 노블엠앤비 피엔티 사조씨푸드 비아트론 빛샘전자 한국ANKOR유전 휴비스 사람인 제룡산업 남화토건 케이탑리츠 메지온 원익머트리얼즈 디엔에이링크 GS리테일 나이스디앤비 시큐브 서암기계공업 인터지스 씨유메디칼 삼양사 키네마스터 비덴트 신진에스엠 이엠넷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스마트솔루션즈 에이티세미콘 테크윙 씨큐브 에스엠코어 씨엔플러스 하나투어 로보스타 대한과학 아이디스 에이블씨엔씨 제이씨케미칼 아이씨디 제닉 BF랩스 삼원강재 상아프론테크 신세계인터내셔날 에이리츠 나이벡 옵티시스 대양전기공업 한국항공우주 롯데하이마트 서연탑메탈 한세엠케이 코오롱ENP 넥스트아이 티엔엔터테인먼트 이마트 DGB금융지주 케이티스카이라이프 세아특수강 KX 골프존뉴딘홀딩스 메리츠금융지주 윈스 하림 한국종합기술 이퓨쳐 티케이케미칼 BNK금융지주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부스타 현대위아 선진 미원화학 나노신소재 케이아이엔엑스 티피씨글로벌 LB세미콘 딜리 제이엔케이글로벌 블루콤 인트론바이오 시디즈 커넥트웨이브 알서포트 인텍플러스 티에스이 한화엔진 이브이첨단소재 대성에너지 현대퓨처넷 대정화금 KTis 한전산업 피제이메탈 옵투스제약 에이루트 엘브이엠씨 티비씨 시그네틱스 한국전자인증 BGF에코머티리얼즈 디케이락 위메이드플레이 KH 미래물산 아나패스 KNN 누리플랜 아이텍 인화정공 셀피글로벌 뉴온 휠라홀딩스 알파홀딩스 포메탈 KTcs 다원시스 현대홈쇼핑 씨젠 와이솔 하이비젼시스템 화신정공 코리아에프티 도화엔지니어링 엠에스오토텍 이글루 대성산업 아이마켓코리아 한미약품 인터로조 하이텍팜 우진 무학 에스디시스템 알톤 유비벨록스 오르비텍 이연제약 엑스큐어 투비소프트 한국화장품 에스제이엠 인피니트헬스케어 서진오토모티브 인지소프트 HL홀딩스 삼성생명 신세계푸드 이스트아시아홀딩스 애머릿지 케이씨에스 씨엑스아이 HLB테라퓨틱스 삼기 한화생명 이미지스 조선선재 인포바인 하이소닉 모베이스 코오롱인더 KC코트렐 지역난방공사 락앤락 스타플렉스 우리넷 아세아텍 영흥 폴라리스우노 코디 에스메디 글로벌에스엠 ITX-AI 그린생명과학 디와이피엔에프 위메이드 한전기술 셀바스AI 이원컴포텍 강원에너지 GKL 휴맥스 AP헬스케어 SK 동방선기 상상인인더스트리 진매트릭스 황금에스티 비츠로셀 하이트진로 한스바이오메드 동양생명 NHN벅스 아이앤씨 유니온머티리얼 케이엔더블유 형지엘리트 디에스케이 제넥신 톱텍 동국S&C 에스앤더블류 키움증권 영원무역 컴투스홀딩스 동일금속 한미글로벌 동아지질 어보브반도체 위메이드맥스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스맥 SDN 한국정밀기계 STX중공업 흥국 우림피티에스 티플랙스 LX하우시스 에스티오 에이테크솔루션 에스앤에스텍 뷰웍스 코오롱생명과학 엔시트론 한세실업 주성코퍼레이션 파인테크닉스 미원홀딩스 이수앱지스 대성파인텍 유비쿼스홀딩스 메디톡스 엠게임 아이컴포넌트 NAVER HLB생명과학 이크레더블 부국철강 KB금융 세운메디칼 한국철강 마이크로컨텍솔 이엠앤아이 일진전기 풍산 LG이노텍 아이엠 웰크론한텍 하이드로리튬 슈프리마에이치큐 명문제약 서울옥션 이스트소프트 비상교육 크레버스 동성케미컬 월덱스 쎄트렉아이 쌍방울 브리지텍 고영 조이시티 우진비앤지 테스 예스24 엘디티 LG유플러스 메타바이오메드 효성오앤비 인바이오젠 아시아나항공 SNT에너지 진양홀딩스 한울소재과학 이트론 엔케이 에코볼트 에스코넥 일신바이오 서원인텍 이씨에스 대창솔루션 한전KPS 아이에스이커머스 알에프세미 디엔에프 일진파워 비엠티 이아이디 기신정기 이엠코리아 KSS해운 효성 ITX 현우산업 유나이티드 케이알엠 디아이씨 에스에너지 성우전자 엘엠에스 제이엠티 오디텍 ISC 네오티스 미래나노텍 상보 CJ제일제당 바이오톡스텍 팬오션 옴니시스템 푸른기술 웨이브일렉트로 HJ중공업 빅솔론 JW홀딩스 S&K폴리텍 SK이노베이션 율호 갤럭시아머니트리 에코프로 대산F&B 컴투스 네오위즈 삼성카드 앤씨앤 엔텔스 알루코 풍강 웅진씽크빅 동국제약 케이프 상신이디피 한라IMS 에프알텍 이엠텍 참좋은여행 네오리진 맵스리얼티1 이베스트투자증권 매커스 나노캠텍 네오팜 오스코텍 켐트로닉스 제이스텍 동아엘텍 메타랩스 후성 휴온스글로벌 케이씨티 파트론 유니테스트 휴림로봇 LF 에스에이티 큐에스아이 멀티캠퍼스 주연테크 코스맥스비티아이 코세스 인천도시가스 성창오토텍 넥스턴바이오 제이티 아이윈 이녹스 삼정펄프 KEC KPX홀딩스 THE E&M 바텍 MDS테크 HDC현대EP 루멘스 세원이앤씨 CSA 코스믹 티엘아이 한국전자금융 쇼박스 팬엔터테인먼트 인포뱅크 노루페인트 아모레퍼시픽 아이오케이 동우팜투테이블 롯데관광개발 제이브이엠 평화산업 우진플라임 팅크웨어 신세계I&C 진바이오텍 TKG애강 진도 에이스테크 맥쿼리인프라 롯데쇼핑 셀트리온제약 GST 에너토크 제우스 뉴프렉스 유진테크 CG인바이츠 바이오니아 헬릭스미스 인콘 차바이오텍 현대글로비스 대봉엘에스 와이엔텍 케이엠 티비에이치글로벌 수성웹툰 하나금융지주 제일연마 모다이노칩 비에이치아이 케스피온 현대리바트 비보존 제약 자연과환경 와토스코리아 대한제강 폴라리스오피스 휴림에이텍 서린바이오 새론오토모티브 그린케미칼 가비아 덕산하이메탈 아바코 하나마이크론 엘오티베큠 코스나인 이상네트웍스 대상홀딩스 코아스 메디포스트 우리바이오 모두투어 이월드 동양고속 한미반도체 가온그룹 쏠리드 동일산업 옵트론텍 젬백스 플랜티넷 삼호개발 금호타이어 이노와이어리스 인베니아 동양이엔피 제주반도체 한창산업 디이엔티 에스엔유 iMBC 서산 KX하이텍 손오공 미래컴퍼니 아이크래프트 CJ CGV 일진다이아 메가스터디 케이에스피 KG모빌리언스 대주전자재료 텔레칩스 HB테크놀러지 도이치모터스 유니드 토비스 제넨바이오 상신브레이크 국일제지 DMS 인팩 퀀타피아 시너지이노베이션 신성델타테크 GS 유니퀘스트 다스코 한국경제TV LG디스플레이 다날 텔코웨어 형지I&C 비케이홀딩스 코엔텍 YBM넷 CS 아미노로직스 테라젠이텍스 디에이피 한양디지텍 STX엔진 동국알앤에스 빛과전자 듀오백 삼진엘앤디 폴라리스AI파마 NICE 대교 세진티에스 한솔인티큐브 리튬포어스 테라사이언스 우주일렉트로 피에이치씨 기업은행 이엔플러스 SOOP 드림어스컴퍼니 버킷스튜디오 원익QnC 로체시스템즈 에스텍 오텍 키이스트 현대에버다임 한솔홈데코 중앙백신 휴비츠 우리산업홀딩스 디지털대성 이수페타시스 강원랜드 유아이디 티씨케이 YG PLUS 아모텍 농심홀딩스 웰크론 파워로직스 한국금융지주 이엘씨 녹원씨엔아이 유엔젤 SBS 홈캐스트 씨씨에스 웹젠 엔씨소프트 하이스틸 대화제약 우수AMS JW신약 하츠 빅텍 탑엔지니어링 DSR제강 이루온 태경케미컬 재영솔루텍 한국큐빅 인터플렉스 삼영이엔씨 하이퍼코퍼레이션 한성크린텍 리더스코스메틱 한농화성 케이피엠테크 디티씨 와이오엠 초록뱀미디어 웨스트라이즈 쎌바이오텍 NE능률 테크엘 현대백화점 KG이니시스 비엘팜텍 대호에이엘 파라다이스 대웅제약 플래스크 마니커 SNT홀딩스 티케이지휴켐스 새로닉스 에스제이지세종 오리엔트정공 DGP 국보디자인 아이톡시 에스아이리소스 젬백스링크 포스코스틸리온 폴라리스AI 현대바이오 삼성출판사 세이브존I&C 에스피지 토탈소프트 교보증권 서호전기 파커스 한샘 서울리거 홈센타홀딩스 아비코전자 큐렉소 소니드 우원개발 티사이언티픽 신세계건설 인선이엔티 와이어블 SM Life Design 우신시스템 지어소프트 지엔코 셀루메드 KH바텍 알에프텍 에스폴리텍 이랜텍 ES큐브 케이피티유 3S LG전자 화일약품 오상자이엘 콜마홀딩스 농우바이오 케이엘넷 SNT모티브 에스티아이 잉크테크 대한뉴팜 씨티씨바이오 인탑스 LS마린솔루션 피씨디렉트 광주신세계 구영테크 한국기업평가 뉴보텍 동양에스텍 백금T&A 파나케이아 고려신용정보 제일바이오 서울반도체 아가방컴퍼니 엔터파트너즈 미코 유신 프럼파스트 한국컴퓨터 대동스틸 링네트 크레오에스지 팬스타엔터프라이즈 한빛소프트 일진디스플 NHN KCP CNT85 금강철강 룽투코리아 KH 필룩스 동아화성 비츠로시스 오리엔탈정공 웰킵스하이텍 리노공업 성우테크론 에스에프에이 신화인터텍 엑사이엔씨 피에이치에이 종근당바이오 APS 코위버 성호전자 MIT YW 삼영엠텍 이니텍 에이디칩스 유진로봇 태웅 경남제약 삼보모터스 한컴위드 코미팜 프리엠스 코나아이 메디콕스 SGA 더테크놀로지 지에스이 아이디스홀딩스 코데즈컴바인 안랩 신한지주 YTN CMG제약 JYP Ent. 한국테크놀로지 KCC건설 세동 프로텍 액토즈소프트 세코닉스 바이넥스 오성첨단소재 코웨이 태양 씨티프라퍼티 유아이엘 대원미디어 중앙첨단소재 세아홀딩스 CJ프레시웨이 파인디앤씨 디지아이 코텍 한네트 에스티큐브 티에스넥스젠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큐로홀딩스 나라엠앤디 에코바이오 에이텍 대아티아이 캠시스 현대바이오랜드 SFA반도체 LG생활건강 LG화학 대우건설 포스코인터내셔널 HD현대인프라코어 한화오션 삼표시멘트 진양화학 HLB이노베이션 SM C&C 승일 조광ILI TPC 코메론 블레이드 Ent 삼화네트웍스 성광벤드 유라테크 삼현철강 오픈베이스 KCI 라온시큐어 오로라 금화피에스시 코다코 인바디 고려제약 크린앤사이언스 동원F&B KD 이글벳 아즈텍WB 두산에너빌리티 오리콤 위닉스 상지건설 한국내화 엔피케이 삼천당제약 에이치케이 정원엔시스 한양이엔지 누리플렉스 에쎈테크 국순당 엘컴텍 이오테크닉스 상상인 서울제약 HLB파나진 나노엔텍 오공 솔고바이오 비츠로테크 코아시아 정상제이엘에스 진양제약 지니뮤직 진성티이씨 현대에이치티 삼아제약 파루 에스씨디 한국정보공학 디오 네오위즈홀딩스 다산네트웍스 바이오스마트 우리기술 안국약품 세중 우리기술투자 케이바이오 HRS 에스에이엠티 위즈코프 이건홀딩스 파인디지털 나이스정보통신 SG&G 아이에이 에스넷 에스엠 쌍용정보통신 쎄니트 대성미생물 에코플라스틱 케이엠더블유 화성밸브 경남스틸 마크로젠 희림 레드캡투어 솔브레인홀딩스 에프에스티 코맥스 EG 감성코퍼레이션 성도이엔지 제일테크노스 한세예스24홀딩스 무림SP 세종텔레콤 심텍홀딩스 파세코 SGC E&C 영풍정밀 서희건설 주성엔지니어링 케이티알파 대성홀딩스 다우데이타 동진쎄미켐 선광 제이에스티나 지더블유바이텍 클라우드에어 한국팩키지 삼지전자 우리엔터프라이즈 대원제약 한국가스공사 네패스 인지디스플레 위지트 유니셈 유성티엔에스 코리아나 SCI평가정보 골드앤에스 서울전자통신 대성창투 예림당 미래아이앤지 CJ ENM 이지홀딩스 기산텔레콤 화천기공 팜스코 케이티앤지 HD한국조선해양 디씨엠 바른손이앤에이 솔본 시공테크 신일제약 조아제약 AK홀딩스 HS애드 대한유화 백산 체시스 인성정보 그래디언트 동국산업 매일홀딩스 해성산업 자화전자 케이티 하이트론씨스템즈 제일기획 한국정보통신 파라텍 동성화인텍 스틱인베스트먼트 케이씨 드래곤플라이 엠케이전자 엠투엔 제이씨현시스템 포스코엠텍 스페코 좋은사람들 대원화성 모아텍 코웰패션 코콤 E1 SK가스 다우기술 영보화학 제룡전기 제이엠아이 디지틀조선 바이온 와이지-원 특수건설 아이즈비전 SKC 동일기연 소프트센 원익 원풍물산 웰바이오텍 한국주강 삼진 더라미 비트컴퓨터 엠젠솔루션 판타지오 덕양산업 에쓰씨엔지니어링 인지컨트롤스 유비케어 피델릭스 TJ미디어 휴맥스홀딩스 삼일 경동인베스트 뉴인텍 에스제이엠홀딩스 오스템 콤텍시스템 에스유홀딩스 피에스케이홀딩스 SK하이닉스 MH에탄올 국동 동남합성 삼성E&A 신도리코 예스코홀딩스 퍼시스 세보엠이씨 한일단조 WISCOM 동원수산 미래산업 다올투자증권 양지사 HDC 광전자 한국단자공업 원익홀딩스 한글과컴퓨터 메이슨캐피탈 광무 대호특수강 디아이 신성이엔지 티에이치엔 한온시스템 HLB 팜스토리 세원정공 영풍제지 유니온 키다리스튜디오 한국제지 한섬 현대엘리베이터 환인제약 삼보판지 삼목에스폼 에이스침대 원익큐브 계룡건설산업 서원 에스원 태경산업 리드코프 유니슨 아난티 광진실업 인터엠 신대양제지 와이투솔루션 남해화학 동원금속 성안머티리얼스 성우하이텍 대신정보통신 서부T&D HMM 경인양행 풀무원 서울도시가스 이구산업 동신건설 동화기업 에넥스 에이프로젠 제이준코스메틱 한국카본 신라에스지 케이씨피드 한탑 한국선재 DH오토웨어 시노펙스 PN풍년 삼천리자전거 메디앙스 KBI메탈 경창산업 대륙제관 동원개발 세원물산 이화전기 케이피에프 KPX케미칼 TP 에스엠벡셀 KB오토시스 신원종합개발 흥구석유 대한약품 이화공영 풍국주정 대림제지 대한광통신 동일철강 플레이위드 한국캐피탈 한일사료 KC그린홀딩스 문배철강 웅진 모베이스전자 CNH 국영지앤엠 유진기업 제이스코홀딩스 보성파워텍 브이티 태광 HL D&I 오뚜기 일정실업 와이엠 엘에스일렉트릭 신라섬유 원일특강 서한 대양금속 이화산업 동원시스템즈 바른손 부방 삼성중공업 모토닉 화신 대명소노시즌 CBI 대양제지 유니크 진로발효 삼보산업 푸드웰 푸른저축은행 피제이전자 베뉴지 엠에스씨 삼화페인트공업 경동나비엔 대동금속 광림 대원산업 큐캐피탈 한국가구 디모아 중앙에너비스 DB SGC에너지 삼륭물산 대림비앤코 경동제약 원풍 네이처셀 삼일기업공사 일지테크 한일화학 한국알콜 대주산업 글로본 대한해운 세명전기 휴니드테크놀러지스 수산중공업 에이티넘인베스트 롯데케미칼 대동기어 세아베스틸지주 호텔신라 태경비케이 화승코퍼레이션 신흥 화승인더스트리 극동유화 고려산업 피에스텍 대현 케이비아이동국실업 광명전기 부산산업 STX 고려아연 이렘 청호ICT 팜젠사이언스 무림페이퍼 현대차증권 금비 대동전자 원림 서흥 성문전자 HLB글로벌 일진홀딩스 대영포장 영화금속 신풍제약 동성제약 카스 아센디오 한올바이오파마 하이록코리아 유니켐 대창 국보 일성건설 까뮤이앤씨 보락 선도전기 씨아이테크 광동제약 갤럭시아에스엠 남성 KISCO홀딩스 태영건설 한국특강 한솔로지스틱스 삼양통상 SK텔레콤 진양폴리우레탄 미창석유공업 삼익THK 미원상사 서연 SBI인베스트먼트 세우글로벌 현대모비스 KG케미칼 대우부품 현대해상 현대지에프홀딩스 한국전력공사 국도화학 녹십자 SIMPAC 윌비스 대창단조 사조산업 한익스프레스 사조동아원 경인전자 무림P&P 인디에프 한솔피엔에스 디와이 방림 KIB플러그에너지 한솔케미칼 퍼스텍 엠벤처투자 플루토스 동원산업 대덕 한성기업 모헨즈 이스타코 태림포장 아세아제지 화천기계 CJ씨푸드 SHD 조일알미늄 에스엘 영원무역홀딩스 더존비즈온 보령 이건산업 모나리자 대구백화점 우성 유성기업 한일철강 삼익악기 화성산업 DN오토모티브 보해양조 상상인증권 혜인 금강공업 플레이그램 율촌화학 신원 동방 한국쉘석유 부광약품 풍산홀딩스 부국증권 계양전기 한솔테크닉스 DB금융투자 한미사이언스 삼진제약 POSCO홀딩스 범양건영 파미셀 동국홀딩스 대원전선 이수화학 삼성증권 삼영무역 한양증권 금호석유화학 유안타증권 제일파마홀딩스 에이엔피 한창제지 넥센 삼성공조 세방전지 진원생명과학 참엔지니어링 한국무브넥스 코스모신소재 덕성 신영증권 유진증권 유화증권 한신기계공업 코스모화학 가온전선 S-Oi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삼화전자공업 현대제철 써니전자 현대비앤지스틸 사조오양 한화투자증권 삼화전기 SK증권 평화홀딩스 일신석재 KG스틸 아이에스동서 SH에너지화학 대한화섬 코리아써키트 신세계 OCI홀딩스 삼일제약 인스코비 일성아이에스 현대건설 TCC스틸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F&F 홀딩스 아남전자 HD현대미포 GS건설 삼아알미늄 한국전자홀딩스 삼성SDI 삼성전기 동부건설 케이씨티시 코오롱글로벌 빙그레 녹십자홀딩스 시알홀딩스 현대약품 남양유업 남선알미늄 한국화장품제조 현대코퍼레이션 LS SK네트웍스 경농 티웨이홀딩스 동방아그로 송원산업 진흥기업 한국석유공업 천일고속 대원강업 만호제강 조광피혁 세방 동양철관 대유에이텍 남광토건 삼영전자공업 신영와코루 오리엔트바이오 조비 한국공항 조광페인트 삼천리 성보화학 조흥 금양 사조대림 비비안 SNT다이내믹스 한신공영 농심 삼영 성신양회 신라교역 신풍 종근당홀딩스 크라운해태홀딩스 한독 SG글로벌 SK디스커버리 샘표 흥아해운 GS글로벌 금호건설 삼부토건 삼화콘덴서공업 페이퍼코리아 동양 한화 JW중외제약 영풍 백광산업 성창기업지주 한창 삼화왕관 KR모터스 고려제강 태양금속공업 SUN&L DRB동일 넥센타이어 SG세계물산 롯데정밀화학 동화약품 DL LX인터내셔널 국제약품 태광산업 부산주공 한일현대시멘트 CS홀딩스 신성통상 DB하이텍 대림통상 유유제약 강남제비스코 대신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일전자 삼성제약 삼성화재해상보험 삼양식품 한화손해보험 NI스틸 일동홀딩스 대동 오리온홀딩스 깨끗한나라 태원물산 코오롱 삼성전자 대유플러스 BYC KG모빌리티 쌍용씨앤이 SPC삼립 흥국화재 일양약품 한진 한국수출포장공업 현대자동차 모나미 한화솔루션 아세아 카프로 롯데지주 대한방직 서울식품공업 아이에이치큐 LS네트웍스 금호전기 하이트진로홀딩스 노루홀딩스 기아 효성 CJ 두산 휴스틸 DB손해보험 TYM 대웅 진양산업 영진약품 케이씨씨 롯데칠성음료 일신방직 아모레퍼시픽그룹 제주은행 한솔홀딩스 벽산 롯데손해보험 대한제분 대상 LG 동아쏘시오홀딩스 코리안리 한국주철관공업 한일홀딩스 엔피씨 세아제강지주 대한전선 대한제당 삼양홀딩스 세기상사 한국앤컴퍼니 전방 대한항공 디아이동일 유한양행 CJ대한통운 경방 유수홀딩스 한진중공업홀딩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에너빌리티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19 |
---|---|
KT&G 케이티앤지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19 |
한국전력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0) | 2024.05.19 |
네이버 NAVER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1) | 2024.05.18 |
국민은행 KB금융 주식 주가 목표 차트 시세 공시 거래소 추천주 전망 및 기업 분석 배당금 수익률 (1)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