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질이 우수한
엘지 LG전자 모니터
가격 추천 순위 비교 리뷰
80cm UHD 4K 60.4cm FHD 피벗 스위블 68.5cm FHD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24BK550YW 27GN60R 27MK600M 24인치 27인치
*사진 클릭 해당 상품으로 이동
흔하지 않은 삼각 형태로 된 플러그는 간섭에서 좀 여유롭긴 하지만 잘 안쓰고 보통의 전원 플러그라면 이렇게 힘줘서 꼽으면 부러지지 않을까.... 싶더란... 회사에서 엘지 4k 27인치 두대 사용하고 있는데 아답터가 동일한 형태네요 갠적인 최대 단점은 멀티텝 하나에 모니터 전원아답터 두개 꼽아버리면 중간에 끼인 플러그단자 하나는 상당한 간섭을 받게 되더라구요 ㅠ 화질 4K에 스마트TV기능으로 OTT가 전부되니 단연 최고라 생각 됩니다. 호야 형님 컴퓨터 남은거 있으면 저에게 좀 주세요...ㅋ.... 형 항상 느끼는거지만 영상 설명에 가격이랑 스펙 일일이 써주는거 너무 도움되는거 같아 고마워 형 피부에 그만투자하고 성형하자. 현궈니 해상도에 관계없이 60Hz고정이라면, HDR지원하는쪽이 게임 | |
에 더 좋습니다. 해민 추 한번 게임내에서 HDR을 지원하는 게임에서 HDR을 맛보면, 하지만 왜 m7을 더 좋아하느냐,,,,m7쓰실분들은 c단자 이용해서 노트북 물려 쓰실분, 스마트기능 이용해서 ott서비스 쓰신분들...이 두가지가 중요한 분들입니다. 저는 이 두가지가 모니터 사용목적의 전부라 당연히 나쁜 화질에도 불구하고 완전 만족하는거구요. 하지만 앱등이인 저는 하지만 두 모니터 차이점이 확실해서 그걸 생각하고 구매하셔야 됩니다. m7을 더 좋아하고 저한테 잘 맞는다 생각해 쓰고 있지만, 데스크탑에 물려 쓰는 대부분의 분들은 650이 더 좋습니다. 데스크탑 물려 쓰는게 모니터의 목적이신분들은 생각할것도 없이 650 쓰세요. 잇섭님은 그냥 인터넷이나 문서같은 경우 m7도 좋다고 했지만 아닙니다. | |
650 한참 쓰다 m7바꿔서 쓰다보니 문자보는게 눈이 너무 아픕니다. 짜증나서 처음에는 이걸 어떻게 쓰나 중고로 팔아버려야하나 할 정도였습니다. 동영상 볼 때 650이 더 좋고 뭐고 한게 문제가 아니라 문자를 볼 때 m7이 눈이 너무 아픈게 훨씬더 문제였는데 그래도 좀 한참쓰다보니 적응되서 쓸만한데 아직도 구린건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가성비 넘사벽이니까 추천추천 피존 플스용으로 샀다가 티비를 굳이 안봐서 집에 티비가 없는 입장에서 최고의 모니터 였습니다 패널빼고는 디자인이나 제품마감같은거는 똥망이네 트로피칼쥬우스 트로이드 troyd 콜라 케츠스 천무 처음 볼땐 엘지가 훨씬 좋아보였는데 삼성은 진짜 자취하거나 티비 대용으로 쓰기에 너무 괜찮아보이네요 특히나 빅스비도 들어가서 스마트홈 꾸미기에도 괜찮은것 같아요! 차라리 델 울트라샤프랑 lg 모니터를 비교하는게 좀 더 알맞은 비교지않나 싶네요. 쪼포리 진라면매운맛 직접 비교가 충분할것같습니다 | |
지난주에 잇섭님 채널보고 회사에서 편집할 모니터로 주연테크 28ue 사달라해서 쓰고있습니다 ㅎㅎㅎ 맥북에 연결해서 사용중인데 모니터 코드 하나만 꽂고 나머지 다 모니터 연결해서 쓰니까 신세계입니다 ㄷㄷ 줴드 준창팜 제가 저 두 모델 듀얼로 다 쓰고있는데요. 정말 잇섭님이 제가 둘다 사용하면서 느낀 장단점 다 집어주셔서 좀 놀랐어요 (오올~~ 역시 잇섭 ㅋㅋ) 아무튼 잇섭님 말씀 하신 것처럼 제가 대칭에 예민한 편인데 둘이 너무 비슷해서 거슬리지 않고요. 둘 다 스마트 기능이 있을 필요도 없고 리모콘이 두개인 것도 싫어서 지금 각각 다른 제품을 사용한 것에 만족합니다. 단점을 얘기하자면 저는 아예 회사 자체가 코로나와 상관없이 재택을 원래 하기 때문에 게임용PC외에 회사에서 지급 받은 델노트북에도 항상 연결을 해놓는데요. 삼성 모니터와 상성이 안좋은건지... 벨킨 허브가 문제인건지 모르겠지만 케이블이 안먹어서 3개째 바꾸고 겨우 사용했습니다 |
|
더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LG에 있는 DISPLAYPORT는 게임용으로 그래픽카드에 이미 연결한 상태라 벨킨허브에 HDMI1 DISPLAYPORT1 이렇게 되어있어서 억지로 HDMI TO DISPLAYPORT 케이블을 사서 연결했습니다 (좋은걸 샀는데도 화질이 떨어지더라고요 업무용이기 때문에 그냥 씁니다 ㅠㅠ) 잇섭님 말씀처럼 색감이나 게임용으로 더 좋은건 LG라고 생각해요 저는 듀얼모니터로 바꿀려고 기존에 티비를 처분했는데 스마트기능이있었던 터라서 그 부분은 삼성 모니터로 보충이 되서 너무 좋았습니다. (써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진짜 개쩔어요... 필수..)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삼성도 밑에 잘 눌러보시면 물리 버튼이 있긴 있어요 근데.. 보통 안보고 손으로 눌러보면 감각으로 느껴질 정돈 되어야하는데 삼성거는.... 찾기가힘들어요 그지..같 아니 아무튼 리모콘 없을대 외부입력 바꿀려고 하면 좀 짜증납니다. 혹시 구매하실려는분들 추가적으로 참고하시라고 길게 달아봤어요: )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가 느낀점은 이랬어요. 정회정 정성일 전문가용 모니터도 비교해주세요! 잇섭님 구입했던 lg 32ul950 구입했는데 아주 만족하며 사용중이에요! 저한테는 전천후 좋은 모니터&스마트TV입니다.^^ 저도 삼성의 32인치 모니터를 쓰고 있지만 요즘은 4k가 정말 많이 대중화되어있어 lg와 삼성중 하나의 4k모니터를 구입하려던 참이였는데 이렇게 비교영상을 올려주셔서 정말 구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쟌다크 잘 정리해주셨네요. 용도가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삼성 M7 M8 같은 모니터는 데스크탑에 연결하는 전통적인 모니터(화면만 보여주는 기계)로 생각하면 가성비가 엄청 안좋아요. 그대신 컴퓨터 연결 안해도 모니터만 켜면 리모컨으로 간단하게 유튜브, 넷플릭스 볼수있고, 간단한 인터넷 서핑(속도는 느림)도 할수 있고, 테레비도 볼 수 있고 이런 장점이 있는 모니터입니다. 처음에는 이딴게 무슨 50만원인가 싶었는데, 나중에는 집에 오면 컴퓨터 안켜고 M8만 켜서 유튜브만 보고 자는 경우가 더 많아요. 조작도 음성인식으로 유튜브에서 잇섭 검색해줘. 하면 되니까 침대에 누워서 뒹굴거릴때 좋습니다. 반대로 엘지 32UN650은 화질면에서 장점(가성비)이 있고, 컴퓨터에 꼭 물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죠. 작년에 M7 32인치 사서 잘 쓰고 있습니다. LG 32UN650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화질과 가성비를 이유로 추천했으나 나오는 족족 품절이고 M7은 마침 할인 행사중이라 샀는데 꽤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M7 최악의 단점은 화질이 아니라 리모컨이 없거나 고장나면 모니터를 못 쓰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스마트TV처럼 넷플릭스, 유튜브 등을 주로 쓰는데 최고의 장점은 V라이브를 큰 화면으로 본다는게 최고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좋은건 크게 보래요. 자취방에서 이정도 크기에 이정도 화질에 이정도 성능이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잇섭의 깨져버린 워치 액티브 잇섭님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잇섭님 비교컨텐츠 넘재미있고 유익합니다. 오랜만에 옛영상보고 왔는데 전 아직도 잇섭님 모자시절이 좋습니다.시간되면 모자한번 써주시죠!! 일반화면은 밋밋하게 보입니다. ㅎㅎ 이정도 수준의 모니터가 50만원대까지 내려왔다니 세상 기술 참 빠르네요 ㄷㄷ 이번에 m7을 구매했는데 진짜 다용도로 사용하기 너무좋더라구요 심지어 사운드가 진짜 좋더라구요!! 이번에 lg32un650 구입해서 영상감상이랑 플스용으로 쓰는데 같은 컨텐츠도 4k로 즐기니까 훨씬 더 재밌더라구요 이민학 이름 이렇게 보니깐 4k 화질이 어마어마하네요. 이렇게 남성성 없는 남자는 처음 보네 이런 모니터에 더해, 이동식 TV 거치대를 활용해서 스탠바이미처럼 활용하는 영상도 만들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이단아 이 두 패널를 가르는 요인은 색감, 명암비, 화질선명도, 주사율 범위, 평면 or 와이드 여부, 정도로 정리 될 듯 합니다. 육각형 유사한 모방인지 현실 실현인지 차이가 갈리는 듯 위 두 모델 다 집에서 쓰고 있습니다. 하나는 이온2에 HDMI로 , 하나는 플렉스2에 C to HDMI로 연결한 상태입니다. 실 사용자가 보기에도 전반적으로 아주 적절하고 정확한 리뷰 같습니다. 삼성 M7을 먼저 쓰다가 LG 650 을 들였는데 650이 기본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모니터의 평균 정도 색감과 반응속도라면 M7이 이 부분에서 좀 많이 부족하고 영상을 보다보면 물빠진 색감이 아쉽게 다가올 때가 있습니다. 반면에 650은 M7의 편의기능과 리모컨의 맛을 본 사람에겐 마치 무선 마우스 -> 유선 마우스로 돌아간 듯한 수준의 불편감이 느껴지고 스피커도 상대적으로 귀가 피곤하면서 깊이가 부족한 소리를 들려줍니다. M7 이 평균 이하의 색감과 반응속도를 보여서 그렇지 650이 막 특출나게 뛰어난 것은 아닌거 같습니다. 아래 댓글중에 M7이 눈이 아프다는 말이 있는데 색감 조정에 실패한거 아닌가 싶고 세팅만 적절히 하면 눈은 오히려 M7이 편안한거 같습니다. 650은 기본 세팅이 약간 눈에 부담이 가는거 같고 밝기를 90~100 정도로 올리고 명암을 낮춰서 조절해줘야 눈이 좀 편안해집니다. 시야각은 IPS답게 650이 훨씬 좋고 M7은 좀만 옆으로 틀어도 계조가 무너집니다. 월E 용재 최 요즘 에어로빅 하십니까? 왜 자국민을 호구로 보는걸까 대기업놈들 오이 옛날의 4K는 지금의 8K 같았는데 지금은 확실히 대중화되면서 4K도 접하기 쉬워져 좋네요. 옛날부터 삼성은 저가에서 중고가 제품까지 모두 va패널로 넣는거 같은데 그 패널좀 그만 넣고 ips패널로 좀 모니터를 만들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영상에서 언급안되었지만 m7같은 경우 특가로 un650보다 훨씬 싸게 풀리기도 해서 많이 구매하시더라고요. 다만 m7은 게이밍 용도로는 반응속도 때문에 비추천이 많았습니다. 영상 중에 패널에 관련한 부연 설명을 붙이자면 영상 잘 봤습니다! 데스크탑, 콘솔용으로 43인치 쓰고 있는데잘 쓰다가 요즘 너무 크다보니 다시 32인치로 바꾸고 싶네요. 혹시 나중에 가격대 한 70만원 이상의 게이밍용 32인치대 QHD, 4K 모니터도 리뷰해주실 수 있나요? 역시 모니터는 엘지가 우월하네요 엘지꺼 동일모델 사용중인데 더 좋은 모니터들 분명 많지만 모니터 투자할 수 있는 선에서 제일 만족도 높은 모니터이지 않을까 싶을정도로 잘 쓰고 있습니다 ㅎㅎ 에덴 얼마 전에 맥북프로 구입했는데 기존 모니터가 좀 오래된 델 모니터다 보니 맥북 화면과 정말 차이가 크게 느껴지더라고요. 그래서 모니터 알아봐야지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딱 비교 영상 올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어 2게 맞네 양쪽다 사용해본 경험을 말씀드리면 잇섭님 말씀처럼 650은 화질, m7은 다용도예요. 암만 피부에 투자해봤자 밑빠진독에 물붓기야... 안상현 아이띠모야 아래 2제품도 비교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아 최근에 두 모델 고민했었는데 lg650+크롬캐스트로 지금 딱 쓰고 있네요 ㅋㅋㅋ m7은 최대밝기도 어둡다는 말도 있고 시야각도 lg꺼가 더 나은 것 같아서ㅎㅎ 아 그리고 일반 모니터나 ott보는 거 생각해도 va보다 ips가 더 낫다는 판단이... 편리성은 m7가 넘사긴 하지만요ㅋㅋㅋㅋ 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썬더볼트 달려있는 노트북 쓰시는 분들이 연결해서 쓰면 아주 만족할것이고,,,평소 ott 유튜브 많이 보는데 티비가 아니라 방에서 모니터만 켜서 바로 다 볼수있고 이런 기능 필요하다면 아주 만족할겁니다. 스튜디오 디스플레ㅇ..... 성이름 서빌 새우 삼시새끼가어떤새끼야 삼성은 회의실이나 사무실에서 모니터 사용자가 자주바뀌는 환경, 범용성에 좀더 초점을 둔것같네요 삼성꺼 먼저 쓰고 있는제품인데 잇섭님이 소개해주니 반갑네요.ㅎㅎ 삼성과 엘지모니터를 플스5든 차세대 콘솔용으로 사용해봤습니다. 결과적으로는 게임용으로는 LG에 손들어 주겠습니다. 이유는 아무래도 패널의 차이인데요 VA패널 단점이 잔상이 생긴다는점에서 굉장히 거슬립니다. 특히 FPS게임할때 잔상이 생기더라구요 삼성과 LG의 대결이라니 ! 삼성m7은 그냥 스마트tv 입니다. Tv로서는 훌륭하나 모니터로서는 쓰기힘듭니다. 웹서핑만해봐도 글자가 자글자글 해져서 눈이 아플지경이고 게임은 반응속도가 떨어져 액션류 게임은 힘듭니다. 삼성m7 6개월정도 사용중인데 진짜 편해요 방에 누워서 폰으로 보던 넷플 티빙을 침대에 누워서 리모콘으로 몇번 조작만 하면 큰화면으로 편하게 볼수 있어서 좋습니다 보니까 m8도 나왔던데 m7과 얼마나 차이 날지 궁금하네요 삼성 모니터가 ips패널이었으면 좋았을거라는 아쉬움이 드네요. 디자이너분들 모니터로 VA패널 쓰시는 분들도 계실텐데 작업 할 때 어떠실지 궁금하네요. :) 삼성 M8 사용 목적은 집에선 모니터용으로.. 캠핑에선 스마트TV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비슷한 내용이겠으나 베젤도 좀 두껍고 , 마감재도 투박하고, 패널도 중국패널이긴한데 버터_바닐라 밝기 350칸델라면 250과는 엄청난 차이죠. 물론 색상깊이가 깊어야 가능한 기능. 모니터를 선택하시는 분들은 주로 이 두 패널에서 고르게 될텐데, 이 덧글을 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선택을 하길 바랍니다. 모니터 자체 성능 위주로 가실 분들께는 당연히 lg가 압승이고, 다양한 기능과 사용성으로 가실 분들은 삼성이 맞지않나 싶네요. 모니터 암으로 연결해서 쾌적하고 깔끔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강추드립니다 모니터 성능만 따지면 LG가 압승이네요. 명암비가 좋아 사용처를 꼽자면 사진 쪽 작업으로 쓰기도 하지만, 게이밍 모니터로 가장 많이 나오는 패널이기도 합니다. 만일 위 두 패널 중에서 모니터를 고민중인 분이 계신다면 또한 보통 높아도 75Hz정도이나, VA패널은 120, 144를 넘는 고주사율 모니터가 매우 잘 나옵니다. 디자인에녹은 | Melted to Design 들콩 둘은 경쟁제품이라기보다는 제품분야가 다른 제품 같아요. 사실 둘 비교하기는 좀... 둘다 제조사 OS로 스마트 기능있으니 둘다 장점은 명확한거 같고 오래사용해본 경험의 단점만 보자면, 둘다 사용중입니다만 주사율문제가 있어서 32인치 uhd만으로 사기엔 게이밍모니터로쓰기엔문제가있어서 아쉽더군요. 그냥 게이밍이 아니라면 개인적으론 삼성이 앱이많이깔렸어서 더 좋았어요 두제품 컨셉이 확실한 모니터라고생각합니다. 두 모니터를 접하면 지금 쓰는 저렴한 모니터를 쓸때 역체감 당할 것 같아서 바꾸질 못할듯. 덱스고 오피스고 자체 인터넷 브라우저고 그런 것들은 신경쓰지 마세요. 개구려서 못씁니다. 덕과장-다나와 더군다나 에필로그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패널에 따른 시야각도 체감이 많이 나더라고요 동일 사양 엘지 va패널 모델은 시야각이 너무 아쉬워서 정면 말고는 화면 볼때 아쉬움이 컸어요 답글 8개 답글 7개 답글 6개 답글 5개 답글 3개 답글 2개 답글 1개 답글 16개 답글 13개 답글 10개 답글 닭발이 에러네요 닭발 디자인한 사람 누구냐 딱대라 단점은 빛샘현상과 자주 눈 아플 수 있습니다. 사용처는 주로 영상 쪽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단점은 60Hz 까지라는거... 단점으로 좁은 시야각, 잔상, 상대적으로 낮은 화질선명도가 있겠습니다. 단 , 주사율등이나 응답속도 같은거 봤을때는 게임밍보다는 일반 모니터용+영상감상용에 더 적합합니다 눈쟁님 국내 구매제품은 해상도 문제는 잡아 나온거 같은데요 색 잡는거 어디서 참고해야해요? 노트북 c단자에 물려쓰면서 평소 ott 유튜브 많이 보시는 분들은 m7 넷플, 유툽만 보는데 삶의 질이 달라짐.. 제가 삼성을 굉장히 안좋아하지만 이제품만은 사운드도 나쁘지 않으니 최고입니다. 네 다음 밝기 내어릴적 나중에 게이밍 모니터 lg&삼성편도 만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약간 4k모니터랑 듀얼로 쓴다면 뭐가 좋을지 궁금합니다 나중에 8K가 많이 상용화 되면 그땐 어떤 해상도와 화질의 모니터나 티비가 출시될지 궁금하네요 ㅎㅎ 영상 잘 보고 있슴다! 나라라나 김하새 김태용 김채혁 근데 어댑터 내장 되고도 더 얇은 두께, pd지원 등 기능부분은 삼성이 훨씬 낫네요. 근데 밝기 개똥임 ㅋㅋ 근데 50만원이면.... 저가형으로 살래요. 그래픽 카드가 3050이라 온라인게임은 옆에 fhd모니터로 하는데 역체감 엄청 심합니다ㅋㅋ 그건 태생이 다르기 때문에 생겨난 기업문화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용 178만원 쑤바 곧 m8이 나온다고하는대 m7도 진짜 퀄리티 가격 만족하는 제품입니다!! 고양이 결론....데스크탑 물려서 쓸 모니터면 무조건 650... 결과적으로 전 tv볼때는 삼성m7, 모니터로는 lg650으로 쓰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4k사용하면서 화질을 포기할 수는 없지요 게임을 주로 하시는 분의 경우 VA패널이 IPS에 비하여 유리합니다. IPS패널의 경우 고주사율(144hz 등)으로 설정시 간헐적으로 플리커 현상이 생깁니다.(화면 깜빡임) 게임 버리고 보옴 거기에 색역도 압승, 10bit지원 등 갠적으로는 pc사용성이 높은 엘지 제품이 더 끌리지만 삼성모니터에 dp단자가 없는거만 보더라도 모니터의 용도보다는 세컨드 모니터나 넷플릭스같은 ott 서비스 플스같은 제품을 이용하려고 구입하는느낌이 강한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LG는 언제나 정면승부하다는 편이고 삼성은 다양한 편의성 발빠른 시장 접근으로 승부하는 듯요. 개인적으로 32UN650도 끌렸었지만 27인치 선호해서 27UP850으로 질렀는데 엄청 만족스럽더라구요. 글씨 많이 보시는 분들 윈도우라도 4K모니터 + 200%배율 정말 추천드립니다. 강쿨피 감성덩어리 갈려나간원두 가슴이 웅장해진다 가격차이뭐노 가격대별로 비교 영상을 더 올려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32인치 4K 비교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ㅁ <!! 가격대를 정해두고 비교하다보니 명확히 그 포지션에 맞는 제품을 찾기 힘들고 생각합니다. ㅘ우 ㅘㅜ zizonppower xoi00iox VA패널은 높은 명암비와 좋은 색 재현율이 특징입니다. IPS패널보다 명암비는 매우 좋으나 색 재현율은 상대적으로 뒤떨어집니다. VA는 부드럽지만 명암비가 높아 어두운 부분에서 구분이 잘 된다. VA는 명암비가 좋고, 특히 '게이밍' 용으로 자주 나와 '와이드' 모니터로 주로 출시됩니다. 본인이 게임을 주로 합니다. ex) 삼성 오디세이 시리즈 un650사용한지 1년반정도 되었는데 당시에는 4k에 32인치라 너무좋게 사용했지만... 콘솔게임을 즐기는 유저로써 거실에있는 티비에 비해 좀 불만족스럽네요.. 그래서 42인치 혹은 48인치 oled로 넘어갈까 고민중인데.. 너무 오바일까요 ㅎㅎ Tlfj RrhsCH Sirius Jay sdr밝기 350은 넘어야 하는거 아닌가 노트북 올레드는 sdr 400 hdr 600찍던데 모니터는 왜 저모양이지 Scipio M S.Juuuun RanSet PhD OTT 서비스 거의 지원하고 그냥 깔끔한 스마트 모니터네요 OTOXMAHO oled치고 생각보다 구린듯... 역시 기다렸다가 에일리언웨어 에이어 아수스꺼를 사야하는듯 Nine K Mina Lim michael park M7이 할인폭이 커서 가성비이긴 한데 게임할때는 확실히 별로입니다. 그래도 어중간하지만 티비처럼 티비앱으로 보는 컨텐츠는 프레임보정해서 부드럽게 보여주는게 있어서 좋았습니다. 근데 이것도 모니터 내 칩 스팩이 낮아서 그런지 어두운 화면은 픽셀 깨지는게 보입니다 . 진짜 이것저것 다 되지만 뭔가 나사 살짝 빠진점들이 보이는 애매한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M7을 작년에 구매해서 엄청 잘 쓰고 있습니다^^ M7 작년에 구매해서 엄청 잘 쓰고 있습니다. M7 모니터암 물려서 1년 넘게 쓰고 있는데 빛반사가 심해서 불편하고 뭔가 부한 느낌이에요. 전에 쓰던 IPS에 비해 선명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그래도 하드웨어 호환 좋고 다양한 앱 사용가능하고 스마트씽스로 조작할 수 있는게 정말 편해서 만족하고 있어요. M7 개선판 샀어요 ~ ps5유저인데 650 할인 기다리다가 M7개선판 할인 많이들어가길래 구매함 완전 신세경 ㅎㅎ 확실히 부가기능이 압도적임.. 멀티뷰까지되고 기존보다 응답속도 빠르고 밝기좋고 굿굿 리뷰감사합니다 참고많이됐어용 M NI_BG LG는 한곳에 두고 한명의 사용자를 위한것 같고 LG노트북의 화면이 엄청 좋다 느낌이 오는 것도 여기서 옵니다. 또한 시야각도 매우 좋습니다. Lg650에 콘솔이나 크캐등을 물렸을경우 항상 모니터 아래 조크로 조정을 해줘야해서 다용도로 쓸경우 매우 불편합니다. LG 특유의 쨍함도 있고 화질도 좋고요, 전문가가 아닌 일반 유저면 50만원대 4k 32인치로써는 가성비 원탑인것 같습니다 LG 32UN650 십일번가 대란났을때 개당 41만에 4대 구매했네요. 와이프랑 재택중에 두대씩 쓰려고 샀는데 너무 만족스럽게 잘 쓰고있습니다. 나중에 거리두기 해제되서 회사 가게되면 적응 안될것 같네요. 회사에는 울트라샤프 27인치 모델있는데 그것보다 LG 32UN650이 좋은느낌입니다. 스펙은 델이 더 좋던데 체감은 LG가 좋네요. 다만 말씀하신대로 어탭터가 너무 뚱땡이라 6구 쓰기 힘드네요. LG 32SQ730SW joy wonderful jjigae budae Ji Jake Lee ITSub잇섭 IPS패널은 모니터 패널 중에서 색 재현율과 화질선명도가 매우 좋은 패널입니다. 잇섭님이 색감이 진득하다는 평가도 여기서 나오며, ips인데도 va인 삼성보다 명암비 압승에 IPS는 화면이 쨍한 느낌으로 깔끔한 느낌을 받고 '평면'모니터로 주로 출시됩니다. 본인이 영상을 주로 시청합니다. ex) LG 그램과 같은 모니터 IPS는 색감이 찐하고 쨍한 느낌이라 애니를 많이 본다면 추천. 그리고 명암비가 낮지만 검은색은 더 확실한 검은색의 느낌이 난다. IPS, VA 모니터 2개 사용 중이라 비교해서 보니 차이가 명확하더라구요. Hyun Lee Hyeonu Choi Home HOHODAK HM Lee Hee gg않는 고양이 FOUR_ USD Equilibrium Doe Datdude Chanwoo Lee Andrew Ahn 95 9 8 7개월 전(수정됨) 7개월 전 79 71 7 694 68 Chun 67 66 650은 포트전환(dp<->hdmi)힘들고 m7은 그냥 스마트tv입니다. 650쓰다가 m7으로 바꿔서 쓰고 있는 입장에서 사용경험을 말씀드리자면 둘다 아주 좋은 모니터라서 저렴이들 사지 말고 이거 둘중 하나 사라고 하고 싶네요. 6 5:29 55 51 5 4주 전 4k 모니터가 가성비 제품은 30만 원대이지만 애매한 감이 있었고 그게 아니라면 100만 원 가까이 되는 제품을 샀어야 하는데 삼성이나 엘지에서 그 중간에 있는 모델을 만들어주니 인기가 굉장히 많을 것 같네요 44 42 4 3일전에 LG 32UN650 샀는데 아주 만족하고 씁니다 39 33 32un650이 모니터의 본질적 기능면에서는 압도적이고 삼성제품은 모니터 보조기능에서 넘사벽이네요 ㅋㅋ 저는 32un650 살 거 같습니다 ㅠ 100cd 차이가 생각보다 심해서 ㅠㅠ 32un650 사용자로서 색은 좋긴합니다 근데 사용성이 조금 부족한건 사실이에요 맥이랑 윈도우랑 같이 쓰는데 윈도우 pc끄고 맥으로 넘어가면 자동으로 모니터 전환이 안되더라구요 나머지 부가기능으로는 본 영상처럼 lg가 많이 부족하긴 해요 특히나 맥을 쓰시면 c타입 단자가 정말 요긴하게 쓰입니다 생각보다 모니터 부가기능이 큽니다 ㅋㅋㅋ 32un650 이 약 2년간 경쟁모델이 없어서 다 해먹었는데 작년 말부터 알파스캔이나 레노버 주연테크 등에서 경쟁 모델을 만드는 바람에 같은 가격 혹은 더 낮은가격으로 32un650 을 이기는 제품이 나왔어요. 관심있으신 분들은 더 알아보고 선택하시는걸 추천드려요 31 3 2주 전 28 27지랄은 좀; 이런게 그돈씨지 ㅋㅋ 27인치 ㅋㅋㅋㅋㅋ 아무리 모니터가 좋아도 32인치에 적응이 돼어버려성 않삼 ㅋㅋㅋ 거기다 모니터가 백칠만원 응 호구인정 27인치 4k 델 모니터 아주 만족스럽게 사용중인데.. 요즘 hdr 컨텐츠가 많아지면서 나도 hdr을 시청하고 컨텐츠도 만들고 싶은데 hdr 등급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워낙 뭐가 많아서 함부로 구매하기가 힘들어요 ㅠ 27GR95QE 이 모델 생각보다는 별로 입니다. 파란배경에서 잔상있고 200cd 밝기에 ABL woled 특유의 가독성쓰레기.. qd-oled 대비 물빠진색감.. 가격 등.. 단점 너무 많아요.. 27GP750 -> 27GP850 -> 27GR95QE 24 20 2 1달러환율 1300원잡고 해외직구 130만원대 1년 전(수정됨) 1년 전 1개월 전 1bba 19 185 140 14 13 129 1234 11개월 전 11 107 1 - (와! 1등!) (예:디비전2) M7용 전용 이동가방이 있으니 파손 위험도 덜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