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주가 분석 카카오톡·핀테크·모빌리티 사업별 실적 정리
주가 전망 목표 하락 이유 1주 가격톡 주식 그래프 엔터 주가 사는법 상장 가격 기업
(제조서비스업)사업의 개요
당사는 국내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과 인터넷 포털 사이트 다음(Daum)를 비롯해 종속회사를 통해 모바일 · 인터넷 기반의 모빌리티, 금융, 게임, 음악, 스토리IP를 주축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준 사업부문은 매출의 성격에 따라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먼저 플랫폼 부문은 1) 카카오톡이라는 전국민에 도달 가능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광고, 커머스 관련한 다양한 비즈니스 툴을 제공하면서 파트너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톡비즈, 2) 다음(Daum)포털의 사용자와 트래픽을 기반으로 창출되는 온라인 광고 부문이 주영역인 포털비즈와 3) 카카오페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헬스케어, 카카오브레인을 비롯한 연결종속회사들이 전개하는 미래 성장동력이 되어줄 플랫폼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어서 콘텐츠 부문은 1) 카카오게임즈가 모바일 게임의 장르 다변화와 해외시장 진출, 자체 개발 게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게임콘텐츠, 2)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진행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유료가입자 기반을 확보한 음악플랫폼 멜론(Melon)과 글로벌 K-pop 아티스트를 양성하고 음악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뮤직콘텐츠, 3) 카카오픽코마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서 경쟁력 있는 스토리IP를 발굴하고 국내외 콘텐츠 시장에서 이용자 저변을 키워가고 있는 스토리콘텐츠, 그리고 4)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IP를 활용한 매니지먼트 사업 및 영상콘텐츠 제작 사업을 펼치고 있는 미디어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자산인 카카오톡은 사람과 사람사이, 기술과 사람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좀 더 가깝고 안전하게 하고자 하는 미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션 아래서 오픈채팅탭과 친구탭를 비롯한 주요 서비스의 개편을 진행하고 있고, 이용자들이 일상과 밀접해있는 로컬기반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먼저, 플랫폼 부문의 톡비즈(광고)는 신규 광고상품인 친구탭 CPT 상품 출시와 오픈채팅탭으로의 신규 지면 확대와 더불어, 메시지 비즈니스(톡채널, 알림톡)의 성장을 통해 매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톡비즈(커머스)는 불경기로 인한 소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프리미엄 선물 라인업을 강화하고 카카오톡 안에서 브랜드와 팬덤을 연결하면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을 선도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이용자 접점을 형성하고 양질의 트래픽을 축적해 온 플랫폼 기타 부문 역시, 더욱 규모감 있는 매출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는 결제 사업의 탄탄한 시장 지위를 기반으로, 카카오페이 플랫폼을 통해 공동체 내외부의 제휴사와의 협력을 진행하면서 대출비교 서비스 및 투자, 보험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 등으로 금융플랫폼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앱 등을 통해 1) 택시, 육상 교통, 항공 등을 포함한 MaaS 시장, 2) 대리, 퀵서비스 등 중개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Agent 시장, 3) 주차, 세차, 정비 등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Car Owner Service 시장 등에 진출해 있습니다.
이어, 콘텐츠 부문의 게임콘텐츠는 다양한 라인업에 대한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어가는 한편 모바일 게임의 서비스 영역을 글로벌로 확장하며 영업수익의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뮤직 부문에서는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연결 편입 효과를 비롯해 제작/유통 관련 성장세가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스토리 부문 또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카카오픽코마간의 시너지가 한층 강화되면서 전세계 다양한 이용자들에게 몰입도 높은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연결 | |||
제30기 3분기 (2024. 1. 1 ~ 2024. 9. 30) |
제29기 3분기 (2023. 1. 1 ~ 2023. 9. 30)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플랫폼 부문 | 2,853,548 | 48.25% | 2,597,638 | 46.73% |
콘텐츠 부문 | 3,061,099 | 51.75% | 2,960,857 | 53.27% |
합 계 | 5,914,646 | 100.00% | 5,558,495 | 100.00% |
참고: 상세한 영업부문별 정보는 'III.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 (제조서비스업)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및 서비스 현황
[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구분 | 매출 유형 |
사업영역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제30기 (당)3분기 | 제29 (전) 기 | 제28 (전전) 기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플랫폼 부문 | 제품/용역 | 톡비즈 | 카카오톡, 선물하기 |
2,853,548 | 48.25% | 3,554,442 | 47.00% | 3,462,565 | 50.93% |
포털비즈 | 다음(Daum) 등 | ||||||||
플랫폼 기타 | 카카오T(모빌리티) 카카오페이 |
||||||||
콘텐츠 부문 | 제품/용역 | 게임 | 카카오게임 | 3,061,099 | 51.75% | 4,002,560 | 53.00% | 3,336,483 | 49.07% |
뮤직 | 멜론(Melon) 음반, 음원, SM엔터테인먼트등 |
||||||||
스토리 | 픽코마 카카오웹툰 카카오페이지 |
||||||||
미디어 | 영상제작 등 | ||||||||
합 계 | 5,914,646 | 100.00% | 7,557,002 | 100.00% | 6,799,048 | 100.00% |
참고: 상세한 영업부문별 정보는 'III.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1) 플랫폼 부문
당사의 주요 광고상품은 성과형광고(CPC; Cost per Click)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어 비딩을 통해서 가격이 결정됩니다. 2019년말 카카오비즈보드 출시 이후 톡채널 등의 메시지광고와 결합하여 광고매출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카카오톡, 다음 등의 다양한 카카오 서비스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전달하고, 노출과 전환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는 톡비즈(광고)와 포털비즈는 광고주들의 입찰 강도 그리고 도달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범위 및 타겟팅 정도와 같이 비즈니스 파트너별 요구사항에 따라 그 가격이 매우 유동적으로 결정됩니다.
당사의 커머스 사업은 선물하기, 메이커스, 톡스토어 등으로 구성되며, 선물하기의 럭셔리 상품, 배송상품 등의 증가와 메이커스, 톡스토어 등의 가전, 건강식품 등의 판매 증가는 전체 커머스 사업의 평균 판매가격을 인상시킬 수 있으나, 전체 사업의 가격 변동추이는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진행하는 프리미엄 택시서비스인 'T 블루', 'T 벤티'와 카카오페이가 진행하는 결제, 송금, 금융서비스 또한 주요한 판매가격의 변동보다는 서비스 이용자의 확대에 따라 매출이 증가하는 추이입니다.
(2)콘텐츠 부문
게임부문은 개별 타이틀별로 게임의 특성과 이용자 행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과금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게임의 라이프사이클과 업데이트 주기 등에 따라 상품구성이 매우 다양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뮤직부문의 음반 매출은 아티스트 및 음반의 볼륨에 따라 출고가격이 상이하게 책정되며, 공연매출의 경우 공연지역, 공연규모 등에 따라 단가가 다르게 결정됩니다. 또한 음원 플랫폼 매출은 개별곡 다운로드부터 무제한 듣기 그리고 결합상품에 이르는 폭 넓은 이용권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자신의 음악 감상 습관에 부합하는 이용권을 취사선택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스토리 부문 역시 플랫폼을 통해 거래되는 콘텐츠별로 가격책정이 상이하여 콘텐츠 부문에 속하는 서비스별로 가격추이를 산출하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 힘듭니다.
3. (제조서비스업)원재료 및 생산설비
아래 물적자산의 기준은 2024년 3분기말 기준이며, K-IFRS 연결기준 현황입니다.
당사 및 주요 종속회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이 주요 업종이며, 사업의 특성상 광고, 메신저플랫폼 사업, 모빌리티, 페이, 게임, 스토리 등의 주요 사업을 위해서는 토지 및 건물 등의 유형자산보다는 인터넷상의 정보를 연결하고 저장할 수 있게 하는 서버 등의 기계장치가 온라인/모바일 사업을 영위하는데 더 중요한 물적재산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사업에 있어서, 연구개발, 기획, 디자인 등의 숙달된 인력이 필요하므로, 이들이 사용하는 비품(컴퓨터, 노트북 등의 비품)이 당사의 사업에 중요한 물적재산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기계장치는 당사가 직접 유형자산으로 회계 인식하는 자산 이외에도 리스자산으로도 인식하고 있으며, 유형자산과 리스자산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형자산으로 인식된 기계장치는 2023년말 기준 3,890억원이며, 2024년 3분기말 기준으로는 4,792억원 입니다. 전체 유형자산 대비해서 35.6%를 차지하고 있으며 당기중 902억원 증가하였습니다.
가. 유형자산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장부금액의 변동> | ||
기초 순장부금액 | 1,322,051,482 | 885,397,238 |
연결범위변동 | (27,969,402) | 95,849,139 |
취득 | 279,065,491 | 420,142,390 |
처분 및 폐기 | (22,072,854) | (8,841,295) |
감가상각비 | (194,078,875) | (158,815,054) |
손상차손 | (12,330) | - |
대체(주1,2) | (9,905,385) | (5,601,553) |
기타 | 657,971 | (862,416) |
분기말 순장부금액 | 1,347,736,098 | 1,227,268,449 |
<취득원가 및 장부금액> | ||
취득원가 | 2,238,096,283 | 1,954,934,991 |
감가상각누계액 | (886,882,472) | (724,921,790) |
손상차손누계액 | (774,087) | (56,599) |
정부보조금 | (2,703,626) | (2,688,153) |
분기말 순장부금액 | 1,347,736,098 | 1,227,268,449 |
(주1) 전기말 선급금 및 장기선급금 금액 중 유형자산으로 재분류된 금액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2) 당분기 중 매각예정으로 분류한 자산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나. 리스자산
리스 관련 당분기말 및 전기말 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사용권자산 | ||
부동산 | 1,541,269,403 | 1,608,969,910 |
기계장치 | 263,206,403 | 147,535,916 |
차량운반구 | 14,171,086 | 14,394,512 |
합계 | 1,818,646,892 | 1,770,900,338 |
당분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47,747백만원(전분기 증가: 199,013백만원)입니다. 해당 금액에는 전대로 인해 제거된 사용권자산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다. 시설투자(CapEx)
당사는 2021년 3월 12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친환경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구축하기로 결의하였으며, 목적은 미래 IT 수요 데이터 증가에 대응하고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관리 운영을 강화하기 위함입니다. 2021년에서 2029년까지 10년의 기간동안 데이터센터의 구축과 서버 및 네트워크 장치의 확보 등의 목적으로 약 4,249억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의 소재지는 안산시 한양대 ERICA 캠퍼스로 2023년 10월 준공되었으며, 2024년 1월부터 운영 중에 있습니다.
카카오데이터센터는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초대형 데이터센터로, 데이터센터 건립을 통해 고도화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의 관리 운영을 강화하고 기업, 교육, 의료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급증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수요에 적극 대응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연결 | |||
제30기 3분기 | 제29기 3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CapEx | 90,244 | 400,660 | 154,420 | 488,746 |
- 유형자산 | 63,220 | 309,229 | 123,524 | 383,921 |
- 무형자산 | 27,024 | 91,431 | 30,897 | 104,825 |
참고: 상기 시설투자 내역은 제조서비스업과 금융업에서 발생하는 투자규모를 합산하여 기재했습니다.
4. (제조서비스업)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 실적
당사의 수입원은 크게 플랫폼 부문과 콘텐츠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제30기 3분기 | 제29기 | 제28기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플랫폼 부문 | 2,853,548 | 48% | 3,554,442 | 47% | 3,462,565 | 51% |
콘텐츠 부문 | 3,061,099 | 42% | 4,002,560 | 53% | 3,336,483 | 49% |
합 계 | 5,914,646 | 100% | 7,557,002 | 100% | 6,799,048 | 100% |
참고: 자세한 영업부문별 정보는 『 III.재무에 관한 사항 - 3.연결재무제표 주석- 주석6. 영업부문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판매방법 및 전략
플랫폼 부문 사업은 크게 톡비즈, 포털비즈, 플랫폼 기타로 구분되며 각 사업부문별 판매방법 및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톡비즈
1) 광고형 상품: 카카오톡 비즈보드, 톡메세지, 네이티브 광고 등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광고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소재를 노출하거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직접영업, 광고대행사를 통한 영업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2) 거래형 상품: 선물하기, 톡스토어, 메이커스, 쇼핑라이브 등 카카오톡과 연계된 다양한 쇼핑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상품을 제공하고 있고, 상품 카테고리별 담당 MD를 통한 상품 큐레이션, 판매자 입점방식, 공동주문생산, 주문중개등의 방식을 통해 파트너들의 참여 기회를 높이고 있습니다.
(2) 포털비즈
전통적인 광고 방식인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상품을 판매 하고 있으며, 직영업, 대행영업, 인바운드OLS 등의 방식으로 광고주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3) 플랫폼 기타
1) 모빌리티: 카카오T 앱을 통해 택시, 대리, 주차, 바이크 등 편리한 이동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용자와 파트너를 보다 스마트하게 연결하며 이에 따른 플랫폼 수수료 수익을 수취하고 있습니다.
2) 페이: 결제, 송금, 청구서, 멤버쉽 등을 통해 확보된 트래픽을 기반으로 투자서비스, 보험, 펀드 등의 판매를 확대하며 금융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기타 플랫폼 신규 사업: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 '카카오 클라우드'를 B2B파트너들을 통해 확산하며 서비스 이용 수익을 수취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부문 사업은 크게 게임, 뮤직, 스토리, 미디어로 구분되며 각 사업부문별 판매방법 및 전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게임: 게임 콘텐츠를 채널링 또는 퍼블리싱 방식을 통해 파트너와 제휴하여 게임콘텐츠에서 발생하는 게임 아이템 매출 등을 수익쉐어 하고 있으며, 자체 게임개발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게임을 직접 서비스하며 수익을 높이고 있습니다.
(2) 뮤직: 국내 1위 음악 플랫폼인 멜론을 통해 음악 콘텐츠 이용권을 판매하고 있으며 멜론티켓을 통해 콘서트, 전시, 뮤지컬 등의 티켓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획사와의 계약을 통해 유통권을 확보한 음원/음반을 국내외 음원플랫폼과 오프라인 유통채널에 공급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고있습니다.
(3) 스토리: 웹툰, 웹소설 등의 다양한 온라인 유료 콘텐츠 이용권을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웹툰 그리고 픽코마를 통해 판매하는 동시에 외부 플랫폼에 웹툰, 웹소설을 공급함으로써 콘텐츠 공급자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4) 미디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활동에 따른 수익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영상 콘텐츠의 기획/제작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유통채널에 대한 공급을 진행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5. (제조서비스업)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과 유동성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시장위험은 다시이자율 변동위험, 가격위험과 외환위험 등으로 구분). 연결회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 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이자율변동 위험
이자율 위험은 미래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조건의 차입금과 예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2) 가격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관리 및 영업상의 필요 등으로 상장 및 비상장주식을 포함하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이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수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3) 외환위험
외환위험이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환율위험은 금융상품을 측정하는 기능통화 이외의 통화로 표시된 금융상품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비화폐성 항목이나 기능통화로 표시된 금융상품에서는 환율위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을 포함한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 뿐만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및 은행 등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1) 위험관리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합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우량신용등급을 보유한 곳과 거래합니다. 기업 고객의 경우 외부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동 정보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고객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등을 근거로신용등급을 평가합니다.
연결회사의 신용위험의 개별 고객, 산업, 지역 등에 대한 유의적인 집중은 없습니다.연결회사가 보유하는 채무상품은 모두 낮은 신용위험의 상품에 해당합니다.
2) 신용보강
일부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하는 경우 이행을 요구할 수 있는 보증 또는 신용장 등의 신용보강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3) 금융자산의 손상
연결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주요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은 신용위험 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은 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경우 제각됩니다. 회수를 더 이상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없는 지표에는 연결회사와의 채무조정에 응하지 않는 경우, 120일 이상 계약상 현금흐름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등이 포함됩니다.
매출채권에 대한 손상은 연결포괄손익계산서상 대손상각비로 순액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각된 금액의 후속적인 회수는 동일한 계정과목에 대한 차감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금융자산은 미수금과 대여금 및 기타채권을 포함합니다
리스채권 이외의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모두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손실충당금은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금융상품은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고 단기간 내에 계약상 현금흐름을 지급할 수 있는 발행자의 충분한 능력이 있는 경우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3) 유동성위험
현금흐름의 예측은 연결회사의 재무부서가 수행합니다. 연결회사의 재무부서는 영업자금수요를 충족시킬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연결회사의 자금조달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4)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관리의 주요 목적은 안정적 재무구조의 유지입니다. 연결회사는 자본관리 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한편,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전전기말 |
부 채 | 11,520,568,139 | 11,321,369,715 | 9,447,826,639 |
자 본 | 14,175,705,321 | 13,858,599,224 | 13,515,717,385 |
부채비율 | 81.27% | 81.69% | 69.90% |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중인 파생금융상품자산 및 파생금융상품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분기말
(단위: 천원) |
구분 | 합계 |
파생상품자산 | 7,672,285 |
파생상품부채 | 181,167,572 |
합계 | 188,839,857 |
2) 전기말
(단위: 천원) |
구분 | 합계 |
파생상품자산 | 12,560,198 |
파생상품부채 | 8,195,574 |
합계 | 20,755,772 |
6. (제조서비스업)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비경상적 중요 계약
(단위: 백만원) |
해당 법인 | 계약 상대방 | 구분 |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계약 체결 시기 또는 계약의 기간 | 계약 금액 및 대금 수수방법(기준) |
㈜카카오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 자금대여 | 자금대여 계약 체결 | 2022-12-15 (2023-12-14 연장계약) |
100,000 |
㈜카카오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 자금대여 | 자금대여 계약 체결 | 2023-07-13 (2024-03-12 연장계약) |
100,000 |
㈜카카오 | ㈜카카오헬스케어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2-04-21 | 120,000 |
㈜카카오 | ㈜카카오헬스케어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4-05-16 | 30,000 |
㈜카카오 | ㈜카카오브레인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4-04-16 | 36,000 |
㈜카카오 | ㈜카카오인베스트먼트 | 현물출자 | ㈜카카오인베스트먼트에 보유 상장/비상장 주식 현물출자 | 2022-11-10 | 1,163,384 |
㈜카카오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 신주인수 및 전환사채 취득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신주인수 및 구주취득 | 2023-02-07 | 111,930 |
㈜카카오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 계약 해제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신주인수 및 구주취득 계약 해제 | 2023-03-06 | 111,930 |
㈜카카오페이 | ㈜카카오페이증권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2-09-27 | 100,000 |
㈜카카오페이 | Siebert Financial Corp.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주1) | 2023-12-20 | 23,255 |
㈜카카오페이 | ㈜카카오페이손해보험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3-07-31 | 100,000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PWARP INVESTMENT PTE. LTD. THE PUBLIC INVESTMENT FUND |
신주발행 |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23-01-11 | 1,153,980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 구주 취득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구주취득 | 2023-03-06 | 625,023 |
㈜카카오게임즈 | Kakao Games Europe B.V.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2-06-24 | 174,073 |
㈜카카오게임즈 | Kakao Games Europe B.V. | 채무보증 | 제3자에 대한 채무보증 | 2022-06-24 | 739,395 |
㈜카카오게임즈 | - | 교환사채 발행 | ㈜크래프톤 보통주 대상 사모 교환사채 발행 | 2024-08-06 | 270,021 |
㈜카카오게임즈 | Kakao Games Europe B.V. | 신주인수 | 유상증자 참여 | 2024-09-12 | 287,955 |
참고: 회사의 재무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 계약을 기재하였습니다.
(주1) 해당 거래의 최초계약 금액은 10,3851 백만원으로, 2차 거래의 미진행과 주주간 계약 변경에 따라 취득 내용이 변경되었습니다.
㈜카카오는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신주인수 및 전환사채 취득을 위한 계약을 ㈜에스엠엔터테인먼트와 체결했으나, 법원의 가처분 신청 인용결정에 따라 해당 계약을 해제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
해당 법인 | 계약 상대방 | 구분 |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계약 체결 시기 또는 계약의 기간 |
계약 금액 및 대금 수수방법 |
㈜카카오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 신주인수 및 전환사채 취득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신주인수 및 전환사채취득 | 2023-02-07 | 111,930 |
나. 연구개발담당조직
지배회사 카카오의 연구개발 담당 조직은 크게 4가지로 구성됩니다.
Tech 는 카카오톡 서비스와 코어사업인 광고, 커머스 등과 관련된 연구개발과 인프라기술을 연구하는 조직입니다.
AI 사업과 관련한 조직으로는 AI 모델을 개발하는 Kanana α와 관련 서비스를 연구개발하는 Kanana X 가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콘텐츠 CIC 는 포털 다음과 검색서비스, 창작플랫폼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도]
연구개발_조직도(24.09.30)_ff |
다. 연구개발비용
(단위: 백만원) |
과목 | 연결 | 별도 | |||||
제30기 3분기 | 제29기 | 제28기 | 제30기 3분기 | 제29기 | 제28기 | ||
연구개발비용계 | 971,989 | 1,223,589 | 1,021,335 | 422,549 | 490,133 | 468,551 | |
회계처리 | 무형자산 | 671 | 1,298 | 1,815 | 0 | 0 | 0 |
연구개발비(비용) | 971,318 | 1,222,291 | 1,019,520 | 422,549 | 490,133 | 468,551 |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16.4% | 16.2% | 15.0% | 22.2% | 19.6% | 19.1% | |
[연구개발비용 계/당기매출액X100] |
참고: 상기 연구개발비용은 카카오 및 카카오종속회사의 연구개발부서, 연구개발인력 등과 관련된 인건비, 관련된 외주용역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사가 영위하는 사업이나 연구개발 성격에 따라 세부적으로 연구개발비용으로 집계하는 기준은 상이합니다. 연구개발비용은 재무제표재작성에 따른 영향이 미미하여 재작성하지 않았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당사가 투입한 연구개발비는 대부분 당기 비용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일부는 개발비 및 기타의 무형자산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해당 개발 실패시 무형자산에 대한 감액 손실이 발생하여 당사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금액비중은 전체 재무실적 대비해서 미미한 수준입니다.
라. 연구개발실적
당사의 영업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머신러닝, AI, 클라우드를 비롯한 주요 연구개발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조직 |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연구마감 년도 |
로컬&플랫폼기술 | AB테스트 플랫폼을 위한 통계 기반 운영 자동화 기술 | AB테스트 설계 및 운영에 필요한 통계 분석을 시스템화 하여, 실험플랫폼 운영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 ㄴ실험 설계 단계: 실험 지표의 통계적 안정성 검증, 지표 관계 통계 분석 및 지표 추천/검증 ㄴ실험 운영 단계: 유사 실험 간 실험 패턴 비교/ 분석/ 결과 예측, 실험군 변동성 모니터링 및 alert ㄴ실험 결과의 사후 관리: 실험 결과 간 통계 분석/시계열 분석, 반복 실험을 통한 실험 결과 안정성 검증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하이브 테이블 모니터링 및 알람 시스템 개발 | 복수 하둡 클러스터 대상 통합 하이브 테이블 모니터링 및 알람 시스템 개발 데이터를 다루는 현업 조직 입장에서 마주하는 실질적인 데이터 관리이슈를 기반으로 구축한 모니터링 시스템 복수의 하둡 클러스터 대상 / 영향도를 파악할 수 있는 테이블 관계도 / 모니터링 시각화 / 이상감지 알람 시스템 제공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채널메시지 타겟팅 알고리즘 연구 개발 | 유저 관심사 및 내재된 반응성 정보를 활용한 채널메시지 타겟팅효율 증대 알고리즘 연구 개발 | 진행중 |
AI SaaS | 머신러닝 기반 추천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영상, 음악, 텍스트, 상품, 교차 추천 등 다양한 솔루션을 손쉽게 서비스에 도입/검증 | 진행중 |
AI SaaS | 추천 시스템을 위한 AI 원천 기술 확보와 연구 개발 | RecSys Challenge 2022 Workshop 논문 게재 - 제목: Simple and Efficient Recommendation Strategy for Warm/Cold Sessions for RecSys Challenge 2022 |
2022 |
AI SaaS | 추천 시스템을 위한 AI 원천 기술 확보와 연구 개발 | KDD Cup 2022 Workshop 논문 게재 - 제목: Predicting Query-Item Relationship using Adversarial Training and Robust Modeling Techniques |
2022 |
AI SaaS | 추천 시스템을 위한 AI 원천 기술 확보와 연구 개발 |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 순서 정보를 활용한 개인화 추천 기술 고도화 - 카카오웹툰 서비스에 해당 알고리즘 적용하여 열람 전환율 23% 상승하였음. |
2022 |
AI SaaS |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머신러닝 기반 기술 연구 | 대용량 데이터 확보에 이은 효과적인 머신러닝 기술 접목으로 머신러닝 기술의 효용성을 현실화 | 진행중 |
AI SaaS | 설명 가능한 추천 알고리즘 연구 개발 | 각 추천 결과에 해당 아이템이 추천된 이유를 설명해주는 알고리즘 개발. - 카카오웹툰 서비스에 해당 알고리즘 적용하여 열람 전환율 20% 상승하였음. - 추천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2023 |
AI SaaS | 추천풀 개인화 알고리즘 연구 개발 | 추천풀 개인화를 통해 사용자 장기만족도와 카테고리 다양성을 모두 높일 수 있는 알고리즘 연구 개발 | 2022 |
AI Vertical | 브랜드 멘션을 활용한 광고전략 생성 방법 및 장치 | 국내 특허 출원 완료 -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Brand Lift Survey를 넘어 검색엔진의 Documents를 활용한다. 국내 특허 등록 및 공개 완료 |
2022 |
AI Chat 스튜디오 | 대화처리 기술 고도화 | 대화엔진, 자연어처리, 유의어모듈 등에 사용되는 기술들을 최신화/내재화하여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기반을 구축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SLA기반 리소스 스케줄링 기술 개발 | 약속된 SLA에 최적화된 리소스를 스케줄링해서 생성/관리해주는 기술.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sustaining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 개발 |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서비스 메트릭, 서비스 로깅)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자동 데이터 플랫폼 개발.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용 데이터 스토리지 개발 | 클라우드 네이티브에서 주로 사용하는 오픈 소스 데이터 스토리지(ceph)를 대체하기 위한 볼륨용 스토리지 플랫폼 개발.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AI를 활용한 smart ARS 개발 | ARS플로우를 사용자가 직접 설계하고, TTS와 같은 AI를 활용하여 인식/응답할 수 있는 ARS개발 | 2022 |
로컬&플랫폼기술 | Cloud Native pipelined Deployment 서비스 개발 | deployment 서비스 및 승인/감사 기반의 deployment SaaS개발 | 2022 |
로컬&플랫폼기술 | Cloud API gateway SaaS개발 | 클라우드 API gateway SaaS 개발 | 2022 |
로컬&플랫폼기술 | Cloud IAM SaaS개발 | 클라우드 권한/접근제어를 위한 SaaS 개발 | 2022 |
로컬&플랫폼기술 | Cloud OLAP SaaS개발 | 간단하게 OLAP cube를 통해 분석할 수 있 SaaS개발 | 2022 |
로컬&플랫폼기술 | Arm기반 저전력 자체 서버 개발 | Arm기반의 저전력 서비스용 자체 서버 개발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Low Code기반의 Simple App develope SaaS개발 | 템플릿 및 GUI기반의 low code application platform 개발 | 2024 |
로컬&플랫폼기술 | Open Policy Agent Data Store SaaS개발 | OPA 용 Data store SaaS 개발 | 2023 |
로컬&플랫폼기술 | 딥러닝 기반 인코딩 최적화 플랫폼 연구개발 | 영상의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고정된 값이 아닌 최적의 인코딩 파라미터를 예측하여 적용하기 위한 플랫폼과 학습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동일한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적은 용량으로 인코딩함으로써 스토리지 및 트래픽 절감 효과.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톡채널 시스템 고도화 | 톡채널의 파트너 비지니스 지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화 가능한 채널홈 구축시스템을 준비함. 카카오의 각종 비지니스 도구들과 연결하는 구성을 고도화.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행안부 전자증명서 발급 시스템 개발 | 행안부에서 발급하는 각종 전자증명서를 카카오톡내에서 발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함. | 2022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마이데이터 통합인증 플랫폼 개발 | 마이데이터 사업에서 통합인증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서 정보제공자들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서명 정보를 생성/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 | 진행중 |
상기 연구개발실적외 당사에서 진행 중인 연구개발 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조직 | 연구과제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연구마감 년도 |
광고커머스개발 | CTR 예측 모델 고도화 - 광고그룹 단위 예측 및 탐색전략 고도화 | 현재 소재단위 CTR 예측 모델을 그룹단위 예측 모델로 변경하면서, 해당 그룹내 소재별 노출 기회 제공 및 고효율 소재 노출 관련 탐색전략 고도화 기능 개발 ㄴ 콜드스타트 등 이슈에 보다 안정적 대응 ㄴ 소재 증가로 인한 시스템 프로세스 부하 감소 ㄴ 소재단위 노출 기회 부여 기능 개선 관련 탐색전략 고도화 |
진행중 |
광고커머스개발 | 최적화 타게팅 및 랭킹에 활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데이터 연구 및 로직 개발 | 사용자 정보가 빈약하거나 혹은 전무한 경우까지도 감안하여, 광고요청 발생시 최적화 타게팅 및 랭킹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연구 및 관련 로직 개발 ㄴ 문맥광고에서 현재 랜덤 로직 대체하기 위한 로직 개발중(UFO피쳐 활용 로직 고도화중, 웹문서 카테고리 분류기술 이용 고도화중) ㄴ 사용자의 전환트래커 로그 카테고리 정보 활용한 로직 개발 준비중 ㄴ 기타 가용한 데이터 발굴 및 이를 활용한 타게팅, 랭킹 피쳐 반영 등 연구 진행중 |
진행중 |
광고커머스개발 | CVR 예측 모델 고도화 - 전환 딜레이 및 학습 시점에 따른 전환 추정 모델 고도화 | 늦게 반영되는 전환(delayed feedback)과 학습(관측) 시점에 따른 전환 추정에 대한 모델 고도화 CTR 모델에 비해서 적은 데이터 & 다양한 목적으로 서비스되는 CVR 모델 성능 고도화 다양한 타입의 전환 이벤트와 관련 피쳐와의 관계 분석 및 고도화 |
진행중 |
광고커머스개발 | 리테일미디어 협력광고 연구 개발 | 리테일미디어 사의 카탈로그 정보를 활용한 입점 브랜드 사의 협력광고 모델 연구개발 | 진행중 |
광고커머스개발 | 메시지 발송모수규모 및 발송유저 추천 모델 연구 개발 | 메시지 광고 적정 발송모수 규모 및 발송대상 유저 추천 모델 연구 개발 | 진행중 |
기술전략 | API 테스트 도구 개발 | API 테스트 환경구축, 실행, 분석, 리포트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SaaS 개발 - 기대효과 : 테스트 환경 구축, 실행에 필요한 리소스를 효율화 할 수 있으며 테스트 협업이 편리해진다. - 기대효과 : 테스트 자동화를 통한 품질 제고와 리소스 감소 (대상을 분석하여 테스트 코드를 자동 생성, 기본 성능 체크 자동화) |
진행중 |
기술전략 | CI/CD SaaS 개발 |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 프로세스를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형태로 관리, 자동화 할 수 있는 SaaS 개발 | 진행중 |
기술전략 | 스팸 및 어뷰징 글에 대한 자동화 모니터링 | 머신러닝 기반으로 스팸 및 어뷰징 글, 스팸이미지의 형태를 파악하여 이를 점수화 하고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반영 검수 대상 감소. 모니터링 효율화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KEditor 개발 | 여러 플랫폼에서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를 제작하고 소비할 수 있는 멀티 플랫폼 편집기 및 뷰어 개발 | 진행중 |
로컬&플랫폼기술 | 비주얼컴퓨팅(머신러닝/컴퓨터비젼) 기반의 지도정보자동검출시스템 |
로드뷰 영상내의 다양한 정보( 차선, 표지판, 안내마크, 건물, 간판 등)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지도데이터의 최신화 및 신규 서비스( AR등 )의 활용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서버 푸시 가능한 대용량 API Gateway 개발 | 카카오톡 서버로 유입되는 대량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Gateway 시스템으로, API 호출 인증과 사용자 대상 푸시 처리를 내장해, 카카오톡 시스템 전체의 개발/운영 효율성 제고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Queue consume 제어 시스템 | - 쓰로틀링을 통해 안정적이고 고른 분산 처리 기대. - 상용 Queue를 통해 각 인스턴스에서 소비되는 단위 시간당 메세지 소비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 - 준 실시간 메세지 소비 및 잔여량을 모니터하여, 동적 또는 정적으로 제어 가능한 시스템 개발.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대화 내용 아카이빙 | 메시징 서비스에서, 메시징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내보내는 건메시징 서비스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하여 대화를 아카이빙하고 앱/웹에서 접근하는 건 아카이빙 된 대화 내용을 공유하고 표시하는 방식에 대한 건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검색 질의 자동 멀티 분석기 | 검색 컬렉션에 기 세팅되어 있는 세팅값에 따라, 질의어의 질의패턴분석/형태소분석/금칙어분석/오타보정/자동완성 멀티 수행. 질의어의 질의패턴분석은 패턴 적중시, 필터/필터 부스팅/컬렉션 제거/운영자 커스텀 로직 작동/질의어 변경 등 자동 수행.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SSE(Shared Signals and Events) - 교차 계정 보호 시스템 | - 카카오 로그인(소셜 로그인)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카카오계정에 보안 이상징후 발생 시, 연동 서비스들에 실시간 보안 이벤트를 전달/전파하여, 해당 서비스들이 보다 보안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 카카오 로그인(소셜 로그인)을 연동하는 서비스들의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보안 침해 사고를 적극 방어/방지함. |
2023 |
콘텐츠CIC | 동영상 서비스의 유저 기반 재생 지표 연구 | 동영상 서비스에서의 Active user 기준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장단점을 파악함. 이를 바탕으로 DAU, WAU, MAU등의 주요 지표와 비활성화 유저 개념 등을 도입하고, 관련 지표를 시각화하여 의사결정 전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 |
진행중 |
콘텐츠CIC | 스팸 및 어뷰징 글에 대한 자동화 모니터링 | 머신러닝 기반으로 스팸 및 어뷰징 글, 스팸이미지의 형태를 파악하여 이를 점수화 하고 서비스에 직/간접적으로 반영 검수 대상 감소. 모니터링 효율화 |
진행중 |
인프라기술 | MongoDB에서 컬렉션 단위의 물리 이동 방안 | 대규모 MongoDB 데이터베이스에서 일부 데이터만 다른 인스턴스로 물리적으로 이동 가능케 하는 기술로, 논리적인 이동(dump&restore) 보다 빠르게 처리. 데이터 보관주기 관리 또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등에도 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 2023 |
인프라기술 | OnNet CDN 구축 | 카카오의 CDN 기반 컨텐츠 서비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제. 통신사 마다 전용 컨텐츠 캐시 팜을 구축하고 보다 많은 대역폭을 확보하며 이슈성 트래픽에 대한 비용 부담을 감소시키는 목적 현재 동영상 기반 컨텐츠 캐시 팜을 1차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이미지와 같은 정적 컨텐츠 캐시 팜 추가 구축 예정 |
2023 |
인프라기술 | IMS 개편 | 전사 자산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자산DB적인 코어 시스템과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시스템으로 분리 개편. 전사 리소스 관리(유,무형 자산포함)와 관련된 다양한 니즈를 맞출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진행중 |
인프라기술 | IT Governence Portal | IT 거버넌스 포털은 전사 위험과 유/무형 자산의 비용을 관리하기 위한 카카오의 SCMS(Service Catalog Management System:서비스 카탈로그 매니지먼트 시스템) / BCMS(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비즈니스 연속성 관리 시스템) 입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카카오의 서비스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인프라/서비스 비용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집니다. 전사 인프라/서비스를 대상으로 서비스 목록(코드)의 속성을 정의 서비스 내/간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서비스 중단시 빠르게 장애 상황을 파악/전파/대응 서비스/인프라에 대한 소요되는 종합적인 비용을 파악하는데 활용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정기결제 시스템 개발 | 이모티콘 플러스, 톡서랍 플러스 등 카카오의 서비스를 웹 결제/IAP 방식을 통합해서 정기 결제할 수 있는 구독 시스템을 개발해서 다양한 구독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시스템 제공 | 진행중 |
메시지&유저플랫폼개발 | ID 카드 파트너센터 시스템 개발 | 파트너가 직접 ID Card를 제작하고 유저에게 발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여 자격증, 멤버십카드, 출입카드 등의 많은 플라스틱 카드를 디지털 카드로 전환하고 카톡 지갑에 담아 편하게 사용/관리할 수 있게 함 | 진행중 |
마. 연구개발 조직도
연구개발_조직도(24.09.30)_ff |
7. (제조서비스업)기타 참고사항
가.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당사는 카카오 기업 브랜드 및 서비스 브랜드의 가치 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개발, 심의, 상표권 출원, 등록 등의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정책을 내부적으로 수립하였으며, 브랜드 관리 정책에 따라 브랜드, 디자인, 마케팅, PR 등의 영역에서 일관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허법 제 94조에 의거하여 당사는 해당 특허에 대한 독점적 실시권을 가지며, 상표법 제 89조에 의거하여 당사는 해당 상표에 대한 독점적 사용권을 보유하고, 디자인보호법 제 92조에 의거하여 당사는 해당 디자인에 대한 독점적 실시권을 가집니다. 지적재산권 보유 건수는 권리의 신규 취득, 존속기간 만료, 포기 및 매각 등으로 인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있습니다.
(기준일: 2024년 9월 30일) |
구분 | 특허권 | 상표권 | 디자인권 |
국내 | 780 | 2,929 | 156 |
해외 | 226 | 1,947 | 31 |
합계 | 1,006 | 4,876 | 187 |
나.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당사는 모바일과 웹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 및 검색, 이메일, 뉴스 및 각종 커뮤니티와 게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통신사업자입니다. 당사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상의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전기통신사업법' 상의 부가통신사업자로서 각 법령의 적용을 받습니다. 또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로서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아, 그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이용자의 통신사실 확인자료 제공과 관련된 '통신비밀보호법', 게임물 서비스와 관련하여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 '저작권법', 청소년의 유해매체물 접근 및 이용제한과 관련된 '청소년보호법', 구매하기 플랫폼을 통한 통신판매 및 통신판매 중개와 관련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 콘텐츠 제공업체 등 제휴사들과의 계약 체결 시 불공정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전자결제업 관련된 '전자금융거래법', 은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은행법', '외국환거래법' 등 관련 법률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4년 5월 14일 자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되어,「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에 따른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일부 법령과 규제는 사업자에게 일정 수준의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당사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이뤄지는 변화를 수용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모바일과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바일 및 인터넷 생태계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다. 환경보호
카카오는 사업 운영에서 발생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 방침을 수립하였으며 환경경영 이행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특히, 환경 관련 주요 사안들에 대해 이사회와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에서 주기적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환경 목표 수립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이행과 친환경 투자활동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1) 환경 경영 추진 체계
카카오는 2021년에 환경경영 이행의 기반이 되는 환경 방침을 최초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환경 방침에 따라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 오염 예방과 환경 보호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합니다. 2023년에는 환경 방침 내에 전사적인 추진을 위한 환경경영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이사회에서 환경 성과에 대한 감독 및 리스크에 대한 의사결정을 진행한다는 점을 규정하였습니다.
<환경 방침>
· 환경 성과의 지속적 개선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선도적인 노력 · 친환경 기술/서비스 개발 및 친환경 투자 확대 · 개선을 통한 사전예방 활동 · 법규 및 그 밖의 요구사항의 준수 · 환경영향 저감을 위한 파트너와의 협력 · 폐기물 및 에너지 관리 · 교육 및 공개적 경영 · 파트너 및 이용자 동참 지원 · 환경 거버넌스 |
2) 환경경영 전담 조직
카카오는 이사회 산하의 ESG위원회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환경경영 전반의 이슈를 감독하고 최종 의사결정을 수행합니다. 카카오의 ESG 총괄 임원은 ESG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ESG위원회로 부터 환경 및 사회에 대한 영향 관리 책임을 위임받아 전사 ESG 전략을 총괄합니다. ESG 총괄 임원은 중대한 이슈사항에 대해 의사결정을 실시하며, 중대성 이슈 중에서도 핵심 이슈사항에 대해서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ESG위원회 및 이사회에 보고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ESG위원회는 연간 4회 진행하며,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 활동 및 성과 등을 관리·감독합니다. ESG 전담조직인 ESG경영은 ESG 전략 수립 및 이행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하며, 환경경영시스템 운영, 환경전략 수립 및 이행, 환경 성과 관리, 글로벌 이니셔티브 대응 등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환경경영 실무를 추진합니다. ESG경영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리스크 및 기회 요인을 정기적으로 식별하며, 중요 이슈 발생 시 경영진에게 즉시 보고합니다. 또한 부서간 실무협의체인 환경경영테이블은 현업 부서의 환경경영 이행 및 개선과제를 실행하여 전사적인 환경경영을 추진합니다.
3) 환경경영시스템
카카오는 환경경영시스템을 기반으로 환경과 관련된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조직의 환경 측면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평가, 관리 및 개선하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제주 본사 오피스와 판교아지트에 대해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연 1회 외부 독립적 기관에 의한 사후관리 심사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에는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내부 심사가 진행되었으며, 2023년 3월 실시된 ISO 14001 정기 심사로 인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환경투자
카카오 공동체가 2022년 신규 입주한 카카오 판교아지트에 대해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인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Design) Gold 등급을 2023년 3월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에너지 IT 소셜벤처인 식스티헤르츠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시민조합이 직접 생산한 재생에너지를 구매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2022년 한 해 동안 제주 오피스 운영에 필요한 전력의 전량을 태양광 에너지로 조달하였습니다.
판교 아지트 에너지 효율화 | 스케쥴링 시스템 및 재실센서를 활용하고 조명제어 시스템을 가동하여 불필요한 조명 사용에 따른 에너지 사용 감소 |
재생에너지 인증서 구매 | 시민들의 작은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친환경 전력 (1,900 MWh) 구매 |
5) 환경목표
카카오는 사업 운영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저감하기 위하여 매년 환경목표를 수립하고 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카카오는 대외적 목표인 재생에너지 2,000 Mwh 조달과 Scope 1+2 배출량, 용수 취수량, 폐기물 발생량의 전년 수준 유지를 내부 환경목표로 설정하였습니다. 2023년 한 해, 재생에너지는 목표 대비 2배를 조달하여 초과달성 하였으며, 노후 장비 폐기 및 고효율 장비 도입에 따라 Scope 1+2 배출량 감축에 성공하였습니다. 다만 수자원 및 폐기물의 경우, 관리대상의 확대 및 고도화, 근무제도의 변화로 인하여 당초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카카오는 사업 운영에 따른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2) 기후 변화 대응
카카오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중장기 기후변화 대응 목표 수립하였습니다. 2040 Net Zero를 목표로 카카오 사업뿐만 아니라 밸류체인에서 발생되는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전기차 전환,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공급망 탄소 배출 관리 등 다각적인 노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2040 Net Zero Roadmap
카카오는 2022년 4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2040 Net Zero 목표를 선언하였습니다. 카카오는 2040년까지 기업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Scope 1+2 배출량을 0톤까지 감축1)하고 이와 더불어 가치사슬에서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Scope 3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한국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카카오는 넷제로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하였으며, 2030년까지 2021년 대비 Scope 1+2 배출량을 40% 감축하고, Scope 3 배출량을 17%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해당 중기 목표는 파리협정의 1.5℃ 기온 상승 억제 목표에 부합하는 SBTi2) 방법론을 바탕으로 설정되었습니다.
[Scope 1] 전기차 전환 |
카카오 사업 운영에서 직접 배출되는 Scope 1 배출량은 대부분 차량 연료 사용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통근 버스 및 법인 차량 전기차 전환 등을 통해 배출량을 감축하고자 합니다. |
[Scope 2]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
카카오는 사업장 사용 전력으로 인해 간접 배출되는 Scope 2 배출량에 대한 감축 목표를 수립하였습니다. 2030년까지 전체 전력 사용량의 60%를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고, 204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이에 대한 첫 시작점으로 2022년에는 제주 오피스의 재생에너지 사용량 100% 전환을 달성하였으며, 앞으로 재생에너지 수급량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카카오는 2022년 1,900MWh의 재생에너지를 수급 하였으며, 2023년에는 4,000MWh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
[Scope 3] 공급망 탄소 배출 관리 |
카카오는 밸류체인에서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도 Scope 3 배출량을 전체 15개 카테고리 대상으로 산정하였으며, 이 중 카카오에 해당하는 13개 카테고리 배출량을 공개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Scope 3 배출량 관리체계를 구축 및 고도화할 계획입니다. |
(3)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
카카오스러운 환경 기여 활동의 적극적 추진을 위해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를 발표했습니다.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Active Green Initiative)는 기후위기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담은 카카오의 환경전략 체계입니다. 카카오는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를 통하여 내부 운영 및 가치사슬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더 나아가 다양한 서비스와 캠페인을 통해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의 추진 원칙은 ‘카카오 안에서’, ‘카카오를 통해’, ‘카카오와 함께’로 정의됩니다. 글로벌 표준에 발맞춘 기후변화 대응, 내부 운영의 효율화를 통한 환경 기여와 더불어, 유저 및 파트너의 서비스 이용과 캠페인 참여가 친환경 사회 전환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의 목적입니다. 카카오는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를 통하여 크루, 파트너, 이용자를 비롯한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환경문제 해결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합니다.
1) 카카오 카본 인덱스
카카오 카본 인덱스Beta는 이용자가 카카오 그룹의 서비스와 플랫폼을 통해 참여한 다양한 친환경 활동을 정량화한 수치입니다. 카본 인덱스는 이용자의 환경 인식을 높이고 친환경 임팩트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카카오 내부 관리 지표인 KUC (Kakao Users' Carbon-reduction)로 환산하여 공개됩니다. 2023년 카카오 카본 인덱스는 서비스 및 플랫폼의 사회적 탄소감축 효과와 더불어 친환경 캠페인 참여 등의 간접적인 기여를 합산하여 2024년 환경의 날에 공시 예정입니다. 이 중 사회적 탄소감축 효과는 서울대학교 기후테크센터와의 연구 협업을 통하여 산정되었으며, 약 27,000,000 kgCO2-eq로 집계되었습니다. 카카오는 카본 인덱스 집계에 활용된 빙법론을 <플랫폼 산업의 사회적 감축 성과 측정 가이드라인>으로 대외 공개하여, 더 많은 IT 플랫폼이 친환경 사회로의 전환에 동참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합니다. 카카오는 앞으로도 이용자의 친환경 서비스 이용, 구매, 활용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관련 연구 및 환경 전문 파트너십을 통해 그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가며 우리 사회의 저탄소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 그린 카카오
<내부 환경영향 저감 방향성>
카카오 내부의 환경영향 저감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력 소비가 많은 데이터센터의 환경영향 저감을 위해 에너지 효율 개선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현재 임차 데이터센터를 사용 중이며, 2024년 1월부터 자체적으로 준공한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설계 단계부터 친환경성을 고려한 자체 데이터센터를 통해 환경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며, 기존에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도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친환경 통합 설계 적용>
안산 데이터센터는 자연조건의 활용, 다양한 에너지 절감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통합 설계로 친환경 데이터센터로서의 정체성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신재생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냉각 전력 효율 향상을 위한 고효율 에너지 설비를 적용하며, 우수 및 중수,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에너지 절감 기술을 통해 데이터센터 PUE1) 1.3 이하를 기준으로 설계 및 시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통하여 기존의 임대 데이터센터 대비 에너지 사용량 및 탄소 배출량을 약 15%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연간 전력 사용량을 약 30GWh 가량 줄이고 에너지 비용을 30억 원 이상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안산 데이터센터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예비 인증서 1등급을 받았으며, 녹색 건축 예비 인증서를 통해 녹색건축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습니다.
에너지 절감형 건축 | 에너지 절감형 건축을 통한 에너지 요구량 최소화 · 단열 성능 향상 차양, 고성능 이중 외피 사용 · Hot Aisle, UT Containment 시스템 적용 및 기류 최적화 · 효율 프리쿨링 냉동기 시스템 도입 |
에너지 효율화 기술 |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에너지 소비량 최소화 · 우수 및 중수 재활용 · 폐열 회수 시스템 적용 · 프리쿨링 외기 냉수·냉방 적용 · 고효율 장비, 절수형 기기, LED 조명 도입 |
친환경 에너지 기술 | 태양광, 연료전지 등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 · 1,000kW 규모 태양광 패널을 남측을 바라보도록 설치 · 50kW 규모의 친환경 연료 전지 사용 |
<효율적 데이터센터 운영>
카카오는 친환경 설계가 적용된 자체 데이터센터와 더불어 현재 이용 중인 임차 데이터센터의 환경영향 저감을 위해 노력합니다. 각종 에너지 효율 인증을 획득한 서버를 사용하여 서버 및 전원공급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관리하고 있으며, 전산실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서버에서 배출되는 고온을 냉각장치에서 공급되는 냉기와 격리하여 이전 대비 냉각장치 효율을 개선했습니다. 또한 전산실 내 스마트 온도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실시간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친환경을 고려한 신규 임차 데이터센터>
2023년 2분기부터 이용할 임차 데이터센터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설비가 도입되어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장비 도입 | 데이터센터 벽면 세 면에 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s)를 설치하여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너지) 가용을 증대하고자 합니다. |
친환경 소화약제 도입 | 데이터센터에 모든 소화약제는 현존하는 소화약제 중 가장 낮은 환경 파괴 지수를 보유한 청정소화약제 Novec을 적용하여 지구 온난화 및 오존층 파괴를 막는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지향합니다. |
조명 밝기 조절 기능 적용 및 조명 자동제어 | 데이터센터 내 조명 밝기 조절 기능을 적용하여 공간 내 인원 부재 시, 최소 조도를 유지합니다. 자동제어를 통한 타임 스케줄 제어, 개별 및 그룹제어로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자 합니다. 조명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에너지를 절약하고자 합니다. |
물 사용량이 적은 데이터센터 | 최신 기술이 적용된 공냉식 냉동기를 적용하여 타 데이터센터 대비 용수 사용을 절약하고자 합니다. |
<친환경 판교 아지트 구축>
카카오는 2022년에 신 사옥 '판교아지트' 준공을 완료하여 공동체와 함께 입주하였습니다. 친환경성을 고려한 판교아지트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인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Design) 평가 Gold 등급을 2023년 3월에 획득하였습니다. 특히 LEED 획득 기준 중 하나인 조명 제어 시스템을 설치하여, 불필요한 조명 사용에 따른 에너지 사용을 감축하고 있습니다. 스케줄에 맞춰 조명을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과 사람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재실 센서를 활용하여 크루가 없는 층의 조명을 자동으로 소등합니다.
<친환경 사내 식당 및 카페 운영>
판교아지트에 설치된 사내 카페 및 사내 식당 '춘식도락'은 부정적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내 카페에서는 크루에게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 소재인 에코젠으로 만들어진 머그컵을 제공하여 일회용품 사용 및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또한 식음료를 포장할 때는 1회용 플라스틱 대신 종이컵과 뚜껑, 옥수수 전분 빨대, 대나무 젓가락 등을 제공합니다. 사내 식당 또한 포장 시 친환경 펄프 소재의 포장 용기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봉투를 활용하고 있으며, 사내 전반에 걸쳐 일회용품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내 식당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호기성 처리기 3대를 도입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기존 대비 90% 감축했습니다. 호기성 처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 및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캔틴 등 편의시설에서는 텀블러 세척을 위한 린서, 분리수거함 등을 비치하여 크루의 일상 속에서 다회용품 사용과 재활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크루 환경 교육 및 환경캠페인 실시>
2022년 12월, 카카오 크루들이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인식 수준을 제고할 수 있도록 사내 환경 교육 ‘ESG, 그리고 기후변화 이야기’를 진행하였습니다. 기후변화 이슈에 대한 개념부터 카카오의 대응 현황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전 직원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습니다. 교육 후에는 수강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 만족도 및 업무 적용도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사내 카페에서 일회용품 대신 개인 컵 이용을 장려하는 친환경 캠페인을 진행하여, 크루들이 교육을 통해 배운 내용을 직접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매년 1회 이상의 환경 교육을 실시하여 환경경영의 필요성에 대한 크루들의 이해도와 관심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크루 친환경 통근 및 이동 장려>
크루들의 통근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 통근버스와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판교아지트 내 자전거 주차장 및 전기 충전 공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법인 차량 중 무공해 차량 비율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2년 12월 기준 법인 차량의 22%를 전기차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3) 그린 서비스
<참여형 새활용 프로젝트 ‘새가버치’>
카카오메이커스는 헌 물건의 새 가치를 찾는 새활용1) 프로젝트 ‘새가버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새가버치는 쓰임이 다한 제품의 쓸모를 다시 찾는 서비스로, 선형 경제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순환 경제 구조의 친환경적 제조업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시도입니다. 2022년에는 티셔츠, 셔츠, 스웨터 등을 새활용하는 프로젝트를 3회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에도 새활용 아이템을 보다 확대하여 제조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하고 ‘새활용이 모두의 습관이 되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계획입니다.
<친환경 인증 정보 제공 및 친환경 패키지 사용>
카카오커머스는 카카오톡 선물하기, 카카오톡 쇼핑하기 내 상품 상세 페이지에 친환경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등록 가능한 인증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선물하기 검색 결과 페이지에 친환경 인증 정보가 등록된 상품은 ‘그린선물’로 노출하여 친환경 상품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성을 개선하였습니다. 더불어 카카오프렌즈 상품의 패키지에서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률 등급이 높은 종이상자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프렌즈 공식 홈페이지에서 상품 구매 시 박스, 완충재, 테이프 등을 모두 친환경 소재로 사용하며, 오프라인 직영 스토어에서도 생분해성 비닐인 친환경 비닐백을 이용합니다.
<전자문서 및 생활 결제 서비스로 종이 사용량 감축>
카카오페이는 공인전자문서중계자로서 모바일 메신저 기반 전자문서 서비스를 운영하며 기존 우편 안내문, 종이 고지서 등을 카카오톡을 통해 제공합니다. 또한 카카오페이 청구서는 국내 최초의 모바일 메신저 기반 전자고지결제(EBPP, Electronic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서비스로 공과금과 각종 생활 요금의 청구서를 간편하게 관리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전자문서 및 생활 결제 서비스는 문서 제작 및 발송 비용 절감, 이용자 편의성 제고, 업무 효율화뿐만 아니라 종이 생산 및 사용량 감소에 기여해 산림 보호와 탄소 배출량 저감 등 환경 보호 효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기 택시 전환 지원>
카카오모빌리티는 차량 구매부터 충전, 배터리 관리 등 전기택시 이용자가 느끼는 불편함과 부담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매 지원금과 충전 할인 카드 지급, 배터리 관리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습니다. 2022년 12월 기준, 카카오 T 블루와 프로 멤버십 가입 택시 중 1만여 대가 전기차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LPG 택시를 전기택시로 전환할 경우, 1대당 연간 약 3.9 tCO2e의 탄소 배출량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 건축 및 설계 추구>
카카오스페이스는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삶을 고민하고 이를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합니다. 정해진 기간에 종료되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실천 경험이 다음 세대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AI캠퍼스(가칭)는 자연 친화적 설계 및 시공을 통해 환경을 고려한 건물 건축 및 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하였으며, LEED 인증 취득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캠퍼스 전면으로 형성되는 근린공원은 생태적 지속성을 갖도록 설계하여 자연, 환경, 사람이 함께하는 경험 설계의 중요한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4) 그린 캠페인
<카카오같아가치ㅣ모두의 행동 그린디지털 캠페인>
모두의행동은 일상 속 작은 행동으로 사회 문제에 참여하는 카카오같이가치의 임팩트 무브먼트 서비스입니다. 2022년에는 환경 캠페인 '그린 디지털'을 통해 일상 속 디지털 탄소 절감을 위한 행동 3가지를 소개하였으며, 이용자들의 행동 인증 1개당 카카오가 1,000원을 기부했습니다. 기부금은 총 1,026그루의 나무를 심는 데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경기도 연천군에는 ‘그린 디지털 숲’이 조성되었습니다.
이메일 에코모드 사용 | · Daum/카카오메일에서 스팸 메일, 휴지통 보관 기간을 기존 15일에서 7일로 단축하는 에코모드를 통해 탄소 배출 저감 · 2022년 12월 기준 총 47,000여 명 참여 |
디지털 기기 전력 사용 감축 | · 스마트폰 절전모드 사용 및 카카오톡 다크모드 이용으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 · 2022년 12월 기준 총 3,900여 명 참여 |
페이퍼리스 실천 | · 종이 청구서를 카카오페이 모바일 청구서 및 문서함 이용을 통해 종이 사용량 감축 · 2022년 12월 기준 15,400여 명 참여 |
5) 생물 다양성 보존활동 추진
카카오는 지역사회 생물다양성 보호 및 산림 재생을 위해 다양한 이용자 참여형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서식지를 위협받거나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을 보호하고, 건강한 자연 생태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해양 생태계 보전 활동>
카카오의 사회공헌 플랫폼 카카오같이가치는 6월 8일 해양의 날을 맞아 ‘우리바다’ 캠페인을 진행하여 해양 보호 구역의 실태와 현황 파악 및 대안 마련에 기여했습니다. 해양 환경 보호 및 바다 생태계 보전을 위한 모금함을 총 5개 선정하였으며, 카카오가 각 모금함 당 1백만 원씩 기부한 총 5백만 원의 특별 기부금과 추가적인 카카오 응원 기부금을 전달하였습니다. 해양보호구역의 쓰레기 수거 시스템 마련을 위한 프로젝트, 초·중·고등학생 대상의 해양 환경 교육 프로젝트 등이 선정되었고, 약 3만 명이 함께 모은 약 1,830만 원은 모두 해양 환경 보호 프로젝트에 기부되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서식지 보전 활동>
카카오는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보전하고 야생조류 서식지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프로젝트팀의 제안을 통해 겨울철 멸종위기에 처한 재두루미의 먹이 공급을 위한 사업과 수달 서식지 보호활동을 위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2022년 3월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소실된 산불피해지 산림 복원을 위해 사용자와 함께 6.5억 원을 모금하여 기부하였습니다.
<꿀벌 생물종 다양성 보전 활동>
꿀벌은 전 세계 과채 수분의 70%를 담당하고 있어 인류의 식량 위기와도 깊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카카오메이커스는 이런 꿀벌의 개체 수 감소 위기에 대해 알리고자 하였으며, 일러스트를 활용한 캠페인을 통해 모금된 약 1,500만 원의 수익금 전액을 한국양농협회의 밀원수1) 식재 사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부하였습니다.
<제주 해양 정화 프로젝트 지원>
카카오는 제주 임팩트 챌린지를 통해 제주 지역사회의 환경영향 저감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해양 쓰레기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해양 정화 활동 실천을 목표로 하는 플로빙코리아2)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문제 해결 과정에 필요한 지원금을 제공했습니다. 플로빙코리아팀은 프로젝트 기간 동안 플로빙 20회, 초심 플로버 대상 입문 교육 5회 진행 등 제주 바다를 지켜나갈 플로버들 교육에 힘썼습니다. 또한 지역 어부회 소속 선박 프로펠러 정비 등 지역사회 이해관계자들과의 네트워크 강화 및 안전한 해양 환경 조성에도 기여하였습니다.
<멜론 '숲;트리밍’ 프로젝트>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뮤직플랫폼인 멜론에서 진행한 ‘숲;트리밍’은 응원하는 아티스트의 이름으로 숲을 조성하는 친환경 프로젝트입니다. 멜론 정기결제권을 이용하는 동안 ‘숲;트리밍’ 페이지에서 좋아하는 아티스트 이름을 선택만 해두면, 매월 결제금액의 2%가 자동으로 적립되고, 이후 해당 아티스트 앞으로 총 2천만 원이 적립되면 모든 금액이 서울환경연합으로 기부되어 서울시 내에 아티스트 이름을 딴 숲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6월 말 프로젝트 시작 이후 12월까지 총 7,400만 원이 적립되어 2023년 중 총 3개의 숲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환경개선 기금 에코씨드 캠페인>
카카오메이커스는 고객과 함께하는 환경 개선 캠페인 ‘에코씨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이 제품을 주문하면 주문 1건당 100원의 에코씨드를 기금으로 조성해 산림 조성 및 해양 환경 개선 사업에 활용하는 캠페인입니다. 2022년 한 해 동안 3.9억 원의 기금을 조성하였으며, 미세먼지 차단 숲 식재, 해양 쓰레기 수거 등 다양한 활동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자문서 그린 챌린지>
카카오페이는 2022년 7월, 전자문서 서비스를 알리고 사용을 독려하는 '전자문서 그린 챌린지'를 진행했습니다. 챌린지 참여자들은 카드 명세서 등 전자문서를 신청하고 받은 종이 우편물을 제보하는 등의 활동을 통해 환경친화적인 금융 서비스를 직접 경험하고, 전자문서 전환이 가능한 영역을 직접 발굴할 수 있었습니다. 챌린지 참여자들에게 친환경 키트, ESG 우수 주식 등의 선물을 지급하여 종이 절약을 실천하도록 독려하였으며, 챌린지 참여도만큼 기부금을 조성하여 사단법인 평화의숲에 총 4천 7백만 원의 기부금을 전달하였습니다. 2023년 4월, 카카오 같이가치, 사단법인 평화의숲과 함께 양구군 나무심기 기부사업을 전개하여 강원도의 조속한 산림 녹화를 유도하고 탄소흡수량 증대 및 생물 다양성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라. 사업부문의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온라인 광고 부문]
1) 산업의 특성
온라인 광고는 모바일, PC, IoT를 비롯한 뉴미디어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에 활용되는 광고 상품과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와 비즈니스, 비즈니스와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행위를 총칭합니다. PC와 웹을 중심으로 성장을 시작한 온라인 광고의 태동기에는 사용자들의 검색어에 대응하는 연관 검색결과를 상위에 노출하여 배치하는 검색광고와 웹서비스 내의 주요 지면을 활용한 디스플레이광고가 주축을 이루었습니다.
이후 디지털 기술 및 인프라 환경의 발전과 디바이스의 보편화에 따른 사용자들의 미디어 소비 행태 변화가 관찰되었고,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플랫폼에 적합한 새로운 광고 형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온라인광고는 전통적인 광고매체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마케팅 성과의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정교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가능하고 또한 효율적인 예산 분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대형 브랜드 광고주와 중소형 사업자들 모두 다양한 목적의 광고 캠페인을 소화할 수 있습니다.
최근 손에 닿는 디지털이라 불리는 피지털(Physital)-공간(Physical)과 디지털(Digital)이 혼합된-형태의 광고와 같이, 디지털 플랫폼에 친숙한 소비자들을 타겟으로 디지털과 오프라인 공간이 합쳐진 광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온라인 중심의 플랫폼이 오프라인으로 그 영역을 확장해 고객 경험을 확대하거나, 오프라인 리테일이나 교통수단 등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광고하는 등의 형태로 그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의 광고시장과 결합된 다양한 광고형태가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온라인 광고는 전년 대비 4% 성장한 약 9조 4천억 원 규모로 전체 광고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56%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온라인 광고시장 안에서도 모바일 광고시장이 전체 온라인광고의 성장을 견인하면서, 모바일 광고 시장의 비중이 전체 온라인 광고 안에서 약 80%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모바일 광고 시장은 IT 기반 서비스를 스마트폰 하나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 미디어 환경 변화로 급속도로 성장하였습니다. 현재 스마트폰은 가장 보편적인 디지털 디바이스로 자리 잡았으며 모바일 기반의 콘텐츠, 서비스 역시 빠른 속도로 확산되며 수많은 이용자들을 모바일 생태계로 이끌고 있습니다.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통신 인프라 기반은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동력이 되어왔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무선통신 인프라의 발달을 통해 이용자들의 미디어 소비의 중심은 TV 등 기존 매체에서 모바일 기기로 급격히 이동하였고, 주요 광고대상 또한 전통 매체에 익숙한 세대에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디지털 원어민) 세대로 옮겨가면서 기존 매체에 집중되었던 광고주 및 마케터들 역시 디지털 미디어에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동영상, Live 서비스, 메시지, AR/VR 등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소비가 활발해졌을 뿐 아니라 개인 크리에이터 중심의 1인 미디어 역시 활성화 되고 있어 디지털 마케팅 콘텐츠 역시 이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광고주와 마케터들의 광고 목적에 부합하는 다채로운 마케팅 활동의 전개가 가능해지면서 온라인 광고시장의 참여자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온라인광고의 최대 장점으로 꼽히는 효율, 성과 기반의 광고 관점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머신러닝 등의 플랫폼 기술 적용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들이 일방적으로 광고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에 대한 직간접적인 참여가 용이해지고 있어 사용자의 기호와 성향을 보다 명확히 반영하는 캠페인의 전개가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형성된 고객과의 연결을 장기적인 관계로 구축시켜 나갈 수 있는 광고의 지속성에 대한 광고주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구매, 예약, 가입을 비롯한 다양한 비즈니스 액션들과 결합을 통해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 규모>
(단위: 십억원) |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E) | 2024년(E) |
전체 광고시장 | 14,427 | 14,120 | 15,517 | 16,520 | 16,007 | 16,437 |
온라인광고시장 | 6,522 | 7,528 | 8,004 | 8,706 | 9,022 | 9,387 |
- 모바일광고시장 | 4,650 | 5,689 | 6,224 | 6,803 | 7,175 | 7,543 |
성장률 | ||||||
전체 광고시장 | 4.9% | -2.1% | 9.9% | 6.5% | -3.1% | 2.7% |
온라인광고시장 | 14.1% | 15.4% | 6.3% | 8.8% | 3.6% | 4.1% |
- 모바일광고시장 | 27.0% | 22.3% | 9.4% | 9.3% | 5.5% | 5.1% |
출처: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보고서 2023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광고산업은 경제성장과 밀접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GDP 내 광고비 점유율은 0.7%대로 유지되고 있는데, 이는 GDP와 총광고비의 변동 및 추세가 비슷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합니다. 또한 광고시장 성장률의 변화는 경제성장률의 변화와 방향성을 함께하는 경향이 있는데, 경기가 침체기에 진입하면 광고주들이 광고 집행을 미루거나 축소하는 모습을 보여 경기하강의 시점에는 매출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하거나 하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통적인 미디어 대비 다양한 광고주 구성을 확보하고 있고 정확도 높은 광고 성과분석의 제공을 통해 광고효율을 제고해 나가고 있는 만큼 온라인 광고산업의 경우 동 산업 내에서 상대적인 경기 민감도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광고는 광고 예산이 수립되는 1분기(1월~3월)가 계절적 비수기이고 연말 이벤트 및 연휴 특수효과, 광고 예산 소진 등이 발생하는 4분기(10월 ~12월)가 계절적 성수기로 판단되고 있으나, 광고 상품의 고도화 및 중소형 광고주의 예산 집행 확대, 대형 브랜드 광고 집행 시점에 따라 그 변동폭이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4) 경쟁환경
인터넷 산업은 설비투자나 서비스의 규모 및 구성에 있어 그 진입장벽이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이용자 간의 네트워크 효과에 따라 선제적으로 시장에 진입한 사업자들이 선점효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존재하여 큰 진입장벽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국내 인터넷 포털/모바일사업자들이 유사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사를 비롯한 몇몇 사업자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이유이며, 이로 인해 새로운 시장참여자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온라인/모바일 광고산업은 전통적인 매체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고 효과 측정이 명확하여 기존 광고주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광고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광고 업계는 생성형 AI 기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생성형 AI 붐이 온라인 광고를 영원히 바꿀 수 있다'라는 관점까지 제시되면서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미 시장에서는 광고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서비스들이 출시되면서, 텍스트 생성과 이미지 및 영상 제작 그리고 광고 카피와 스토리 보드 제작을 지원하는 다양한 툴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즉 광고분야의 전문가가 아닐지라도 AI기반의 광고 텍스트와 이미지, 그리고 스크립트 생성툴을 활용해, 온라인 광고 관련 업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 이러한 점은 생성형 AI가 온라인 광고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경쟁우위로 대두될 것이라는 견해로 귀결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머스 부문]
1) 산업의 특성
이커머스 산업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 제품과 서비스의 거래행위를 총칭합니다. 과거 오프라인에서 주로 소비되던 식품, 생필품을 시작으로 여행, 항공권,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에 이르기까지 거래대상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맞추어 시장 참여자들의 경쟁전략 또한 다변화되고 있는데, 차별화된 고객 경험의 제공, 적시성 높은 물류, 라이브커머스 등의 기술 혁신이 커머스 사업의 성장을 이끌어 갈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2023년 국내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거래액 기준 227조 3,470억원으로 전년 대비 8.3%성장하면서 온라인/오프라인 전체 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8%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전체 거래액 중 모바일 환경에서 비롯되는 거래액은 167조 8,276억원으로 약 74%의 비중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시장 형성 초기의 성장을 이끌어 왔던 오픈마켓의 경우 성장률이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새로운 형태의 소비 방식이 등장하면서 이커머스 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있습니다. 라이브스트리밍과 결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가 실시간 소통가능한 라이브커머스, 인플루언서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레버리지하는 소셜커머스 그리고 자체 풀필먼트 역량 내재화 및 제휴를 통한 신속 배송 커머스를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거래액 추이>
(단위: 조원, %) |
구 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시장 규모 | 190.2 | 209.9 | 228.8 |
증가율 | 20.2% | 10.3% | 9.0% |
(출처: 통계청, 2023년 연간 온라인쇼핑동향)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이커머스는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금리와 물가상승으로 비우호적 거시경제 여건이 이어질 경우,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가성비를 중시하는 경향이 한층 두드러지게 되고, 기업들의 수익성 개선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이커머스는 오프라인 유통시장 대비 빠르게 변화는 소비자의 니즈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용이해 그 영향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최근의 거시경제 환경에서 초저가 직구 상품 또는 균일가 상품 중심의 플랫폼들이 빠르게 자리잡으면서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4) 경쟁환경
이커머스는 시장은 전문 이커머스 사업자뿐만 아니라 기존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온라인 채널을 확장함에따라 다양한 사업자가 시장의 수요를 두고 경쟁하는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국내 업체간의 경쟁 뿐 아니라 중국, 미국, 일본 지역의 해외 플랫폼을 통한 직접 구매 역시 용이해져 그 경쟁의 강도가 한층 강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업체간 인수합병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점 역시 최근의 주목할 만한 시장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1년에는 대형 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온라인 유통 플랫폼을 인수하면서 단숨에 이커머스 강자로 부상했고, 해외 이커머스 업체의 경우 2022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1세대 오픈마켓들을 연이어 인수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5) 영업 개황
당사의 대표적인 커머스 서비스인 '선물하기'는 카카오톡 안에서 친구 관계를 레버지리하여 선물을 주고 받는 문화를 형성하면서 선물하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 기반 커머스'는 카카오만 영위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로 앞으로도 이용자들의 친구 관계 확장에 발맞춰 선물하는 대상을 가족 또는 실생활 속에서 형성된 지인에 한정하지 않고, 비지인과 자신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관계에서 다양한 선물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맥락을 강화해 선물하기 시장을 확대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더불어 브랜드스토어 등에서 다양한 커머스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카카오톡 안에서 마케팅부터 커머스까지 완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활성화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개인화된 프로모션과 혜택이 구매로 이어지는 차별화된 관계형 커머스로 자기구매 맥락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1년 의류 전문몰 '지그재그' 와 '포스티'를 운영하는 크로키닷컴에 대한 지분투자를 진행하고 '카카오스타일' 사업부문과의 합병을 마쳤습니다. 방대한 상품 라인업, 직진배송 경쟁력과 고도화된 CRM 마케팅으로 시장 내 점유율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게임 부문]
1) 산업의 특성
게임은 상대적으로 높은 접근성과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수단입니다. PC, 모바일, 콘솔 등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게임 소재와 다양한 장르를 통하여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서비스 저변이 확대되며, 높은 고부가가치와 경제성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언어, 국가, 문화 등의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운데 국내 게임사들의 제작 역량이 강화되며, 글로벌 시장 내 한국 게임의 위상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핵심 게임 IP는 탄탄한 스토리와 흥행이 검증된 세계관을 통하여 영화, 드라마, 웹툰, 애니메이션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확대가 가능하여, 이를 통해 이용자를 지속적으로 유입하는 한편, 신규 비즈니스 기회 발굴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AI/딥러닝 등 신기술을 접목한 게임과 멀티 플랫폼(Multi-Platform), 크로스 플레이(Cross-Play) 등의 플랫폼 진화에 힘입어 글로벌 게임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2년 글로벌 게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0.9% 증가한 약 2,082억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기존 코로나19로 인해 급격히 증가한 게임 이용자층 및 게임 소비시간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성장률의 감소로 보여지며, 2023년 이후에는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2025년 글로벌 게임 사장 규모는 2,362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게임시장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기의 재택 시간의 감소와 대안으로 향유할 수 있는 다른 엔터테인먼트가 많아짐에 따라, 2020년 나타냈던 급격한 성장률 기록 이후 점차 성장률이 낮아지면서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2022년 국내 게임시장은 전년대비 5.8% 성장한 22조 2,1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게임시장 규모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2022년 PC 게임 시장은 전년대비 3.0% 성장한 5조8,05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일부 대형 게임사들의 PC 게임 매출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되며, 향후 PC 게임은 독자적인 상품개발보다는 멀티플랫폼용 게임 개발이 주류를 이루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급격한 성장률을 보이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2022년 모바일 게임시장은 전년 대비 7.6% 증가한 13조 720억 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모바일 게임 상위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국내 대형게임사 대표게임들의 매출이 견고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국내 모바일 게임 매출액은 2020년에 10조 원을 돌파한 후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매출이 확대되었으나, 성장률은 2021년부터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2023년에는 매출 증가가 정체되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 게임백서 2023)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4.4% 성장한 약 957억 달러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2025년까지 약 1,09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게임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가성비 높은 여가수단으로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경기 상승기에는 이용자들의 지출 규모가 커지는 한편 경기하강기에는 공연, 레저스포츠 등 타 여가수단을 즐기던 이용자의 유입이 관찰되어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성이 높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산업의 계절적 요인은 크게 청년 이용자층의 수험기간, 방학 등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여름방학, 겨울방학, 신년과 같이 주목도 높은 이벤트가 있는 시기에 이용자 확보 및 활동성 증대를 위하여 게임을 출시하거나 주요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국내 게임시장은 전년대비 5.8% 성장한 22조 2,1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게임시장 규모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2022년 PC 게임 시장은 전년대비 3.0% 성장한 5조8,05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일부 대형 게임사들의 PC 게임 매출이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되며, 향후 PC 게임은 독자적인 상품개발보다는 멀티플랫폼용 게임 개발이 주류를 이루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현상유지 정도의 업황을 보일 전망입니다. 2022년 모바일 게임시장은 전년 대비 7.6% 증가한 13조 720억 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모바일 게임 상위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국내 대형게임사 대표게임들의 매출이 견고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국내 모바일 게임 매출액은 2020년에 10조 원을 돌파한 후, 2022년까지 매출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2023년에는 매출 증가가 정체되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 게임백서 2023)
4) 경쟁환경
국내 게임시장의 경우 PC게임과 모바일게임 시장을 막론하고 개발사와 유통사(퍼블리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일정 규모 이상의 개발사들은 직접 퍼블리싱을 하는 추세이고, 퍼블리싱을 주 사업모델로 하는 사업자는 일정 규모 이상의 마케팅을 지원할 수 있는 자금력을 보유하거나, 유통 플랫폼상의 특장점이 있어야 경쟁력 있는 게임 타이틀 소싱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퍼블리싱을 주 사업모델로 영위했던 업체가 직접 개발에 뛰어들기도 합니다. 특히 2010년 이후부터 급성장하기 시작한 모바일게임 시장은 비교적 소규모의 자금으로 창업이 쉬운 분야였으나, 모바일게임 시장의 고도화로 양질의 게임이 출시되고 이용자에게 주목을 받기 위한 대규모의 마케팅비용이 수반되는 등 진입장벽이 높아졌으며, 시장 내 경쟁 또한 격화되고 있습니다.
게임 산업에 공통되는 중요한 경쟁 요인은 이용자를 만족시킬만한 게임 개발과 양질의 IP 확보, 운영 능력과 유통 플랫폼 보유 여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드코어 PC게임 시장은 막대한 개발비 투자와 일정 수준 이상의 성공이 담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습니다. 다만, 이의 반대급부로 상위권을 차지한 PC게임은 순위의 변동이 거의 없고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며 타 플랫폼으로의 확장성도 가지기 때문에 게임사 경쟁력의 중요한 축이 되고 있습니다.
모바일게임 시장은 기존 PC게임 IP를 활용한 신작들이 흥행을 거두며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웹툰, 웹소설, 영화, 캐릭터 등의 다양한 IP를 활용한 게임 제작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기 IP를 활용한 게임은 많은 팬층을 보유하고 유저들에게 훨씬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어 게임의 성공가능성이 높고, 마케팅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익의 안정성 측면에서 양질의 IP를 확보 및 개발하기 위한 게임사들의 경쟁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음악 콘텐츠 부문]
1) 산업의 특성
음악 콘텐츠 산업은 음반, 공연, 작곡, 저작권 관리,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방송/광고/영화 등의 배경음악에 이르기까지 아티스트와 음원을 활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산업을 지칭합니다.
음악은 경험재적인 특성을 보유하는 재화입니다. 이는 소비자가 경험을 해보기 전에는 그 가치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거에 소비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거나 성공적인 가치를 제공해 준 회사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소비가 지속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즉, 시장 안착에 성공한 아티스트 및 회사는 후속 음반 또는 후속 아티스트에 대해서도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을 손쉽게 이끌어 낼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특성은 성공적인 아티스트를 배출한 경험이 있는 회사에 대한 브랜드 경쟁우위로 작용하게 되는 한편 신규 회사가 시장에 참여하기 어려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음악상품의 경우 기획과 초기 제작 및 마케팅 활동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지만, 복제비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단위당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적은 특징이 있어 대량 소비가 될 경우 높은 수익성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K-POP으로 표현되는 한국 대중음악산업은 충성도 높은 팬덤을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팬덤을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음악공연 및 매니지먼트 활동을 수행하는 선진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2년 세계 음악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9% 성장한 약 262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세계 음악산업은 2000년대 초반 음악 소비 방식이 실물 음반에서 MP3와 같은 디지털 음원으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음원 불법 복제 및 유통으로 인해 약 10여 년간 시장규모가 하락세를 보였으나, 2015년부터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 전환했습니다. 특히 SNS, 동영상 플랫폼, 음원창작 플랫폼을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음악 콘텐츠에 대한 2차 창작활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것이 촉매로 작용했습니다. (출처: IFPI, Global Music Report 2023)
또한, 2022년 국내음악시장의 규모는 11조 96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성장했는데, 이는 2000년대 이후 하락세를 보여왔던 음반 관련 매출이 K-POP의 글로벌 확산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산업조사 2022)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음악 콘텐츠의 경우 시대적 트렌드, 장르적 특성, 미디어 환경 등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이 다양하게 관찰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음악산업의 발달로 다수의 곡이 수록된 앨범 발매 형식에서 벗어나 싱글앨범, 디지털 싱글앨범과 같이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발매 환경이 마련되어 경기변동 및 계절 변화에 따른 매출 변동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한편, 음악산업은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는 작은 편이나 시대의 유행이나 흐름에 따라 상품의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특징이 있습니다. 음악의 장르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대중가요의 경우 음반 발매 후 3~4개월 동안 대량의 수요가 발생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차별화된 기획력 등으로 흥행에 성공할 경우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4) 경쟁환경
디지털 음원 플랫폼의 경우 경쟁 사업자 간의 서비스 차별성이 높지 않아 선제적 시장참여자로서 가지는 경쟁우위가 상당 부분 존재합니다. 다만 유사한 서비스의 제공으로 이용자의 이탈, 재가입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어 이종 콘텐츠 제공자, 이동통신사를 비롯한 다양한 파트너와의 제휴를 통해 이용자 리텐션을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의 등장으로 콘텐츠 소비에 있어 국가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콘텐츠가 향유되는 지역적 범위가 넓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세계 음악산업의 생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와 장르의 아티스트들에게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스토리 콘텐츠 부문]
1) 산업의 특성
스토리 콘텐츠의 대표격인 웹툰은 세로 스크롤 형태로 만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로, PC와 모바일을 포함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빠르게 접근 가능할 뿐 아니라 창작자와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소통이 가능한 점이 기존의 만화 콘텐츠와 차별화되는 부분입니다.
국내 웹툰 산업은 초기 주요 포털에 트래픽 확보를 위한 무료 서비스로 출발했으나, 현재는 콘텐츠 자체를 유료화하거나, 영상 또는 게임 등의 2차 콘텐츠로 확산되면서 스토리 콘텐츠가 원천 IP로서 갖는 부가가치를 인정받으면서 새로운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00년대 초반 PC 환경을 기반으로 성장을 시작했던 스토리 콘텐츠 산업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 확산과 함께 그 성장세가 가속화 됐습니다. 사업은 현재 지역별로 사업 성장 단계가 상이한 상황으로, 먼저 국내 시장의 경우 2022년 기준 1조 8,290억원까지 그 규모가 확대되면서 높은 성장성을 이어왔으나, 현재는 시장이 성숙기로 접어들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출처: 한국 콘텐츠 진흥원, 2023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
이에 주요 스토리 콘텐츠 제공자들은 미국, 일본, 유럽 등의 글로벌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습니다. 비단, 국내에서 제작된 컨텐츠의 배포지역을 해외로 확산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만화 콘텐츠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지역에 진출하여 웹툰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를 소개하고, 나아가 새로운 창작자들이 등장해 로컬 콘텐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스토리 콘텐츠 생태계가 현지에 천천히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웹툰 IP를 원작으로 하는 2차 창작 콘텐츠들 또한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렇게 제작된 드라마와 영화가 글로벌 OTT를 통해 공개되면서 전세계 이용자들로부터 스토리 IP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만큼, 검증된 스토리 IP 중심의 유관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스토리 콘텐츠들은 개별 콘텐츠의 열람시 필요한 비용이 회차당 100원에서 500원 수준에 불과하기에 여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소액으로 즐길 수 있고,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콘텐츠 제공 형태로 인해 이동 시간이나 짧은 여유 시간에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경기변동 및 계절성으로 인한 영향이 크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4) 경쟁환경
최근 수년간 스토리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선호가 증가하는 가운데, 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지 않기에, 다양한 스토리 콘텐츠 플랫폼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영역에서는 스토리 콘텐츠의 무대를 확장하기 위하여 국내 플랫폼들이 선제적인 검증을 거친 작품들을 미국, 일본, 유럽 등의 글로벌 지역에서 선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시장과 비교했을 때 글로벌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인만큼, 각 국가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체들간의 경쟁이 전체 스토리 콘텐츠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산업내 밸류체인에 위치한 각 이해관계자들의 수직적 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용자들에게 콘텐츠를 전달하던 플랫폼은 원천 IP를 발굴하고 확장하는 에이전시 영역으로 확대하고 있고, 에이전시 또한 자체 스토리 콘텐츠 플랫폼을 런칭하거나 자체 스튜디오를 설립해 직접 콘텐츠 창작의 영역에 뛰어들기도 합니다. 스토리 콘텐츠 비즈니스의 핵심은 결국 양질의 원천 IP에서 비롯되는 만큼, 시장참여자들은 탄탄한 밸류체인 구축을 위해 노력을 경주하는 모습이 이어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5) 영업의 개황
당사의 스토리 콘텐츠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카카오픽코마'를 축으로하여 전개되고 있습니다.
우선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국내시장을 필두로 동남아 지역과 북미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1만개가 넘는 국내 최대 수준의 '오리지널 IP' 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콘텐츠 영역에서 콘텐츠를 기획,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내재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차별적 강점을 바탕으로 오리지널 웹툰 IP를 레버리지한 다양한 2차 제작 IP를 활발히 공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스토리 사업의 성장을 위하여 2022년 타파스-래디쉬-우시아월드로 이어지는 북미 플랫폼 라인업을 완성했고, 앱 개편을 통한 프로덕트 개선이 완료되는 시점부터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자 기반을 확대하고 사업의 확장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일본을 주무대로 하는 '카카오픽코마'는 2023년 일본에서 게임을 포함한 전체 앱 매출 1위를 기록하면서, 시장내 압도적인 존재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에도 픽코마가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웹툰부터 현지 출판사의 작품, 자체 스튜디오를 통해 제작한 작품까지 다양하게 확대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픽코마를 방문해서 콘텐츠를 즐기고, 과금 이용자로까지 전환될 수 있는 플랫폼 구조가 잘 구축되어 있는 만큼, 높은 리텐션과 과금전환율을 유지해나가면서 견조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시장점유율]
1) 커뮤니케이션 및 포털국내 주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월별 총 이용시간 점유율을 살펴보면, 2024년 9월 기준 카카오톡 서비스의 체류시간으로 산정한 시장점유율은 97%이며, 2013년 이후 유사한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출처: 코리안클릭)
www.daum.net은 2024년 9월 기준으로 월 1,826만명의 순방문자수(Unique Visitor)를 기록하고 있으며, 당사의 검색서비스의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PC 통합검색 쿼리 점유율은 2024년 9월 기준으로 5%를 기록하였습니다. (출처: 코리안클릭)
2) 음원서비스
온라인 음원 서비스 시장에서 2024년 9월 기준 순방문자로 산출한 멜론의 시장점유율은 약 29%입니다. (출처: 데이터 에이아이)
1. (금융업)사업의 개요
카카오페이증권 및 카카오페이손해보험에서 창출되는 손익은 연결기준 금융업 부문의 손익에 포함하고 있으며, 금융업 관련 손익과 연결 영업수익 대비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사업영역 | 제30기 (당)3분기 | 제29 (전) 기 | 제28 (전전) 기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금융업 부문 | 카카오페이증권 | 68,752 | 1.16% | 62,436 | 0.83% | 48,366 | 0.71% |
금융업 부문 | 카카오페이손해보험 | 27,295 | 0.46% | 7,789 | 0.10% | 1,712 | 0.03% |
(카카오페이증권)
당사는 2020년 2월 카카오페이증권(구, 바로투자증권)을 인수하여 금융업을 영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카카오 그룹에 합류한 이후 생활금융 플랫폼 카카오페이와의 결합을 통해 개인금융고객의 투자자산 관리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함과 동시에 홀세일 부문의 기업금융을 통한 모험 자본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구분 | 부문 설명 |
Retail |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인고객에게 MTS 서비스를 제공 |
Wholesale | 법인 및 기관, 일반투자자에게 위탁매매 서비스를 제공 및 기업금융업무(금융자문,인수 및 주선 등) 자문 서비스 제공 |
카카오페이증권은 2020년 안정적인 투자 상품인 공모 펀드를 통하여, 투자에 처음 입문하는 이용자들에게 간접 투자 경험을 제공하였고, 2022년 4월 개인 투자자들이 직접 투자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트렌드를 고려하여, 상품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관점에서 주식 매매 서비스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2022년 4월 손해보험업 본인가를 획득하였으며 2022년 10월부터 보이스피싱과 온라인 사기피해 보장을 시작으로 금융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보험의 주도권을 사용자에게 돌려주고 보험의 본질을 회복하겠다는 목표에 따라 서비스하고 있는 보험상품들을 사용자 관점에서 설계하여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UI), 사용자 경험(UX)을 모바일로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대면채널에 머물러 있는 보험시장에서 벗어나 사용자 관점에서 보험을 설계하고 보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기존과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보험 서비스를 만들어 나갈 계획입니다.
구분 | 부문 설명 |
일반보험 |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인과 법인 고객에게 일반보험 서비스를 제공 |
장기보험 |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인 고객에게 장기보험 서비스를 제공 |
2. (금융업)영업의 현황
(카카오페이증권)
가. 영업의 규모 및 실적
(1) 영업의 규모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17기 3분기 | 제16기 | 제15기 |
현금및예치금 | 149,940 | 130,898 | 84,704 |
유가증권 | 840,679 | 677,902 | 496,616 |
대출채권 | 61,975 | 67,375 | 16,175 |
유형자산 | 25,468 | 29,614 | 30,655 |
순확정급여자산 | 732 | 486 | 260 |
기타자산 | 135,187 | 111,257 | 63,543 |
(주) | 상기 제17기(2024년), 제16기(2023년), 제15기(2022년)는 카카오페이증권의 회계연도입니다. (이하 기준 동일) |
(2) 영업 실적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17기 3분기 | 제16기 | 제15기 |
영업수익 | 83,068 | 79,313 | 62,604 |
수수료수익 | 37,940 | 39,221 | 39,713 |
증권평가 및 처분이익 | 22,069 | 21,727 | 3,178 |
파생상품 관련 이익 | 269 | 3,188 | 2,770 |
이자수익 | 7,210 | 7,110 | 10,829 |
외화거래이익 | 15,030 | 8,016 | 6,100 |
기타 | 550 | 52 | 14 |
영업비용 | 108,933 | 130,781 | 110,002 |
영업이익(손실) | (25,865) | (51,468) | (47,39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6,020) | (51,668) | (48,026) |
당기순이익(손실) | (26,105) | (51,668) | (48,026) |
(주) | 상기 영업 실적은 카카오페이증권 별도기준으로 「II. 사업의 내용 - 1. (금융업)사업의 개요」에 기재된 카카오 연결기준 실적과 상이합니다. |
(3) 자금조달 실적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조달 항목 |
제17기 3분기 | 제16기 | 제15기 | ||||||
평균잔액 | 이자율 | 비중 | 평균잔액 | 이자율 | 비중 | 평균잔액 | 이자율 | 비중 | ||
자본 | 자본금 | 53,834 | - | 5% | 53,834 | - | 6% | 49,320 | - | 7% |
자본잉여금 | 237,919 | - | 22% | 237,919 | - | 28% | 166,564 | - | 24% | |
이익잉여금 | (115,271) | - | -11% | (73,208) | - | -9% | (24,043) | - | -3% | |
기타자본 | (498) | - | -0% | 20 | - | 0% | 11 | - | 0% | |
예수부채 | 투자자예수금 | 827,824 | - | 76% | 576,861 | - | 67% | 459,608 | - | 66% |
차입부채 | 차입금 | 10,620 | 4.60% | 1% | - | - | - | - | - | - |
기타 | 충당부채 | 591 | - | 0% | 836 | - | 0% | 862 | - | 0% |
퇴직급여부채 | 9 | - | 0% | - | - | - | 340 | - | 0% | |
기타 | 75,525 | - | 7% | 62,036 | - | 7% | 45,571 | - | 7% | |
합 계 | 1,090,552 | - | 100% | 858,298 | - | 100% | 698,233 | - | 100% |
(주) | 효과적인 정보제공을 위해 재무상태표상 중요성이 높은 조달항목을 위주로 구분 기재했습니다. |
(4) 자금운용 실적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17기 3분기 | 제16기 | 제15기 | |||||||
평균잔액 | 이자율 | 비중 | 평균잔액 | 이자율 | 비중 | 평균잔액 | 이자율 | 비중 | ||
현금.예금 | 현금 | - | - | - | - | - | - | - | - | - |
보통예금 | 14,681 | - | 1.3% | 12,879 | - | 1.5% | 13,680 | - | 2.0% | |
외화보통예금 | 1,485 | - | 0.1% | 1,481 | - | 0.2% | 519 | - | 0.1% | |
당좌예금 | 16 | - | 0.0% | 19 | - | 0.0% | 18 | - | 0.0% | |
MMDA | 128 | - | 0.0% | - | - | - | - | - | - | |
별단예금 | - | - | - | - | - | - | 274 | - | 0.0% | |
기타예금 | 16,091 | 3.7% | 1.5% | 45,880 | 3.9% | 5.3% | 51,478 | 3.1% | 7.4% | |
예치금 | 투자자예탁금별도예치금 | 5,086 | - | 0.5% | 14,295 | - | 1.7% | 21,625 | - | 3.1% |
정기예금 | 5,095 | 3.4% | 0.5% | 5,496 | 4.1% | 0.6% | 28,658 | 1.8% | 4.1% | |
장내파생상품예치금 | 1,945 | - | 0.2% | 2,449 | - | 0.3% | 1,089 | - | 0.2% | |
외화예치금 | 79,743 | - | 7.3% | 62,746 | - | 7.3% | 33,737 | - | 4.8% | |
기타 | 2,685 | - | 0.2% | 2,253 | - | 0.3% | 1,519 | - | 0.2% | |
유가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유가증권 |
772,322 | - | 70.8% | 547,019 | - | 63.7% | 446,751 | - | 64.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 | - | - | - | - | - | - | - | |
대출채권 | 신용공여금 | 68,105 | - | 6.2% | 45,479 | - | 5.3% | 3,535 | - | 0.5% |
대출금 | 4,709 | - | 0.4% | 8,890 | - | 1.0% | - | - | - | |
파생상품 | - | - | - | - | - | - | - | - | - | |
유형자산 | 27,926 | - | 2.6% | 29,297 | - | 3.4% | 28,433 | - | 4.1% | |
기타자산 | 90,535 | - | 8.3% | 80,115 | - | 9.3% | 66,907 | - | 9.6% | |
합 계 | 1,090,552 | - | 100.0% | 858,298 | - | 100.0% | 698,223 | - | 100.0% |
(주) 상기 대출채권 내 대출금은 사모사채 보유금액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
가. 영업의 개황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2024년 3분기 기준 24,611백만원의 보험수익을 인식하였으며, 236백만원의 재보험 수익을 인식하였습니다. 비용은 보험서비스 53,117백만원, 재보험서비스 456백만원, 기타 2,054백만원으로 총 30,780백만원의 보험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나. 영업의 종류별 현황
(1) 보험수지 및 계약현황
(단위 : 백만원) |
구분 | 화재 | 해상 | 자동차 | 보증 | 특종 | 해외원보험 | 외국수재 | 장기 | 개인연금 | 합계 |
보험수익 | - | - | - | - | 24,493 | - | - | 118 | - | 24,611 |
보험서비스비용 | - | - | - | - | 52,233 | - | - | 883 | - | 53,117 |
재보험수익 | - | - | - | - | 236 | - | - | - | - | 236 |
재보험서비스비용 | - | - | - | - | 456 | - | - | - | - | 456 |
기타사업비용 | - | - | - | - | 2,039 | - | - | 15 | - | 2,054 |
보험손익 | - | - | - | - | -29,999 | - | - | -780 | - | -30,780 |
(2) 보험종목별 수입보험료 및 보험금 내역
- 보험종목별 수입보험료 내역
(단위 : 백만원, %) |
구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화재 | - | - | - | - | - | - |
해상 | - | - | - | - | - | - |
자동차 | - | - | - | - | - | - |
보증 | - | - | - | - | - | - |
특종 | 25,203 | 99.6% | 6,939 | 100% | 231 | 100% |
해외원보험 | - | - | - | - | - | - |
외국수재 | - | - | - | - | - | - |
장기 | 106 | 0.4% | - | - | - | - |
개인연금 | - | - | - | - | - | - |
합계 | 25,309 | 100% | 6,939 | 100% | 231 | 100% |
(주1)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수입보험료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제4기(2024년), 제3기(2023년), 제2기(2022년)는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회계연도입니다. (이하 기준 동일) |
- 보험종목별 보험금 내역
(단위 : 백만원, %) |
구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화재 | - | - | - | - | - | - |
해상 | - | - | - | - | - | - |
자동차 | - | - | - | - | - | - |
보증 | - | - | - | - | - | - |
특종 | 16,795 | 99.2% | 2,681 | 100% | - | - |
해외원보험 | - | - | - | - | - | - |
외국수재 | - | - | - | - | - | - |
장기 | 127 | 0.8% | - | - | - | - |
개인연금 | - | - | - | - | - | - |
합계 | 16,922 | 100% | 2,681 | 100% | - | - |
(주)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순보험금 기준입니다. |
(3) 모집형태별 영업현황
- 보험종목별 모집경로 및 모집형태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회사모집 및 대리점을 통하여 원수보험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보험종목별 모집형태별 영업현황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구 분 | 회사모집 | 설계사 | 대리점 | 중개사 | 방카슈랑스 | 공동인수 |
화재보험 | - | - | - | - | - | - |
해상보험 | - | - | - | - | - | - |
자동차보험 | - | - | - | - | - | - |
특종보험 | O | - | O | - | - | - |
해외원보험 | - | - | - | - | - | - |
장기보험 | O | - | - | - | - | - |
개인연금보험 | - | - | - | - | - | - |
- 모집형태별 원수보험료 및 수입보험료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모집형태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특종 | 회사모집 | 24,460 | 97.05% | 6,939 | 99.34% | 231 | 100.00% |
설계사 | - | - | - | - | - | - | |
대리점 | 743 | 2.95% | 46 | 0.66% | - | - | |
중개사 | - | - | - | - | - | - | |
방카슈랑스 | - | - | - | - | - | - | |
공동인수 | - | - | - | - | - | - | |
소계 | 25,203 | 100.00% | 6,985 | 100.00% | 231 | 100.00% | |
장기 | 회사모집 | 106 | 100.00% | - | - | - | - |
설계사 | - | - | - | - | - | - | |
대리점 | - | - | - | - | - | - | |
중개사 | - | - | - | - | - | - | |
방카슈랑스 | - | - | - | - | - | - | |
공동인수 | - | - | - | - | - | - | |
합계 | 106 | 100.00% | - | - | - | - | |
합계 | 회사모집 | 24,566 | 97.07% | 6,939 | 99.34% | 231 | 100.00% |
설계사 | - | - | - | - | - | - | |
대리점 | 743 | 2.93% | 46 | 0.66% | - | - | |
중개사 | - | - | - | - | - | - | |
방카슈랑스 | - | - | - | - | - | - | |
공동인수 | - | - | - | - | - | - | |
합계 | 25,309 | 100.00% | 6,985 | 100.00% | 231 | 100.00% |
(주)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수입보험료 기준입니다. |
다. 운용자산 투자현황
(1) 자산운용률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총 자 산(A) | 114,505 | 145,531 | 82,133 |
운용자산(B) | 75,012 | 99,243 | 37,472 |
자산운용률(B/A) | 65.51% | 68.19% | 45.62% |
(2) 운용내역별 이익현황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
금 액 | 비 율 | 금 액 | 비 율 | 금 액 | 비 율 | |||
운용자산 | 대 출 | 기말잔액 | - | - | - | - | - | - |
운용이익 | - | - | - | - | - | - | ||
유가증권 | 기말잔액 | - | - | - | - | - | - | |
운용이익 | - | - | - | - | - | - | ||
현ㆍ예금 및 신탁 |
기말잔액 | 75,012 | 100.00% | 98,311 | 99.06% | 37,472 | 100.00% | |
운용이익 | 2,318 | 99.60% | 2,095 | 99.68% | 1,020 | 100.00% | ||
기 타 | 기말잔액 | - | - | 932 | 0.94% | - | - | |
운용이익 | 9 | 0.40% | 7 | 0.32% | - | - | ||
계 | 기말잔액 | 75,012 | 100.00% | 99,243 | 100.00% | 37,472 | 100.00% | |
운용이익 | 2,328 | 100.00% | 2,102 | 100.00% | 1,020 | 100.00% |
(주) | 운용이익은 운용수익에서 운용비용을 차감한 내역입니다. |
(3) 대출자산
- 대출자산 수익현황
: 해당사항 없음
- 대출금 운용내역
: 해당사항 없음
- 대출금의 잔존기간별 잔액
: 해당사항 없음
(4) 유가증권
- 유가증권 운용내역
: 해당사항 없음
(5) 현·예금 및 신탁자산 운용내역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
기말잔액 | 수익률 | 기말잔액 | 수익률 | 기말잔액 | 수익률 | |
현ㆍ예 금 | 75,012 | 3.63% | 98,311 | 3.13% | 37,472 | 2.72% |
단자어음 | - | - | - | - | - | - |
금전신탁 | - | - | - | - | - | - |
합 계 | 75,012 | 3.63% | 98,311 | 3.13% | 37,472 | 2.72% |
(주1) | 수익률은 비용을 차감한 운용이익률입니다. |
(주2) | 수익률은 보험업감독업무시행세칙상의 운용자산에 대한 투자영업이익 중 보험금융이익을 제외한 값 입니다. |
3. (금융업)파생상품거래 현황
(카카오페이증권)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이자율 | 통화 | 주식 | 귀금속 | 기타 | 계 | |
거래 목적 | 위험회피 | - | - | - | - | - | - |
매매목적 | - | 2,639 | - | - | - | 2,639 | |
거래 장소 | 장내거래 | - | 2,639 | - | - | - | 2,639 |
장외거래 | - | - | - | - | - | - | |
거래 형태 | 선 도 | - | - | - | - | - | - |
선 물 | - | 2,639 | - | - | - | 2,639 | |
스 왑 | - | - | - | - | - | - | |
옵 션 | - | - | - | - | - | - |
(주) | 해당 파생상품은 장내통화선물(USD) 상품으로, 해외주식 결제를 지원하기 위하여 외화달러 보유에 따른 환율 변동 리스크 헷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카카오페이손해보험)
분기보고서 제출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금융업)영업설비
(카카오페이증권)
가. 영업 설비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구분 | 부서수(점포수) |
본부부서 | 71 |
국내지점 | 2 |
나. 유형자산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과목 | 당분기 | 전분기 |
<장부금액의 변동> | ||
기초 순장부금액 | 14,878,343 | 15,037,429 |
취득(주1) | 1,344,879 | 2,517,172 |
처분 | (91,240) | (180,242) |
대체(주2) | - | 45,100 |
감가상각비 | (3,838,780) | (3,283,514) |
분기말 순장부금액 | 12,293,202 | 14,135,945 |
<취득원가 및 장부금액> | ||
분기말 | ||
취득원가 | 26,176,497 | 23,208,934 |
감가상각누계액 | (13,883,295) | (9,072,989) |
순장부금액 | 12,293,202 | 14,135,945 |
(주1) | 건설중인자산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2) | 전기 이전 장기선급금으로 분류한 내역을 전분기 중 유형자산으로 재분류하였습니다. |
다. 리스자산
리스와 관련해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사용권자산 | ||
부동산 | 8,139,939 | 8,229,226 |
기계장치 | 892,996 | 1,354,017 |
차량운반구 | 247,629 | 321,329 |
합계 | 9,280,564 | 9,904,572 |
(카카오페이손해보험)
1. 점포현황
: 해당사항 없음
2. 영업용부동산 및 지점 내역
: 해당사항 없음
3. 지점의 신설 및 중요시설의 확충계획
: 해당사항 없음
4. 기타 업무외 부동산 내역
: 해당사항 없음
5. (금융업)재무건전성 등 기타 참고사항
(카카오페이증권)
가. 자본적정성 및 재무건전성
(1) 순자본비율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17기 3분기 | 제16기 | 제15기 |
영업용순자본(A) | 120,004 | 132,583 | 174,905 |
총위험액(B) | 20,999 | 18,833 | 13,110 |
순자본(C=A-B) | 99,005 | 113,750 | 161,795 |
필요유지자기자본(D) | 10,500 | 10,500 | 10,500 |
순자본비율(C/D) | 942.90% | 1,083.33% | 1,540.90% |
(주) 필요유지자기자본 = 법정자본금의 70%
(2) 자산부채비율
[기준일 : 2024년 9월 30일]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17기 3분기 | 제16기 | 제15기 |
실질자산(A) | 1,184,659 | 980,916 | 532,551 |
실질부채(B) | 1,048,368 | 825,814 | 448,045 |
자산부채비율(A/B) | 113.00% | 118.78% | 118.86% |
(주) 자산부채비율 = 실질자산/실질부채 × 100(실질가치 기준)
나. 산업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1) 산업의 특성
금융투자업은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일임업, 투자자문업, 신탁업을 기본업무로 하여 자금 공급부문인 투자자로부터 자금 수요부문인 기업에 자금을 연결해줌으로써 기업의 자금조달을 도와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직접금융의 주선기관인 동시에 투자자에게는 효율적인 투자기회의 제공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며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본의 개방화, 자유화, 국제화의 추세 속에서 금융투자업은 자본시장을 이끌어가는 국가경제의 주요 동력으로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였습니다. 한편, 금융투자업은 국가의 경제상황은 물론 정치, 사회, 문화 등 경제 외적 변수에도 많은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국제금융시장의 동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다른 어느 산업보다도 글로벌화되고 종합적인 산업입니다.
2)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경기 상승국면에서는 기업들의 실적이 개선됨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고, 사업확장에 따른 회사채 발행 등 자금조달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식시장 및 유가증권 발행 시장이 확대되어 금융투자회사의 실적이 개선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경기 하강시에는 수익 창출이 둔화되는 등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증시의 1월효과, 서머랠리, 산타랠리와 같은 이례적 현상에 대한 이론도 있지만, 계절 변화를 기준으로 한 금융투자회사의 실적 변동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3) 경쟁환경
금융투자업은 낮은 진입장벽과 갈수록 낮아지고 있는 위탁 수수료율, 거대자본 및 선진금융기법을 바탕으로 한 외국계 대형 금융투자업자의 진출 등으로 극심한 경쟁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이에 각 금융투자업자는 정확한 투자정보 제공, 고객 니즈에 맞는 다양한 상품의 개발, 차별화된 금융서비스 제공 등으로 증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융투자업 내 IT와 금융의 결합 트렌드가 자리잡으면서 금융투자업계의 디지털화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자산관리, 비대면 계좌 개설 가능, 오픈 플랫폼 등 기존과는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쟁이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1)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 안정적이고 다변화된 수익 구조
- 고객니즈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금융상품의 선제적 제공
- 고객 지향적 서비스의 지속적 제공
- 지속적인 교육ㆍ훈련을 통한 역량있는 영업인력 확대
- 최적의 IT 솔루션을 통한 편의성 및 효율성 증대
2)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금융투자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으로는 판매채널, 자산관리 능력, 금융상품개발 및 제공 능력, 리스크관리, 전산시스템의 효율성 등 다양합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기업금융 사업에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부동산 PF자문 및 대출의 중개,주선 그리고 법인 대상 주식,채권 매매 중심의 사업구조를 구축하며 성장을 이어왔습니다. 지난 2020년 2월 카카오페이로 최대주주가 변경됨에 따라 카카오 그룹에 편입이 되었고 이에 본격적으로 카카오의 디지털 DNA와 결합하며 금융투자업의 디지털라이제이션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향후 금융이 낯선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금융투자를 제안하며 금융분야의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입니다.
3) 회사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카카오 그룹의 일원으로서 카카오페이 플랫폼과 연계한 리테일 증권 사업의 확장을 통해 카카오페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금융투자 상품을 발굴하고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금융상품과 연계된 기업급융 사업 역시 활성화해 나갈 것입니다. 나아가서는 이용자의 금융자산 및 투자성향 데이터 확보를 통해 로보어드바이저를 비롯한 자산관리 서비스 등의 추가적 사업 기회 창출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4) 영업의 규모 및 실적
'II. 사업의 내용 - 2. (금융업)영업의 현황'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신규사업의 내용 및 전망
카카오페이증권은 카카오페이와 연계를 강화하여 비대면 계좌개설, 펀드 판매와 같이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신규고객을 유치하고 회사의 상품군을 넓혀가는데 주력할 예정입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
1. 준비금 적립내역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
책임준비금 (보험계약부채) |
Ⅰ. 보험계약부채 | 6,853 | 2,763 | 167 |
1. 잔여보장요소 | 2,939 | 1,685 | 167 | |
2. 발생사고요소 | 3,914 | 1,078 | - | |
Ⅱ. 재보험계약부채 | 115 | - | 9 | |
1. 잔여보장요소 | (41) | - | 9 | |
2. 발생사고요소 | 155 | - | - | |
합계 | 6,967 | 2,763 | 177 | |
비상위험준비금 | - | - | - | |
대손준비금 | - | - | - |
(주1) | 손해보험경영통일공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주2) | 2023년 1월 1일을 최초적용일로 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를 적용하였고 제2기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를 적용하여 비교 표시된 내용을 재작성하였습니다. |
2. 위험기준지급여력비율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제4기 3분기 | 제3기 | 제2기 |
지급여력금액(A) | 66,624 | 97,416 | 52,332 |
위험기준 지급여력기준금액(B) | 9,982 | 2,039 | 2,674 |
위험기준 지급여력비율(A/B) | 667.44% | 4,777.18% | 1,957.07% |
(주1) | 위험기준 지급여력비율 = 지급여력금액/위험기준 지급여력기준금액 × 100 |
(주2) | 제2기('22년)는 RBC 방식으로 산출하였으며, 제3기('23년) 1분기부터 K-ICS 방식으로 산출하였습니다. RBC와 K-ICS의 산출방법의 중요한 차이는 新지급여력 제도(K-ICS)는 요구자본 측정 신뢰수준을 현 99%에서 99.5%로 상향하고, 기존 위험계수방식에서 벗어나 시나리오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경제환경에 따른 자본변동성 등 리스크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합니다. 新지급여력제도(K-ICS)는 자산ㆍ부채 평가방법, 가용자본 산출구조, 리스크 신뢰수준, 요구 자본 산출방법, 위험경감기법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RBC제도와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3. 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1) 산업의 특성
보험업은 사람의 생사에 관하여 약정한 급여의 제공을 약속하거나, 우연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의 보상을 약속하고 금전을 수수하는 것 등을 업으로 행위하며, 생명보험업, 손해보험업, 제3보험업으로 구분됩니다. 손해보험업의 보험종목으로는 일반보험(화재, 해상, 특종, 보증보험 등), 자동차보험, 장기보험이 있습니다. 또한 보험업은 다수의 고객에 대한 보험금 지급 의무로 인한 공공성이 강하며, 자동차보험과 장기손해보험 등의 가계성 보험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내수산업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손해보험산업은 글로벌 경기변동성 확대, 실손보험 손해율 악화 및 기후 위기 증가라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손해보험업은 보험종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되고 금융시장이 불안정할 경우, 매출 성장이 둔화되고 모럴해저드의 증가 ·보유계약 이탈 ·투자이익 감소 등으로 수익이 감소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경기 상승은 매출 성장과 수익 증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손해보험업은 다른 업권과 달리 경기후행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4) 계절성
보험업은 영업력측면에서는 계절 영향의 편차가 크지 않으나, 일부 종목에서 손해율의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여름철 집중호우 및 휴가차량 증가 등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사고를 유발하여 해당종목의 손해율을 상승시킵니다. 또한 동절기의 폭설 또한 해당종목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1) 시장의 안정성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 불안요인은 많으나, 제도 개선 및 업계 내실강화를 통해 손해보험시장의 수익성장은 지속될 수 있을 거라 예상됩니다.
(2) 경쟁상황
최근 국내 손해보험시장은 성장률 둔화 및 인구 감소에 따른 장기보험 시장 감소가 가시화 됨에 따라 지속가능한 수익성 창출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5.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모바일에 최적화된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 관점에서 직관적인 사용자 환경(UI)과 사용자 경험(UX)으로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보험을 가입하고 보상청구를 할 수 있는 점이 강점입니다.
6. 회사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주요수단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은 급변하는 모바일 경쟁 환경과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하여 플랫폼 기업들이 도입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백엔드 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실시간 배포 및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였습니다. 지속적으로 다른 보험사와 차별화된 사용자 환경(UI)과 사용자 경험(UX)을 제공,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카카오 주가 전망
카카오 주가 하락 이유
카카오 1주 가격
카카오톡 주식 그래프
카카오엔터 주가
카카오엔터 주식 사는법
카카오 상장가격
카카오 주가 분석
카카오 주가 전망 2025 | 플랫폼 규제·실적 분석과 투자 전략
카카오 주식, 지금이 매수 타이밍? 실적·배당·성장성 종합 분석
카카오 주가 하락 원인과 반등 가능성 | 미래 성장 동력은?
카카오 주가 분석 | 카카오톡·핀테크·모빌리티 사업별 실적 정리
카카오 주식, 2025년 목표 주가는? 전문가 분석 및 투자 포인트
카카오뱅크 주가
카카오게임즈 주가
카카오페이 주가
카카오주가지수
카카오 주가 전망
카카오톡 주가
카카오 목표주가
삼성전자주가
테슬라 주가
sk하이닉스주가
네이버 주가 카카오뱅크 주가 카카오페이 주가 카뱅 주가 카카오게임즈 주가 삼성전자 주가 카카오 주가전망 하이브 주가 대한항공 주가 sm 주가 셀트리온 주가 현대자동차 주가 하이닉스 주가 카프로 주가 naver 주가 현대차 주가 엘지전자 주가 엘지화학 주가 에스엠 주가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 실적 분석 | 2차전지 시장 전망과 투자 포인트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디시 차트 실적 발표일 배당금 ir 기업 분석 (0) | 2025.02.01 |
---|---|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분석 | 신재생에너지·SMR 원전 기대감 반영될까?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배당금 채용 뉴스 주식 (0) | 2025.02.01 |
삼성화재 실적 분석! 보험 업계 1위의 성장 가능성과 전망 주가 전망 목표 주가 배당금 우선주 장외 일별 배당기준일 (0) | 2025.01.29 |
무엇인가 꾸준히 매일한다는건 대단한 일이다. (0) | 2025.01.29 |
불특정 다수 스팸 문자 발송 처벌 및 과태료 그리고 반드시 알아야 할 최신 규제 법적 책임 완벽 정리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