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존버 주린이 2025. 2. 1. 15:05
반응형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연결회사의 보고부문인 사업본부는 서로 다른 제품과 용역을 제공하는 전략적 사업단위입니다. 각 사업은 서로 다른 기술과 마케팅전략에 따라 별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각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
습니다.

사업부문 약 칭 주요 생산 및 판매 제품 유형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A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등
Home Entertainment HE TV, Audio
Vehicle component Solutions VS 자동차 부품 등
Business Solutions BS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LG이노텍㈜와 그 종속기업 이노텍 카메라모듈, 기판소재, 모터/센서 등
기타부문 기타 설비 제작 등


H&A
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이며, 건조기,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 건강ㆍ위생ㆍ스마트가전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H&A사업부문의 제23 3분기(이하 생략) 매출액은 257,880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약 39.7%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인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의 매출액은 196,943억원으로 H&A사업부문 매출액의 약 76.4% 차지하고 있습니다. Steel, Resin, Copper 등이 주요 원재료이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HE
사업부문과 BS사업부문은 TV, Audio, 모니터, PC,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등 주로 영상 및 관련기기들을 생산ㆍ판매하며, 양 개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152,963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약 23.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인 영상기기의 매출액은 128,470억원으로 양 개 사업부문 매출액 대비 8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LCD 모듈, Chip 등이 주요 원재료이며, 멕시코, 폴란드,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텔레매틱스, AV, AVN 등 차량용 부품을 생산ㆍ판매하는 VS사업부문의 매출액은 79,651억원이며, 매출 비중은 약 12.3%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LCD 패널, Chip 등 이며, 주요 생산지는 한국, 베트남, 중국, 오스트리아 등입니다. LG이노텍의 주요 제품은 카메라모듈 등이며, 매출액은 145,739억원 그리고 매출 비중은 22.4%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Image Sensor, Lens, VCM 등이며, 주요 생산지는 한국, 중국, 베트남 등입니다.

연결회사는 금융담당 주관하에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하며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인 외환관리규칙에 의거 영업활동으로 인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며, 잔여위험 축소를 위하여 파생상품 활용 시 매월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으며,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해외 연결회사 간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 관리를 위해, 세계 3대 채권보험사 및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12,591,369백만원이며, 보험한도 및 담보금액은 27,173,294백만원입니다. 유동성위험 관리를 위해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연결회사는 생활가전 및 영상기기 분야에서는 저소비 전력, 소비자 편의성 증대 및 친환경 프리미엄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로봇, 차량용 부품 등 신규 사업분야에서는 고성능, 고효율, 스마트 기능의 차세대 혁신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본부 산하 연구소는 단기간내 출시되는 제품 및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CTO부문에서는 중장기적인 핵심기술을 선행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연간 4조원 이상의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2024 3분기말 기준 국내 26,137, 해외 69,160건의 등록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EU를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시행중인 유해물질 규제를 충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글로벌 폐가전 회수처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020년에 413,067, 2021년에 445,254, 2022년에 497,425, 2023년에 492,224톤을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감축하고 있습니다.

(단위 : tCO2e, TJ)

 

구분 22 (2023) 21 (2022) 20 (2021)
온실가스 배출량 692,530 661,295 732,998
에너지 사용량 14,040 13,375 14,255

)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업장내 환경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해 2010년부터 본사 통합 운영을 통해 국내 생산사업장 및 연구소에 대한 환경 및 안전보건에 대한 통합인증을 완료하였으며, 녹색기업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중립 2030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등 친환경 활동을 펼치는 동시에 재활용률 확대 등의 친환경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다우존스에서 발표하는 2023년 지속가능경영지수 평가에서 ESG 경영 상위 10%를 선정하는 DJSI 월드 지수에 12년 연속 편입되었으며, 2024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에서도 환경부문 A+ 등급을 받았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제/상품이며,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목 구체적 용도 주요상표 등 23 3분기
매출액 비율
H&A 제품/상품/기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정용 전기제품, 냉난방기기 및 핵심부품 LG, DIOS, TROMM, LG SIGNATURE, SIGNATURE KITCHEN SUITE,
CordZero,
오브제컬렉션, WHISEN, PuriCare, 에어로타워 등
257,880 39.7
HE 제품/상품/기타 TV, Audio 영상기기, 멀티미디어 등 LG SIGNATURE, XBOOM, TONE Free 108,575 16.7
VS 제품/상품/기타 텔레매틱스, AV, AVN,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
차량용 통신 및 멀티미디어, 전기자동차 부품 등 - 79,651 12.3
BS 제품/상품/기타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정보 전달 및 호텔 TV LG, 그램, 시네빔 등 44,388 6.8
이노텍 제품/상품/기타 Optics Solution Camera Module - 145,739 22.4
기타 (*) 제품/상품/기타 설비, 부문간 내부거래 등 생산설비 등 - 13,434 2.1
합계 649,667 100

(*) '기타'의 매출액은 '기타부문'의 매출액과 사업부문간 내부거래 상계액을 합산한 순액입니다.

. 주요 제품 가격변동 현황

 

냉장고/세탁기의 평균 판매 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3.0% 하락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4.4% 하락하였습니다. 에어컨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6.4% 상승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7.0% 상승하였습니다.


TV
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4.9% 하락하였으나,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0.7% 상승하였습니다.


모니터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5.4% 하락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5.2% 하락하였습니다. 사이니지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7.5% 하락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4.6% 하락하였습니다.

카메라모듈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11.3% 상승하였으며,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12.7% 상승하였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3.1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주요 원재료는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부자재이며,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주요 원재료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구체적 용도 23 3분기
매입액
비율 주요 매입처
H&A Steel H&A제품 철판물 13,191 11.7 ㈜포스코
Resin H&A제품 사출물 7,079 6.3 LG화학
Copper 열교환기 G/Tube 4,269 3.8 Golden Dragon, Naile
기타   87,777 78.2  
부문계 112,316 100  
HE LCD 모듈 TV Display 30,070 42.4 엘지디스플레이㈜, BOE
Chip TV 부품 3,037 4.3 Realtek, Media Tek
기타   37,754 53.3  
부문계 70,861 100  
VS Display 패널 AV, AVN용 자재 5,285 12.3 엘지디스플레이㈜
Chip 텔레매틱스, AV, AVN용 자재 3,457 8.0 NXP, Qualcomm
기타   34,358 79.7  
부문계 43,100 100  
BS LCD 모듈 Display 7,024 62.0 엘지디스플레이㈜, BOE
기타   4,308 38.0  
부문계 11,332 100  
이노텍 Image Sensor 광학 원재료 41,372 34.3 Sony, ST Micro
Lens 광학 원재료 11,761 9.7 Largan, Genius
VCM 광학 원재료 31,347 26.0 Alps, Mitsumi
기타   36,301 30.0  
부문계 120,780 100  

1) 비율은 각 부문별 원재료 매입액에서 품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2) 엘지디스플레이㈜, LG화학은 LG계열 소속 회사 입니다.

.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 현황


H&A
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Steel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12.1% 하락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0.4% 하락하였습니다. Resin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11.4% 하락하였으나,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1.4% 상승하였습니다. Copper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6.2% 하락하였으나,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6.9% 상승하였습니다.

LCD TV
모듈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11.8% 하락하였으나,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0.8% 상승하였습니다. TV Audio 부품용 Chip의 경우, 2023년은 2022년 대비 15.6% 하락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11.9% 하락하였습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주요 부품인 Display 패널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1.7% 상승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15.2% 하락하였습니다. Chip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17.0% 상승하였고,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10.6% 상승하였습니다.

 

카메라모듈의 주요 원재료인 Image Sensor의 평균가격은 2023년은 2022년 대비 21.7% 상승하였으며, 2024 3분기는 2023년 대비 7.6% 상승하였습니다.

 

3.2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단위 : 천 대, 천 개, 천 시트)

 

사업부문 품목 주요 생산지 23  3분기 22 21
H&A 냉장고 한국, 인도, 중국, 멕시코 7,639 9,417 9,430
세탁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12,560 17,290 16,306
에어컨 한국, 인도, 중국, 태국 9,935 12,864 12,385
HE 영상기기 등 한국, 멕시코, 폴란드,
브라질, 인도네시아
19,770 27,492 27,293
VS 텔레매틱스,
AV, AVN
한국, 중국, 베트남,
 
오스트리아
31,814 38,953 35,767
BS 모니터 중국 4,988 6,433 6,433
이노텍 카메라모듈 한국, 중국, 베트남 447,358 646,927 611,118

1) 생산능력 산출기준
     - H&A, HE, VS, BS :
이론 시간당 생산수량 × 일 작업시간 × 작업일수 × 목표 효율
     -
이노텍 : 시간당 평균 생산수량 ×1일 평균가동시간 ×월평균가동일수 × 당기간 월수
     * H&A, HE, VS, BS
부문의 일 작업시간은 국가별 법규에 따른 정규 작업시간을 반영

.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천 대, 천 개, 천 시트)

 

사업부문 품목 주요 생산지 23  3분기 22 21
H&A 냉장고 한국, 인도, 중국, 멕시코 8,935 9,705 9,774
세탁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12,738 15,379 13,739
에어컨 한국, 인도, 중국, 태국 10,770 12,026 11,916
HE 영상기기 한국, 브라질, 폴란드,
멕시코, 인도네시아
15,349 20,168 22,152
VS 텔레매틱스,
AV, AVN
한국, 중국, 베트남,
 
오스트리아
30,558 39,065 32,150
BS 모니터 중국 4,457 6,060 6,440
이노텍 카메라모듈 한국, 중국, 베트남 302,951 432,791 437,432

 

(2)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천 대, 천 개, 천 시트, %)

 

사업부문 품목 23 3분기
생산 능력 수량
23 3분기
실제 생산 수량
평균가동률
H&A 냉장고 7,639 8,935 117.0
세탁기 12,560 12,738 101.4
에어컨 9,935 10,770 108.4
HE 영상기기 19,770 15,349 77.6
VS 텔레매틱스, AV, AVN 31,814 30,558 96.1
BS 모니터 4,988 4,457 89.4
이노텍 카메라모듈 447,358 302,951 67.7


. 주요 사업장 현황
(1)
주요 국내사업장 현황

사업장 주소 비고
LG트윈타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전자

국내자회사
LG서울역빌딩 서울특별시 중구 후암로 98 LG서울역빌딩
LG사이언스파크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 10
가산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 51
서초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11 19
양재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38
LG디지털파크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엘지로 222
칠러/ESS사업장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 760
인천 캠퍼스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 322번길
LG퓨처파크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168
LG스마트파크 LG스마트파크1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산패총로 170
LG스마트파크2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로 84
본사/R&D 캠퍼스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 중앙10 30 이노텍
안산 R&D 캠퍼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구미1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7 50-9
구미1A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9 66
구미2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221
구미3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174
구미4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77
광주공장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평택 진위공장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2산단로 111
파주공장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휴암로 570
파주C7공장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엘지로 245

 

(2) 주요 해외생산법인 현황

지역 주소
미주 멕시코 멕시칼리/레이노사/몬테레이/산후안델리오(LGITMX)/실라오, 브라질 마나우스, 미국 테네시/헌츠빌
유럽 폴란드 므와바/브로츠와프(LGEWR, LGITPO), 오스트리아 비젤버그/비너노이슈타트,
슬로바키아 크르소비체
중동 및 아프리카 이집트 텐스오브라마단시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남아프리카 더반
아시아 인도 노이다/푸네, 태국 라영, 베트남 하이퐁(LGEVH, LGITVH),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찌까랑
중국 태주, 남경(LGENT, LGEPN, LGENV), 천진
CIS 루자

 

(3) 유형자산 증감현황

  (단위 : 억원)

 

구분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기말장부가액
토지 30,099 270 354 30,015
건물 및 구축물 73,802 3,346 5,237 71,911
기계장치 41,834 5,283 11,029 36,088
공구와기구 및 비품 11,486 3,347 3,867 10,966
기타 10,965 6,443 1,761 15,647
합계 168,186 18,689 22,248 164,627

1) 당기증감은 연결회사의 유형자산 순증감액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 판단이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유형자산의 담보제공 내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26. 우발상황」을 참조 바랍니다.

. 설비 등의 신설, 매입 계획
(1) 2024년 진행중인 투자 현황

  (단위 : 억원)

 

사업부문 투자대상 자산 투자효과 투자계획 기 투자액
H&A 건물, 금형, 공구와 기구 등 생산능력향상 등 11,048 5,001
HE 건물, 금형, 기계장치 등 생산능력향상 등 2,412 1,042
VS 금형, 기계장치 등 신모델개발/연구개발 등 10,970 6,458
BS 금형, 기계장치 등 생산능력향상 등 1,051 466
기타 건물, 기계장치, 연구개발 등 신모델개발/생산성향상,
연구개발/인프라투자 등
18,363 9,316
  43,844 22,283

) 상기 예상투자액은 향후 기업여건 및 시장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4.1 매출에 관한 사항

. 매출실적
(1) 유형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23 3분기 22 3분기 22 21
재화의 판매 615,461 571,253 789,063 789,319
용역의 제공 21,535 16,856 23,538 28,196
임대수익 등 12,671 7,182 10,026 7,700
합 계 649,667 595,291 822,627 825,215

 

(2) 부문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23 3분기 22 3분기 22 21
H&A 제품/상품/기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257,880 234,861 301,683 299,263
HE 제품/상품/기타 TV, Audio 108,575 100,534 142,040 156,958
VS 제품/상품/기타 자동차 부품 등 79,651 75,545 101,476 86,360
BS 제품/상품/기타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44,388 41,432 54,120 60,903
이노텍 제품/상품/기타 카메라모듈 등 145,739 130,467 206,053 195,922
기타 및 내부거래 제거 13,434 12,452 17,255 25,809
  649,667 595,291 822,627 825,215

) 23기 조직 기준으로 제22기 및 제21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3) 주요 품목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품목 23 3분기 22 3분기 22 21
냉장고/세탁기/에어컨 196,943 177,562 227,836 228,246
영상기기 128,470 119,093 165,788 186,330

) /상품 매출액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4)
지역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지역 23 3분기 22 3분기 22 21
대한민국 258,658 234,834 342,719 332,738
미주 169,851 158,381 214,949 220,214
유럽 99,825 88,810 121,293 119,977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 121,333 113,266 143,666 152,286
합계 649,667 595,291 822,627 825,215

) 지역별 매출액은 연결회사가 소재한 지역별 매출액입니다.

.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① 한국

구분 판매경로 소비
소매 BEST SHOP, 시스템전문점 최종 소비자
유통사(양판점, 대형마트)
온라인
납품

 

② 해외

판매경로 소비
직수출 Massmerchant, Distributor, Buying Group,
Independent,
일반 Buyer
최종 소비자
LG전자 해외
현지 판매법인

 

(2)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단위 : %)

 

구분 판매경로 비중
국내매출 소매 59.0
납품 41.0
100
해외매출 직수출 43.6
해외종속기업 매출 56.4
100

1) 국내매출은 대한민국 내에서 판매되는 제ㆍ상품 매출의 비중입니다.
2) 해외종속기업 내수매출은 현지 시장환경에 적합한 경로를 통해 거래하고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① 한국

구분 유통망 결제조건 비용분담
B2C o BEST SHOP전문점
   (
전문점/하이프라자)
o 결제수단: 현금
o
수금기한
  - BEST SHOP(
전문점) 30

 - BEST SHOP(하이프라자) 익월 15
 - BEST SHOP(하이프라자 백화점)
     
익익월 1
o
담보평가액 100%내 여신 적용
   (
하이프라자는 신용여신 적용)
o Interior 지원
   -
공사비용 일부 분담
o
판촉지원
   - Catalogue, POP
등 판촉물 지원
   -
판촉비 지원
o 유통사(양판점/대형마트) 개별 계약에 따름 o 원칙적으로 비용분담 계약은 존재
   
하지 않으나, 사안별 상호 합의 하에
   
판촉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음
o 온라인(전문점) o 결제수단: 현금
o
수금기한: 온라인전문점 30

o 담보평가액 100%내 여신 적용
o 판촉지원: 판촉비 지원
B2B o 시스템 전문점
o
납품 전문점
o
기타 납품
개별 계약에 따름 해당사항 없음


② 해외
일반거래선은 직거래방식(은행의 지급보증이 있는 신용장 방식) 또는 현지 해외법인을 통하여 거래하며, 거래선별로 개별 계약에 따라 결제조건 및 비용부담이 결정됩니다.

(4) 판매전략

① 한국: 제품 차별화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구사 및 BEST SHOP, 백화점, 양판점뿐만 아니라 인터넷,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영업의 실행력을 극대화하여 당사 디지털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② 해외: 글로벌 핵심역량 제고를 통해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힘써 판매 증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5) 주요매출처
연결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Best Buy, HOME DEPOT, LOWE'S 등 입니다. 2024 3분기 주요 10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연결회사 매출액의 30.5% 수준입니다.

4.2 수주상황


연결회사는 완성차 업체에 차종별 제품 및 차량용 부품을 개발,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나, 계약 물량이 확정되어 있지 않고 대내외적인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자동차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수주물량, 수주잔고 등 별도 수주상황을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5.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재무위험관리는 주로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에 대해 전사 각 사업주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재무구조 개선 및 자금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금융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업의 원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재무위험 관리활동은 주로 회사의 금융담당이 주관하고 있으며 각 사업주체와 긴밀한 협조 하에 전사 통합적인 관점에서 재무위험 관리정책 수립 및 재무위험 식별, 평가, 헷지 등의 실행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담당 산하에 미국 뉴저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중국 북경, 싱가포르 등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함으로써(센터별 2~5명의 담당자) 전 세계적 경영활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해외 종속기업의 금융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함으로써 해외 종속기업의 사업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재무위험 관리정책의 재정비, 재무위험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재무위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와 관련된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가액 및 순손익과 차입금 세부 내역에 대한 정보는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5. 범주별 금융상품 및 13. 차입금」에 각각 기재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통화의 환율변동위험에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통화는 미국 달러, 유로가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 운영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는 외환위험의 측정과 관리 방법의 원칙 등을 규정하고 있는 연결회사의 외환관리규칙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연결회사의 일반적인 영업활동에서 비롯되는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우선적으로 일치시켜 외환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파생상품 등을 통한 효율적 외환위험 축소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 적용하고 있으며, 매월 외환위험의 변동 및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연결회사의 화폐성 자산ㆍ부채에 대해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4.09.30 2023.12.31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미국달러/ 81,686 (81,686) 63,185 (63,185)
유로/ 35,836 (35,836) 30,146 (30,146)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변동성 축소와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자율 변동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포인트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예금 및 변동금리부 차입금으로부터 9개월 간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4.09.30 2023.09.30
1%p 상승시 1%p 하락시 1%p 상승시 1%p 하락시
이자수익 57,561 (57,561) 60,774 (60,774)
이자비용 12,647 (12,647) 12,788 (12,788)

 

3) 가격위험

 

연결회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 NASDAQ, NYSE 주가지수 및 Austrian Traded Index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이 연결회사의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법인세효과 반영 전)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 하에 주가지수가 3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지 수 2024.09.30 2023.12.31
30% 상승시 30% 하락시 30% 상승시 30% 하락시
KOSDAQ 18,764 (18,764) 4,556 (4,556)
NASDAQ 50 (50) 98 (98)
NYSE 1,347 (1,347) 2,726 (2,726)
Austrian Traded Index 74 (74) 231 (231)

 

상기 시장위험과 관련된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의 평가 등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4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0,668 - (896) 30 24,138 434 54,374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74,750 35,035 (118,543) - 4,730 6,285 2,257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9,425 - (4,582) - 3,979 (73) 28,749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2 125,486 (52,917) 82 435 49 73,497


(2) 신용위험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관된 전사신용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세계 3대 채권보험사(Euler Hermes, Atradius, Coface) 및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험 및 담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내부 신용평가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12,591,369백만원(2023년 말: 10,007,884백만원)이며, 동 채권은 27,173,294백만원(2023년 말: 26,476,779백만원) 상당의 보험한도 및 담보 내에서 적절하게 부보되어 위험관리되고 있으므로, 연결회사에 노출된 신용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이 차감된 장부금액으로신용위험의 최대노출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사와 4개 해외 금융센터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가능한 자금관리 및 유동성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적정규모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은행, 신한은행 및 SC은행과 Committed Line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발생 가능한 자금경색에 따른 유동성위험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말 현재 국내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로부터 AA를 부여받고 있으며,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로부터 BBB, Moody's로부터 Baa2 등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국내외 금융시장을 통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부채의 연도별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4.0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매입채무 10,652,905 10,652,905 - - -
차입금 16,433,299 3,580,020 2,664,434 6,947,902 3,240,943
리스부채 1,267,218 363,174 288,055 377,557 238,432
기타지급채무 4,671,296 4,441,148 149,132 69,150 11,866
기타금융부채 64,202 4,235 527 6,006 53,434
합 계 33,088,920 19,041,482 3,102,148 7,400,615 3,544,675


상기 현금흐름은 명목가액 기준으로 연결회사가 지급하여야 하는 가장 빠른 만기일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 중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금융부채에서 통화선도계약에 대한 부채는 계약상 만기가 파생상품의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 공정가치 3,292백만원(2023: 2,567백만원) 1년 미만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생상품 계약은 만기보다는 순공정가치 기준으로 관리됩니다. 이자율과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 위험회피를 위한 파생상품은 관련된 차입금의 현금흐름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제3자 기업을 위해 제공한 금융보증계약한도의 연도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4.0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금융보증계약 46,000 46,000 - - -

금융보증계약은 보증의 최대금액을 보증이 요구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기간에 배분하였습니다.

5.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보고기간 말 현재 연결회사가 체결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계약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
연결회사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투입변수는 할인율 및 환율이며,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4.09.30
자산 부채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1,421 -
 통화스왑계약 154,937 54,063
 이자율스왑계약 11,667 18,439
 소계 168,025 72,502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5,156 3,292
 풋옵션계약 25,747 2,457
 내재파생상품계약 2,199 7,894
 소계 33,102 13,643
합 계 201,127 86,145


.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

(1)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연결회사는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계약별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계약처 계약금액
 (
단위: 백만)
계약환율 지급이자율
(%)
위험회피
종류
계약시작일 계약만기일 장부금액
자산 부채
통화선도 ING CZK 173
(CZK/EUR)
25.4 -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4. 3. 13 2024. 10. 1
~ 2024. 12.2
71 -
ING EUR 45
(EUR/USD)
1.1 - 공정가치
위험회피
2024. 1. 23
~ 2024. 1. 30
2024. 12. 20 1,350 -
통화스왑 하나은행 등 USD 1,968
(USD/KRW)
1,067.9
~ 1,380.0
1.88 ~ 4.56 현금흐름
위험회피
2017. 10. 23
~ 2024. 9. 24
2025. 4. 23
~ 2031. 7. 28
141,120 40,061
CITI BANK EUR 95
(EUR/KRW)
1,312.5 3.84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2. 7. 15 2028. 1. 14 11,465 -
CITI BANK JPY 22,000
(JPY/KRW)
8.7 ~ 10.0 4.06 ~ 4.38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3. 4. 4
~ 2023. 11. 24
2029. 4. 4
~ 2029. 5. 24
2,352 14,002
이자율스왑 우리은행 등 KRW 1,266,821
/ USD 203
- 2.75 ~ 4.87 현금흐름
위험회피
2014. 4. 30
~ 2024. 3. 29
2027. 1. 15
~ 2032. 11. 16
11,667 18,439

스왑계약의 수취이자율은 차입금의 연이자율과 동일합니다.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3. 차입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계정 장부금액 가치변동
(
세후 손익기준)
통화선도 현금흐름위험회피 예상거래 - (189)
통화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차입금 2,870,336 (9,186)
이자율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차입금 1,386,864 2,848
통화선도 공정가치위험회피 차입금 - (1,346)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파생상품
가치변동
(
세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당기손익
재분류금액
(
세후)
기타포괄손익
인식액
(
세후)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잔액
통화선도 현금흐름위험회피 189 외환차이 (135) 54 (398)
통화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9,186 이자비용 및
외환차이
(11,691) (2,505) (258)
이자율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2,848) 이자비용 (8,398) (11,246) (5,544)

 

구 분 위험회피종류 파생상품
가치변동
(
세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위험회피 효과적
(
세전)
위험회피 비효과적
(
세전)
통화선도 공정가치위험회피 1,346 외환차이 (1,346) -


연결회사는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현금흐름 할인모형을 가치평가기법으로 활용하여 금융기관 등에서 평가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 특유 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계약기간 만료일까지 위험회피대상 자산 및 부채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익과 상쇄됩니다.

(2)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연결회사는 환율변동 및 이자율변동 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 등을 체결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체결중인 통화선도거래 내역과 통화선도계약, 이자율스왑계약, 옵션계약과 관련하여 당기 중 인식한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매입 매도 평가이익(손실) 거래이익(손실)
통화선도 562,342 561,144 2,477 8,856
통화스왑 - - - 22,855
이자율스왑 - - (2,836) -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Cybellum Technologies Ltd. Stock Option이 부여된 직원에 대한 Put Option 부여에 따라 인식한 파생상품부채는 2,458백만원입니다. 2024 3분기 누적기간 중 동 계약에 대한 파생상품거래손익은 없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Bear Robotics, Inc. 의 우선주를 취득할 수 있는 Call Option을 당기에 취득함에 따라 파생상품자산 22,590백만원을 인식하였습니다.

. 옵션계약

연결회사의 주식 취득과 관련한 주요 옵션계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Lufthansa Technik AG
계약일 2018.10.23
만기일 2019.05.21(JV설립)이후 합작계약(JVA) 종료 시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JV계약 종료 시, 합작계약으로 설립된 법인인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의 지분에 대해, 계약 종료의 책임이 없는 당사자는 계약 종료의 책임이 있는 당사자에 대해, 상대방 지분을 20~25%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보유한 지분을 20~25% 할증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Put)를 갖게 됨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계약 종료 시점에 당사자간 합의를 통해 산출하며, 공정가치에 합의를 못하는 경우, 3의 회계법인을 통해 공정가치 산정 후 가장 가까운 2개 값을 평균하여 공정가치 도출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2)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Lufthansa Technik AG
계약일 2018.10.23
만기일 2019.05.21(JV설립)이후 설립 5주년 시점부터 행사가능
계약 체결 목적 LG전자가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의 지분 과반수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합작계약으로 설립된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가 독자 항공인증 가능 시, Lufthansa Technik AG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의 보유지분 2% LG전자에 매각(Put/Call)해야 함
계약금액 Lufthansa Technik AG LG전자보다 지분 1%를 더 보유함으로써 추가 투자하게된 비용 총계에 12개월 EURIBOR+2% 이자를 적용한 가격에,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의 지분 1%의 공정가치 차이를 반영하여 산정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3) Alphonso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주주간 계약서(Shareholders' Agreement)
거래상대방 Alphonso Inc. 주요 주주
계약일 2020.12.19
만기일 2026.8.15 (마지막 회차 옵션 행사에 따른 정산 시한)
계약 체결 목적 Zenith Electronics LLC Alphonso Inc. 지분 100%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Alphonso Inc.의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Alphonso Inc.주식을 2024년부터 3년간 3회에 걸쳐 공개매수(Tender Offer)절차에 따라 아래 계약금액으로 Zenith Electronics LLC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신청기간 및 매도 한도는 다음과 같음
- 1년차 : 2024 3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33%
 - 2
년차 : 2025 3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66%
 - 3
년차 : 2026 3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100%
계약금액 인수 시점의 Alphonso Inc. 회사 가치에 따라 산정된 주당가격 또는 그 이후에 결정되는 공정가격 중 높은 가격으로 정하며, 공정가격은 Alphonso Inc. 이사회 결의로 정함. 이사회에서 정하지 못한 경우, Alphonso Inc. 주요 주주측 이사와 Zenith Electronics LLC측 이사가 각각 선임한 회계법인이 합의하여 산출함. 두 회계법인이 산정한 공정가격의 차이가 10% 이내일 경우에는 평균값으로 정하고, 그 차이가 10% 초과시에는 제 3의 회계법인을 통해 평가를 받아 3개 중 가장 근접한 2개 공정가치의 평균값으로 정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IPO시 옵션계약 종료

 

4) LG Magna e-Powertrain Co., Ltd.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Magna Metalforming GmbH
계약일 2020. 12. 23
만기일 JV설립(2021.7.1) 후 합작계약 종료 시까지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계약 당사자 일방의 중대 의무 위반 시, 비 위반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또는 비 위반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 특정 경업금지의무 위반 시에는, Magna Metalforming GmbH가 위반 당사자인 경우는 당사가 Magna Metalforming GmbH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10~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당사가 위반 당사자인 경우에는 Magna Metalforming GmbH가 보유중인 지분을 당사에게 공정가치의 10~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교착상태 또는 경영권 변동 발생 시, 통지를 받은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에 인수(Call)하거나 또는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 보유.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해당 시점에 당사자들이 각자 선임한 회계법인의 공정가치 평가액의 평균액으로 산정함. , 그 편차가 10% 이상인 경우, 3의 회계법인을 통해 공정가치 산정 후 가장 가까운 2개 값을 평균하여 공정가치를 도출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5) Rinse,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우선주 신주인수계약서
거래상대방 Rinse, Inc.
계약일 2021.09.16
만기일 2024.09.16 (옵션1과 옵션2 중 최장 시한)
계약 체결 목적 사업 파트너십 구축
계약내용 및 조건 옵션1. 당사는 2022 9 16일까지 기 합의된 가격으로 우선주 취득에 대한 권리를 보유
옵션2. 당사는 2024 9 16일까지 당사를 통한 신규고객 1명 유치 시 고객 1명당 보통주 100주를 기 합의된 가격으로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
계약금액 옵션1. $8.0M 규모 / 옵션2.$0.3M 규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 옵션1은 상기 기한 내에 전량 행사되었습니다.

6) Cybellum Technologies Ltd.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주주간 계약서 (Shareholders Agreement)
거래상대방 구주인수계약(Share Purchase Agreement) 체결일인 2021 9 17일 기준,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인 창업자 및 스톡옵션(Stock Option) 보유자
계약일 2021.11.01
만기일 옵션 행사 기한 또는 IPO
계약 체결 목적 Cybellum Technologies Ltd. 지분 100%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인 창업자(이하 '창업자') 및 스톡옵션 보유자는 2021년부터 7년간 3회에 걸쳐 당사에게 구주인수계약 체결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하 '주식') 또는 스톡옵션(이하 '스톡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옵션)를 가지고 있으며, 당사는 미행사 된 잔여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Call옵션)를 가지고 있음
- 1회차 :
[Put
옵션] 2024 11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5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4 12 1일부터 30일 이내, 3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2회차 :
[Put
옵션] 2026 11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9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6 12 1일부터 30일 이내, 5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3회차 :
[Put
옵션] 2028 11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10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8 12 1일부터 30일 이내, 7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기타 Put / Call 옵션 발생 조건
 [Put
옵션]
 - Cybellum Technologies Ltd.
의 사업 종료시/ 청산시 또는 지분 50% 이상이 관계자가 아닌 제3자에게 양도되는 경우, 창업자는 해당 시점 30일 이내에 보유 주식의 100%까지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IPO
시 주당가격이,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이하로 산정되는 경우, 창업자는 보유 주식의 100%까지 인수 시점의 주당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창업자 중 1인 이상이 Put 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스톡옵션 보유자도 동일 조건으로 스톡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Cybellum Technologies Ltd.
가 창업자를 임의로 해고하거나 창업자가 계약상 인정된 사유로 사직하는 경우, 창업자는 고용 만료 120일 이내에 보유 주식의 100%까지 Call 옵션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Call
옵션]
 -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가 본인의 귀책으로 해고되는 경우와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가(창업자인 경우에는 계약상 인정되지 않은 사유로) 사직하는 경우, 당사는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의 보유 주식 또는 스톡옵션을 고용 만료 120일 이내의 해당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80%로 보유 주식의 100%까지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스톡옵션에 대한 위 Put/Call 옵션은 스톡옵션 보유자가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경우(vested)에만 가능.
계약금액 [Put 옵션]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또는 옵션 행사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95% 중 높은 가격
[Call
옵션]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또는 옵션 행사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105% 중 높은 가격
※ 공정가격은 Cybellum Technologies Ltd.와 당사 간 합의한 가격으로 정하며, 합의되지 않을 경우, 당사와 Cybellum Technologies Ltd. 창업자(최소 한 명 이상)가 승인한 독립적인 가치평가 법인을 선임하여 공정가격을 정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IPO시 옵션계약 종료

 

7) BEAR ROBOTICS,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우선주 신주인수계약서
거래상대방 BEAR ROBOTICS, Inc.
계약일 2024.03.13
만기일 2025.03.12  
계약 체결 목적 사업 파트너십 구축
계약내용 및 조건 [Call 옵션] 상기 기간내에 추가지분 확보 권리 보유
계약금액 콜옵션 지분 금액은 당사자간 합의를 통해 산출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6.1 경영상의 주요계약

연결회사가 체결한 경영상의 비경상적인 주요계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상대방 항목 내용
구글 계약목적 및 내용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체결시기 및 기간 2014.11.05 / 특허 출원일로 부터 20년간
기타 주요 내용 기존 특허 및 향후 10년간 출원될 특허를 대상으로 함

기타 라이센스 계약 등은 다음과 같으며, 계약상 기밀에 해당하는 사항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구 분 관련 사업부문/제품 기술 등 제공처 기술 등 사용처
기술사용 가전, 통신기기 Qualcomm Incorporated 연결회사
기술제공 가전, 통신기기 연결회사 Panasonic Corporation


6.2 연구개발활동

.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결회사는 지속적인 고객가치 창출 및 시장선도를 위해 고성장 분야의 신상품 개발과 핵심부품 및 핵심기술 역량 확보에 역점을 두고 아래와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세탁기, 냉장고 및 에어컨과 같은 주력 사업분야는 소비 전력 저감 및 소비자의 편의성 증대 등 친환경 프리미엄 제품 개발을 통해 시장 리더십을 유지ㆍ강화하고, 일체형 세탁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홈 뷰티 기기, 오브제 컬렉션(공간 인테리어 가전) 등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신제품을 개발, 상용화하는 등 R&D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에너지(친환경), 초연결, 개인맞춤(AI)에 대한 사회적
기술적인 변화와 니즈가 있어, 단품 가전 개발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가전, 통합 솔루션 및 편하고 안전한 공간(스마트 홈)을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에 대한 R&D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 제품, 서비스 개발 시, 고객의 경험 여정에 집중을 하고 있으며, 이를 실증하기 위한 스마트 홈 고객경험공간(어나더 하우스, 어나더 빌라)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차별화된 다양한 고객경험공간 운영은 데이터 기반으로 도출된 스마트 홈 인사이트를 반영하여 더 나은 고객경험 제공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가전,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 ThinQ 앱을 아우르는 다양한 스마트 홈 서비스는 모두 인공지능 기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TV,
오디오 등 주력사업 분야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일등제품' 개발 및 핵심 기술역량 강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LG 올레드(OLED) TV, 롤러블 TV, 8K TV, webOS 스마트 TV, 무선 올레드 TV(OLED M), 스탠바이미 등 글로벌 핵심 Business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 기술과 플랫폼을 선제적으로 준비하여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텔레매틱스,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제품, 스마트카 및 모빌리티 솔루션 등 신규 사업분야는 전기, 전자 분야의 첨단 기술력과 가전 분야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성능, 고효율, 스마트 기능의 혁신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을 확대 중이며, SDV(Software Defined Vehicle), AR HUD와 같은 차세대 혁신 기술
제품 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B2B
사업분야에 대해서는 버티컬별 고객 맞춤형 솔루션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 Lock-in 강화를 통해 사업을 육성하고자 하며, 사이지니 / 모니터 제품군에서의 HW 중심의 Anchor 솔루션 차별화 및 SW / 서비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니지 통합 솔루션 등 신규 사업모델 창출, AI 그램 PC를 통한 미래 도약 준비, EV충전기 지역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제품 포트폴리오 구축 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11
년 업계 최초로 가전제품에 와이파이 모듈을 탑재해 제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가전 시대를 연 이후, 자사는 고객을 배려하고 공감해 보다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인공지능을 넘어 '공감지능'을 제시하고 가전 전용 온디바이스 AI 'DQ-1' 'DQ-C'를 자체 개발해 주요 제품에 적용하는 등 글로벌 AI가전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수억 개의 LG스마트 제품들과 다양한 IoT기기를 통한 실시간 생활 데이터들을 활용하는 실시간 생활 지능(Real-Time Life Intelligence), 상호 연결된 기기들을 조화롭게 조율하여 최적의 작동을 유도하는 지휘 지능(Orchestrated Intelligence), 자체 보안시스템인 'LG 쉴드'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 및 학습하는 책임지능(Responsible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AI를 통해 고객에게 보다 나은 삶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특히 글로벌 선도 가전 브랜드를 넘어 홈, 커머셜, 모빌리티, 가상공간 등 고객의 삶이 있는 다양한 공간에서 경험을 연결,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2
년에는 고객이 원할 때마다 신기능 업그레이드로 추가하는 'UP가전'을 선보였고, 2023년에는 초개인화, 구독, 제휴 서비스 등을 결합한 'UP가전 2.0'으로 AI가전 시대를 앞당겼습니다. 또한 가전 전용 온디바이스 AI 'DQ-1', 'DQ-C'와 가전OS를 선보였고, LG 올레드 에보에 AI기반 화질
음질 엔진을 탑재한 알파11 프로세서를 적용해 맞춤 화면 설정으로 공감지능TV를 구현했습니다. 2024년에는 AI 상담 컨설턴트가 고객을 응대하는 무인상담 서비스 'AI 보이스봇'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해외 사업 대응 및 글로벌 R&D협력 강화를 위해 북미, 유럽, 일본, 인도 등 전략 지역에서 현지 R&D 체제를 구축하여 글로벌 R&D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의 지향점이 지속가능성이라는 목표에 기반을 둔 ESG 기반 지침에 착수했습니다. 누구나 손쉽게 가전을 사용하도록 돕는 'LG 컴포트 키트' 출시와 같이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을 목표로 ESG 경영 활동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소비자는 물론 업계 동료들로부터 인정받고 존경 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 담당조직
각 사업본부 산하에는 1~2년 내에 시장에 출시할 제품ㆍ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와 개발팀이 있으며,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핵심기술을 선행개발하는 CTO부문 산하 연구소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의 약 23개의 연구소를 통해서 제품 및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LG 전자만의 독창적인 기술확보와 기업전반에 응용 가능한 공통 핵심기술을 강화하고 미래를 위한 성장엔진 조기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서초, 양재, 가산, 인천, 창원, 마곡 등의 R&D 조직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중국, 인도, 유럽 등지의 해외 연구개발 조직은 긴밀한 협력체계를 통해서 제품 개발 및 기초기술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소 현황


) 상세한 해외 연구개발 조직(법인) 현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 일반사항, (1) 연결대상 종속기업 현황」을 참조 바랍니다.

. 연구개발비용
연결회사의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23 3분기 22 21
연구개발비용 계 3,441,309 4,283,425 4,036,969
(정부보조금) (8,099) (15,019) (14,896)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3,433,210 4,268,406 4,022,073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1,991,541 2,546,867 2,397,333
제조원가 1,065,114 1,253,646 1,415,613
개발비(무형자산) 376,555 467,893 209,127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
[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5.3% 5.1% 4.8%

(*)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연구개발실적
연결회사의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

 

사업부문 23 3분기 22 21
H&A 25 24 39
HE 7 14 12
VS 4 3 1
BS 6 13 15
이노텍 8 8 11
기타 5 12 9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실적(상세)' 참조

 

7. 기타 참고사항

 

.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LG전자는 'Life's Good'이라는 브랜드 약속이자 철학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최고의 경험과 감동을 주고, 고객의 삶이 더 가치 있는 삶이 되도록 항상 노력합니다.

브랜드 철학 기반 ESG 지향점(Better Life For All)을 수립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과 변화의 의지를 표명하고 고객의 신뢰를 받는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가전 통합 브랜드인 'LG 시그니처(LG SIGNATURE)' 2016년 한국, 미국 런칭 이후 글로벌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해 가고 있으며, 프리미엄 고객 눈높이에 맞춘 헤리티지 구축을 위해 LG아트센터 서울의 'LG SIGNATURE' 후원 등 다양한 문화예술 스폰서십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연결회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4 9월말 기준 누적으로 국내 26,137, 해외 69,160건의 등록된 특허권이 있으며, 이 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취득일 내용 근거법령 취득소요인력/기간 상용화 여부 및 매출기여도
특허권 2021.04.15 카메라 장치 및 이미지 생성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39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5/1 11개월 상용화 단계
2020.08.18 렌즈 구동 모터용 탄성부재 및 렌즈 구동용 모터에 대한 특허로 2037 8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3 1개월 상용화 단계
2019.06.04 디지털 티브이 방송 신호를 송수신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34 12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5/5 8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2011.02.22 LTE 제어 신호 송신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28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0/3 8개월 상용화 단계, 통신기기 제조사 대상 Cross License로 활용
2013.04.23 고화질 동영상 디코딩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8
8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6 1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2009.12.15 레퍼런스 픽쳐를 이용한 동영상 코딩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6 7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3/6 10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연결회사는 상기의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 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디지털 TV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 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4
11 LG전자와 Google은 광범위한 사업/기술 영역에서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기존 특허는 물론 향후 10년간 출원하는 특허까지, 출원일로부터 20년간 포괄적으로 공유합니다.
이 외에 차세대 통신 표준, 새로운 멀티미디어 코덱 관련 특허들은 회사의 신사업 진출 시 사업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유의 디자인을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디자인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환경 관련 규제사항

 

연결회사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1)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연결회사는 EU를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시행중인 유해물질 규제(RoHS*)를 만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인체 위해성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독성물질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체 기술ㆍ부품을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브롬계 난연제(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 염소계 난연제(Chlorinated Flame Retardants, CFRs) 등과 같이 현재 규제 대상은 아니나 생태계에 유해한 물질에 대해서도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점진적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습니다.

*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EE) : 전기전자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 제한을 위한 규제로, ,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브롬계난연제(PBBs, PBDEs), 프탈레이트(DEHP, DBP, BBP, DIBP)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2) 폐전기전자제품 관리 정책
연결회사는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규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각 규제 지역별 특성 및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폐가전 회수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재활용 가능률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폐가전 회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경보전 및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글로벌 폐가전 회수처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020년에 413,067, 2021년에 445,254, 2022년에 497,425, 2023년에 492,224톤을 처리하였습니다. 글로벌 54개 국가, 89개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회수ㆍ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규 지역에 대해서도 규제 분석 및 대상 국가의 정부, 산업단체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적법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폐전자제품을 회수하여 전국의 리사이클링센터에서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자원순환법에 따라 폐전자제품의 재활용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법: 제품의 설계생산단계에서 유해물질 사용제한 등을 유도하고, 폐기 시 적정한 재활용 등을 통해 제품의 환경친화성을 일정기준 이상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서, 「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거 2008 1 1일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3) 온실가스 배출 관리

연결회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제27조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DNV Business Assurance Korea Ltd.의 제3자 검증 후, 배출량 명세서를 정부에 적기 제출하고,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부에 신고된 국내 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tCO2-eq, TJ)

 

구분 22 (2023) 21 (2022) 20 (2021)
온실가스 배출량 692,530 661,295 732,998
에너지 사용량 14,040 13,375 14,255

1)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2015 1월부터 시행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관리 대상 기업으로, 202312월 기준 LG전자 국내 5개 생산사업장(평택 디지털파크, 평택칠러, 구미 퓨처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2), LG마그나 인천 캠퍼스와 4개 연구소(서초 R&D 캠퍼스, 양재 R&D 캠퍼스, 사이언스파크, 가산 R&D 캠퍼스)는 국제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ISO50001)을 완료하였습니다. 회사는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감축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4) 사업장 내 환경

연결회사는 사업장 내 발생되는 환경오염물질의 저감, 자원의 효율적 이용, 환경경영체계 구축을 통해 환경 보전 및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있습니다. 2010년부터 국내 사업장은 환경, 안전, 보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위해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 및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45001) 인증을 본사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모든 생산사업장 및 연구소에 대한 통합인증을 완료 하였습니다. 또한, 대기, 수질분야의 환경오염물질 배출 항목에 대해서 사내 환경관리규칙에 따라 법적 배출허용농도보다 강화된 내부관리기준을 설정하여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폐기물은 최대한 재활용하여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염물질의 현저한 감소, 자원과 에너지의 절감, 제품의 환경성 개선, 녹색경영체제의 구축 등을 통하여 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한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부에서 지정한 녹색기업에 LG전자: 평택 디지털파크, 구미 퓨처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2, 이노텍: 구미1, 1A가 선정되었습니다.

. 환경 관련 신사업 및 인증사항

(1) 친환경 기업 인정 현황

회사는 2009 1월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하고, 공정개선, 에너지 절감 기술도입, 재생에너지 사용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고 있으며, 기업의 탄소경영성과 공개 프로그램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회사는 인도에서 고효율 냉장고 판매를 통해 UN으로부터 총 56 5천톤(누적)의 탄소배출권(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공인인증감축량)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회사는 탄소중립 2030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등 친환경 활동을 펼치는 동시에 재활용률 확대 등의 친환경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다우존스에서 발표하는 2023년 지속가능경영지수 평가에서 ESG 경영 상위 10%를 선정하는 DJSI 월드 지수에 12년 연속 편입되었으며, 2024년 한국ESG기준원의 ESG 평가에서도 환경부문 A+ 등급을 받았습니다.

(2) 녹색기술 인증

회사는 정부가 2010년부터 시행하기 시작한 '녹색기술 인증' 제도에서 가전, TV 및 모니터 등에 대한 녹색기술 인증을 3건 보유하고 있습니다. 녹색기술 인증은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이용 효율화, 청정에너지 등의 사회ㆍ경제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대한 인증으로, 기술의 우수성 뿐만 아니라 녹색성까지 고려하는 인증 제도입니다.

또한, 녹색기술 인증을 받은 기술을 실제로 적용하여 상용화한 제품에 인증 마크를 부여하는 '녹색기술제품 확인' 제도에서 연결회사는 8건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녹색기술 인증 현황>

인증번호 기술명칭 인증일자 유효기간
GT-22-01317 안면인식 기반 PC용 부재인식 대기전력 저감기술 2022.01.20 2025.01.19
GT-23-01774 PC모니터용 자동 에너지절감 영상모드 설정 및 운용 기술 2023.09.14 2026.09.13
GT-24-02016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인버터 에어컨/히트펌프 기술 2024.06.20 2027.06.19


<녹색기술제품 확인 현황>

확인번호 제품명 확인일자 유효기간
GTP-23-03342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3.01.26 2025.01.19
GTP-23-03346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3.01.26 2025.01.19
GTP-23-03812 소비전력 절감형 모니터 2023.09.14 2026.09.13
GTP-23-03970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3.12.14 2025.01.19
GTP-23-03972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3.12.14 2025.01.19
GTP-24-04233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4.05.23 2025.01.19
GTP-24-04235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4.05.23 2025.01.19
GTP-24-04250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고효율 인버터 에어컨 2024.06.20 2027.06.19

 

. 사업부문별 시장여건 및 영업개황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1) 산업의 특성
H&A
부문은 Home Appliance, Air Solution 제품과 가전 부품 Solution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ome Appliance
는 냉장고ㆍ세탁기ㆍ오븐ㆍ식기세척기ㆍ청소기ㆍ전자레인지 가전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일체형 세탁건조기ㆍ가구형 안마의자 등 융복합 가전 및 홈뷰티 제품군과 스마트홈 솔루션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Home Appliance 산업의 경쟁 구도는 지역별로 현지의 강한 경쟁사가 존재하고 기술 혁신이 쉽지 않은 분야로 경쟁 강도가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사들도 사업영역 다각화 및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하여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
은 스탠드형/ 벽걸이형 에어컨ㆍ공기청정기ㆍ제습기 등의 가정용 제품과 상업용 에어컨ㆍ중앙 공조 시스템을 비롯한 산업용 냉난방 공조기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BECON(Building Energy Control) Cloud를 활용하여 고객의 에너지 사용 환경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효율적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은 궁극적으로 관련된 제품 및 시스템 등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지향하는 부문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야 하는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성장성
Home Appliance
는 냉장고ㆍ세탁기 등 대형 가전 제품의 경우 시장 성장률은 낮으나 시장 규모가 큰 빌트인 주방가전 사업은 글로벌로 성장여력이 많이 남아 있으며, Life Style과 소비방식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 가전ㆍ가정용 식물재배기ㆍ신발 관리기ㆍ홈뷰티 제품 등 신사업과 D2C(Direct to Customer) 및 구독사업은 성장 잠재력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
의 가정용 에어컨은 수요가 정체되고 있으나, 상업용 에어컨의 경우 최근 데이터센터나 반도체, 배터리 공장에 필요한 고성능 냉각시설 수요가 증가하며 AI 및 전기차의 후방산업에서 새로운 성장 영역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Home Appliance
는 필수재 성향이 높은 제품으로 경기 변동에 민감하지 않아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글로벌 시장 수요의 감소 영향으로 제조업 전반에 걸쳐 성장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의 상업용 에어컨과 냉난방 공조기 사업은 건설 경기 변동에 민감하고, 가정용 에어컨은 계절적 특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나, 인버터ㆍ에너지 고효율ㆍ공기청정 기능 등을 갖춘 신제품이 지속 출시되면서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원자재 및 환율의 변동성은 사업에 지속적인 Risk 요인이 되고 있으며 높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각국 정부 당국의 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가전 수요가 정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H&A본부는 유연한 글로벌 생산지 운영을 통해 글로벌 원자재 가격 및 환율의 변동성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국가에서 에너지 정책 및 규제의 변화가 생겨나며 고효율 제품에 대한 새로운 시장 기회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사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ESG 경영 패러다임에 적극 부합하며 'LG전자 2030 탄소중립' 선언에 맞춰 사업장 별 에너지 감축을 추진하고 친환경제품 강화를 통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여 미래 세대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체의 특성이나 성별, 나이, 지식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전 제품의 '접근성'을 개선하여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H&A본부는 인류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ESG 경영 활동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
주요 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2015
년부터 시장점유율 자료가 입수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Home Appliance는 핵심 부품 기술에 기반한 대용량/ 고효율 중심의 제품 차별화 및 지역 적합형 제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Global 가전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온 상품기획과 R&D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사를 압도하는 최고의 혁신 제품과 신규 Category 제품 개발, 브랜드 투자를 통해 성장 동력을 꾸준히 이어갈 것입니다.

 

Air Solution은 차별화된 기술과 디자인을 통해 가정용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생산 혁신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Technology Leadership을 바탕으로 상업용 에어컨 시장에서 확고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칠러ㆍ스마트 그리드ㆍESCO(Energy Service Company) 등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초대형 빌딩, 산업 시설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공조 솔루션 및 통합 에너지 제어ㆍ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A본부는 2023년 개인 맞춤형 제품과 생활 서비스를 결합한 UP가전 2.0을 선보였고 렌탈 브랜드명을 '가전구독'으로 변경 후 소형가전 중심의 기존 렌털사업의 틀을 깨고, 냉장고와 세탁기 등 대형 가전으로 품목을 확대하며 생활가전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가전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 서비스를 지속 발굴하여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업운영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도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 관점에서는 창원 스마트파크가 국내 가전 업계 최초의 등대공장(세계경제포럼 WEF 선정)으로 선정되어 자동화ㆍ정보화ㆍ지능화를 포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자율 공장 시스템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창원 스마트파크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2023년에는 미국 테네시 공장이 한국 기업이 해외에 세운 공장 중 최초의 등대공장으로 선정되며 해외 생산지의 생산 혁신 경쟁 또한 꾸준히 앞장서 나가고 있습니다.

 

- HE(Home Entertainment)

(1) 산업의 특성
HE
부문은 TV, Audio 제품 등의 멀티미디어 영상 음향 기기를 생산ㆍ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지식 및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 분야이며, Display, 음향 관련 최첨단 기술과 이를 상용화 할 종합적인 하드웨어 Integration 기술을 필수로 하며, 향후에는 더 나아가 "데이터, 네트워크, AI 기반의 디지털" 시대를 선도할 최신 S/W 플랫폼과 차별화된 UX(User Experience) 구현 기술의 확보가 중요한 경쟁 요소인 산업 분야입니다.

(2)
성장성

2023년은 주요국 금리 인상 기조 및 소비자 가처분 소득 감소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부진이 지속되었으나, 2024 TV시장은 점진적으로 수요 회복 되어 성장세로 전환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V LG만의 고색재현 기술을 적용한 QNED TV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High-end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제품 차별화를 통해 질적 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OLED TV  QNED TV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지속 확대하고 라이프스타일 스크린  판매를 확대하여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안함으로써  TV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11년 연속 1등의 OLED TV 리더십 기반 LG OLED TV의 확실한 우위 및 차별화 소구를 통해 고객 가치를 개선하고, 고객 사용 경험 확대를 통해 고객 경험 만족도를 제고하여 고객이 인정하는 최고의 OLED TV 2024년에도 자리 매김하여 OLED TV 1등을 지속하겠습니다. 또한 스마트 TV Home Entertainment 기능 확대  트렌드에 대응하여, 자체 플랫폼(webOS) 우위 경쟁력을 기반으로 OTT 서비스 업체 및 클라우드 게이밍 업체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차별화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오디오사업은 시장 내 성장 제품인 퍼스널 오디오 제품군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과 브랜드 인지도 개선 활동을 지속 진행하고 주력 판매 제품인  사운드바와  TV의 연동성  및 차별화 기능 대응으로 판매 확대하여 사업 건전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과 세계 경기 변화에 민감합니다. 인플레이션 둔화세와 더불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는 완만하게 해소 중이며, 미국/ 유로존 등 주요국의 통화 정책 전환 및 기준 금리 인하가 본격화되어 팬데믹 이후 정체중이었던 TV 수요 또한 서서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원자재 수급 불안 및 로컬 환율 악화 등의 요인으로 수요 예측의 불확실성이 병존하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2023년은 주요국 금리 인상 기조 및 소비자 가처분 소득 감소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 및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로 인해 수요 부진이 지속되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TV 시장수요는 유로컵 / 올림픽 등 스포츠 이벤트 영향으로 전년비 성장하였으나하반기는 경기 안정화 및 소비 심리 위축 정도에 따른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점진적으로 수요 회복이 되어 연간으로는 전년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리미엄  TV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소득 감소에 따른 합리적 소비 성향 확대로 수요 부진이 지속되나, OLED TV 수요는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OLED TV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TV의 성장 전략을 지속 전개하면서 OLED TV 판매의 '질적 성장' 추진을 통해서 프리미엄 수요를 견인하고자 합니다. 자발광(SELF-LIT) 디바이스인 OLED TV 뿐만 아니라 고색재현 기술에 기반한 QNED TV를 필두로 하고 라이프스타일 스크린 판매 확대를 통해 프리미엄 LCD TV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SW 중심으로의 사업 체질 변화를 가속화 하여 TV사업의 지속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OLED 종주 브랜드 및 11 (2013~2023) 연속 OLED TV 1등 업체로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기반으로 고객 경험 만족도를 제고하여 고객이 인정하는 최고의 OLED TV로 지속 자리 매김하고, LG만의 고색재현 기술이 적용된 프리미엄 LCD TV로서 LCD 제품군 중 가장 진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QNED TV를 통해 프리미엄 LCD TV에 대한 고객가치도 동반 제공하고자 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4 3분기 2023 2022 비고
TV
(OLED TV
포함)
16.6% 16.3% 16.7% 세계시장점유율
(
금액기준)

1) OMDIA (, IHS Technology)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Home Entertainment 관련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업계에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 왔습니다. 먼저 주력 사업인 TV는 고객이 "탁월함"을 경험할 수 있는 가치 혁신을 위해 '경험' '서비스'의 사업포트폴리오를 접목 / 강화하고, LG만의 고객경험 Identity를 만들기 위해 Life on Screen을 새로운 고객가치발굴을 위한 비전으로 설정하여 차별화 된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내놓고 있습니다.  OLED TV는 세계 최초로 출시한 후 월 페이퍼 TV, 롤러블 TV 및 벽에 완전히 블렌딩되는 갤러리 TV / 파워선 하나만 남겨 공간의 자유를 주는 무선 TV, 투명 TV 등 공간 관점에서의 고객 경험 혁신 제품과  디스플레이 및 SoC 기술이 진화된 OLED evo 라인업을 확대하며 댁내 종합 Entertainment Device로서 다양한 고객 수요를 충족하고 있으며 2023년 세계 최초 무선 OLED TV 출시를 통해 기술 혁신과 함께 자사 11년 기술이 집약된 OLED 전용칩 알파11 프로세서의 화질/음질 경쟁력, 42 ~ 97인치까지의 다양한 라인업 기반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주도하고 있습니다. OLED TV 뿐만 아니라 퀀텀과 나노의 장점을 결합해 LCD 제품군 중 가장 진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QNED TV 제공을 통해 LCD TV에 대한 고객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으며, 독자적인 스마트 TV 플랫폼인 webOS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UX와 오픈파트너십과 함께 더 확장된  AI 서비스로 고객에게 컨텐츠 중심의 개인화된 새로운 사용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HW 중심에서 경험과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체질 변화를 가속화하고 광고와 컨텐츠를 통한 플랫폼 사업 매출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2021
StanbyME, 2023 StandbyME Go를 출시하여 새로운 폼팩터와 함께 모바일 연동 / 세로 모드 / 배터리 / 터치 등을 통해 다양한 시청 환경에서 나를 위해 맞춰주는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을 제공하였으며, 2022 Pose(포제)를 신규 출시하여 OLED 오브제 디자인의 차별화된 댁 내 공간의 사용 경험 및 고객 경험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2022년 하반기에는 42인치 벤더블 게이밍 OLED TV FLEX(플렉스)를 출시하여 OLED만이 가능한 폼팩터의 혁신과 함께 게임에 최적화된 기능과 UX/UI 적용을 통해 차별화된 최고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고객의 경험을 충족시키는 초대형 OLED 및 라이프 스타일 스크린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오디오 사업은 현재 주력 사업인 사운드바를 포함한 홈오디오 분야와 지속적인 수요 확대가 기대되는 무선스피커와 무선헤드셋의 퍼스널오디오 분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운드바는 자사 TV와 완벽한 디자인 매칭, 단일 제품처럼 사용하기 편리한 UX, 사용 공간 최적화 설치 편의성을 통한 통합적 사용 경험과 세계 최초 상방향 센터 채널을 포함한 선도적인 음향 솔루션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선스피커에서는 고출력 사운드 경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자사 독자 솔루션인 360 사운드와 360 라이팅을 결합한 공감각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무선헤드셋은 편안한 착용감을 경쟁 우위로 하여 음질, 통화, 디자인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세계 최초 돌비 애트모스 입체음향, Plug&Wireless, UVnano 등 새로운 차별화 경험을 통해서 퍼스널 오디오 시장에서의 선점 기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

(1)
산업의 특성
VS
부문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헤드유닛ㆍ텔레매틱스ㆍ디스플레이 등), 전기자동차용 구동부품(모터ㆍ인버터 등), 자동차 램프 및 보안용 SW를 생산ㆍ판매ㆍ제공하는 부문입니다.
자동차 부품 산업은 품질과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공급 부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기존 사업 경험을 요구하는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자원의 선행 투입이 필요하고 사업화에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완성차 업체와 장기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산업입니다.

(2)
성장성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산업은 차량 내 전장화와 통신 / 네트워크 발달에 따른 탑재율 증가로 고성장이 예상되며전기차 부품은 단기적 수요 둔화로 시장이 악화되었으나, 환경 규제 및 Infra 확대 등으로 중장기 구간에서의 시장 지속 전망이 예상됩니다차량용 램프 산업은 LED 적용 확대 및 ADAS 연계 지능화로 판가 상승 및 적용률 확대에 따른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변동, 정부규제, 보조금 지원 규모 변동 등이 자동차 시장 수요에 영향을 미치며, 자동차 부품 사업은 완성차 업체의 매출 실적, 지역별 차량 판매량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경우, 차량용 5G/V2X 관련 Connectivity 기능 확대와 통신 수요 증가로 텔레매틱스 시장 성장이 예상되고,  스마트폰 연계 요구 확대와 계기판, 디스플레이 제품들의 통합/대형화 등으로 디스플레이 오디오 및 내비게이션 시장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4 3분기 2023 2022 비고
텔레매틱스 24.6% 24.1% 23.3% 세계시장점유율
(
금액기준)
AV/AVN 12.9% 11.8% 11.7%

) Strategy Analytics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텔레매틱스 영역에서는 통신 역량 및 차량용 5G 기술 선제 대응 등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오디오 및 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당사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BS(Business Solutions)

(1)
산업의 특성
BS
부문은 모니터, 노트북, PC 등의 IT 제품과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제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니터는 PC 및 스트리밍 기기의 성능향상과 소비 컨텐츠의 다양화 및 고화질화에 따라 대형화 및 고해상도로 시장이 전환 되고 있으며, 다양한 고객 Needs에 부합하여 게이밍 모니터, 스마트 모니터 등의 프리미엄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PC는 그래픽 성능 향상, 경량화, 배터리 용량 확대 등으로 성능향상과 더불어 모빌리티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데스크톱에서 노트북으로의 수요 이동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T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속적인 시장 선도 제품 개발이 사업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는 B2B Commercial 제품인 모니터사이니지와 호텔 TV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패널 등의 Display 관련 기술과 소프트웨어 Integration 기술 등이 중요한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거래 관계 유지를 위해 고객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경쟁 요소이기도 합니다.

모니터사이니지는 QSR (Quick Service Restaurant)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현재는 기업/교육/방송/병원 등 다양한 산업군별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LED제품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비디오월 등 기존 LCD 제품과 경쟁하며 공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모니터는 그래픽 칩셋의 고성능화, 게임 엔진 그래픽 수준 향상으로 고사양 게이밍 모니터 수요는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PC 노트북 시장의 성장은 단기적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AI라는 새로운 화두와  팬데믹 기간 동안 늘어난 저가 PC 교체 주기에 맞춰 2025년 이후 고사용 PC 수요 증가 및 시장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산업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LED 사이니지 시장의 빠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모니터는 중국 중심 생산 오퍼레이션, 모듈 의존도 및 B2B 비중이 높은 사업이며, 글로벌 경기 변화에 민감합니다. 특히, 모듈가, 물류비 변화 및 미국발 중국산 관세 Risk 등 대외 영향도가 높은 사업입니다.  PC B2C/B2B 필수 소비재로 거시경제 지표에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대신, 핵심 부품의 외부 의존도가 높아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부품 산업의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산업은 프로젝트 비중이 높아 정부/기업의 투자와 관련이 있어 글로벌 경기 지표 악화 시 매출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일반 소비재 산업과는 달리, 산업군별 물량의 비중이 큰 지역에서는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기도 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2024년 상반기 모니터 시장은 전년 대비 6% 성장하였으며 프리미엄 게이밍 중심의 성장세 이나, 중국 시장, 중국 Brand 의 급성장으로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PC시장의 경우 팬데믹 이후 시장포화로 수요 회복 지연 중이나, AI PC를 포함한 프리미엄 노트북의 선호도 증가 및 홈엔터테인먼트용 고성능 노트북의 견고한 수요가 예상 되며 B2B는 디지털 교육 전환에 힘입어 교육시장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4년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인플레이션 및 환율 악화 등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성장세가 소폭 둔화하였으나,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맞춰 주력 버티컬(기업/리테일/호텔)에서 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교육/방송/VP 등 다양한 버티컬의 수요창출을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4 3분기 2023 2022 비고
모니터 7.2% 7.5% 8.1% 수량기준
사이니지 26.9% 24.9% 25.1% 수량기준

1) 모니터는 IDC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2) 사이니지는 모니터사이니지와 TV사이니지이며, OMDIA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중국시장을 제외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모니터 사업은 계열사 협력을 기반으로 고객 가치 기반 OLED 게이밍, 스마트 모니터 등 프리미엄 제품 및 컨텐츠 소비 고객 대응 제품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의료용/클라우드 디바이스를 신규 사업화하여 B2B 사업 기회 영역을 지속 발굴, 확대 하고 있습니다 PC 사업은 올해 고성능과 휴대성을 모두 갖춘 '그램Pro'를 출시하면서 라인업을 강화하였습니다. , AI 시대에 맞춰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자사만의 차별화 솔루션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판매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은 성장하는 사이니지 시장에서 차별화된 시장 선도 제품을 기획ㆍ개발ㆍ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솔루션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의 스펙 우위점을 지속 유지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의 빠른 접목을 통해 차별적 요소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점차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호텔 TV는 자체개발 솔루션을 비롯하여 자사의 독자 플랫폼인 웹 OS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UX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호텔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크루즈 및 헬스케어 등 신규 시장 진입도 본격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이노텍

(1) 산업의 특성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산업은 고부가가치의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카메라모듈의 성능이 완제품의 경쟁력으로 직결되어 첨단기술 및 고객의 요구변화에도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즉각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은 새로운 기능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니즈에 대응하여 제품화 할 수 있는 개발 / 제조 역량이 요구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모바일 기기의 고성능화 및 복합화에 힘입어 카메라모듈 시장도 확대되어 왔습니다.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은 고성능화, 다기능화,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줌, 고화소 적용 모듈 등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카메라 모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신규 어플리케이션에서 인식 및 감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센싱 모듈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차량용 카메라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카메라 성능 고도화와 탑재 카메라 수의 증가로 차량용 카메라모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카메라모듈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해외시장의 경기변동, 첨단기술과 고객의 요구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외 원자재 가격, 환율 및 국내 경기 변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차지하는 스마트폰 시장은 신흥시장 보급률 확대 및 프리미엄 폰 수요 증가로 정체되었던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온디바이스AI, 폴더블폰 등의 기술 혁신으로 인해 전체 스마트폰 시장 내 프리미엄 시장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율주행차 시장은 자율주행 기술 도입 지연과 전기차 침투율 감소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성장 둔화가 예상되지만 시장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4 3분기 2023 2022 비고
모바일 카메라모듈 34.3% 36.2% 29.7% 세계시장점유율
(
금액기준)

) 모바일 카메라모듈은 TSR (Techno Systems Research) 등의 연간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 입니다.

 

(5)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

회사는 꾸준한 연구개발과 시장 선도 제품 출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략고객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하고 차별화 전략 제품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하겠습니다.

.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1) 사업부문별 매출, 영업이익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구분 23 3분기 22  3 22 21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H&A 매출액 257,880 39.7 234,861 39.5 301,683 36.7 299,263 36.3
 외부고객 매출 257,511 39.6 234,484 39.4 301,210 36.6 299,000 36.3
 내부고객 매출 369 0.1 377 0.1 473 0.1 263 -
영업이익 21,619 65.8 21,120 63.2 19,943 54.6 11,118 31.2
HE 매출액 108,575 16.7 100,534 16.9 142,040 17.3 156,958 19.0
 외부고객 매출 108,551 16.7 100,501 16.9 141,990 17.3 156,890 19.0
 내부고객 매출 24 - 33 - 50 - 68 -
영업이익 2,786 8.5 4,460 13.4 3,759 10.3 295 0.8
VS 매출액 79,651 12.3 75,545 12.7 101,476 12.3 86,360 10.5
 외부고객 매출 79,651 12.3 75,545 12.7 101,476 12.3 86,360 10.5
 내부고객 매출 - - - - - - - -
영업이익(손실) 1,357 4.1 2,368 7.1 2,439 6.7 1,998 5.6
BS 매출액 44,388 6.8 41,432 7.0 54,120 6.6 60,903 7.4
 외부고객 매출 44,299 6.8 41,372 7.0 54,041 6.6 60,859 7.4
 내부고객 매출 89 - 60 - 79 - 44 -
영업이익 (700) -2.1 478 1.4 (417) -1.1 252 0.7
이노텍 매출액 145,739 22.4 130,467 21.9 206,053 25.0 195,922 23.7
 외부고객 매출 141,376 21.7 126,290 21.2 200,588 24.3 190,771 23.1
 내부고객 매출 4,363 0.7 4,177 0.7 5,465 0.7 5,151 0.6
영업이익 4,582 14.0 3,471 10.4 8,308 22.7 12,706 35.6
기타 매출액 13,434 2.1 12,452 2.0 17,255 2.1 25,809 3.1
 외부고객 매출 18,279 2.9 17,099 2.8 23,322 2.9 31,335 3.7
 내부고객 매출 (4,845) -0.8 (4,647) -0.8 (6,067) -0.8 (5,526) -0.6
영업이익 3,199 9.7 1,511 4.5 2,501 6.8 9,304 26.1
합계 매출액 649,667 100 595,291 100 822,627 100 825,215 100
 외부고객 매출 649,667 100 595,291 100 822,627 100 825,215 100
 내부고객 매출 - - - - - - - -
영업이익 32,843 100 33,408 100 36,533 100 35,673 10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1)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부문간 매출액은 독립된 당사자 간의 거래조건에 따라 회계처리하였습니다.
2) 각 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비용은 각 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비용은 배부기준(매출액, 인원수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부하였습니다.
3) 기타부문은 보고부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영업부문과 영업부문에 대한 지원활동 및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부서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4) 23기 조직 기준으로 제22기 및 제21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2) 사업부문별 자산, 부채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23 3분기말 22 기말 21 기말
자산 비율 부채 비율 자산 비율 부채 비율 자산 비율 부채 비율
H&A 306,481 47.6 150,502 37.7 275,817 45.8 135,091 36.8 256,180 46.4 131,032 40.1
HE 155,457 24.2 109,379 27.4 142,062 23.6 97,671 26.6 133,501 24.2 92,400 28.3
VS 105,355 16.4 126,468 31.7 93,215 15.5 99,125 27.0 85,915 15.6 91,858 28.1
BS 57,683 9.0 44,842 11.2 53,392 8.9 40,095 10.9 51,320 9.3 36,124 11.1
이노텍 118,427 18.4 68,565 17.2 112,043 18.6 64,897 17.7 97,936 17.8 55,278 16.9
기타 및 내부거래 제거 등 (100,184) (15.6) (100,730) (25.2) (74,121) (12.4) (69,456) (19.0) (73,291) (13.3) (80,051) (24.5)
합 계 643,219 100 399,026 100 602,408 100.0 367,423 100.0 551,561 100.0 326,641 100.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1) 각 부문의 자산, 부채는 부문간 내부거래 제거 전 내역입니다.
2) 각 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자산, 부채는 각 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자산, 부채는 배부기준(매출액, 인원수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부하였습니다.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lg전자 주가 전망
엘지전자 주가 차트
lg전자 주가 하락 이유
엘지전자주가 주식
엘지전자우선주주가
lg전자 목표주가
엘지전자 시가총액
삼성전자 주가 전망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lg전자주가전망
lg전자주식회사 주가
lg전자 목표주가
삼성전자주가
sk하이닉스주가
LG전자
카카오주가
현대차 주가
lg에너지솔루션 주가
lg디스플레이 주가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LG전자 주가 전망 2025 | 가전·전장 사업 성장과 투자 전략
LG전자 주식, 지금 매수해도 될까? 실적·배당·목표 주가 분석
LG전자 전장사업 성장세! 주가 상승 가능성과 투자 포인트
LG전자 주가 하락 원인과 반등 시점 | 장기 투자 가치 분석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엘지 LG전자 실적 분석 ❘ 가전·전장·AI 사업별 성장성과 주가 영향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하락 이유 주식 우선주 시가총액 기업 분석 차트 배당금



삼성전자 주가 lg이노텍 주가 lg디스플레이 주가 lg화학 주가 lg전자우 주가 sk하이닉스 주가 sk이노베이션 주가 lg에너지 솔루션주가 현대차 주가 lg전자 주가 전망 lg생활건강 주가 삼성물산 주가 삼성sdi 주가 현대모비스 주가 네이버 주가 카카오 주가 하이닉스 주가 아모레퍼시픽 주가

 

반응형